하일브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일브론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네카어 강 양쪽에 걸쳐 있으며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의 북부에 자리 잡고 있다. 네카어 분지 북부에 위치하며, 포도 재배가 활발하다. 1281년 제국 자유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1802년 뷔르템베르크에 편입되었다. 19세기 산업화 시기에 철도 연결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20세기에는 하일브론 발전소, 크노르 등의 기업이 자리 잡으며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현재는 포도 재배, 소금 채굴, 다양한 산업과 함께 교육 도시로도 성장하고 있으며, 하일브론 시립 박물관, 킬리안 교회, 시청사 등 역사적인 건축물과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일브론 - 하일브론의 유령
하일브론의 유령은 독일에서 발생한 경찰관 살인사건에서 시작되어 여러 범죄 현장에서 동일한 여성 DNA가 발견되면서 연쇄 범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DNA 오염으로 인한 해프닝과 극우 테러 조직 NSU의 연관성이 드러나 독일 사회에 충격을 준 사건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공국
슈바벤 공국은 알레만니족 영역에 기반하여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다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공작위를 차지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 공국으로 존속했으나 콘라딘 사망 후 해체, 여러 영지로 분열되어 현재는 바이에른 슈바벤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역사 - 슈바벤 동맹
슈바벤 동맹은 1488년 프리드리히 3세의 요청과 베르톨트의 지지하에 제국 평화 유지, 바이에른 공작 견제, 스위스 연방 방어를 목적으로 설립된 제후 동맹이었으나 종교 개혁으로 쇠퇴하여 1534년 해산되었다.
| 하일브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도시 |
| 위치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 행정 구역 | 슈투트가르트 |
| 하위 행정 구역 | 도시 자치구 |
| 고도 | 157m |
| 면적 | 99.88km² |
| 우편 번호 | 74072–74081 |
| 지역 번호 | 07131, 07066 |
| 차량 번호판 | HN |
| 지방 자치체 코드 | 08 1 21 000 |
| 하위 구역 | 9개 "Stadtteile" (구역) |
| 공식 웹사이트 | heilbronn.de |
| 정치 | |
| 시장 | 하리 메르겔 |
| 시장 임기 | 2022–30 |
| 시장 직함 | 오버뷔르거마이스터 (Oberbürgermeister) |
| 소속 정당 | SPD |
| 기타 정보 | |
2. 지리
하일브론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북부 네카어 강 유역에 위치하며, 주변은 포도밭으로 둘러싸여 있다. 슈바벤-프랑켄 숲 자연 공원과 인접해 있다.
하일브론은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의 북부에 위치하며, 하일브론-프랑켄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다. 2002년 바덴-뷔르템베르크 마스터 플랜에 따라 지정된 14개의 도시 중 하나로, 압슈타트, 바트 라페나우, 바트 빔펜 등 주변 여러 도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하일브론은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바트빔펜, 네카르줄름, 에를렌바흐, 바인스베르크, 레렌슈타인스펠트, 운터그루펜바흐, 플라인, 탈하임, 라우펜 암 네카어, 노르트하임, 라인가르텐, 슈바이거른, 마센바흐하우젠, 바트라페나우와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하일브론 군에 속한다.
하일브론 시는 9개의 구(Bezirk)로 나뉘며, 각 구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하일브론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기온 (°C) | 2.2 | 3.0 | 6.8 | 11.0 | 15.1 | 18.5 | 20.2 | 19.7 | 15.2 | 10.0 | 6.0 | 3.0 |
| 평균 강수량 (mm) | 52.2 | 45.9 | 50.8 | 39.0 | 71.9 | 66.0 | 77.6 | 65.1 | 57.1 | 62.1 | 57.7 | 66.5 |
| 평균 일조 시간 (시간) | 51.5 | 72.4 | 119.7 | 173.3 | 201.6 | 202.8 | 209 | 198.1 | 148 | 102 | 50.5 | 39.4 |
2. 1. 위치
하일브론은 네카어 강 양쪽에 걸쳐 있으며, 네카어 퇴적 분지 북쪽 모서리의 바르트베르크 (308m) 기슭에 위치해 있다. 도시 경계 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72m의 슈바인스베르크이다. 하일브론은 슈바벤-프랑켄 숲 자연 공원과 인접해 있으며 포도밭으로 둘러싸여 있다.
하일브론과 그 주변 지역은 더 넓은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의 북부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하일브론-프랑켄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며 2002년 바덴-뷔르템베르크 마스터 플랜에 따라 지정된 14개의 도시 중 하나이다.
하일브론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북부의 네카어강이 만들어낸 비옥한 평야인 네카어 분지의 북부에 해당하는 하일브론너 분지에 위치한다. 도시의 네카어강 양안 대부분은 포도 재배 언덕이 펼쳐져 있다. 이 언덕들은 서쪽으로는 하일브론너 분지를 둘러싼 비교적 작은 구릉지인 갈타허 펠트와 연결되고, 동쪽으로는 발트베르크, 갈겐베르크, 뷔헬베르크, 슈바인스베르크와 같은 산들이 북에서 남으로 이어져 있다. 또한 동쪽에는 힌터스베르크나 라이스베르크와 같은 산(이들은 모두 하일브론 시내에 있다)이 뢰벤슈타이너 산지의 지맥에 해당하는 하일브론너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시역의 최고 지점은 시의 숲의 가장 남동쪽에 위치한 해발 378m의 라이스베르크이며, 두 번째는 372.8m의 슈바인스베르크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네카어강의 네카어줄름에 가까운 지점으로 해발 151m이다. 시역은 남북 13km 이상, 동서 19km 이상의 넓이를 가지고 있다.
하일브론은 슈바벤-알레만 방언 (슈바벤어)과 프랑켄 방언 (남 프랑켄어)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2. 2. 주변 지역
하일브론은 네카어 퇴적 분지 북쪽 모서리의 바르트베르크 (308m) 기슭에 위치해 있다. 네카어 강 양쪽에 걸쳐 있으며, 도시 경계 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72m의 슈바인스베르크이다. 하일브론은 슈바벤-프랑켄 숲 자연 공원과 인접해 있으며 포도밭으로 둘러싸여 있다.하일브론과 그 주변 지역은 더 넓은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의 북부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하일브론-프랑켄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며 2002년 바덴-뷔르템베르크 마스터 플랜에 따라 지정된 14개의 도시 중 하나이다.
하일브론은 지역 경제 중심지로서 다음의 도시들을 지원한다.
| 시정촌 |
|---|
| 압슈타트 |
| 바트 라페나우 |
| 바트 빔펜 |
| 바일슈타인 |
| 브라켄하임 |
| 클레브론 |
| 에버슈타트 |
| 엘호펜 |
| 에핑겐 |
| 플라인 |
| 게밍겐 |
| 귕겐 |
| 일스펠트 |
| 이틀링겐 |
| 키르하르트 |
| 라우펜 암 네카어 |
| 레렌슈타인스펠트 |
| 라인가르텐 |
| 뢰벤슈타인 |
| 마센바흐하우젠 |
| 네카어베스트하임 |
| 노르트하임 |
| 오버줄름 |
| 파펜호펜 |
| 슈바이거른 |
| 지겔스바흐 |
| 탈하임 |
| 운터그루펜바흐 |
| 바인스베르크 |
| 뷔스텐로트 |
| 자버펠트 |
하일브론은 다음의 도시 및 마을과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모두 하일브론 군에 속한다.
| 시계 방향 | 도시 및 마을 |
|---|---|
| 북쪽 | 바트빔펜, 네카르줄름, 에를렌바흐 |
| 동쪽 | 바인스베르크, 레렌슈타인스펠트 |
| 남쪽 | 운터그루펜바흐, 플라인, 탈하임, 라우펜 암 네카어, 노르트하임, 라인가르텐, 슈바이거른, 마센바흐하우젠, 바트라페나우 |
2. 3. 도시 구성
하일브론은 9개의 구로 나뉜다.| valign="top" |
하일브론 시역은 하일브론구를 포함하여 9개의 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일브론구를 제외하면 다음과 같다.
- 비베라흐
- 뵈킹겐
- 프랑켄바흐
- 호르크하임
- 키르히하우젠
- 클링겐베르크
- 네카가르타흐
- 존타임
대부분의 시 구역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촌락이나 고립된 농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뵈킹겐, 프랑켄바흐 및 네카가르타흐는 19세기 초까지 이미 제국 도시 하일브론에 부속된 마을로 간주되었다. 뵈킹겐과 네카가르타흐는 각각 1933년과 1938년에 다시 합병되었다. 한때 독일 기사단의 마을이었던 존타임도 1938년에 하일브론에 합병되었다. 나머지 시 구역은 1970년대의 시정촌 재편 시기에 합병된 정촌으로, 1970년에 클링겐베르크, 1972년에 키르히하우젠, 1974년에 비버라흐, 프랑켄바흐 및 호르크하임이 합병되었다. 하일브론구는 뵈킹겐구, 네카가르타흐구, 프랑켄바흐구, 존타임구 및 호르크하임구와 사실상 융합된 도시부를 형성하고 있다. 비베라흐구, 키르히하우젠구, 클링겐베르크구는 대체로 농업·임업 용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19]
다음은 수년에 걸쳐 하일브론에 합병된 이전의 독립 도시 또는 지역 사회이다.
| 연도 | 도시 | 면적 (km2) |
|---|---|---|
| 1933년 6월 1일 | 뵈킹겐(Böckingen) | 11.35km2 |
| 1938년 10월 1일 | 네카가르타흐(Neckargartach) | 11.25km2 |
| 1938년 10월 1일 | 존타임(Sontheim) | 7.4km2 |
| 1970년 1월 1일 | 클링겐베르크(Klingenberg) | 2.72km2 |
| 1972년 7월 1일 | 키르히하우젠(Kirchhausen) | 11.47km2 |
| 1974년 1월 1일 | 비버라흐(Biberach) | 10.58km2 |
| 1974년 4월 1일 | 프랑켄바흐(Frankenbach) | 8.89km2 |
| 1974년 4월 1일 | 호르크하임(Horkheim) | 4.86km2 |
2. 4. 기후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기온 (°C) | 2.2 | 3.0 | 6.8 | 11.0 | 15.1 | 18.5 | 20.2 | 19.7 | 15.2 | 10.0 | 6.0 | 3.0 |
| 평균 강수량 (mm) | 52.2 | 45.9 | 50.8 | 39.0 | 71.9 | 66.0 | 77.6 | 65.1 | 57.1 | 62.1 | 57.7 | 66.5 |
| 평균 일조 시간 (시간) | 51.5 | 72.4 | 119.7 | 173.3 | 201.6 | 202.8 | 209 | 198.1 | 148 | 102 | 50.5 | 39.4 |
하일브론은 중세 시대부터 근대, 현대를 거치며 발전해 온 유서 깊은 도시이다.
자료: 독일 기상청[40][41][42]
3. 역사
중세 시대로마 제국의 영향, 알레만니족과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거쳐 1225년 호엔슈타우펜 제국에 편입되었다. 1281년 도시 지위를 회복하고, 137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만 책임을 지는 제국 자유 도시가 되었다. 독일 기사단이 도시 남쪽에 거주지인 "도이치호프"를 건설하기도 했다.
근대독일 농민 전쟁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종교 개혁을 거치면서 개신교 도시가 되었다. 30년 전쟁 동안 큰 피해를 입었지만, 18세기에는 로코코 양식의 건물들이 건설되는 등 문화적으로 발전했다. 1802년 뷔르템베르크 공국에 편입되었고, 산업화와 철도 건설로 인해 산업 도시로 성장했다.
현대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뷔르템베르크 자유 인민 국가에 속하게 되었고, 나치 독일 시대에는 리하르트 드라우스의 주도 하에 굄마흐퉁이 추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공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전쟁 후 재건을 통해 다시 발전했다. 1970년에는 인구 10만 명을 돌파하여 "대도시" 지위를 얻었고, 퍼싱 II 중거리 핵 미사일이 배치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분데스가르텐쇼를 개최했으며, 현재는 혁신 공원 인공 지능 설립이 결정되는 등 미래 도시로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3. 1. 중세 시대
하일브론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인간의 흔적은 구석기 시대(기원전 30,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비옥한 네카어 강 범람원은 농부와 목장주들의 초기 정착을 도왔으며, 오늘날 하일브론 시 경계 안에는 많은 청동기 시대 유적지가 있다. 켈트족은 기원전부터 염수를 채취하여 소금을 채굴했다.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서기 81–96년) 치하에서 로마인은 라인강에서 동쪽으로 진출했고, 로마 제국의 외곽 경계는 네카어-오덴발트 리메스에 설정되었다. 오늘날 뵈킹겐 구에 있는 성은 그 ''리메스''의 일부였으며, 근처에는 수많은 로마 빌라와 농장이 건설되었다. 서기 150년경, 로마 제국의 경계가 30km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네카르-오덴발트 리메스는 쓸모없어졌고, 상부 게르만 리메스가 건설되었다.[20]
260년경, 로마인들은 리메스를 포기했고, 알레만니가 네카르 분지의 지배자가 되었다. 4세기에서 7세기 사이, 이 지역은 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최초의 정착지는 오늘날 시내 중심부 근처에 건설되었다.
741년, 하일브론은 뷔르츠부르크 교구의 공식 문서에 ''빌라 헬리브루나''(''미하엘바실리카''와 함께)로 처음 언급되었으며,[20] 841년, 동프랑크 왕 루이는 잠시 이곳에 궁정을 세웠다. ''하일브루나''(''치유의 우물'')라는 이름은 바실리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우물을 암시한다. 1050년,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정착지가 공식 문서에 기록되었고, 히르사우 수도원의 법전은 하일브론이 시장을 열고 동전을 주조할 권리가 있음을 기록했으며, 항구와 포도원을 언급했다.
1225년, 하일브론은 호엔슈타우펜 제국에 "오피둠 하일레크브루넨(oppidum Heilecbrunnen)"으로 편입되었다.[21] "오피둠(Oppidum)"은 참호와 방책으로 요새화된 도시를 의미했다. 13세기 후반, 독일 기사단은 하일브론 남쪽의 넓은 지역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 지역은 1805년 독일 제국 해산까지 기사단 소유로 남아 있었다. 1268년부터 기사단은 그곳에 거주지 중 하나인 "도이치호프(Deutschhof)"를 건설했다.
슈타우펜 왕조가 몰락한 후, 루돌프 1세 왕은 1281년 하일브론에 도시 지위를 되돌려주고 도시를 통치할 왕실 대변인을 임명했다.[21] 1300년경, 첫 번째 시청이 시장 광장에 세워졌고, 킬리안교회(미하엘바실리카의 기초 위에 건설)가 확장되었다. 1333년 네카어 특권은 도시에 강의 흐름을 변경할 권리를 부여했으며, 이는 댐, 항구 및 제분소를 건설할 권한을 갖게 되었음을 의미했다.[22]
137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는 도시에 새로운 헌장을 발급했다. 이제 하일브론은 황제에게만 책임을 졌으며, 따라서 제국 자유 도시였다. 뵈킹겐, 플라인, 프랑켄바흐, 네카가르타흐 마을은 하일브론의 영토가 되었다.
제국 자유 도시로서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 가문의 위협을 받았다. 1417년부터 1622년까지 유효했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의 관계와 팔츠 선제후국과의 조약은 하일브론의 입지를 강화했고 뷔르템베르크 가문을 억제했다.
클로비스 휘하의 프랑크족이 500년경 네카어 지역에 정착한 이후, 이 지역은 주로 기독교 지역이었으며, 741년 하일브론이 공식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을 때, 킬리안 교회인 기독교 미하엘 교회와 함께 언급되었다.
1050년경, "Judengasse"("Lohtorstraße")로 알려지게 된 곳에 정착한 중요한 유대인 공동체가 언급되었다. 1298년에는 143명의 유대인이 린트플라이쉬 포그롬에서 살해되었고, 1350년에는 유대인이 유럽의 흑사병 유행병으로 다시 공격을 받았다.
일반적인 유대인 이름인 할페른과 알퍼트와 같은 많은 변형은 이 도시 하일브론의 이름과 그곳의 초기 유대인 공동체에서 유래되었다.
하일브론은 뷔르츠부르크 교구에 속해 있었지만, 뵈킹겐, 네카어가르타흐, 프랑켄바흐의 독립적인 마을은 보름스 교구에 속해 있었다. 1514년부터 하일브론 출신 요한 라흐만은 성 킬리안 교구의 관리인이었고, 1521년에는 설교자가 되었으며, 1524년에는 루터교로 개종하여 종교 개혁을 가르치고 이끌었다. 도시는 1529년 4월 19일에 슈파이어 항의에 참여했다.
계몽주의 시대는 하일브론에게 종교의 자유를 가져다주었다. 1803년부터 유대인은 다시 도시에 정착할 수 있었고, 가톨릭 신자들도 다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1860년대에는 유대인에게 하일브론 시민으로서의 동등한 권리가 부여되었다.
3. 2. 근대

괴츠 폰 베를리힝겐은 1519년부터 3년 동안 하일브론에서 "기사 신분으로 구금"되었으며, 요새 탑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같은 해에 야클라인 로르바흐라는 선술집 주인이 주목을 받았다. 그는 독일 농민 전쟁이 본격화되던 1525년 4월에 하일브론으로 돌아왔다. 4월 16일 농민들은 바인스베르크에서 많은 귀족들을 살해했고, 4월 18일에는 가르멜 산의 성모 수도회의 하일브론 수도원이 공격당하고 약탈당했다. 도시는 농민들의 요구에 응하여 문을 열었고, 그 결과 다음 날 더 많은 교회와 시립 기관들이 약탈당했다. 약 한 달 동안 하일브론은 반란 농민들의 통제하에 있었다. 요한 라흐만이 중재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은 1525년 5월 12일 뵈블링겐에서 그들의 군대 중 하나가 패배할 때까지 도시를 떠나지 않았다. 그들의 지도자 로르바흐는 1525년 5월 21일 네카르가르타흐에서 처형되었고 그의 고향인 뵈킹겐은 처벌로 부분적으로 불에 탔다.[7]
1528년, 개신교 신자인 한스 리서에 의해 시장이 교체되면서 이전에 지연되었던 종교 개혁이 일어났고, 개혁가 라흐만의 노력으로 학교와 의료 서비스도 재편되었다. 1529년에는 킬리안교회가 완공되었다. 그것은 독일에서 르네상스 시대의 첫 번째 중요한 종교 건축물이었다. 1530년에는 시의회와 주민들이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받아들였고, 1536년의 '하일브론 교리 문답서'는 개신교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교리 문답서이다. 1538년 하일브론은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지만, 1546년까지 슈말칼덴 동맹 군대와 황제 카를 5세의 군대 간의 싸움이 격화되어 황제가 승리했다. 그 결과, 카를 5세는 1546년 크리스마스를 하일브론에서 보내며 뒤따르는 형사 소송에 참석했다. 1522년에 도시의 헌장을 변경한 것도 카를 5세였으며, 이 헌장은 1803년까지 거의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30년 전쟁 동안 도시와 주변 마을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 1622년 빔프펜 전투 이후 네카르가르타흐는 불에 탔다. 1631년 하일브론은 황제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같은 해 스웨덴군은 도시를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1644년부터 1647년까지 하일브론은 다시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지만, 그 후 프랑스군이 진입했고 나중에는 팔츠 선제후국의 군대가 들어왔다. 도시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4년이 지나서야 점령군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이미 1670년대에 도시는 다시 무력 행동의 무대가 되었고, 1688년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 도시 점령은 몇 달 동안만 지속되었지만, 프랑스군은 대규모 방어군이 투입되고 요새가 세워진 후인 1693년에야 주변 지역에서 철수하도록 설득되었다.
18세기 동안 기록 보관소에 따르면 시의회 구성원 모두가 일종의 정규 교육을 받았으며, 실러와 괴테가 방문했고, 로코코 양식의 정교한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1802년 9월 9일,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프리드리히 1세의 군대가 도착하면서 제국 자유 도시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공작은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라인강의 왼쪽 제방을 프랑스에 양도했지만, 오른쪽 제방의 지역으로 보상받았다. 이것이 하일브론과 다른 이전 제국 자유 도시들이 1803년 뷔르템베르크에 속하게 된 배경이다. 하일브론은 ''Oberamt''(지구)의 소재지가 되었고, 4개의 제국 자유 마을은 지구 내의 별개의 공동체가 되었다. 1806년 뷔르템베르크 공국은 뷔르템베르크 왕국이 되었다.
1815년, 하일브론은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앞두고 대규모 군대의 집결지가 되었으며, 10,000명의 군대가 ''테레지엔비제''에서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와 100명 이상의 독일 공작 및 장군 앞에서 열병했다. 차르 알렉산드르 1세는 하일브론에서 발트 남작 부인 율리아네 폰 크뤼더너와 만나 "신성 동맹"을 창설하도록 설득했다.
산업화는 1820년에 시작되었다. 뷔르템베르크에 최초의 기차 노선이 개통되었을 때, 하일브론은 하일브론과 슈투트가르트를 연결하고 산업화를 더욱 촉진하는 북부 지선의 종착역이었다.
바덴 혁명으로 인해 하일브론은 혼란을 겪었고 시민 경비대가 이에 참여했다.
1849년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 중 하나인 호르너 은행이 하일브론에 설립되었다.[7]
하일브론은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60년대에 도시의 철도는 바트 빔펜을 거쳐 하이델베르크로, 오스터부르켄을 거쳐 뷔르츠부르크로, 슈베비슈 할을 거쳐 크레일스하임 (그리고 나중에는 뉘른베르크)으로 확장되었다. 1880년에는 크라이히가우 노선이 완공되어 카를스루에 방향으로 중요한 연결을 구축했으며, 19세기 말까지 하일브론은 산업 생산량에서 슈투트가르트에 이어 뷔르템베르크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허브가 되었다.
1892년에는 라우펜의 발전소와 연결되었고, 이로써 하일브론은 세계 최초로 장거리 전기를 사용하게 된 도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독일 제국의 군주제가 해체되면서 하일브론은 1918년 뷔르템베르크 자유 인민 국가에 속하게 되었다.
1926년 5월 15일 아돌프 히틀러가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SPD는 바이마르 공화국 기간 동안 NSDAP에 비해 하일브론에서 과반수를 차지했다.
리하르트 드라우스는 1932년 하일브론의 NSDAP 크라이슬라이터(지구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1933년부터 국회에 선출되었으며, 나치 독일에서 하일브론 클럽과 언론의 ''굄마흐퉁''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1935년 7월 28일, 넥카 강에서 운하를 통해 항구가 개통되었고, 1936년에는 하일브론과 슈투트가르트 사이의 아우토반이 완공되었다. 1938년 10월 1일 지구 개혁의 결과로 하일브론은 새로 설립된 하일브론 군의 소재지가 되었고 독립시 지위를 되찾았다. 동시에 이전의 독립적인 공동체인 뵈킹겐, 존트하임, 네카가르타흐가 합병되었고, 72,000명의 주민과 함께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1938년 11월 10일, 하일브론 시나고그는 수정의 밤 사건 동안 파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하일브론 주변의 소금 광산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예술품과 유물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마찬가지로, 전쟁 산업의 중요한 생산 시설이 갱도로 옮겨졌다. 하일브론에서 네카렐츠까지, 그 중 일부는 거대한 여러 개의 지하 단지가 건설되었으며, 1942년 11월 20일, 하일브론 노동국에는 8,000명의 강제 노동자가 등록되어 있었다.
1940년에는 연합군의 공습이 시작되었고, 1944년 9월 10일, 연합군의 공습으로 281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도시는 남부 지역에서 도시 중심부의 킬리안 교회까지 카펫 폭격을 받았다. 교회는 불탔다.
10일간의 전투 끝에 연합군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넥카 강 교차점을 건너면서, 파괴된 도시에 전쟁이 끝났고 1945년 4월 12일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지역 NSDAP 지도자 리하르트 드라우스는 1945년 3월에 명령한 미군 전쟁 포로 처형으로 인해 도망자가 되었다. 그는 결국 체포되어 1946년 12월 4일 란츠베르크에서 연합군에 의해 교수형을 당했다.
전쟁 후 1933년까지 시장이었던 에밀 보이팅거가 다시 시장직에 복귀하여 재건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시작했다. 1953년 역사적인 시청의 재개관과 커뮤니티 센터인 ''하모니''의 재개장이 중요한 이정표였다. 하일브론은 1952년까지 뷔르템베르크-바덴에 속해 있었으며, 이후 바덴-뷔르템베르크에 속하게 되었다.
1951년 이후, 미국 군대가 하일브론에 영구 주둔하게 되었다.
1968년 하일브론에서 만하임까지의 아우토반 A 6의 개통은 중요한 경제적 사건이었다. 뷔르츠부르크로 가는 A 81과 뉘른베르크로 가는 A 6이 각각 1974년과 1979년에 완공되면서, 하일브론은 남부 독일의 중요한 물류 중심지가 되었다.
1970년 1월 1일에 클링겐베르크가 하일브론에 편입되면서, 도시 인구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고, 하일브론은 "대도시"(''Großstadt'') 지위를 얻게 되었다.
1979년의 NATO Double-Track Decision에 따라, 퍼싱 II 중거리 핵 미사일이 하일브론의 언덕 위에 있는 발트하이드에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하일브론은 도시 경계 내에 핵 미사일을 보유한 독일의 유일한 주요 도시가 되었으며, 이는 1985년 1월 11일 미사일 사고 당시 1면 기사가 되었다. INF 조약이 1987년에 서명된 후, 미사일은 제거되었다.
1998년, 하일브론은 카를스루에와 S-반 노선으로 연결되었다. 외링겐으로 향하는 S-반 연장은 2005년 12월 10일에 개통되어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 교통 시스템의 동서 축 완성을 알렸다. 2013년에는 네카르줄름으로 향하는 남북 축이 개통되었다.
하일브론은 2000년 9월 9일 북아일랜드 브로셔네에서 열린 유럽 경쟁 "앙탕트 플로랄 2000"에서 우승했으며, 2005~06년에는 독일 최초의 유니세프 어린이 도시가 되었다.
2005년 말, 하일브론은 2019년 분데스가르텐쇼를 개최하는 도시로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23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중앙역 바로 북쪽에 위치한 약 40헥타르 규모의 이전 상업 부지에서 열린 정원 및 도시 전시회에 방문했다.[8] 현재 이 부지의 일부는 새로운 도시 지구인 네카르보겐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최대 3,500명이 거주하고 1,000명이 일하게 될 것이다.[9]
202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하일브론에 새로운 혁신 공원 인공 지능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0]
1802년 9월, 뷔르템베르크의 다른 제국 도시들과 함께 지위를 박탈당하고 오버아무트 하일브론(오버아무트는 상급 지방 행정 기관)의 소재지가 되었다.
중세 성기 이후 많은 댐과 물레방아로 막혀 있던 네카어 강은 1815년부터 다시 선박의 항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1819년부터 1821년까지 빌헬름스 운하가 건설되었고, 특히 하일브론 제지 공업에 의해 발전한 공업 지역의 입지에 기여했다. 1832년에는 뷔르템베르크에서 가장 많은 공장이 있는 도시가 되었으며, "슈바벤 지방의 리버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839년부터 계획적인 교외 도시가 건설되었고, 그것은 네카어 강 서안에도 미쳤다. 이곳에는 뷔르템베르크 북부 철도역이 1848년에 설치되었다. 1880년까지 남독일의 모든 주요 도시로의 철도망이 정비되었다.
1848년 하일브론은 3월 혁명의 뷔르템베르크 중심지가 되었다. 1849년 여름까지 시내에서 많은 폭동이 있었고, 슈투트가르트에서 파견된 군대에 의해 겨우 진압되었다.
1875년에 플로스 항(목재 항), 1886년에 잘츠 항(소금 항), 1888년에 카를스 항이 건설되었다. 1892년 1월 16일, 하일브론에 라우펜 발전소에서 전력망이 부설되어 이 도시는 세계 최초로 원거리 송전망이 설치된 도시가 되었다.
20세기 초에는 하일브론은 남독일에서도 중요한 상품 집산지이며, 공업 도시가 되었다. 많은 노동자들이 주민이 되었다. 많은 노동 조합과 스포츠 클럽이 조직되었고, 언론의 자유가 인정되었다. 이 도시는 "붉은 요새"라고 불렸지만, 1918년부터 1919년의 독일 혁명 당시에는 큰 소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3. 3. 현대
괴츠 폰 베를리힝겐은 1519년부터 3년 동안 하일브론에서 "기사 신분으로 구금"되었으며, 요새 탑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같은 해, 야클라인 로르바흐라는 선술집 주인이 독일 농민 전쟁에 가담하여 1525년 4월에 하일브론으로 돌아왔다. 4월 16일 농민들은 바인스베르크에서 많은 귀족들을 살해했고, 4월 18일에는 가르멜 산의 성모 수도회의 하일브론 수도원이 공격당하고 약탈당했다. 도시는 농민들의 요구에 응하여 문을 열었고, 그 결과 다음 날 더 많은 교회와 시립 기관들이 약탈당했다. 약 한 달 동안 하일브론은 반란 농민들의 통제하에 있었다. 요한 라흐만이 중재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은 1525년 5월 12일 뵈블링겐에서 그들의 군대 중 하나가 패배할 때까지 도시를 떠나지 않았다. 로르바흐는 1525년 5월 21일 네카르가르타흐에서 처형되었고 그의 고향인 뵈킹겐은 처벌로 부분적으로 불에 탔다.[7]
1528년, 개신교 신자인 한스 리서에 의해 시장이 교체되면서 이전에 지연되었던 종교 개혁이 일어났고, 라흐만의 노력으로 학교와 의료 서비스도 재편되었다. 1529년에는 킬리안교회 (킬리안교회의 교회탑)가 완공되었다. 그것은 독일에서 르네상스 시대의 첫 번째 중요한 종교 건축물이었다. 1530년 시의회와 주민들은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받아들였고, 1536년의 '하일브론 교리 문답서'는 개신교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교리 문답서이다. 1538년 하일브론은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지만, 1546년까지 슈말칼덴 동맹 군대와 황제 카를 5세의 군대 간의 싸움이 격화되어 황제가 승리했다. 카를 5세는 1546년 크리스마스를 하일브론에서 보내며 뒤따르는 형사 소송에 참석했다. 1522년에 도시의 헌장을 변경한 것도 카를 5세였으며, 이 헌장은 1803년까지 거의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었다.[7]
30년 전쟁 동안 도시와 주변 마을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 1622년 빔프펜 전투 이후 네카르가르타흐는 불에 탔다. 1631년 하일브론은 황제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같은 해 스웨덴군이 도시를 정복했다. 1644년부터 1647년까지 하일브론은 다시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지만, 그 후 프랑스군이 진입했고 나중에는 팔츠 선제후국의 군대가 들어왔다. 도시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4년이 지나서야 점령군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1670년대에 도시는 다시 무력 행동의 무대가 되었고, 1688년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도시 점령은 몇 달 동안만 지속되었지만, 프랑스군은 대규모 방어군이 투입되고 요새가 세워진 후인 1693년에야 주변 지역에서 철수했다.[7]
18세기 동안 기록 보관소에 따르면 시의회 구성원 모두가 정규 교육을 받았으며, 실러와 괴테가 방문했고, 로코코 양식의 정교한 건물들이 건설되었다.[7]
1802년 9월 9일,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프리드리히 1세의 군대가 도착하면서 제국 자유 도시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공작은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라인강의 왼쪽 제방을 프랑스에 양도했지만, 오른쪽 제방의 지역으로 보상받았다. 이것이 하일브론과 다른 이전 제국 자유 도시들이 1803년 뷔르템베르크에 속하게 된 배경이다. 하일브론은 ''Oberamt''(지구)의 소재지가 되었고, 4개의 제국 자유 마을은 지구 내의 별개의 공동체가 되었다. 1806년 뷔르템베르크 공국은 뷔르템베르크 왕국이 되었다.[7]
1815년, 하일브론은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캠페인을 앞두고 대규모 군대의 집결지가 되었으며, 10,000명의 군대가 ''테레지엔비제''에서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와 100명 이상의 독일 공작 및 장군 앞에서 열병했다. 차르 알렉산드르 1세는 하일브론에서 발트 남작 부인 율리아네 폰 크뤼더너와 만나 "신성 동맹"을 창설하도록 설득했다.[7]
산업화는 1820년에 시작되었다. 뷔르템베르크에 최초의 기차 노선이 개통되었을 때, 하일브론은 하일브론과 슈투트가르트를 연결하고 산업화를 더욱 촉진하는 북부 지선의 종착역이었다.[7]
한동안 하일브론은 바덴 혁명의 혼란으로 고통받았고, 시민 경비대가 이에 참여했다. 제8 보병 연대는 입장을 바꿔 혁명가에 합류했다가 이후 무장 해제되어 이 지역 밖으로 강제 이송되었다.[7]
1849년,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 중 하나인 호르너 은행이 하일브론에 설립되었다.[7]
하일브론은 독일 통일 과정에서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7]
1860년대에 도시의 철도는 바트 빔펜을 거쳐 하이델베르크로, 오스터부르켄을 거쳐 뷔르츠부르크로, 슈베비슈 할을 거쳐 크레일스하임 (그리고 나중에는 뉘른베르크)으로 확장되었다. 1880년에는 크라이히가우 노선이 완공되어 카를스루에 방향으로 중요한 연결을 구축했으며, 19세기 말까지 하일브론은 산업 생산량에서 슈투트가르트에 이어 뷔르템베르크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허브가 되었다.[7]
1892년, 라우펜의 발전소와 연결되어 하일브론은 세계 최초로 장거리 전기를 사용하게 된 도시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독일 제국의 군주제가 해체되면서 하일브론은 1918년 뷔르템베르크 자유 인민 국가에 속하게 되었다.[7]
하일브론 시민들 중에는 많은 노동자들이 있었다. 이 도시는 "붉은 핫스팟"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수많은 노동자 및 스포츠 클럽이 시작되었다. SPD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에 과반수의 표를 얻었고, 바이마르 공화국 기간 동안 그 기조를 유지했다. 1926년 5월 15일 아돌프 히틀러가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한 남자가 히틀러로 오인되어 공격을 받으면서 여러 사람이 부상을 입었다. 히틀러는 도시의 커뮤니티 센터 ''하르모니''에서 연설을 할 수 있었지만, SPD는 1933년 3월 5일 선거까지 NSDAP에 비해 하일브론에서 과반수를 차지했다.[7]
리하르트 드라우스는 1932년 하일브론의 NSDAP 크라이슬라이터(지구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1933년부터 국회에 선출되었으며, 나치 독일에서 하일브론 클럽과 언론의 ''굄마흐퉁''을 추진했다.[7]
1935년 7월 28일, 넥카 강에서 운하를 통해 항구가 개통되었고, 1936년에는 하일브론과 슈투트가르트 사이의 아우토반이 완공되었다. 1938년 10월 1일 지구 개혁의 결과로 하일브론은 새로 설립된 하일브론 군의 소재지가 되었고 독립시 지위를 되찾았다. 뵈킹겐, 존트하임, 네카가르타흐가 합병되었고, 72,000명의 주민과 함께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항구는 넥카 강에서 중요한 환승역이 되었고, 독일에서 10번째로 큰 내륙 항구 중 하나가 되었다.[7]
1938년 11월 10일, 하일브론 시나고그는 수정의 밤 사건 동안 파괴되었다. 그 직후 유대인 공동체는 거의 전멸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하일브론 주변의 소금 광산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예술품과 유물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전쟁 산업의 중요한 생산 시설이 갱도로 옮겨졌다. 갱도 확장은 코헨도르프와 네카가르타흐의 강제 수용소 지부의 노동 여단에 의해 수행되었다. 하일브론에서 네카렐츠까지, 그 중 일부는 거대한 여러 개의 지하 단지가 건설되었으며, 1942년 11월 20일, 하일브론 노동국에는 8,000명의 강제 노동자가 등록되어 있었다.[7]
1940년에는 연합군의 공습이 시작되었고, 도시와 주변 지역은 약 20번의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1944년 9월 10일, 연합군의 공습은 도시, 특히 뵈킹겐 열차 환승역을 특별히 표적으로 삼았다. 1,168개의 폭탄이 투하된 결과, 281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도시는 남부 지역에서 도시 중심부의 킬리안 교회까지 카펫 폭격을 받았다. 교회는 불탔다.[7]
10일간의 전투 끝에 연합군이 넥카 강 교차점을 건너면서, 파괴된 도시에 전쟁이 끝났고 1945년 4월 12일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지역 NSDAP 지도자 리하르트 드라우스는 1945년 3월에 명령한 미군 전쟁 포로 처형으로 인해 도망자가 되었다. 그는 결국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고, 1946년 12월 4일 란츠베르크에서 연합군에 의해 교수형을 당했다.[7]
전쟁 후 1933년까지 시장이었던 에밀 보이팅거가 다시 시장직에 복귀하여 그의 후임인 파울 메츠와 파울 마일레가 이어받아 재건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시작했다. 1953년 역사적인 시청의 재개관과 커뮤니티 센터인 ''하모니''의 재개장이 중요한 이정표였다. 하일브론은 1952년까지 뷔르템베르크-바덴에 속해 있었으며, 이후 바덴-뷔르템베르크에 속하게 되었다.[7]
1951년 이후, 미국 군대가 하일브론에 영구 주둔하게 되었다. 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건설된 병영을 사용했으며, 자체적으로 몇몇 구조물을 추가했다.[7]
1954년 4월 15일, 부활절 연휴 동안 하일브론 출신 13명이 다흐슈타인 하이킹 재해로 실종되었다.[7]
1968년 하일브론에서 만하임까지의 아우토반 A 6의 개통은 중요한 경제적 사건이었다. 뷔르츠부르크로 가는 A 81과 뉘른베르크로 가는 A 6이 각각 1974년과 1979년에 완공되면서, 하일브론은 남부 독일의 중요한 물류 중심지가 되었다. 그 결과, 많은 대기업들이 하일브론에 지사를 설립했다.[7]
1970년 1월 1일에 클링겐베르크가 하일브론에 편입되면서, 도시 인구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고, 하일브론은 "대도시"(''Großstadt'') 지위를 얻게 되었다. 1970년대의 마지막 구역 개편 동안 키르히하우젠, 비버라흐, 프랑켄바흐, 호르크하임이 하일브론에 통합되었고, 도시는 독립 도시이자 하일브론 군의 소재지임을 재확인받았다. 또한, 현재 하일브론-프랑켄인 새로 형성된 프랑켄 지역의 소재지로 선포되었다.[7]
1970년대 동안 도시 중심부가 보행자 전용 구역으로 바뀌었고, 1982년 시립 극장의 재개관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도심에 남겨진 가장 큰 구멍 중 하나를 메웠다.[7]
1979년의 NATO Double-Track Decision에 따라, 퍼싱 II 중거리 핵 미사일이 하일브론의 언덕 위에 있는 발트하이드에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하일브론은 도시 경계 내에 핵 미사일을 보유한 독일의 유일한 주요 도시가 되었으며, 이는 1985년 1월 11일 미사일 사고 당시 1면 기사가 되었다. INF 조약이 1987년에 서명된 후, 미사일은 제거되었다.[7]
1980년대에 하일브론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서 주최한 ''Heimatttage''와 ''Landesgartenschau''를 개최했다.[7]
1998년, 하일브론은 카를스루에와 S-반 노선으로 연결되었다. 외링겐으로 향하는 S-반 연장은 2005년 12월 10일에 개통되어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 교통 시스템의 동서 축 완성을 알렸다. 2013년에는 네카르줄름으로 향하는 남북 축이 개통되었다.[7]
하일브론은 2000년 9월 9일 북아일랜드 브로셔네에서 열린 유럽 경쟁 "앙탕트 플로랄 2000"에서 우승했으며, 2005~06년에는 독일 최초의 유니세프 어린이 도시가 되었다.[7]
2005년 말, 하일브론은 2019년 분데스가르텐쇼를 개최하는 도시로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23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중앙역 바로 북쪽에 위치한 약 40헥타르 규모의 이전 상업 부지에서 열린 정원 및 도시 전시회에 방문했다.[8] 현재 이 부지의 일부는 새로운 도시 지구인 네카르보겐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최대 3,500명이 거주하고 1,000명이 일하게 될 것이다. 녹색 친화적이고 가족 친화적인 이 지역의 첫 번째 건물들은 호평을 받았으며 이미 여러 상을 받았다.[9]
최근 몇 년 동안 도시 지역의 다른 주요 신축 건물로는 두 개의 네카르 다리, 두 개의 쇼핑 센터인 슈타트갈레리와 클로스터호프, 실험 과학 센터 및 빌둥스캠퍼스가 있다.[7]
202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하일브론에 새로운 혁신 공원 인공 지능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0]
4. 정치
하일브론시는 9개의 구로 나뉜다.
| valign="top" | |
| valign="top" | |
1970년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시정법 개정에 따라 특정 자치구에 자치구 의회가 도입되었다. 자치구 주민들은 매 시의회 선거에서 자치구 의원을 선출하며, 자치구 의회는 해당 자치구에 중요한 모든 문제에 대해 협의해야 한다. 자치구장은 자치구 의회를 주재한다. 하일브론에서는 비버라흐, 뵈킹겐, 프랑켄바흐, 호르크하임, 키르히하우젠, 클링겐베르크, 네카가르타흐, 존트하임에 자치구 의회가 있다.
하일브론은 연방의회 대표 선출을 위한 선거구 268번을 구성하며,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의회 선거에서는 에를렌바흐와 함께 선거구(18구)를 구성한다. 2006년 선거 전에는 단독 선거구였다.
4. 1. 시의회
2019년 5월 26일 지방 선거 이후 하일브론 시의회는 40석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여러 의원들이 당을 변경하여 다음과 같은 의석 배분 결과를 보였다.[12]| 정당, 선거 그룹 | 득표율(전회와의 차이) | 의석수(전회와의 차이) | ||
|---|---|---|---|---|
| CDU | 22.4 % | -8.3 % | 9 | -3 |
| GRÜNE | 20.3 % | +7.7 % | 8 | +3 |
| SPD | 18.7 % | -8.3 % | 8 | -3 |
| FWV | 10.0 % | +2.4 % | 4 | +1 |
| FDP/DVP | 9.9 % | +0.9 % | 4 | ±0 |
| AfD | 9.7 % | +5.6 % | 4 | +2 |
| DIE LINKE | 5.3 % | +2.2 % | 2 | +1 |
| Pro Heilbronn | 2.7 % | -1.0 % | 1 | ±0 |
| BIG | 1.1 % | +1.1 % | 0 | ±0 |
| 투표율 | 48.7 % (+9.5 %) | |||
4. 2. 시장
하일브론은 처음에는 왕실 옹호자와 집행관이 통치했다. 이후, 이 도시는 두 명의 시장을 두었지만, 도시가 뷔르템베르크의 일부가 된 이후부터는 한 번에 한 명의 시장만 두었다.| 연도 | 시장 |
|---|---|
| 1803–1819 |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프란츠 퀴벨 |
| 1819–1822 | 레브레히트 란다우어 |
| 1822–1835 | 요한 클레멘스 브루크만 |
| 1835–1848 | 하인리히 티토 |
| 1848–1869 |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클레트 |
| 1869–1884 | 카를 뷔스트 |
| 1884–1904 | 파울 헤겔마이어 |
| 1904–1921 | 파울 괴벨 |
| 1921–1933 | 에밀 오이팅거 |
| 1933–1945 | 하인리히 뀔티히 |
| 1945–1946 | 에밀 오이팅거 |
| 1946–1948 | 파울 메츠 |
| 1948–1967 | 파울 마일레 |
| 1967–1983 | 한스 호프만 |
| 1983–1999 | 만프레트 바인만 |
| 1999–2014 | 헬무트 힘멜스바흐 |
| 2014–현재 | 해리 메르겔 |
하일브론의 상급 시장은 임기 8년으로, 하일브론 시민의 선거로 선출된다.
전후 시장, 상급 시장은 다음과 같다.
- 1945년 – 1946년: 에밀 보이팅거(Emil Beutinger)
- 1946년 – 1948년: 파울 메츠(Paul Metz) (SPD)
- 1948년 – 1967년: 파울 마이어(Paul Meyle) (FDP)
- 1967년 – 1983년: 한스 호프만(Hans Hoffmann) (SPD)
- 1983년 – 1999년: 만프레트 바인만(Manfred Weinmann) (CDU)
- 1999년 - 2014년: 헬무트 힘멜스바흐(Helmut Himmelsbach) (무소속)
- 2014년 - 현재: 하리 마겔(Harry Mergel) (SPD)
4. 3. 문장
하일브론의 문장은 금색 바탕에 빨간 혀와 발톱을 가진 검은 독수리를 특징으로 한다. 독수리는 빨간색, 은색, 파란색 방패로 보호받고 있다. 도시의 깃발은 빨강, 흰색, 파랑이다.[26]가장 오래된 문장은 12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독수리는 하일브론이 독일 제후국가 해체되어 뷔르템베르크 대공국(그리고 나중에는 왕국)에 합병되기 전까지 누렸던 황제의 자유를 상징한다. 독수리 문장이 다른 버전의 독수리와 구별하기 위해 방패와 함께 1556년에 처음 등장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방패 색상의 기원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색상은 1556년, 1581년, 1681년에도 반대 순서로 나타났으며, 금색 배경 대신 흰색 배경과 같은 다른 색상 변형도 있었다.[26]
하일브론의 깃발에 세 가지 색상이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바덴-뷔르템베르크의 새로 지정된 시립 깃발은 두 가지 색상만 사용한다. 주 시정법에 따르면 하일브론의 깃발은 1935년 이전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인정되었다.[26]
하일브론이 제국 직할지임을 상징하는 제국 독수리는 1265년부터 시의 인장에 사용되었다. 시내에 게양된 채색된 문장은 항상 금색 바탕에 그려져 있지만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예는 킬리안 교회의 1487년 제작 스테인드글라스), 1462년 제국 도시의 주요 기장이나 1605년 지프마허(Siebmacher)의 문장 대장, 18세기의 문장 대장에는 은색 바탕에 그려져 있다.[26]

제국이나 다른 도시의 문장과의 구별은 1556년부터 문장에 기입되었으며, 18세기부터 인장에도 흉갑을 착용한 독수리가 사용되었다. 흉갑 색상의 유래는 현재 분명하지 않다. 1556년, 1581년, 1681년의 문장에서는 파랑-은-빨강 순으로 그려져 있지만, 현존하는 다른 문장에서는 빨강-은-파랑 순이다. 또한, 빨강-하양-파랑의 시 깃발이 처음 나타나는 것은 1560년이다. 17세기나 18세기의 상당수의 인장에는 시의 이름을 나타내는 대문자 HB가 흉갑에 기입되어 있다.[26]
5. 경제
하일브론은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하일브론-프랑켄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다. 압슈타트, 바트 라페나우, 바트 빔펜 등 주변 여러 도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1820년 산업화가 시작된 이후,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에 최초로 개통된 기차 노선의 종착역이 되면서 산업화를 더욱 촉진했다. 1849년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 중 하나인 호르너 은행이 설립되었다.[7] 1892년에는 라우펜의 발전소와 연결되어 세계 최초로 장거리 전기를 사용하게 된 도시가 되었다.
1998년, 카를스루에와 S-반 노선으로 연결되었고, 2005년에는 외링겐으로 향하는 S-반 연장이 개통되어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 교통 시스템의 동서 축이 완성되었다. 2013년에는 네카르줄름으로 향하는 남북 축이 개통되었다.
2005년 말, 하일브론은 2019년 분데스가르텐쇼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으며, 23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다녀갔다.[8] 현재는 이전 상업 부지에 새로운 도시 지구인 네카르보겐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대 3,500명이 거주하고 1,000명이 일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9]
202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하일브론에 새로운 혁신 공원 인공 지능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0]

하일브론의 산업 지역에는 EnBW AG가 운영하는 석탄 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의 두 굴뚝(높이 250m)과 냉각탑(높이 140m)은 멀리서도 볼 수 있다. 네카어 강에 있는 운하 항구는 독일 내륙 항구 중 10번째로 큰 항구이다. 화력 발전소 남쪽에는 ''Südwestdeutsche Salzwerke AG''(SWS)의 컨베이어 타워가 있다. SWS는 하일브론 지역에서 소금 광산을 운영하고 있다.
하일브론 시는 도시 북동쪽에 위치한 바인스베르크 분기점을 통해 아우토반 A 81과 A 6의 교차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아우토반 외에도 여러 연방 도로가 도시를 관통하며 연결되어 있다. 하일브론은 독일에서 우회전 신호를 선도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하일브론 중앙역은 도이치반 장거리 서비스는 없지만, 기차로 잘 연결되어 있다. 하일브론과 카를스루에 슈타트반은 카를스루에까지 연결된다. S4, S41, S42 노선으로 운행되는 대중 경전철 시스템(하일브론 슈타트반)은 알프탈-페어케어스-게젤샤프트에서 운영한다. 시내 버스 시스템은 슈타트베르케 하일브론에서 운영하며, 다양한 지역 버스 노선도 있다.
5. 1. 산업

포도 재배는 하일브론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뷔르템베르크의 포도 재배 지역에서 브라켄하임, 라우펜 암 네카어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로, 514 ha에 달하는 포도원 중 3분의 2가 적포도 품종이다.[31] 1888년 하일브론 지역의 포도 재배자들은 협동 조합(''Weingärtnergesellschaft Heilbronn'')을 설립했다. 1933년 이 협동 조합은 1919년에 설립된 경쟁 협동 조합 ''Winzergenossenschaft Heilbronn''과 합병했고, 에를렌바흐와 바인스베르크의 포도 재배자 협동 조합과 다시 합병하여 에를렌바흐 시 경계 바로 바깥에 본사를 둔 ''Genossenschaftskellerei Heilbronn-Erlenbach-Weinsberg''를 설립했다. 이 협동 조합 외에도 수많은 독립적인 포도 재배자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하일브론은 2006년 현재 9만 개의 일자리가 있는 산업 도시이다.[31] 주요 기업 및 산업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분야 | 기업명 | 설명 |
|---|---|---|
| 식품 | 크노르(Knorr) | 1838년 설립, 현재 유니레버 상표, 하일브론에서 생산 및 연구 |
| 식품 | Campina GmbH & Co. KG | 네덜란드 Campina Melkunie의 자회사, 하일브론에 본사 |
| 화학 | Brüggemann 그룹 | 1868년 설립 |
| 문구 | Baier & Schneider | 1877년 설립, Brunnen 상표 제품 제조 |
| 자동차 | KACO | 1914/1915년 설립, 특수 충전 및 인버터 분야, 현재 브라질 Sabó 그룹 소속 |
| 자동차 | NSU | 네카르줄름의 원동기 차량 메이커, 1925년부터 하일브론에 공장, 1928년 피아트로 이전, 1973년 이후 피아트 도이칠란트 판매 회사 본사 위치, 1996년 생산 거점 이전 |
| 자동차 | Läpple 그룹 | 1950년부터 하일브론에 거점, 자동차 제조 하청업 및 공구 제조 |
| 에너지 | ZEAG Energie AG |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에너지 공급 회사 중 하나, 하일브론 수력 발전 운영 |
| 에너지 | 하일브론 발전소 | EnBW AG 운영 석탄 화력 발전소, 250m 굴뚝 2개와 140m 냉각탑 |
| 기타 | 도이체 포스트 AG | 1997년부터 제74 우편 센터 운영 |
| 기타 | Atmel Germany GmbH | 통신, 자동차, 인물 인증 등의 반도체 개발, 제조, 판매 |
| 기타 | Wolffkran | 1854년 설립,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크레인 메이커 중 하나 |
| 기타 | Pflanzen-Kölle | 1812년 창업, 원예 용품 소매업체, 1890년 이래 하일브론에 본사 |
| 금융 | 하일브론 지구 저축 은행 | 1865년 설립, 거래액 70억유로 |
| 금융 | 드레스덴 은행 (하일브론 지점) | 1860년 설립 막스 굼벨-키퍼 은행이 모체, 1930년 드레스덴 은행에 흡수 |
| 금융 | 하일브론 국민 은행 | 1909년 설립, 거래액 13억유로, 지역 최대 신용 협동 조합 |
| 금융 | 기타 | 주트베스트 은행, 슈파르다 은행, 노리스 은행, 시티뱅크, 산탄데르 컨슈머 은행, 코메르츠 은행, 바덴-뷔르템베르크 은행, 헬너 은행, GE 머니 뱅크, SEB AG,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 은행, 퓌르스틀리히 카스텔 은행, 피아트 은행[35] |
하일브론은 1883년부터 암염 채굴을 해왔으며, 남서 독일 자르츠베르크 AG의 본사 소재지이다. 2004년 비베라흐 지역 근처에 새로운 수직 갱도 "콘라츠베르크"가 완공되었다. 하일브론의 암염 채굴은 서유럽 최대 규모이다.[36]
5. 2.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
포도 재배는 하일브론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514 ha에 달하는 포도원은 그 중 3분의 2가 적포도 품종으로, 브라켄하임과 라우펜 암 네카어에 이어 뷔르템베르크의 포도 재배 지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주로 트로링거 품종과 리슬링 품종이 재배되지만, 특히 훌륭한 것은 켈너 품종이다.
하일브론의 포도 재배는 1146년에 처음 기록되었지만, 실제로는 로마 시대에 이미 재배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와인 양조업자의 와인에서 징수하는 세금과 포도 재배와 관련된 거래가 있는 수공업자나 상인으로부터의 세금은 시의 중요한 재원이었으며, 세무서의 Weinbüchlein(와인 소책자)은 시의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제국 도시 시대에는 포도원 경영자의 연간 생산량은 관청의 추산으로 엄격하게 정해졌다. 1556년 시점에서 170기의 개인 포도 압착기가 설치되었다. 괴테는 1797년에 이 도시의 포도밭의 넓이를 12,000 모르겐(모르겐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넓이가 다르지만, 1 모르겐은 약 30a 정도)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1888년, 하일브론 지역의 포도 재배자들은 협동 조합을 결성하여 ''Weingärtnergesellschaft Heilbronn''(하일브론 포도 재배자 조합)을 설립했다. 이 협동 조합은 1919년에 설립된 경쟁 협동 조합 ''Winzergenossenschaft Heilbronn''(하일브론 와인 업자 조합)과 1933년에 합병했으며, 다시 에를렌바흐와 바인스베르크의 포도 재배자 협동 조합과 합병하여 에를렌바흐 시 경계 바로 바깥에 본사를 둔 ''Genossenschaftskellerei Heilbronn-Erlenbach-Weinsberg''(하일브론-에를렌바흐-바인스베르크 와인 제조 조합)을 설립했다. 이 협동 조합 외에도 수많은 독립적인 와이너리들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5. 3. 교통
하일브론은 도로와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바인스베르크 분기점을 통해 아우토반 A81(뷔르츠부르크-고트마딩겐)과 A6(자르브뤼켄-바이드하우스)이 교차하며, 연방 도로 B27, B39, B293이 도시를 관통한다. B27번 도로는 블랑켄부르크 암 하르츠에서 샤프하우젠을, B39번 도로는 프랑켄슈타인 (팔라티네이트)에서 마인하르트를, B293번 도로는 카를스루에에서 하일브론으로 이어진다.하일브론은 우회전 신호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도시로, 1996년부터 65개의 교차로에 "녹색 화살표" 신호등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일브론 중앙역은 도이치반 장거리 서비스는 없지만, 프랑코니아 철도를 통해 슈투트가르트와 뷔르츠부르크, 네카 계곡 철도와 엘젠츠 계곡 철도를 통해 하이델베르크와 만하임, 호엔로에 철도를 통해 슈베비슈 할(외링겐 경유)로 연결된다.
하일브론과 카를스루에 슈타트반은 크라이히가우 철도 선로를 통해 카를스루에까지 연결되며, S4 노선은 카를스루에에서 중앙역을 지나 시내 중심부를 거쳐 외링겐의 Cappel 구역까지 운행한다. S-반 노선은 네카르줄름, 라우펜 암 네카르, 자버펠트까지 추가로 계획되어 있으며, 2014년에는 네카르줄름까지의 노선이 개통되었다.
1955년까지 "참새 그네"라는 별명을 가진 슈트라센반이 운행되었고, 1960년까지는 트롤리 버스가 운행되었다. 현재 대중 교통은 카를스루에 모델과 유사하게 하일브론을 통과하는 S-반과 ''슈타트베르케 하일브론(베어케어스베트리베)'' 및 기타 기업에서 운행하는 버스가 담당하며, ''하일브로너 페어케어스페어반트''에 속해 있다.
네카어 강에 있는 운하 항구는 독일 내륙 항구 중 10번째로 큰 규모이다. 1821년 빌헬름 운하가 개통되었고, 1935년에는 하일브론 운하 항구가 개항했다. 현재 하일브론 운하 항구는 약 500만 톤의 환적량을 처리하며, 네카어강 수운의 50%를 담당하는 중요한 항구이다. 부두는 총 7.2km이며 운하 항구, 동항, 염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환적 품목은 염제품, 석탄, 건축 자재이다.[30]
EnBW AG가 운영하는 석탄 발전소의 굴뚝(250m)과 냉각탑(140m)은 하일브론의 랜드마크이다.
6. 문화
하일브론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행사가 있다.
- 주요 건축물: 볼베르크투름(Bollwerksturm), 도이치호프(Deutschhof), 증기 발전소, 커뮤니티 센터 "하모니"(Harmonie), 법원 및 플라이쉬하우스(Fleischhaus), 괴첸투름(Götzenturm), 하펜마르크트투름(Hafenmarktturm) (항구 시장 타워), 시장 광장의 하우스 체헨더(Haus Zehender), 캐트헨하우스(Käthchenhaus), 역사적인 천문 시계가 있는 시청, 쉬스하우스(Schießhaus), 트라펜제슐뢰스헨(Trappenseeschlösschen), 와인빌라(Weinvilla) 등이 있다.
- 교회: 킬리안 교회(개신교,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탑은 도시의 로고이며, 한스 자이퍼가 제작한 제단은 1498년에 완성), 도이치오르덴 대성당 성 베드로와 바울(가톨릭), 니콜라이 교회(개신교) 등이 있다.
- 박물관:
- 시립 박물관: 도이치호프에 있으며, 도시 역사, 고고학 및 지구사에 대한 전시를 한다. 예술 및 조각 컬렉션은 지역 예술가와 국제 조각가의 작품을 포함한다. 고고학 박물관은 알프레트 슐리츠가 설립, 프리드리히 폰 알베르티의 연구를 다룬다. 도이치호프에는 도시 역사관도 있다.
- 쿤스트할레 포겔만(Kunsthalle Vogelmann): 현대 미술 중심 시립 전시관.
- 클라이스트-아카이브 젬브드너(Kleist-Archiv Sembdner):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연구 센터.
- 남독일 열차 박물관 하일브론
- 자연사 박물관
- 기타 문화 시설:
- 문학관 하일브론(Literaturhaus Heilbronn): 2020년 개관, 문학과 독서 관련 행사 진행.
- [https://www.experimenta.science/en/ experimenta]: 남부 독일 최대 과학 센터.
- 뷔르템베르크 실내 관현악단 하일브론(WKO): 1960년 창단, 독일 대표 실내 관현악단.
- [https://www.cave61.de/ Cave 61]: 1961년 설립된 재즈 클럽.
- [https://www.zigarre-heilbronn.de/ 예술 및 문화 작업장 지가레]
- [https://www.koki-heilbronn.de/ 코무날레 키노]
- [https://maschinenfabrik-hn.de/ 마시넨파브릭]: 2021년 시작된 자유 문화 센터.
- 극장:
- 하이델베르크 시립 극장: 베를리너 광장에 위치, 드라마, 뮤지컬, 오페라 공연.
- Theaterschiff Heilbronn: 네카어 강에 위치, 다양한 공연 제공.
- 기타:
- 구 시가지 묘지 (1530년 조성, 1882년부터 공원)
- 바르트베르크 언덕의 전망대
- 1944년 12월 4일 공습 희생자 명예 묘지(Ehrenfriedhof)
- 플라이너토어 분수(Fleinertorbrunnen)
- 로베르트 마이어 기념비 (마르크트 광장)
- 비스마르크 기념비
- 지벤뢰렌 분수(Siebenröhrenbrunnen)
- 트라펜제
- 정기 행사:
| 월 | 행사 |
|---|---|
| 2월 | 페르데마르크트(말 시장) |
| 5월 | 트롤링거 마라톤 |
| 7월 | 가펜베르크 축제 |
| 7월/8월 | 운터랜더 축제 |
| 9월 | 하일브론 와인 축제 |
| 10월 | 하일브론 하펜 마르크트(냄비 시장) |
| 11월/12월 | 마르크트 광장 및 킬리안 교회 주변 크리스마스 시장 |
6. 1. 건축물

하일브론에서 가장 잘 알려진 교회 건축물은 개신교 킬리안 교회이다. 1529년에 완공된 서쪽 탑은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중요한 르네상스 건축으로 칭송받고 있다. 한스 자이퍼가 제작한 조각으로 만들어진 마리아 제단 역시 15세기에 제작된 중요한 보호 문화재이다.[7] 가톨릭 독일 기사단 성당과 개신교 니콜라이 교회(Nikolaikirche) 역시 중세 시대부터 존재해 온 건물이다. 이 외에도 이 도시에는 비헬른 교회(개신교), 아우 교회(그리스 정교회), 마르틴 루터 교회(개신교), 십자가 교회(개신교), 크리스트 교회(개신교), 발트베르크 교회(개신교), 몰 에프렘 교회(시리아 정교회), 아우구스티누스 교회(가톨릭) 등 많은 교회가 있다.
뷔르템베르크 이슬람 신앙 단체(IRGW)의 지부가 하일브론 유대인 센터에 있다.
하일브론의 묘지에는 1905년에 건립된 오래된 화장장이 있는 중앙 묘지, 하일브론 공습 희생자가 묻힌 명예 묘지, 역사적인 묘석과 기념비가 많은 구 묘지, 1867년에 세워진 유대인 묘지가 역사적으로 중요하다.
마르크트 광장에는 킬리안 교회 외에도 16세기에 지어진 하일브론 시청사가 있다. 시청사에는 장식성이 높은 르네상스 시계가 걸려 있으며, 안뜰에는 전몰자 기념관이 설치되어 있다. 마르크트 광장에는 또한 특징적인 튀어나온 창문이 있는 캐트헨하우스(Käthchenhaus), 바로크 양식의 사무실 건물인 첸더 저택, 14세기에 지어진 지히러셰 약국이 있다. 마르크트 광장에서 멀지 않은 독일 기사단 성당 옆에 세워진 도이치호프는 중세 시대에 독일 기사단이 지휘관의 저택으로 건설한 것으로, 18세기에 거의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시립 문서 보관소, 시립 박물관, 고고학 박물관이 이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역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이슈하우스는 1600년경에 건축된 건물로, 시의 식당으로 사용된 플라이슈할레를 가지고 있어 이 이름이 붙었다(Fleisch=「고기」).
현재 시내 중심부의 중요한 역사적 건축물은 모두 1944년 12월 4일 하일브론 공습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거나 파괴되어 종전 후에 재건된 것이다.
볼베르크 탑과 네카어 강변의 게츠 탑은 중세 시대 도시 방어 시설의 유구이다. 율머 거리의 하펜마르크트 탑은 과거 하일브론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의 수도원 교회의 탑으로, 1688년에 수도원이 파괴된 후 탑만 재건되었다. 볼 만한 탑으로는 이 외에도 12세기에 도시의 고지대를 감시하기 위해 발트베르크에 세워진 망루가 있다. 슈바인스베르크 전망탑은 1886년에 역사적인 외관으로 세워졌다.
네카어 강 서안의 반호프스포어슈타트(Bahnhofsvorstadt)에 있는 시스하우스(사격 클럽의 클럽 하우스)는 하일브론 말 시장의 개최장으로 지어진 로코코 양식의 건물로, 1848년에 건축된 구 하일브론 역, 구 제2 우체국과 함께 18세기부터 19세기의 경제적 번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게네랄 베버 탑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벙커이다.
16세기에 세워진 세실리아의 샘 오두막은 이 도시의 중요한 물 공급소였다. 하일브론 동쪽에 세워진 작은 수성인 트라펜제슐뢰스헨(Trappenseeschlösschen)은 같은 시대의 건물이다. 또한, 켑퍼탈 입구에 서 있는 켑퍼의 샘 오두막은 19세기 후반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하일브론에는 역사적인 샘과 기념비가 많이 세워져 있다. 1960년경에는 50개 이상의 샘이 시내에 있었다. 킬리안 교회 옆에 있는 1541년에 건립된 지벤뢰렌부룬넨(7개의 통의 샘)은 아마도 이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오래된 샘으로, 여러 번 다시 만들어졌다. 1593년에 만들어져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현대적으로 신축된 하펜마르크트부룬넨(항구 시장의 샘)과 1601년에 만들어진 플라이나토어부룬넨(플라이너 문 샘)은 시내 중심부에 있는 역사적인 샘이다. 하일브론의 물 공급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16세기에 만들어진 인넨슈타트 동쪽에 있는 세실리아의 샘 오두막이다. 쾨프퍼 계곡에 있는 쾨프퍼의 샘 관련 시설은 19세기부터 레크리에이션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적인 샘으로 중요한 것은 시립 극장 옆의 테아터부룬넨(1983년), 킬리안 광장의 코메디안텐부룬넨(1996년)이다.
하일브론의 중심가에 있는 기념비 중 인상적인 것은 마르크트 광장의 로베르트 마이어 기념비와 알레(가로수길)에 있는 시나고그 기념비이다. 하펜마르크트 타워 안과 주변에는 많은 전쟁 기념비와 난민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시내에 있는 이 외의 기념비로는 예를 들어, 구 슈타인보크 강제 수용소 기념비, 안락사 정책의 희생자 추도비, 1985년에 발트하이데에서 일어난 로켓 사고의 희생자 추도비 등이 있다.
하일브론의 주택 지구는 중심가와는 대조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다. 따라서 하일브론의 문화재 보호의 중점은 거기에 세워진 다양한 시대 양식을 대표하는 시민 가옥 건축에 쏟아지고 있다. 하일브론의 저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볼하우스 광장 근처의 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라우프 저택과 로젠베르크의 게츠 탑 근처에 세워진 메르츠 저택으로, 모두 1811년에 건축되었다. 1840년 이후 빌헬름 거리와 체칠리엔 거리 주변에 고전주의 양식의 빌헬름스바우(1845년), 파이스트 저택(1875년), 링크 저택(1871년)을 비롯하여 많은 호화로운 건축물이 세워졌다. 디트마르 거리와 알렉산더 거리와 같은 주택 지구의 동부에는 유겐트 양식을 도입한 슈리츠 저택(1901년), 역사주의 양식의 하겐마이어 저택(1899년), 신즉물주의 양식의 피렌츠 저택(1905년)을 비롯한 수많은 저택이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세워졌다.
6. 2. 박물관 및 미술관
하일브론 시에는 다양한 박물관과 미술관이 있다.- 시립 박물관 (Städtische Museen)
- 도이치호프 (Deutschhof): 도시의 역사, 고고학 및 지구사에 대한 전시물을 보여준다.
- 예술 및 조각 컬렉션: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퓌거(Heinrich Friedrich Füger), 카를 되르(Carl Doerr)와 같은 18세기와 19세기 화가와 하인리히 알테르(Heinrich Altherr), 할 부세(Hal Busse)와 같은 20세기 예술가를 포함한 지역 예술가의 작품에 중점을 둔다. 빌헬름 렘브루크(Wilhelm Lehmbruck)와 헨리 무어(Henry Moore)와 같은 국제 조각가들의 소규모 조각 및 보체티(bozzetti) 특별 컬렉션도 있다.
- 고고학 박물관: 알프레트 슐리츠(Alfred Schliz, 1849-1915)가 설립.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하일브론 주변의 지구사에 대한 연구, 특히 분트산트슈타인(Buntsandstein), 무셸칼크(Muschelkalk), 코이퍼(Keuper)의 순서에 트라이아스기를 부여한 프리드리히 폰 알베르티(Friedrich von Alberti, 1795-1878)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도시 역사관 (Haus der Stadtgeschichte): 하일브론 시립 기록 보관소에서 도시의 역사에 대한 상설 전시회를 개최한다.
- 쿤스트할레 포겔만 (Kunsthalle Vogelmann): 현대 미술에 중점을 둔 시립 전시관. 2009/2010년에 건설되었다.
- 쿤스트페라인 하일브론 (Kunstverein Heilbronn): 1879년에 설립된 예술 협회.
- 문학관 하일브론 (Literaturhaus Heilbronn): 2020년에 개관. 현대 작가의 낭독회, 강연, 토론, 워크숍 및 컨퍼런스와 소규모 임시 전시회를 통해 문학과 독서에 대한 다양한 형식을 제공한다.
- 클라이스트 아카이브 쳄트너 (Kleist Archiv Semdner):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에 대한 아카이브이자 연구 센터.
- [https://www.experimenta.science/en/ experimenta]: 남부 독일에서 가장 큰 과학 센터. 2019년에 확장되었다.
- 자연사 박물관: 플라이쉬하우스에 있으며 하일브론 및 그 주변 지역의 지질학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 젬프트너-클라이스트 문서 보관소: 1990년에 하일브론 시가 구입한 헬무트 젬프트너의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연구 자료에서 유래한다.
- 남독일 철도 박물관 하일브론: 뵈킹겐의 구 철도 조차장 부지에 설치되어 있다.
- 네카르갈타흐 역사 산업 공원: 하일브론의 기술사에 관한 박물관. 과거 비트만셰 제지 공장의 펌프 시설이었던 오래된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6. 3. 축제 및 행사
2월에는 하일브론과 주변 지역의 시민들이 페르데마르크트(말 시장)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5월에는 트롤링거 마라톤이 열린다. 테레지엔비제에서 열리는 하일브로너 민속 축제는 하일브론에서 가장 큰 규모의 축제이다. 매년 7월 마지막 금요일에 시작하여 8월 두 번째 월요일에 끝난다. 9월에는 하일브로너 와인 마을에서, 10월에는 하펜마르크트(냄비 시장)에서, 11월과 12월에는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사람들은 즐거움을 누린다.
| 월 | 행사 |
|---|---|
| 2월 | 페르데마르크트(말 시장) |
| 5월 | 트롤링거 마라톤 |
| 7월 | 가펜베르크 축제 |
| 7월/8월 | 운터랜더 축제 |
| 9월 | 하일브론 와인 축제 |
| 10월 | 하일브론 하펜 마르크트(냄비 시장) |
| 11월/12월 | 마르크트 광장 및 킬리안 교회 주변의 크리스마스 시장 |
7. 교육
하일브론은 1961년 공립 공과대학으로 설립된 호흐슐레 하일브론의 본교가 있는 곳이다. 1971년부터 이 학교는 ''파흐호흐슐레 하일브론''(하일브론 응용과학대학교)으로 알려졌으며, 1988년부터 큔젤자우에 분교를 운영해왔다. 2005년 9월 1일부터 파흐호흐슐레는 호흐슐레 지위를 부여받았고, 2009년에는 슈베비슈 할에 세 번째 캠퍼스가 설립되었다.[13]
오늘날 호흐슐레 하일브론의 경영학부는 하일브론 중심부에 있는 [https://bildungscampus.hn/en/ 디터 슈바르츠 재단]의 교육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으며, [https://www.heilbronn.dhbw.de/ 바덴-뷔르템베르크 협동 주립 대학교 하일브론](DHBW 하일브론), [https://www.cas.dhbw.de/ 바덴-뷔르템베르크 협동 주립 대학교 - 고급 연구 센터](DHBW CAS), [https://www.wi.tum.de/tum-campus-heilbronn/welcome-tum-campus-heilbronn/ 뮌헨 공과 대학교의 하일브론 캠퍼스] 및 기타 교육 기관과 과학 기관도 함께 있다.
[https://www.42heilbronn.de/en/ 42 하일브론]은 전일제 무상 코딩 학교로, 교육 캠퍼스 근처에 2021년에 설립되었다.
일반 교육과 관련하여 하일브론에는 다음 시설들이 있다.
- 김나지움(Gymnasium (school)): ''엘리-호이스-크납-김나지움'', ''유스티누스-케르너-김나지움'', ''묀히제-김나지움'', ''로베르트-마이어-김나지움'', ''테오도르-호이스-김나지움'' (5개)

- 레알슐렌: ''담레알슐레'', ''헬레네-랑에-레알슐레'', 뵈킹겐의 ''하인리히-폰-클라이스트-레알슐레'', ''뫼리케-레알슐레'' (4개)

- 특수 교육 학교
- 시립: ''빌헬름-호프만-푀르더슐레'', ''페스탈로치-푀르더슐레'', ''파울-마일레-슐레'' (3개)
- 하일브론 군립: ''게브뤼더-그림-슐레'', ''헤르만-헤르초크-슐레'' (2개)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 ''린덴파크슐레'' (청각 및 언어 장애인 대상, 기숙 학교 및 상담 센터 포함)
- 시립 초등학교: ''담-그룬트슐레'', ''도이치오르덴-그룬트슐레 키르히하우젠'', ''그룬트슐레 호르크하임'', ''그룬트슐레 클링겐베르크'', ''그뤼네발트슐레 그룬트슐레 뵈킹겐'', ''라이뇌슐레 그룬트슐레 뵈킹겐'', ''실허슐레 그룬트슐레'', ''우란트슐레 그룬트슐레 존트하임''
- 중학교 (일부 직업 훈련 프로그램 포함): ''알브레히트-뒤러-슐레 넥카가르타흐'', ''엘리-호이스-크납-슐레 뵈킹겐'', ''프리츠-울리히-슐레 뵈킹겐'', ''게르하르트-하웁트만-슐레'', ''그룬트- 운트 하웁트슐레 미트 베르크레알슐레 비버라흐'', ''그룬트- 운트 하웁트슐레 미트 베르크레알슐레 프랑켄바흐'', ''루드비히-프파우-슐레'', ''로제나우슐레'', ''슈타우펜베르크슐레 존트하임'', ''바르트베르크슐레'', ''빌헬름-하우프-슐레''
- 직업 훈련 학교
- 시립: ''구스타프-폰-슈몰러-슐레'', ''요한-야콥-비드만-슐레'', ''빌헬름-마이바흐-슐레'' (''테크니셰 슐첸트룸 하일브론'' 소속)
- 군립: ''안드레아스-슈나이더-슐레'', ''크리스티안-헤르조크-슐레'', ''페터-브루크만-슐레''
사립 학교:
- ''아벤트레알슐레 하일브론 e.V.'' (고등 교육 대체 경로 프로그램 제공)
- 커뮤니케이션 과학 아카데미
- ''알리체-살로몬-슐레''
- ''알텐플레게슐레 하일브론''
- ''베루프콜레크 퓌르 그래픽 하일브론''
- ''프라이에 발도르프슐레 하일브론''
- ''인터내셔널러 분트 e. V. 빌둥스첸트룸 하일브론''
- ''카톨리셰스 프라이에스 빌둥스첸트룸 성 킬리안 하일브론'' (문법, 중학교, 김나지움, 레알슐레 포함)
- ''콜핑-빌둥스첸트룸 하일브론''
하일브론 시에는 35개의 학교가 있으며, 2007년부터 2008년 학년도에는 939개 학급에 20,882명의 학생이 있었다.[37] 1961년 4월에는 주립 엔지니어 양성 학교가 설립되었고, 교수법과 교원 양성을 위한 주립 세미나가 2곳 있다.
로베르트 마이어 김나지움은 동명의 로베르트 마이어 시민 천문대를 병설하고 있다. 하일브론에는 87개의 유치원이 있으며, 그 중 34개는 시에서 운영한다. 2008년 1월부터 시는 유치원을 무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38] 이는 운영 주체에 관계없이 모든 유치원의 3세 이상 아동에게 적용된다.
2020년에는 하일브론에서 9,054명이 공부하고 있었는데, 이는 10년 전보다 거의 60% 증가한 수치이다.[13] 2020년 2월 1일, 바덴-뷔르템베르크 내무부는 하일브론시에 대학 도시라는 명칭을 수여했다.
8. 스포츠
FC 하일브론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하일브론을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2003년에 창단되었다. 1896년에 창단된 두 클럽의 합병으로 만들어졌으며,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레기오날리가 쥐트 (2부 리그) / 2. 분데스리가 쥐트에서 활동했다. FC 하일브론은 하일브론너 SpVgg에서 유래했으며, 한때 VfR 하일브론으로도 불렸다. 홈 경기는 약 17,000명을 수용하는 팔켄슈타디온에서 열린다.
하일브론은 매년 하일브론 오픈 테니스 토너먼트를 개최하며, 이 대회는 ATP 챌린저 투어의 일부이다.
하일브론은 또한 아이스하키팀인 하일브론너 팔켄의 연고지이다. 현재 독일 아이스하키 리그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4,000명을 수용하는 라파테크 아레나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아이스베렌 하일브론(Eisbären Heilbronn, 하일브론 북극곰)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남서부 지역 리그에서 활동하는 두 번째 아이스하키팀이다. 하일브론 아이스 하키 클럽(HEC)은 1934년에 창설된 롤러스케이트·아이스스케이트 클럽 하일브론이 모체로, 1970년대에 독일과 국제적인 대회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1976년과 그 다음 해에는 유럽 피겨 롤러스케이트 대회도 개최되었다.[29]
"레드 데블스" 하일브론은 전국 레슬링 리그에 소속된 레슬링 팀이다.
하일브론에는 68개의 스포츠 클럽이 있으며, 약 30,000명의 회원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다.
9. 자매 도시
하일브론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
| 국가 | 도시 | 맺은 시기 |
|---|---|---|
| -- 프랑스 | 베지에 | 1965년 |
| -- 영국 | 네스포트텔보트 | 1966년 |
| -- 스위스 | 졸로투른 | 1981년 |
| -- 영국 | 스톡포트 | 1982년 |
| -- 독일 | 프랑크푸르트 | 1988년 |
| -- 폴란드 | 스우비체 | 1998년 |
참조
[1]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wahl Heilbronn 2022
https://www.staatsan[...]
Staatsanzeiger
[2]
웹사이트
Discover Heilbronn, a historical city on the Neckar - Germany Travel
https://www.germany.[...]
2022-11-06
[3]
서적
Deutsche Standards. Heilbronn-Franken. Region der Weltmarktführer: Rund 100 Weltmarktführer einer der erfolgreichsten Regionen Deutschlands
GABAL
[4]
웹사이트
Lufttemperatu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5]
웹사이트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6]
웹사이트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7]
웹사이트
Hoerner Bank AG
https://www.hoernerb[...]
2017-03-10
[8]
서적
Bundesgartenschau Heilbronn 2019 - Die Garten- und Stadtausstellung
Bundesgartenschau 2019 GmbH
[9]
웹사이트
Stadtquartier Neckarbogen
https://www.heilbron[...]
2022-03-22
[10]
웹사이트
Realisierung des Innovationsparks Künstliche Intelligenz kann starten
https://www.baden-wu[...]
2022-03-23
[11]
문서
Municipal population register
https://www.heilbron[...]
City of Heilbronn
[12]
웹사이트
Homepage City of Heilbronn
https://www.heilbron[...]
2024-01-16
[13]
서적
Bericht zur Bautätigkeit der Stadt Heilbronn 2021
https://www.heilbron[...]
Stadt Heilbronn
[14]
뉴스
The Phantom of Heilbronn, the tainted DNA and an eight-year goose chase
http://www.timesonli[...]
2009-03-27
[15]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heilbron[...]
Heilbronn
2021-02-13
[16]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7]
문서
Topographische Karte 1:25 000. Blatt 6821 Heilbronn
[18]
문서
Amtlicher Stadtplan Heilbronn
[19]
문서
Das Land Baden-Württemberg. Amtliche Beschreibung nach Kreisen und Gemeinden. Band IV: Regierungsbezirk Stuttgart, Regionalverbände Franken und Ostwürttemberg
[20]
문서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21]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22]
서적
ネッカー川
[23]
서적
世界の花と草木の民話
[24]
웹사이트
http://www.jiji.com/[...]
[25]
웹사이트
Gemeinderatswahlen 2019 - Stadtkreis Heilbronn
https://www.statisti[...]
[26]
문서
Die Kreis- und Gemeindewappen im Regierungsbezirk Stuttgart
[27]
웹사이트
Besucherzahl lt. www.heilbronn.de
http://www.heilbronn[...]
[28]
웹사이트
www.kunstverein-heilbronn.de
http://www.kunstvere[...]
[29]
문서
Verwaltungsbericht Stadt Heilbronn 1975–78
[30]
문서
交通の発達コンセプト
[31]
웹사이트
『ハイルブロン=フランケン地域のデータ』
http://www.regionalv[...]
[32]
웹사이트
ハイルブロン市の歴史 – 市史 第1巻
http://www.stadtarch[...]
[33]
문서
シュトゥットガルト、ハイルブロン、ロイトリンゲン、ウルム工業・商業会議所創立100周年記念刊行物 1855 - 1955
[34]
문서
Geschichte und Schicksal der Juden in Heilbronn
[35]
뉴스
Bankenstadt Heilbronn
[36]
웹사이트
http://www.suedsalz.[...]
[37]
PDF
ハイルブロン市の教育機関 2007/2008
http://www.heilbronn[...]
[38]
웹사이트
ハイルブロン市の子育て支援に関するデータバンク
http://www.heilbronn[...]
[39]
간행물
Bevölkerung und Erwerbstätigkeit
http://www.statistik[...]
Statistisches Landesamt Baden-Württemberg
[40]
웹인용
Lufttemperatu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41]
웹인용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42]
웹인용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