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2004년에 개최되었으며, 주요 부문 및 수상, 비경쟁 부문, 특별 행사, 오리종티 부문, 베니스 데이즈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수상작으로는 마이크 리 감독의 《베라 드레이크》가 황금사자상을, 김기덕 감독의 《빈집》이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한국 영화는 《빈집》의 수상과 《하류인생》, 《쓰리, 몬스터》 등의 초청으로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다. 심사위원으로는 존 부어만, 스칼렛 요한슨 등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영화제 - 제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2004년 개최된 제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프랜시스 맥도먼드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파티 아킨 감독의 《헤드 온》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김기덕 감독이 《사마리아》로 감독상을 수상하여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였다. - 2004년 영화제 - 2004년 칸 영화제
2004년 칸 영화제는 쿠엔틴 타란티노가 심사위원장을 맡아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이 황금종려상을, 박찬욱의 《올드보이》가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부문에서 다채로운 작품들이 상영된 영화제이다. - 2004년 9월 -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했으며, 상위 4개 팀은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 - 2004년 9월 - 베슬란 학교 인질극
베슬란 학교 인질극은 2004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러시아 베슬란 제1학교에서 체첸 분리주의 무장 세력이 1,100명 이상을 인질로 잡아 33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대규모 테러 사건으로, 러시아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원어 명칭 | 61st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개최지 | 베네치아, 이탈리아 |
창립 연도 | 1932년 |
시상 | 황금사자상: 베라 드레이크 |
날짜 | 2004년 9월 1일 – 2004년 9월 11일 |
이전 영화제 | 60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다음 영화제 | 62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웹사이트 | http://www.labiennale.org/en/cinema/ Website |
상영 정보 | |
개막작 | 터미널 -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
폐막작 | 스팀보이 - 오토모 가쓰히로 감독 |
2. 주요 부문 및 수상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경쟁, 비경쟁, 오리종티, 베니스 데이즈 등 다양한 부문으로 구성되었다.[19][20]
2. 1. 경쟁 부문 (Venezia 61)
공식 부문의 주요 경쟁 부문은 황금사자상을 놓고 경쟁하는 장편 영화의 국제 경쟁 부문이다.[9]제목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두 개의 5가지 갈림길 (5x2) | 프랑수아 오종 | 프랑스 |
탄생 (Birth) | 조너선 글레이저 | 미국 |
Delivery | 니코스 파나요토포로스 | 그리스 |
하울의 움직이는 성 | 미야자키 하야오 | 일본 |
커피와 담배 | 허우 샤오시엔 | 일본 대만 |
L'intrus (The Intruder) | 클레르 드니 | 프랑스 |
랜드 오브 플렌티 (Land of Plenty) | 빔 벤더스 | 미국 |
Lavorare con lentezza | 귀도 시에사 | 이탈리아 |
우리 집 열쇠 (Le chiavi di casa) | 잔니 아멜리오 | 이탈리아 프랑스 |
씨 인사이드 (Mar adentro)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 스페인 |
Ovunque sei | 미켈레 플라치도 | 이탈리아 |
팔린드롬스 (Palindromes) | 토드 솔론즈 | 미국 |
프로미스드 랜드 (Promised Land) | 아모스 기타이 | 이스라엘 프랑스 |
킹스 앤 퀸 (Rois et reine) | 아르노 데플레샹 | 프랑스 |
Sag-haye velgard (Stray Dogs) | 마르지에 메슈키니 | 이란 프랑스 |
세계 (세계) | 자장커 | 중국 일본 프랑스 |
Tout un hiver sans feu (A Long Winter Without Fire) | 그레그 즈그린스키 | 벨기에 |
Udalyonnyy dostup | 스베틀라나 프로스쿠리나 | 러시아 |
내 사랑 레이디 (Vanity Fair) | 미라 네어 | 미국 |
베라 드레이크 (Vera Drake) | 마이크 리 | 영국 |
2. 1. 1. 수상작 및 후보작
상 | 수상자 및 작품 |
---|---|
황금사자상 | 베라 드레이크 (마이크 리 감독, 영국) |
은사자상 (감독상) | 빈 집 (김기덕 감독, 대한민국/일본) |
심사위원 특별상 | 씨 인사이드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 스페인/프랑스/이탈리아) |
볼피컵 남우주연상 | 하비에르 바르뎀 (씨 인사이드) |
볼피컵 여우주연상 | 이멜다 스턴톤 (베라 드레이크) |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상 | 톰마소 라멘기, 마르코 루이지 (라보라레 콘 렌테차) |
황금 오젤라 상 | 하울의 움직이는 성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일본)[10] - 애니메이션 영화에 대한 이례적인 수상으로, 기술적 성취와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2. 2. 비경쟁 부문
비경쟁 부문(Out of Competition)에서는 상업 영화, 예술 영화, 실험 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소개했다.특히, 대한민국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쓰리, 몬스터》가 초청되었다. 이 작품은 대한민국, 홍콩, 일본 합작 영화로, 박찬욱 감독 특유의 독창적인 연출 스타일을 보여준다.
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브라이즈메이드 | La Demoiselle d'honneur프랑스어 | 클로드 샤브롤 |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
콜래트럴 | 마이클 만 | 미국 | |
에로스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스티븐 소더버그, 왕가위 | 프랑스, 홍콩, 이탈리아, 미국 | |
제5제국 | O Quinto Impériopt |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 포르투갈, 프랑스 |
네버랜드를 찾아서 | 마크 포스터 | 미국 | |
이탈리아 영화 사업을 망친 방법: 프랑코와 치치오의 진실 | Come inguaiammo il cinema italiano | 다니엘레 치프리, 프랑코 마레스코 | 이탈리아 |
이탈리아 로맨스 | L'amore ritrovatoit | 카를로 마차쿠라티 | |
맨츄리안 켄디데이트 | 조너선 데미 | 미국 | |
베니스의 상인 | 마이클 래드퍼드 | 영국, 이탈리아 | |
아무것도 남지 않은 것 | Il resto di nienteit | 안토니에타 데 릴로 | 이탈리아 |
쉬 헤이트 미 | 스파이크 리 | 미국 | |
스팀보이 (폐막작) | スチームボーイ일본어 | 오토모 가츠히로 | 일본 |
터미널 (개막작) | 스티븐 스필버그 | 미국 | |
견자 | 柔道龍虎榜중국어 | 두기봉 | 홍콩 |
튜너 | Настройщикru | 키라 무라토바 | 러시아, 우크라이나 |
특별 행사 | |||
샤크 | 빅토리아 젠슨, 비보 베르제론 | 미국 |
2. 3. 오리종티 부문 (Horizons)
오리종티 부문은 새로운 영화적 경향과 실험적인 작품을 소개하는 섹션이다.[12]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경쟁 부문 | |||
멜랑콜리아의 세 방 | Melancholian 3 huonetta | 피르요 혼카살로 |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
아그네스와 그의 형제들 | Agnes und seine Brüder | 오스카 뢰러 | 독일 |
앰배서더, 조국을 찾아서 | 미르체아 다넬리우크 | 루마니아 | |
크리미널 † | 그레고리 제이콥스 | 미국 | |
질의 아내 | La femme de Gilles | 프레데리크 퐁텐 |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
덜 나쁜 세상 | Un mundo menos peor | 알레한드로 아그레스티 | 아르헨티나 |
이자 | 미이케 다카시 | 일본 | |
나는 네 눈에서 볼 수 있어 † | Te lo leggo negli occhi | 발리아 산텔라 | 이탈리아 |
바비 롱에게 보내는 러브 송 † | 샤이니 가벨 | 미국 | |
미스터리어스 스킨 | 그렉 아라키 | 미국, 네덜란드 | |
롤링 패밀리 | Familia rodante | 파블로 트라페로 | 아르헨티나, 스페인 |
사이미르 † | 프란체스코 문치 | 이탈리아 | |
잠자는 아이 † | 'Lenfant endormi'' | 야스민 카사리 | 모로코, 벨기에 |
스트라이커 | 노암 고닉 | 캐나다 | |
그들이 돌아왔다 † | Les revenants | 로빈 캄필로 | 프랑스 |
비탈 | ヴィタール | 츠카모토 신야 | 일본 |
예스터데이 | 다렐 로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줄루 러브 레터 | 'Lettre damour zoulou'' | 라마단 슐레만 |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독일 |
특별 행사 | |||
라미 야 본 | 라시드 부샤레브 | 프랑스, 알제리, 독일 | |
컴 백, 아프리카 (1959) | 라이오넬 로고신 | 미국 | |
함부르크 셀 | 안토니아 버드 | 영국 | |
고향 3: 끝과 시작의 연대기 (6개의 에피소드) | 고향 3 - 시대의 전환의 연대기 | 에드가 라이츠 | 독일 |
쿠바 음악 | 게르만 크랄 | ||
그들에게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줘 | 마크 S. 웩슬러 | 미국 | |
조수 표 | 윌리엄 켄트리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 3. 1. 수상
'''오리종티 상'''- '''최우수 작품상''': 작은 아들들 - 일란 뒤랑 코헨
- '''특별 언급''': 벤토 디 테라 - 빈센초 마라
2. 4. 베니스 데이즈 (Venice Days)
베니스 데이즈는 독립 영화 및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부문이다.[13]3. 심사위원
2004년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7][8]
- 경쟁 부문 (Venezia 61)
- 존 부어만 (심사위원장, 영국 영화감독)
- 볼프강 베커 (독일 영화감독)
- 밈모 칼로프레스티 (이탈리아 영화감독)
- 쉬펑 (중국 배우, 프로듀서)
- 스칼렛 요한슨 (미국 배우)
- 스파이크 리 (미국 영화감독, 배우, 프로듀서)
- 두산 마카베예프 (세르비아 영화감독)
- 헬렌 미렌 (영국 배우)
- 피에트로 스칼리아 (이탈리아 편집자)
경쟁 부문 외에도, '오리종티 부문(Horizons)'과 '베네치아 시네마 디지털(Venezia Cinema Digitale)' 부문의 심사위원단이 별도로 구성되었다.
3. 1. 경쟁 부문 (Venezia 61)
2004년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단은 다음과 같다.[7][8]- 존 부어만 (영국 영화감독, 심사위원장)
- 볼프강 베커 (독일 영화감독)
- 밈모 칼로프레스티 (이탈리아 영화감독)
- 쉬펑 (대만 배우, 프로듀서)
- 스칼렛 요한슨 (미국 배우)
- 스파이크 리 (미국 영화감독, 배우, 프로듀서)
- 두산 마카베예프 (세르비아 영화감독)
- 헬렌 미렌 (영국 배우)
- 피에트로 스칼리아 (이탈리아 편집자)
3. 2. 오리종티 부문 (Horizons)
역할 | 이름 | 국적 |
---|---|---|
심사위원장 | 니콜라 필리베르 | 프랑스 |
심사위원 | 브라이언 헬겔랜드 | 미국 |
심사위원 | 피오렐라 인파셀리 | 이탈리아 |
3. 3. 베네치아 시네마 디지털 (Venezia Cinema Digitale)
2004년 베네치아 시네마 디지털 섹션의 심사위원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7][8]- 마이크 피기스 (심사위원장): 영국의 영화 제작자 겸 작곡가
- 이치야마 쇼조: 일본의 영화 프로듀서
- 클레어 시몽: 프랑스의 영화 제작자
이 섹션은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새로운 표현 가능성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15]
다음은 베네치아 시네마 디지털 섹션에 출품된 작품들이다.[10]
한국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20 핑거스 † | 20 angosht | 마니아 아크바리 | 이란, 영국 |
임퍼머넌스 | Impermanence | 고탐 고세 | 인도 |
툴스 루퍼 가방 3부: 사크에서 끝까지 | The Tulse Luper Suitcases, Part 3: From Sark to the Finish | 피터 그리너웨이 |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헝가리,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쿠오코 콘타디노 | Cuoco contadino | 루카 구아다니노 | 이탈리아 |
홈커밍 | Homecoming | 존 조스트 | 미국 |
알리에게 보내는 편지 | Letters to Ali | 클라라 로 | 호주 |
라 비타 에 브레베 마 라 조르나타 에 룽기시마 | La vita è breve ma la giornata è lunghissima | 루치오 펠레그리니, 지아니 자나시 | 이탈리아 |
핀 보이 | Parapalos | 아나 폴리아크 | 아르헨티나 |
운 실렌치오 파르티콜라레 | Un silenzio particolare | 스테파노 룰리 | 이탈리아 |
마레비토 | 稀人 | 시미즈 타카시 | 일본 |
특별 행사 | |||
로라 델라 루체르톨라 | 'Lora della lucertola'' | 밈모 칼로프레스티 | 이탈리아 |
벨리시메 | Bellissime | 조반나 갈리아르도 | 이탈리아 |
킬러 슈림프스 † | Killer Shrimps | 피에로 골리아 | 스위스 |
더 테이크 | The Take | 아비 루이스 | 캐나다 |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 アドベントチルドレン | 노무라 테츠야 | 일본 |
임베디드 | Embedded | 팀 로빈스 | 미국 |
콜피 디 루체 | Colpi di Luce | 마테오 스피놀라, 스테파노 델라 카사, 프란체스카 칼벨리 | 이탈리아 |
디지털 아프리카 | |||
Yizo Yizo | Yizo Yizo | 앤거스 깁슨, 앤드류 도순무, 테보호 말라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는 미래의 사자 상 경쟁작을 나타낸다.
4. 한국 영화의 성과와 의의
2004년 제6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한국 영화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김기덕 감독의 빈 집은 은사자상(감독상)과 국제영화비평가연맹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9][10][17] 이는 김기덕 감독 개인의 영예일 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김기덕 감독의 빈 집 외에도 임권택 감독의 하류인생이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고,[9] 비경쟁 부문에는 박찬욱 감독의 쓰리, 몬스터가 초청되어 한국 영화의 다양성과 저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 영화의 국제 경쟁력을 입증하고, 한국 영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Wednesday, September 1, 2004
http://www.labiennal[...]
2018-06-05
[2]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Wednesday, September 11, 2004
http://www.labiennal[...]
2018-06-05
[3]
웹사이트
Venice – 2004 Ecco il Leone
http://www.americanc[...]
2013-10-06
[4]
웹사이트
The 2000s
http://www.carnivalo[...]
2010-04-19
[5]
웹사이트
Line-up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5
[6]
웹사이트
Fondazione Prada is the partner of "The Secret History of Italian Cinema" at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6
[7]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juries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4
[8]
웹사이트
Juries for the 2000s
http://www.carnivalo[...]
2018-04-04
[9]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4
[10]
웹사이트
61st VFF - Feature films competing for the Lion of the Future
http://www.labiennal[...]
2018-06-09
[11]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Out of Competition
http://www.labiennal[...]
2018-06-04
[12]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Orizzonti
http://www.labiennal[...]
2018-06-05
[13]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Corto Cortissimo
http://www.labiennal[...]
2018-06-05
[14]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Venezia Mezzanotte
http://www.labiennal[...]
2018-06-05
[15]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Venezia Cinema Digitale
http://www.labiennal[...]
2018-06-05
[16]
웹사이트
61st Venice Film Festival - Italian Kings of the B's
http://www.labiennal[...]
2018-06-06
[17]
웹사이트
19th International Film Critics' Week
http://www.sicvenezi[...]
2018-04-04
[18]
웹사이트
Venice Days - Giornate degli Autore 1st edition
http://www.venice-da[...]
2018-06-04
[19]
웹사이트
Official Awards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4
[20]
웹사이트
Collateral Awards of the 61st Venice Film Festival
http://www.labiennal[...]
201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