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달라이 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대 달라이 라마 켈상 갸초는 1708년 티베트 리탕에서 태어났다. 그는 6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인정받아 1720년 포탈라 궁에서 즉위하였으나, 청나라의 간섭 속에 통치를 시작했다. 켈상 갸초는 섭정 제도를 폐지하고 카샤그를 구성하는 등 티베트 정부를 개혁하고 교육 및 종교 발전에 힘썼지만, 청나라의 보호령으로 티베트의 자율성이 훼손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작가 - 제6대 달라이 라마
제6대 달라이 라마는 1683년 인도에서 태어나 5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1697년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으나, 자유분방한 삶을 살다가 1706년 사망했으며, 그의 시와 노래는 티베트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티베트의 작가 - 롭상 상가이
롭상 상가이는 티베트 망명 정부의 시총을 역임한 티베트인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티베트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국제 사회와의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 - 1708년 출생 - 알브레히트 폰 할러
스위스의 생리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이자 시인인 알브레히트 폰 할러는 괴팅겐 대학교 교수로서 해부학 교실과 식물원을 설립하고 인체의 감각성과 자극성을 연구하여 근대 생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알프스에 대한 시를 통해 문학적 재능을 선보이고 식물 분류학에도 기여했다. - 1708년 출생 - 프란츠 1세
프란츠 1세는 로렌 공국의 공작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마리아 테레지아와의 결혼을 통해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을 열었으며, 재정 안정과 문화 발전에도 기여했다. - 달라이 라마 - 제6대 달라이 라마
제6대 달라이 라마는 1683년 인도에서 태어나 5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1697년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으나, 자유분방한 삶을 살다가 1706년 사망했으며, 그의 시와 노래는 티베트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달라이 라마 - 제2대 달라이 라마
제2대 달라이 라마 게뒨 갸초는 1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겔룩파 사상을 체계화하고 대중화에 기여하며 겔룩파 세력 확장과 티베트 불교의 신성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티베트 불교 지도자이다.
제7대 달라이 라마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케상 갸초 |
존칭 | 그의 성하, 제7대 달라이 라마 |
종교 | |
종교 | 티베트 불교, 겔루그파 |
통치 기간 | |
재위 기간 | 1720년–1757년 |
이전 | 제6대 달라이 라마, 창양 갸초 |
이후 | 제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 |
중국어 이름 | |
중국어 | 격상가조 (格桑嘉措) |
티베트어 이름 | |
티베트어 | 켈상 갸초 (བསྐལ་བཟང་རྒྱ་མཚོ་) |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 | bSkal bZang rGya mTsho |
티베트어 (THDL) | Kelzang Gyatso |
티베트어 (쯔핑) | Gaisang Gyaco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708년 |
출생지 | 캄 지방 리탕, 티베트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리탕 현) |
사망 | 1757년 |
사망 장소 | 라싸의 포탈라궁 |
2. 달라이 라마가 되기 전
켈상 갸초는 티베트 동부 리장 지역에서 태어났다. 당시 포탈라궁의 달라이 라마 자리는 예셰 갸초가 차지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티베트인들은 그를 정식 달라이 라마로 인정하지 않았다.[2] 예언자들은 켈상 갸초를 6대 달라이 라마 창양 갸초의 환생으로 인정했다.[2] 켈상 갸초는 환생으로 공인받자 살해 위협을 피해 사원으로 들어가 제왕 교육과 승려 교육을 받았다.[2]
1717년, 오이라트인들이 티베트를 침략하여 예셰 갸초를 폐위시켰으나, 켈상 갸초를 왕위에 올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고, 라싸에서 약탈을 자행하며 도시를 황폐화시켰다.[5]
2. 1. 출생과 환생
켈상 갸초는 1708년 티베트 동부 리탕 지역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이름은 수남 달갸, 어머니의 이름은 로산 초쪼였다.[15] 당시 티베트는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포탈라궁에서는 6대 달라이 라마 창양 갸초가 폐위되고, 라장 칸이 옹립한 예셰 갸초가 달라이 라마 자리에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티베트인들은 예셰 갸초를 정식 달라이 라마로 인정하지 않았다.[16]이런 상황에서 리탕 사원의 한 승려가 네충 오라클을 통해 켈상 갸초가 창양 갸초의 환생임을 확인했다.[2] 이는 라장 칸이 임명한 달라이 라마와 모순되는 것이었기에 켈상 갸초는 위험에 처할 수도 있었다. 라싸에서 온 사절단의 티베트 지도자는 비밀리에 켈상 갸초가 창양 갸초의 환생임을 확인하고, 그를 리탕 사원으로 데려가 보호하고 훈련시켰다.[2] 6대 달라이 라마는 죽기 전 다음과 같은 노래를 남겨 자신이 리탕에 환생할 것을 예언했다고 전해진다.[15]
1715년, 청나라 강희제는 켈상 갸초의 쿰붐 사원 입장을 후원했다.[2] 이는 라장 칸이 임명한 달라이 라마에 대한 공개적인 도전이었다. 켈상 갸초는 쿰붐 사원에서 가완 로산 템페 갬첸에게 사미계를 받고 '켈상 갸초'라는 법명을 받았다.[15]
켈장 갸초는 어린 시절부터 즉흥시를 짓는 등 놀라운 지혜를 가진 신동으로 알려졌다. 그는 쫑카파의 삼보가야 환상에서 영감을 받아 중앙 티베트로 여행을 떠나 수천 명의 사람들 앞에서 설법을 하기도 했다.[4]
2. 2. 쿰붐 사원
1715년, 청 강희제는 켈상 갸초의 쿰붐 사원 입장을 후원했다. 켈상 갸초는 쿰붐 사원에서 가완 로산 템페 갬첸(Gawain Losang Tempa Gyaltsen)으로부터 사미계를 받고[15] "켈상 갸초"라는 법명을 받았다.[18] 이 입장은 라장 칸이 임명한 달라이 라마 예셰 갸초에 대한 공개적인 도전이었다.[2]2. 3. 준가르의 침입
준가르가 1717년 티베트를 침략하여 예셰갸초를 폐위시키고 라싸를 점령했다.[19] 준가르는 "가짜 달라이 라마를 폐하고, 정통 달라이 라마를 즉위시킨다"고 선전하며 라싸로 향했는데, 이때 라싸 사람들은 스스로 성문을 열고 그들을 맞이했다고 전해진다.[19] 이 전투에서 라장 칸은 전사했고, 티베트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었던 꼭두각시 달라이 라마 6세 예셰 갸초는 폐위되었다.[19] 그러나 준가르 군대는 곧 라싸 전역을 약탈하고 강간하며 살해하기 시작하여 티베트인들의 호의를 잃었다.[5]많은 닝마파와 본교 승려들이 처형되었고, 준가르 관리들을 방문한 티베트인들은 혀를 내밀도록 강요받았다. 이는 준가르인들이 그 사람이 끊임없이 만트라를 염송했는지 알아내기 위함이었는데, 이는 혀를 검거나 갈색으로 만든다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그들은 많은 마법 만트라를 염송하는 닝마파와 본교 승려들을 골라낼 수 있었다.[7]
3. 달라이 라마 즉위
강희제는 1718년 소규모 원정대가 살윈 강 전투에서 준가르 군에게 대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1720년 대규모 군대를 보내 티베트의 오이라트인들을 정벌했다. 이 원정을 통해 1720년 오이라트 인들은 티베트에서 완전히 축출되었으며, 켈상 갸초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1720년 라싸의 포탈라궁에서 정식으로 즉위하여 '켈상 갸초'라는 이름을 받았다.[8][9]
1720년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은 츠앙의 폴하네(Polhane)와 서티베트 총독 강첸네(Gangchenney)의 지휘 하에 있는 티베트군과 함께 준가르를 축출했다. 이들은 쿰붐 잠팔린 사원(타얼사, Kumbum Monastery)에서 켈상 갸초를 데리고 왔고, 1720년 또는 1721년에 포탈라 궁에서 7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다.
강희제는 티베트를 청나라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라싸에 청나라 관리(암반)와 군대를 주둔시켰으며, 이 제도는 청나라(1912년)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1][12]
3. 1. 청나라의 원정
강희제는 1718년 소규모 원정대가 살윈 강 전투에서 준가르 군에게 대패했다는 소식을 듣고,[16] 1719년부터 1720년에 걸쳐 대규모 원정대를 보내 티베트의 오이라트인들을 정벌하고자 했다. 이 원정으로 1720년 오이라트인들은 티베트에서 완전히 축출되었고, 켈상 갸초가 왕위에 올랐다.[8] 그는 1720년 라싸의 포탈라궁에서 정식으로 즉위했다.[9]1720년 청나라의 티베트 원정은 츠앙의 폴하네(Polhane)와 서티베트 총독 강첸네(Gangchenney)의 지휘 하에 있는 티베트군과 함께 준가르를 축출했다.[8] 이들은 쿰붐 잠팔린 사원(타얼사, Kumbum Monastery)에서 켈상 갸초를 데리고 왔고,[5] 1720년 또는 1721년에 포탈라 궁에서 7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다.[9]
청나라 군은 켈상 갸초를 데리고 라싸를 점령했다.[19] 이것이 1720년 청나라의 티베트 평정이다.[19][20]
3. 2. 포탈라 궁 즉위

1720년, 켈상 갸초는 라싸의 포탈라 궁에서 정식으로 7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였다.[9] 원정대가 준가르를 티베트에서 축출한 해이기도 하다.[8] 5대 판첸 라마 롭상 예시는 그에게 '켈상 갸초'라는 이름을 주었다.[3]
강희제는 티베트를 청나라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라싸에 청나라 관리(암반)와 군대를 주둔시켰다.[11] 이 제도는 청나라(1912년)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12]
준가르 철수 후, 티베트를 점령한 청나라, 칭하이 호슈트(호슈트), 몽골 연합군과 티베트 현지 귀족들은 켈상 갸초를 공식적인 달라이 라마로 추대하였다.[19]
1720년, 12세가 된 켈상 갸초는 포탈라 궁에서 새로운 달라이 라마로서 옥좌에 올랐고,[15] 판첸 5세(2세) 로상 예셰 밑에서 다시 수계하여 공식적으로 "로상 켈상 갸초"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다.[15]

4. 달라이 라마의 통치와 개혁
1720년, 강희제는 오이라트 인들을 티베트에서 축출하고 게샹갸초를 왕위에 올렸다. 그는 라싸의 포탈라 궁에서 정식으로 즉위했으며, 판첸 라마에 의해 공인받아 '게샹갸초'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강희제는 티베트를 청나라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라싸에 청나라 대사관을 설치하여 티베트 내정에 간섭했는데, 이 제도는 청나라 멸망 때까지 지속되었다.
1723년, 칭하이 호슈트의 최고 원로였던 로그산단진(羅桑丹增, Losang Danjin)은 티베트 왕위를 청나라에 빼앗길 것을 우려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옹정제는 이를 진압하고 1725년부터 1732년까지 칭하이 병합을 시작으로 티베트 분할을 추진했다. 옹정제가 실시한 티베트 분할(시짱(西藏), 칭하이, 감숙, 사천(四川), 운남의 5개 지역 구분)은 중화인민공화국까지 거의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16]
옹정제는 달라이 라마가 중국과 티베트 무역에서 징수하던 조세 징수 권한을 연간 400만 량의 배상금과 교환하여 청나라에 넘겨주도록 했다.[16] 그럼에도 달라이 라마의 권위는 티베트 전역과 티베트 불교 사찰 네트워크를 통해 계속 발휘되었다.[16]
1728년 라사에 들어간 폴라네는 청나라 군대가 도착하자 반역자들을 처형했다. 이후 청나라는 두 명의 암반(駐藏大臣, Amban)을 라사에 파견하여 폴라네를 수반으로 재편된 라사 정부를 감시했다. 또한 판첸 라마를 달라이 라마의 균형 세력으로 삼고자 짱의 통치자로 정했다. 달라이 라마 7세는 1735년 라사로 귀환했지만, 폴라네 정권 하에서는 주로 종교적 역할을 수행했다.
1751년, 건륭제는 달라이 라마 7세의 정권 재발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2] 달라이 라마 7세는 간덴포탄(甘丹頗章)을 행정부로 하는 달라이 라마 정권의 수장이 되었다.[23] 1753년, 달라이 라마 7세는 포탈라 궁전 내에 체 학당을 설립하고, 놀부린카(Norbulingka)의 켈산 궁을 건설했다.[15]
달라이 라마 7세는 불교 학자이자 시인이었으며, 그의 청렴한 삶은 많은 티베트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15]
4. 1. 캉첸네와 폴하네의 갈등
1727년, 청나라에 의해 임명된 티베트 정부의 수반 캉첸네(Gangchenney)가 중국 반대파 정부 장관들에 의해 암살되었다. 이 사건으로 켈상 갸초의 아버지, 아내, 자매도 살해당했다. 이는 폴하네(Polhane)와 그의 군대, 그리고 강희제의 군대가 민족주의자들을 제압하고 처형하는 내전(1727-1728)으로 이어졌다.[8] 켈상 갸초는 반란에 가담하지 않았지만, 폴하네에 의해 고향인 캄의 리탕으로 유배되었고, 1729년 3월 그곳에 도착했다. 그는 1735년 포탈라 궁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8]4. 2. 카샤그(Kashag) 설립
1751년, 건륭제는 칙령을 발표하여 섭정(Desi)의 직위를 폐지하고, 티베트 정부를 4인으로 구성된 카샤그(Kashag, 또는 장관회의)의 손에 넘기고, 암반에게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했다.[10] 켈상 갸초는 티베트 정부를 관리하기 위해 장관회의인 카샤그(Kashag)를 구성하고, 한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섭정직을 폐지했다. 이로써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의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가 되었다.[3][10]1750년 이후 티베트의 '왕' 또는 통치자는 더 이상 중국에 의해 임명되지 않았고, 달라이 라마는 캄(Kham)과 암도(Amdo), 라다크(Ladakh)를 제외한 티베트의 군주로 암묵적으로 인정받았다.[1] 건륭제는 주장대신 살해 사건에 관한 달라이 라마 7세의 처리를 높이 평가하고, 1751년 이후 주장대신의 감시를 조건으로 7세 달라이 라마 정권의 재발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22]
1751년, 달라이 라마 7세 아래에서 다시 4명의 대신(칼룬)으로 구성된 내각(카샤, Kashag)이 조직되고,[15] 달라이 라마는 간덴포탄(甘丹頗章)을 행정부로 하는 달라이 라마 정권의 수장이 되었다.[23] 그러나 달라이 라마의 권력은 5세 때와 비교하여 매우 제한적인 것이었다.[15]
4. 3. 종교 및 교육 활동
켈상 갸초는 포탈라 궁에 학교를 설립하고 노르불링카에 새로운 궁전을 건설하는 등 교육과 종교 발전에 힘썼다. 그는 뛰어난 학자이자 저술가였으며, 특히 밀교에 정통했다.5. 평가
켈상 갸초는 티베트 불교의 중요한 지도자였지만, 그의 치세는 정치적으로 복잡한 시기였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5. 1. 긍정적 평가
켈상 갸초는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도 티베트 불교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종교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수많은 저술을 남기고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등 학문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5. 2. 부정적 평가
켈상 갸초의 치세는 청나라의 간섭이 심화되고 티베트의 자율성이 크게 훼손된 시기였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강희제는 티베트를 청 제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하였고, 라싸에 청나라 대사관을 세워 티베트 내정에 간섭하였다.[2] 이 대사관에는 황제의 명을 받드는 관리들과 병사들이 상주하였으며, 이 제도는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2] 그는 청나라의 꼭두각시 군주였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참조
[1]
웹사이트
The Seventh Dalai Lama, Kelzang Gyatso
http://treasuryofliv[...]
2021-10-20
[2]
서적
Mullin 2001
[3]
웹사이트
Seventh Dalai Lama Kelsang Gyatso
https://web.archive.[...]
2015-07-16
[4]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the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5]
서적
Tibet and its History
[6]
서적
Mullin 2001
[7]
서적
Bon and Bonpos
[8]
서적
Mullin 2001
[9]
서적
Mullin 2001
[10]
서적
The Dalai Lamas of Tibet
Roli & Janssen, New Delhi
2004
[11]
서적
Tibet
[12]
서적
Tibetan Civilization
[13]
서적
The Institution of the Dalai Lama
[14]
서적
2010
[15]
웹사이트
歴代ダライ・ラマ法王
http://www.tibethous[...]
[16]
서적
2010
[17]
서적
2010
[18]
서적
2000
[19]
서적
2000
[20]
서적
2010
[21]
서적
2002
[22]
서적
2001
[23]
서적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