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대 달라이 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대 달라이 라마 룽독갸초는 1805년 캄 지역에서 태어나 1807년 제8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공식 인정받았다. 1810년 포탈라 궁에서 즉위식을 거행하여 간덴 포드랑 정부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7대 판첸 라마에게 사미계를 받았다. 1812년 영국 탐험가 토마스 매닝이 라싸를 방문하여 룽독갸초를 알현하고 그의 외모와 기품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룽독갸초는 불교 경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였으나, 1815년 9세의 어린 나이에 몬람 기도 축제 중 감기에 걸려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라이 라마 - 제6대 달라이 라마
제6대 달라이 라마는 1683년 인도에서 태어나 5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1697년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으나, 자유분방한 삶을 살다가 1706년 사망했으며, 그의 시와 노래는 티베트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달라이 라마 - 제2대 달라이 라마
제2대 달라이 라마 게뒨 갸초는 1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으로 인정받아 겔룩파 사상을 체계화하고 대중화에 기여하며 겔룩파 세력 확장과 티베트 불교의 신성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티베트 불교 지도자이다. - 1815년 사망 -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는 나폴레옹 휘하 그랑 아르메의 참모총장으로 활약하며 프랑스 제국 원수까지 오른 프랑스 군인이었으나, 나폴레옹 몰락 후 루이 18세의 신하가 되었다가 나폴레옹의 귀환 후 의문사했다. - 1815년 사망 - 프란츠 안톤 메스머
프란츠 안톤 메스머는 동물 자력이라는 이론을 통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한 독일의 의사로, 그의 이론은 메스머리즘을 낳고 훗날 최면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805년 출생 -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이자 언론인으로, 1831년 노예제 즉각 폐지를 주장하는 주간지 《리베레이터》를 창간하고, 미국 반노예제 협회를 설립하여 노예제 폐지 운동을 이끌었다. - 1805년 출생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제9대 달라이 라마 | |
---|---|
기본 정보 | |
![]() | |
종교 | 티베트 불교 |
존칭 | 그의 성하, 제9대 달라이 라마 |
재위 기간 | 1810년–1815년 |
이전 | 제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 |
이후 | 제10대 달라이 라마, 출트림 갸초 |
아버지 | 텐진 초꾱 |
어머니 | 돈드룹 돌마 |
출생일 | 1805년 12월 01일 |
출생지 | 캄, 티베트 단 초코르 |
사망일 | 1815년 3월 6일 |
사망지 | 위짱, 티베트 |
티베트어 | ལུང་རྟོགས་རྒྱ་མཚོ་ |
와일리 표기 | lung rtogs rgya mtsho |
중국어 간체 | 隆朵嘉措 |
중국어 병음 | Lóngduǒ Jiācuò |
일본어 | ルントク・ギャツォ |
2. 탄생과 배경
룽독갸초는 1805년 12월 1일 티베트 동부 캄 지역의 단촉코르(Dan Chokhor 또는 Denchokor) 수도원 근처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 텐진 초키용(Tendzin Chokyong)과 어머니 돈드럽 돌마(Dondrub Dolma)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과 고아였다는 설이 엇갈린다.[1][3][4]
2. 1. 환생 인정 과정
룽독갸초는 1805년 1월에 상서로운 기운과 함께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많은 자료에서 그가 고아라고 증거하지만, 다른 자료에는 그의 부모가 있었다고도 기록되어 있다.[1] 8대 달라이 라마 사후, 룽독갸초는 라싸 근처의 사원으로 불려가 다른 후보자들과 함께 승려들에게 환생자 여부를 심사받았다. 그는 8대 달라이 라마를 보좌했던 승려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7대 판첸 라마에게도 적합 판정을 받았다.[1] 1807년, 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의 환생으로 공식 인정받았다.[3] 1808년, 머리를 깎고 '룽독갸초'라는 법명을 받았다.[1]3. 달라이 라마 즉위
1807년, 룽독갸초는 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의 환생자로 인정받아 라싸로 이동하여 성대한 의식과 함께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였다.[3] 1793년 건륭제가 제정한 금병척첨 제도는 9대 달라이 라마 즉위에는 이용되지 않았다.[5] 1810년, 포탈라 궁에서 즉위식을 거행하고 공식적으로 9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였으며, 7대 판첸 라마 로상 템페 니마에게 사미계를 받아 "로상 완축 룬톡 갬초"라는 법명을 얻었다.[3]
룽독갸초는 법에 대한 큰 관심과 예리한 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긴 기도문과 아비사마야랑카라, 마드야마카, 아비다르마코사의 근본 경전을 암기했다고 전해진다.[1] 그의 스승으로는 응왕 냔닥(66대 간덴 트리파), 장춥 촉펠(후에 69대 간덴 트리파가 됨), 예셰 갸초 등이 있었다.[1]
3. 1. 섭정 정치
1810년, 9대 달라이 라마는 포탈라 궁전의 금좌에 앉아 간덴 포드랑 정부의 지도자가 되었다. 같은 해 고령의 섭정 타스크 응왕 곤포가 사망하였고, 데모 툴쿠 응왕 로장 둡텐 지그메 갸초(1819년 사망)가 그 뒤를 이어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1812년 라싸에 도착한 영국 탐험가 토마스 매닝은 당시 일곱 살이었던 9대 달라이 라마와의 만남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라마의 아름답고 흥미로운 얼굴이 내 모든 관심을 사로잡았다. 그는 잘 교육받은 왕족 아이의 단순하고 꾸밈없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의 얼굴은 내 생각에 감동적으로 아름다웠다. 그는 명랑하고 쾌활한 성격이었다. 라마와의 면담에 나는 극도로 감명을 받았다. 나는 이상한 감정에 휩싸여 울 뻔했다."[1]
7대 판첸 라마는 1812년 9월 22일 라싸에서 9대 달라이 라마에게 수계식을 베풀었다.[1] 룬톡 갸초는 법에 대한 큰 관심과 예리한 지성을 가지고 있어서, 긴 기도문과 아비사마야랑카라, 마드야마카, 아비다르마코사의 근본 경전을 암기했다고 한다.[1] 응왕 냔닥(66대 간덴 트리파), 장춥 촉펠(후에 69대 간덴 트리파가 됨), 예셰 갸초도 그의 스승이었다.[1]
8대 달라이 라마는 정치에 관심이 적어 섭정 등에게 권력 독점을 허용했기 때문에, 9대 달라이 라마 이후에도 한동안 실권 계승을 둘러싼 암투가 계속되었다.[7]
3. 2. 토마스 매닝과의 만남
1812년, 라싸를 방문한 영국 탐험가 토마스 매닝은 7세의 룽독갸초를 알현하였다.[6] 매닝은 룽독갸초의 아름다운 외모와 총명함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기록하였다. 매닝은 룽독갸초가 잘 교육받은 왕족 아이의 단순하고 꾸밈없는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명랑하고 쾌활한 성격이라고 묘사했다. 또한 매닝은 룽독갸초와의 만남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릴 뻔했다고 회고했다.[6]4. 생애와 업적
1810년, 룽독갸초는 포탈라 궁의 금좌에 앉아 간덴 포드랑 정부의 지도자가 되었다. 같은 해 고령의 섭정 타스크 응왕 곤포가 사망하였고, 데모 툴쿠 응왕 로장 둡텐 지그메 갸초(1819년 사망)가 그의 뒤를 이었다.[1]
1812년 라싸에 도착한 영국 탐험가 토마스 매닝은 당시 일곱 살이었던 9대 달라이 라마와의 만남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라마의 아름답고 흥미로운 얼굴이 내 모든 관심을 사로잡았다. 그는 잘 교육받은 왕족 아이의 단순하고 꾸밈없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의 얼굴은 내 생각에 감동적으로 아름다웠다. 그는 명랑하고 쾌활한 성격이었다. 라마와의 면담에 나는 극도로 감명을 받았다. 나는 이상한 감정에 휩싸여 울 뻔했다.'[1]
1812년 9월 22일 7대 판첸 라마는 라싸에서 룽독갸초에게 수계식을 베풀었다.[1] 룽독갸초는 불교 경전에 대한 큰 관심과 예리한 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긴 기도문과 아비사마얄랑카라, 마드야마카, 아비다르마코사의 근본 경전을 암기했다고 전해진다.[1] 그의 스승으로는 응왕 냔닥(66대 간덴 트리파), 장춥 촉펠(후에 69대 간덴 트리파가 됨), 예셰 갸초 등이 있었다.[1]
5. 요절과 사후
룽독갸초는 1815년 몬람 기도 축제를 주재하던 도중 감기에 걸렸는데,[1] 폐렴이었다는 설도 있다.[9] 같은 해 3월 6일 선종했다.[3] 그의 유해는 포탈라 궁의 황금 사리함에 안치되었으며,[4] 티베트 전역은 8년 후 새로운 달라이 라마가 인정될 때까지 애도했다.[10]
6. 평가 및 의의
9대 달라이 라마 룽톡 갸초는 어린 나이에 요절했지만, 달라이 라마 제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매년 열리는 몬람 기도 축제에서 감기에 걸려 1815년 3월 6일 티베트에서 사망했다.[1] 그의 시신은 포탈라 궁의 금으로 된 사리함에 안치되었다.[1]
9대 달라이 라마의 짧은 통치 기간은 19세기 초 티베트의 정치적 혼란과 권력 투쟁을 반영한다. 8대 달라이 라마는 정치에 관심이 적어 섭정 등에게 권력을 독점하게 하였고, 이는 9대 달라이 라마 이후에도 한동안 실권 계승을 둘러싼 암투로 이어졌다.[7]
6. 1. 9대 달라이 라마 시대의 티베트와 청나라
8대 달라이 라마 잠펠 갸초의 환생자로 인정받은 소년은 1807년 행렬을 따라 티베트의 수도 라사로 가서 성대한 인증식을 거행했다.[3] 1793년 건륭제가 제정한 금병척첨 제도는 9대 달라이 라마 즉위에 이용되지 않았다.[5] 1810년 라사의 포탈라궁에서 즉위식이 거행되어 공식적으로 9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했고, 7대 판첸 라마 로상 템페 니마에게 사미계를 받아 "로상 완축 룬톡 갬초"라는 법명을 얻었다.[3] 이 해에 고령의 대리직(명대직) 로상 템페 굼포가 사망하고, 다음 대리직에는 테모 활불 가완 로상 투프텐 지그메 갬초가 지명되었다.[3]참조
[1]
웹사이트
The Ninth Dalai Lama, Lungtok Gyatso
http://www.treasuryo[...]
treasuryoflives.com
2011-02-01
[2]
문서
ガンデンポタンは1642年にダライラマを国主としてチベットに成立したダライラマ政権の行政機関。
[3]
웹사이트
歴代ダライ・ラマ法王
http://www.tibethous[...]
[4]
웹사이트
The Ninth Dalai Lama, Lungtok Gyatso
http://www.treasuryo[...]
treasuryoflives.com
2011-02-01
[5]
서적
手塚 2010
[6]
서적
Brown 2010
[7]
서적
山口 1988
[8]
웹사이트
The Ninth Dalai Lama, Lungtok Gyatso
http://www.treasuryo[...]
treasuryoflives.com
2011-02-01
[9]
서적
デエ, 今枝訳 2005
[10]
서적
Khetsun Sangpo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