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네는 말리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200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13세기에는 말리 제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송가이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번성했다. 젠네는 니제르 강과 바니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특히 소금 중계항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5년 프랑스 식민 정부가 몹티를 건설하면서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잃었으나, 현재도 매주 월요일 열리는 시장과 젠네 대모스크 등 문화 유산을 통해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젠네의 건축물은 198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젠네 - 젠네 모스크
말리 젠네에 위치한 젠네 모스크는 수단-사헬 양식의 진흙 건축물로, 13세기 건립 후 1907년 재건축되었으며, 아프리카의 중요한 이슬람 교육기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말리와 젠네를 상징하는 건축물로서 매년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보수 행사가 열린다. - 말리의 세계유산 - 팀북투
팀북투는 11세기 투아레그족 야영지에서 시작하여 사하라 사막 교역 중심지로 번성, 이슬람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16세기 이후 쇠퇴, 현재는 사막 교역 거점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이슬람 과격 단체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했다. - 말리의 세계유산 - 아스키아의 무덤
아스키아의 무덤은 송가이 제국의 초대 황제 아스키아 모하메드가 메카 순례 후 건설하기 시작한 건축물로, 그의 유해가 안치된 집과 같은 구조의 무덤이자 사라진 문화적 전통과 문명의 증거로서 세계유산에 등재된 유적이다. - 말리의 도시 - 가오
말리 동부 니제르 강변에 위치한 가오는 7세기경 건설되어 사하라 종단 무역 중심지이자 송가이 제국 수도로 번성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와 이슬람 무장 조직 활동을 거쳐 현재 역사적 건축물과 사막 기후, 니제르 강 기반 농업 및 문화를 간직한 도시이다. - 말리의 도시 - 세구
세구는 말리 중부 니제르강 우안에 위치한 도시로, 밤바라 제국의 수도였으며 다양한 민족의 고유 문화와 도자기 산업, 니제르 강 축제가 유명하고 어업, 목축, 농업을 중심으로 Office du Niger를 통해 농업 생산량 증대에 힘쓰고 있다.
젠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젠네 |
공식 이름 | 해당 없음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고유 이름 (밤바라어, 로마자 표기) | Jène |
별칭 | 313명의 성인의 도시 (Ville aux 313 saints) |
유형 | 코뮌 및 도시 |
지리 | |
위치 | 말리 몹티 주 젠네 권 |
면적 | 302 km² (코뮌) |
도시 지역 면적 | 48.5 헥타르 |
고도 | 278 m |
행정 | |
국가 | 말리 |
주 | 몹티 주 |
권 | 젠네 권 |
인구 | |
2009년 인구 | 32,944명 |
인구 밀도 | auto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해당 없음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해당 없음 |
이미지 | |
![]() | |
![]() |
2. 역사
젠네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 1977년과 1981년에 수잔과 로데릭 맥킨토시가 실시한 발굴 조사에 따르면, 현재 도시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제네-제노(옛 젠네)는 기원전 200년경에 처음으로 정착되었다.[12] 제네-제노는 서기 300년에서 850년 사이에 성벽으로 둘러싸인 대규모 도시 단지로 발전하였다.[12]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는 약 5만 명의 주민이 거주했다.[12]
1280년에 코이 쿰보로 왕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젠네에 장대한 모스크를 건설했다.[27] 13세기 중에 말리 제국에 병합되었다. 1443년에는 투아레그족에, 1470년에는 송가이 제국에 차례로 정복되었다. 이 송가이 제국의 지배 시기가 젠네의 전성기로 여겨진다.[27] 젠네는 강을 통해 팀북투와 직접 연결되며, 비투의 금광과 로베와 부레로 향하는 교역로의 출발지라는 유리함을 갖추고 있는 곳으로서 중요한 소금 중계항이기도 했다.
1591년에는 모로코가 제네를 점령했지만, 1670년에는 밤바라 제국(Bamana Empire)의 영토가 되었다. 1819년에는 마시나 제국(Massina Empire)의 플라니족 지배자 세쿠 아마두(Seku Amadu)에게, 1862년에는 투쿨루르 제국(Toucouleur Empire)의 우마르 탈(Umar Tall)에게 정복되었다. 그리고 1893년에는 루이 아시나르 군대에 항복하고 프랑스령 수단에 병합되었다. 16세기 내내 번영해온 젠네는 17세기 중엽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해졌지만,[28] 1818년 이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인 셰후 아흐마두 로보가 이곳을 점령하여 그가 금지한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을 추방했다. 제네의 도시사는 잇따른 정복의 역사였지만, 동시에 그 역사를 통해 흑인 아프리카에서 이슬람 확장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28]
1828년 이곳을 방문한 프랑스 탐험가 르네 카이에(René Caillié)도 그 번영을 기록하고 있다.[29] 그러나 프랑스령이 되자, 나이저강 본류의 편리성에 주목한 프랑스는 제네에서 130km 하류의 바니강과 나이저강 본류의 합류 지점에 새로운 몹티시를 1905년에 건설했고,[30] 이후 젠네는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잃었다.
2. 1. 초기 역사
젠네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 1977년과 1981년에 수잔과 로데릭 맥킨토시가 실시한 발굴 조사에 따르면, 현재 도시에서 남동쪽으로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제네-제노(옛 젠네)는 기원전 200년경에 처음으로 정착되었다.[12] 제네-제노는 서기 300년에서 850년 사이에 성벽으로 둘러싸인 대규모 도시 단지로 발전하였다.[12]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는 약 5만 명의 주민이 거주했다.[12]1280년에 코이 쿰보로 왕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젠네에 장대한 모스크를 건설했다.[27] 13세기 중에 말리 제국에 병합되었다. 1443년에는 투아레그족에, 1470년에는 송가이 제국에 차례로 정복되었다. 이 송가이 제국의 지배 시기가 젠네의 전성기로 여겨진다.[27] 젠네는 강을 통해 팀북투와 직접 연결되며, 비투의 금광과 로베와 부레로 향하는 교역로의 출발지라는 유리함을 갖추고 있는 곳으로서 중요한 소금 중계항이기도 했다.
1591년에는 모로코가 제네를 점령했지만, 1670년에는 밤바라 제국(Bamana Empire)의 영토가 되었다. 1819년에는 마시나 제국(Massina Empire)의 플라니족 지배자 세쿠 아마두(Seku Amadu)에게, 1862년에는 투쿨루르 제국(Toucouleur Empire)의 우마르 탈(Umar Tall)에게 정복되었다. 그리고 1893년에는 루이 아시나르 군대에 항복하고 프랑스령 수단에 병합되었다. 16세기 내내 번영해온 젠네는 17세기 중엽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해졌지만,[28] 1818년 이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인 셰후 아흐마두 로보가 이곳을 점령하여 그가 금지한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을 추방했다. 제네의 도시사는 잇따른 정복의 역사였지만, 동시에 그 역사를 통해 흑인 아프리카에서 이슬람 확장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28]
1828년 이곳을 방문한 프랑스 탐험가 르네 카이에(René Caillié)도 그 번영을 기록하고 있다.[29] 그러나 프랑스령이 되자, 나이저강 본류의 편리성에 주목한 프랑스는 제네에서 130km 하류의 바니강과 나이저강 본류의 합류 지점에 새로운 몹티시를 1905년에 건설했고,[30] 이후 제네는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잃었다.
2. 2. 교역 중심지
젠네는 서기 200년경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고, 13세기에는 사하라 지역 교역상들에 의해 도시로 발전했다. 14~15세기에는 말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5세기 말에는 송가이 제국의 황제 손니 알리에 의해 정복되기도 했다. 젠네는 강을 통해 팀북투와 직접 연결되며, 비투의 금광과 로베와 부레로 향하는 교역로의 출발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중요한 소금 중계항 역할을 했다.1471년, 젠네는 소니 알리(Sonni Ali)에게 정복당했다. 바니 강의 홍수가 도시를 보호했지만, 소니 알리(Sonni Ali)는 강력한 수상 함대를 동원하여 도시를 봉쇄했다. 송가이 지배하에 젠네는 중니제르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하는 무역 경제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로 기능했으며, 인구는 약 4만 명이었다.
16세기 내내 번영했던 젠네는 1591년 모로코에 점령되기도 했지만, 17세기 중엽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해졌다.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젠네와 팀북투는 무역 중계지 역할 외에도 이슬람 연구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818년 이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인 셰후 아흐마두 로보가 이곳을 점령하여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을 추방했다.
1861년경에 투쿨로르의 황제 알 하지 우마르가 젠네를 정복했으며, 1893년에는 프랑스가 점령했다. 프랑스 점령 이후, 북쪽의 나이저강과 바니 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몹티가 상업적 기능을 대신하게 되면서 젠네는 농산물 교역의 중심지로서도 빛을 잃고 쇠퇴했다.

2. 3. 여러 제국의 지배
젠네는 13세기에 말리 제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17세기 토착 연대기에는 도시의 지위에 대한 상반되는 기록이 있다. 알-사디는 그의 저서 『수단 연대기(Tarikh al-Sudan)』에서 말리인들이 제네를 99번 공격했지만 정복하지는 못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또 다른 주요 연대기인 『파타시 연대기(Tarikh al-fattash)』는 제네의 지도자를 말리 황제의 겸손한 봉신으로 묘사한다. 제네는 아마도 조공을 바치는 때때로 봉신이었을 것이며, 도시 국가의 군사력과 경제력이 이 지역의 대부분 무역로를 장악한 강력한 말리 국가와 대립하는 갈등과 상업적 강압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을 것이다.14~15세기에는 말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280년에 코이 쿰보로(Koi Koumboro) 왕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제네에 장대한 모스크를 건설했다. 13세기 중에 말리 제국에 병합되었다. 1443년에는 투아레그족에, 1470년에는 송가이 제국에 차례로 정복되었다. 15세기 말에는 송가이 제국의 황제 손니 알리에 의해 정복되기도 했다. 1471년, 젠네는 소니 알리(Sonni Ali)가 팀북투를 점령한 직후 정복당했다. 포위 공격은 약 6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바니 강의 홍수는 도시를 보호했지만, 알리가 강력한 수상 함대를 동원하여 도시를 봉쇄할 수 있도록 했다. 술탄은 포위 공격 중 사망했고, 그의 어린 아들은 송가이와 평화를 맺었으며 그의 어머니는 소니 알리와 결혼하여 제국 내에서 도시의 높은 정치적 지위를 확립했다. 젠네는 소니 알리의 후계자 소니 바루(Sonni Baru)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아스키아 무하마드(Askia Muhammad)를 지지하지 않았지만, 그의 권력 장악에 곧 순응했다.
송가이 지배하에 젠네는 중니제르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영하는 무역 경제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로 기능했으며, 인구는 약 4만 명이었다. 이 송가이 제국의 지배 시기가 제네의 전성기로 여겨진다.
1591년에는 모로코가 제네를 점령했지만, 1670년에는 밤바라 제국(Bamana Empire)의 영토가 되었다. 모로코(Morocco) 술탄 아흐마드 알 만수르(Ahmad al-Mansur)는 금 수출을 통제하려 했고, 1590년에 개종한 스페인인 주다르 파샤(Judar Pasha)가 이끄는 4,000명의 용병으로 구성된 군대를 사하라 사막을 건너 보냈다. 1591년 톤디비 전투(Battle of Tondibi)에서 송가이 제국(Songhai Empire)이 패배하면서 제국은 붕괴되었다.

송가이 제국의 몰락에도 불구하고, 제네는 번영하는 무역과 학문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알-사디(al-Sadi)의 연대기에 따르면, 모로코 정복 70년 후인 1655년에 제네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16세기 내내 번영해온 젠네는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젠네와 팀북투는 무역 중계지의 역할 외에도 이슬람 연구의 중요한 중심지이기도 했다.
1819년에는 마시나 제국(Massina Empire)의 플라니족 지배자 세쿠 아마두(Seku Amadu)에게, 1818년 이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인 셰후 아흐마두 로보가 이곳을 점령하여 그가 금지한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을 추방했다.
1861년경에 투쿨로르의 황제 알 하지 우마르가 젠네를 정복했으며, 1862년에는 투쿨루르 제국(Toucouleur Empire)의 우마르 탈(Umar Tall)에게 정복되었다. 1893년에는 루이 아시나르 군대에 항복하고 프랑스령 수단에 병합되었다. 제네의 도시사는 잇따른 정복의 역사였지만, 동시에 그 역사를 통해 흑인 아프리카에서 이슬람 확장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1893년에는 프랑스가 점령했다. 그 후 북쪽의 나이저강과 바니 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몹티가 이곳의 상업적 기능을 대신하게 되어 농산물 교역의 중심지로서도 빛을 잃고 쇠퇴했다.
프랑스령이 되자, 니제르강 본류의 편리성에 주목한 프랑스는 제네에서 130km 하류의 바니강과 니제르강 본류의 합류 지점에 새로운 모프티(Mopti)시를 1905년에 건설했고, 이후 제네는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잃었다. 하지만 현재에도 여전히 교역 거점으로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는 가장 중요한 시장이 매주 월요일마다 열리고 있다.
2. 4. 프랑스 식민 시대
16세기 내내 번영해온 젠네는 17세기 중엽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해졌지만, 1818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인 셰후 아흐마두 로보가 이곳을 점령하여 그가 금지한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을 추방했다. 1861년경에 투쿨로르의 황제 알 하지 우마르가 젠네를 정복했으며, 1893년 4월에는 프랑스가 점령했다. 그 후 북쪽의 나이저강과 바니 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몹티가 이곳의 상업적 기능을 대신하게 되어 농산물 교역의 중심지로서도 빛을 잃고 쇠퇴했다.모로코 술탄 아흐마드 알 만수르는 금 수출을 통제하려 했고, 1590년에 개종한 스페인인 주다르 파샤가 이끄는 군대를 사하라 사막을 건너 보냈다. 1591년 톤디비 전투에서 송가이 제국이 패배하면서 제국은 붕괴되었다.
송가이 제국의 몰락에도 불구하고, 제네는 번영하는 무역과 학문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알-사디의 연대기에 따르면, 모로코 정복 70년 후인 1655년에 제네는 무슬림들의 중요한 시장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
모로코 점령의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는 영토를 통제하는 물류는 곧 너무 어려워졌고, 1630년까지 사아디 왕조는 통제력을 상실했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중앙 집권적 왕국의 붕괴는 안보 부족과 상인과 학자들의 이동 감소로 이어졌다. 제네는 그 후 수 세기 동안 여러 번 손바뀜을 거쳤다. 이 도시는 1670년부터 1818년까지 밤바라 제국의 세구 왕국의 일부였고, 1818년부터 1861년까지 풀라 지도자 세쿠 아마두가 세운 마시나 제국의 일부였다.
1828년, 무슬림으로 변장한 프랑스 탐험가 르네 카이예가 제네를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책 ''팀북투로 가는 중앙 아프리카 여행''에 자세한 묘사를 발표했다.
1893년 프랑스군이 이 도시를 점령했다. 프랑스 기자 펠릭스 뒤부아는 점령 2년 후인 1895년에 이 도시를 방문했다. 그는 자신의 여행에 대한 기록과 함께 많은 그림을 그의 책 ''팀북투: 신비의 도시''에 출판했다. 이 책과 1897년에 출판된 프랑스어판을 통해 제네와 그 건축 양식이 유럽과 미국에 알려지게 되었다.
프랑스는 모프티를 지역 수도로 정했기 때문에 제네의 상대적 중요성은 감소했다.
2. 5. 독립 이후
젠네는 1818년 마키나의 풀라니족 통치자 셰후 아흐마두 로보에게 점령되어 이슬람교 예배의식에 따르는 사람들이 추방당했다.[28] 1861년경에는 투쿨로르의 황제 알 하지 우마르에게 정복되었고,[28] 1893년에는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28] 이후 젠네는 북쪽의 나이저강과 바니 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몹티에 상업적 기능을 넘겨주고 농산물 교역 중심지로서 쇠퇴했다.[28]프랑스령이 된 후, 프랑스는 니제르강 본류의 편리성에 주목하여 젠네에서 130km 하류의 바니강과 니제르강 본류의 합류 지점에 새로운 몹티시를 1905년에 건설했고,[30] 이후 젠네는 지역 중심 도시의 지위를 잃었다.[30]
하지만 현재에도 여전히 교역 거점으로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는 가장 중요한 시장이 매주 월요일마다 열리고 있다.[29] 또한 젠네 대모스크 등의 문화 유산을 찾아 관광객도 많이 찾게 되었다.[29]
3. 지리
젠네는 말리 바마코에서 북동쪽으로 약 398km, 모프티에서 남서쪽으로 약 76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도시는 니제르 강과 바니 강 사이의 충적평야, 내륙 니제르 삼각주(Inland Niger Delta)의 남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젠네는 약 70헥타르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홍수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둑길로 접근할 수 있는 섬이 된다. 바니 강은 도시에서 남쪽으로 약 5km 떨어져 있으며, 페리로 건널 수 있다.
행정 구역상으로 이 도시는 302제곱킬로미터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와 주변 10개 마을(발레(Ballé), 디아볼로(Diabolo), 곰니쿠보예(Gomnikouboye), 카마라가(Kamaraga), 케라(Kéra), 니알라(Niala), 소알라(Soala), 신(Syn), 벨링가라(Velingara), 옌레다(Yenleda))를 포함하는 말리 공동체(Communes of Mali)의 제네 공동체(commune)에 속한다.[1][4] 인구 수치는 이 마을들을 포함한 공동체 전체의 수치이다. 제네 공동체는 북쪽으로 우루 알리(Ouro Ali) 공동체와 데라리(Derary) 공동체, 남쪽으로 단두구 파칼라(Dandougou Fakala) 공동체, 동쪽으로 파칼라(Fakala) 공동체와 마디아마(Madiama) 공동체, 서쪽으로 폰도리(Pondori) 공동체와 접한다. 이 도시는 모프티 주(Mopti Region)의 8개 행정 구역 중 하나인 제네 세르클(Djenné Cercle)의 행정 중심지(chef-lieu)이다.[4]
젠네는 니제르 강의 지류인 바니 강에 있는 88헥타르의 섬에 건설된 도시로, 바니 강을 따라 23km에 걸친 제방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바마코와 모프티를 잇는 간선도로로 나가려면 나룻배를 이용해야 한다.
젠네는 사헬 기후에 속하며, 연 강수량은 400mm에서 600mm이다.
3. 1. 기후
일 년 내내 덥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된다. 가장 더운 달인 4월과 5월의 일평균 최고 기온은 약 40°C이다. 6월부터 9월까지는 기온이 약간 낮지만 여전히 매우 덥고, 연 강수량의 거의 대부분이 이 기간에 집중된다. 12월과 1월의 겨울철에만 일평균 최고 기온이 32°C 이하로 내려간다. 12월부터 3월까지는 사하라 사막에서 따뜻하고 건조한 북동풍인 하르마탄이 불어온다. 강하게 불 때는 먼지가 많은 바람으로 시야가 줄어들고 지속적인 연무가 발생한다. 연 강수량은 약 550mm이지만 해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8월이 일반적으로 가장 강우량이 많은 달이다.[5] 젠네는 사헬 기후에 속하며, 연 강수량은 400mm에서 600mm이다.3. 2. 홍수
젠네는 바니 강이 양쪽으로 갈라지는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어, 우기가 찾아오면 도시 전체가 강 속의 섬 형태로 고립된다. 고질적인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젠네의 150km 상류에 위치한 바니강 유역에 댐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 댐의 건설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제네에서는 바니 강과 니제르 강이 만들어내는 연례 홍수가 7월에 시작되어 10월에 최고조에 달한다. 이 기간 동안 제네 마을은 섬이 되고, 마을 동쪽을 지나는 수만-바니 수로가 채워지면서 바니 강과 니제르 강을 연결한다. 홍수 높이의 해마다 변화는 범람하는 토지 면적의 큰 변화로 이어지며, 이는 지역 농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1970년대 초에 시작된 가뭄은 니제르 강과 바니 강의 유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유량 감소가 강우량 감소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바니 강에 대한 영향이 특히 심각했다. 강의 연간 방류량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경험했던 양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바니 강은 제네와 모프티 사이에서 홍수철(7월 중순부터 12월까지)에만 쉽게 항해할 수 있다. 그 해의 다른 시기에는 모래톱이 수면 가까이에 있다. 프랑스 탐험가 르네 카이예가 1828년 3월에 작은 보트를 타고 모프티로 여행을 했을 때, 그는 "모래톱을 지나기 위해 여러 번 배를 하역해야 했습니다."
4. 인구
젠네 주민들은 주로 송하이어의 방언인 제네 치니어를 사용하지만, 사용되는 언어는 이 지역의 다양성을 반영한다. 주변 마을에서는 보조어, 풀풀데어, 또는 밤바라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지역에는 송가이족, 풀라니족, 밤바라족, 소닌케족, , 도곤족, 모시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5. 문화
주요 관광 명소는 대모스크와 웅장한 정면을 가진 2층짜리 어도비(흙벽돌) 가옥들이다. 가장 잘 알려진 집은 마을의 전통적인 지도자를 배출하는 마이가 가문의 집이다. 투쿨르 양식의 현관이 있는 이 오래된 건물은 도시 동쪽의 알가스바 지구에 있다. 르네 카예는 1828년에 이 집을 방문했다. 다른 명소로는 전설에 따르면 도시 건설 당시 희생된 타파마 제네포의 무덤과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3세기까지 중요한 거주지였던 제네제노 유적이 있다.
매주 월요일에 열리는 시장은 주변 지역에서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모이는 곳으로 주요 관광 명소이다. 또한 모스크 맞은편 안뜰에서는 매일 여성 시장이 열린다.
이 도시는 바마코에서 도로로 약 8시간 거리에 있다. 몹티로 가는 버스는 제네에서 29km 떨어진 삼거리에서 승객들을 내려준다.
대모스크는 비무슬림 관광객에게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5. 1. 건축
제네는 수단식 건축으로 유명하다. 대 모스크를 포함하여 마을의 거의 모든 건물은 햇볕에 말린 흙 벽돌로 만들어지고 회반죽으로 덮여 있다.[16]
전통적인 평평한 지붕의 2층짜리 집들은 작은 중앙 안뜰을 중심으로 지어지며, 필라스터와 같은 부벽과 현관 위의 난간을 이루는 정교한 첨탑 배열을 갖춘 인상적인 정면을 가지고 있다.[19] 정면은 ''토론(toron)''이라고 불리는 로니에 야자수 막대기 다발로 장식되어 벽에서 약 60cm 정도 돌출되어 있으며, 간편한 비계 역할도 한다. 지붕선에서 도기 파이프가 뻗어나와 지붕의 빗물이 벽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1900년 이전에 지어진 일부 주택은 투쿨르(Toucouleur) 양식으로, 두 개의 큰 부벽 사이에 거대한 지붕이 있는 현관이 있다. 최근에 지어진 많은 2층짜리 주택들은 모로코식(Moroccan-style)이다.
어도비 벽돌은 나무틀과 흙과 잘게 썬 짚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강둑에서 만들어진다. 1930년대까지는 ''제네-페레이(djenné-ferey)''라고 불리는 손으로 성형한 원통형 벽돌이 사용되었다. 모든 벽돌 공사는 흙과 쌀겨 혼합물로 구성된 보호층의 회반죽으로 덮여 있다. 제네에서는 어도비 건물을 최소 격년으로 다시 회반죽칠해야 한다. 1984년 마을 조사에서 건축적으로 중요한 2층 건물 134채가 확인되었지만, 1995년에는 마을의 세계유산 지위로 인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목록에 있는 건물의 30%가 철거되었고, 대부분이 완전히 새로운 어도비 건물로 대체되었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네덜란드 정부는 마을의 오래된 건물 약 100채를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
1980년대 초 외국 원조 단체들은 공용 수도꼭지와 개인 주택 모두에 식수를 공급하는 시스템에 자금을 지원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독일 정부는 폐수가 토양에 스며들 수 있도록 각 가정 외부에 자갈로 채워진 도랑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다. 2008년까지 1,880가구가 이러한 지역 침투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1906년 프랑스 식민 정부는 이전 모스크 자리에 현재의 대모스크 건설을 지시했다. 현재 모스크의 설계에 식민 정부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펠릭스 뒤부아(Félix Dubois)는 프랑스식 설계에 격분했지만, 장-루이 부르주아(Jean-Louis Bourgeois)는 내부 아치를 제외하고는 프랑스의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설계는 "기본적으로 아프리카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네 구시가지의 상징은 대모스크이다. 1280년경, 이슬람으로 개종한 젠네 왕 코와 코암보로(Koa Koamboro)가 궁전을 허물고 그 자리에 장대한 모스크를 건립한 것이 기원이다. 1819년 젠네가 세크 아마두(Seku Amadu)의 마시나 제국에 정복당했을 때, 모스크는 새로운 것을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그 후, 프랑스 식민지 총독 윌리엄 메를로 퐁티(William Merlaud-Ponty)는 이슬람 지도자 알마미 송포(Almamy Sonfo)의 요청을 받아들여 코이 코운보로(Koi Koumboro) 왕의 장대한 모스크를 재현하기로 1906년 10월 결정했다. 이 재건 공사는 다음 해 10월 1일에 완료되었다. 지붕이 100개의 기둥으로 지탱되고 있는 대모스크는 깊이 75m, 높이 20m이며, 1000명의 신도를 수용할 수 있다. 표면이 진흙으로 만들어져 있어, 마을 주민들이 매년 나누어서 다시 칠하는 작업을 한다.
thumb
주요 관광 명소는 대모스크와 웅장한 정면을 가진 2층짜리 어도비(흙벽돌) 가옥들이다. 가장 잘 알려진 집은 마을의 전통적인 지도자를 공급하는 마이가 가문의 집이다.
5. 2. 이슬람 문화
제네 대모스크는 젠네 구시가지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1280년경 이슬람으로 개종한 젠네 왕 코와 코암보로가 궁전을 허물고 그 자리에 건설한 것이 기원이다. 1819년 마시나 제국에 정복당했을 때 철거되었으나, 1906년 프랑스 식민 정부가 이슬람 지도자 알마미 송포의 요청을 받아들여 재건을 지시, 1907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모스크 설계에 식민 정부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펠릭스 뒤부아는 세 개의 첨탑이 종탑과 닮았다고 보았으나, 장-루이 부르주아는 내부 아치를 제외하고는 프랑스의 영향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
주요 관광 명소는 대모스크와 웅장한 정면을 가진 2층짜리 어도비(흙벽돌) 가옥들이다. 특히, 마을의 전통적인 지도자를 배출하는 마이가 가문의 집은 투쿨르 양식의 현관이 있는 오래된 건물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도시 건설 당시 희생된 타파마 제네포의 무덤과 제네제노 유적이 있다.
매주 월요일에는 주변 지역에서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모이는 시장이 열리며, 모스크 맞은편 안뜰에서는 매일 여성 시장이 열린다. 대모스크는 비무슬림 관광객에게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thumb
5. 3. 유네스코 세계유산
제네 고도시는 말리 제네 시에 위치한 고고학적 및 도시적 총체로, 제네제노(Djenné-Djeno), 함바르케톨로(Hambarkétolo), 카니아나(Kaniana), 토놈바(Tonomba) 등 네 곳의 고고학 유적지를 포함한다. 1988년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20]주요 관광 명소는 대모스크와 웅장한 정면을 가진 2층짜리 어도비(흙벽돌) 가옥들이다. 가장 잘 알려진 집은 마을의 전통적인 지도자를 공급하는 마이가 가문의 집이다. 투쿨르 양식의 현관이 있는 이 오래된 건물은 도시 동쪽의 알가스바 지구에 있다. 르네 카예는 1828년에 이 집을 방문했다. 다른 명소로는 전설에 따르면 도시 건설 당시 희생된 타파마 제네포의 무덤과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13세기까지 중요한 거주지였던 제네제노 유적이 있다.
매주 월요일에 열리는 시장은 주변 지역에서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모이는 곳으로 주요 관광 명소이다. 또한 모스크 맞은편 안뜰에서는 매일 여성 시장이 열린다. 이 도시는 바마코에서 도로로 약 8시간 거리에 있다. 몹티로 가는 버스는 제네에서 29km 떨어진 삼거리에서 승객들을 내려준다. 대모스크는 비무슬림 관광객에게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젠네의 특징적인 건축물 군은 1988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원래는 "젠네 시가지"(The City of Djenne / Ville de Djenné)라는 명칭으로 1979년에 신청이 이루어졌으나 심의가 연기되었고, 1987년에 명칭을 변경하여 재신청되었다.
전통적인 건축물들은 진흙으로 만들어졌으며, 벽에는 나무 조각 "테롱"(terron)이 짜여져 있다. 건축가 아브두라예 투레(Abdoulaye Touré)의 연구에 의해, 파사드는 부모, 자녀 등 가족 구성원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점의 수는 자녀의 수를 나타낸다.
thumb
주택은 일반적으로 2층 건물이며, 투쿨루르 양식 또는 모로코 양식의 파사드를 갖추고 있다. 오늘날 세계유산 등록에 의해 보호가 의무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멘트로 지어진 주택이 증가하여 옛 거리의 모습을 변화시키고 있다.
정세 불안을 이유로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위기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제40차 세계유산위원회, 2016년).
6. 경제
젠네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상업 및 무역 중심지였으나, 20세기에 들어 상대적으로 고립된 위치 때문에 상업이 쇠퇴하였다. 현재 지역 경제는 주로 농업, 어업, 축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니제르 강과 바니 강의 연례 강우량과 홍수에 크게 의존한다. 그 결과,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심각한 가뭄은 이미 빈곤한 도시에 큰 고난을 안겨주었다.
이 도시는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이며, 쿠란 학교는 지역 외부에서 온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
관광은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11월부터 3월까지 건조하고 시원한 겨울철에 활발하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월요일 시장을 방문하고 5개의 호텔/게스트하우스 중 한 곳에서 하룻밤만 머문다. 2007년에는 약 15,000명의 방문객이 이 도시를 방문했으며, 그중 4,200명이 숙박했다.[21] 이 중 3분의 1이 조금 넘는 방문객이 프랑스 출신이었고, 나머지는 많은 다른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2005년 관광은 도시 경제에 약 4억 5천만 CFA 프랑(68만 7천 유로)을 기여했다.[21]
이 도시는 많은 국가의 기여로 상당한 양의 외국 원조를 받았다. 캐나다 정부는 식수 공급 인프라 조성을 지원했고, 미국은 시스템 유지를 위해 자금을 지원했다.[22] 네덜란드 정부는 오래된 어도비 건물 일부를 복원하고 회반죽칠하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고, 독일 정부는 위생 시설 개선 계획에 자금을 지원했다. 모스크 수리는 아가 칸 문화 신탁이 자금을 지원했다.[23]
참조
[1]
논문
Plan de Securite Alimentaire Commune Urbaine de Djenné 2006–2010
http://www.csa-mali.[...]
Commissariat à la Sécurité Alimentaire, République du Mali, USAID-Mali
[2]
웹사이트
Villes anciennes de Djenné
https://whc.unesco.o[...]
[3]
논문
Resultats Provisoires RGPH 2009 (Région de Mopti)
République de Mali: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4]
논문
Communes de la Région de Mopti
http://www.matcl.gov[...]
Ministère de l’administration territoriale et des collectivités locales, République du Mali
[5]
웹사이트
for Mopti
http://www.worldweat[...]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2010-02-22
[6]
간행물
Village of the dammed
http://www.geographi[...]
2010-03-03
[7]
논문
Moyen Bani plains development program: Summary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ttp://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Fund
[8]
문서
A flow of 1 m³/s corresponds to 0.0316 km³ per year. 424 m³/s is equivalent to 13.4 km³/y
[9]
논문
Politique Nationale de l'eau
http://www.dnh-mali.[...]
République du Mali, Ministère des Mines, de l’énergie et de l’eau: Direction Nationale de l'Hydraulique
2010-02-27
[10]
웹사이트
Mali: 33.6 billion FCFA and an additional 76.2 billion FCFA for the development of irrigation
http://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2010-03-04
[11]
논문
Mali: Irrigation Development Programme – Phase I, Summary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http://www.afdb.org/[...]
African Development Bank
2010-03-04
[12]
서적
(서적 제목 정보 부족)
[13]
서적
(서적 제목 정보 부족)
[14]
서적
(서적 제목 정보 부족)
[15]
서적
Mines of Silver and Gold in the Americas
Variorum, Ashgate Publishing Limited
[16]
뉴스
Djenné : Une tour de la Mosquée s'effondre
http://www.maliweb.n[...]
Maliweb
[17]
서적
(서적 제목 정보 부족)
[18]
논문
Conservation of Djenné : On site review report
http://www.archnet.o[...]
Aga Khan Trust for Culture
[19]
웹사이트
Informations n° 17, automne 2004: L'assainissement de la ville de Djenné : où en est le projet KfW ?
http://www.djenne-pa[...]
Djenné Patrimoine
2012-09-19
[20]
웹사이트
Old Towns of Djenné
https://whc.unesco.o[...]
2021-12-22
[21]
뉴스
Tourisme à Djenné: choyer la poule aux œufs d'or
http://www.essor.ml/[...]
L'Essor
2010-02-20
[22]
논문
Synergy for Better Drinking Water Management in Djenné
http://www.usaid.gov[...]
USAID
2010-03-20
[23]
웹사이트
Aga Khan Trust for Culture leading reconstruction works in Djennè
http://ismailimail.w[...]
2010-02-21
[24]
논문
Plan de Securite Alimentaire Commune Urbaine de Djenné 2006–2010
http://www.csa-mali.[...]
Commissariat à la Sécurité Alimentaire, République du Mali, USAID-Mali
[25]
웹사이트
Common and Fundamental Operational Datasets Registry: Mali
http://cod.humanitar[...]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6]
논문
Resultats Provisoires RGPH 2009 (Région de Mopti)
République de Mali: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27]
서적
ジェンネ
明石書店
2015-11-15
[28]
서적
ジェンネ
明石書店
2015-11-15
[29]
서적
ジェンネ
明石書店
2015-11-15
[30]
서적
モプチ
明石書店
2015-11-15
[31]
웹사이트
Mali’s Old Towns of Djenné on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whc.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