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은 평양시 통일거리에 위치했던 대형 아치형 구조물로, 1999년 통일대축전과 범민족대회를 기념하여 기공, 2001년에 준공되었다. 이 탑은 한복을 입은 두 명의 여성이 한반도 지도를 형상화한 구체를 받드는 모습으로, 조국통일 3대 원칙,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민족통일대강령을 상징하며, 남북 및 해외 동포들의 통일을 염원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2024년 1월, 김정은은 이 탑을 "눈엣가시"로 여기고 철거를 지시했으며, 위성사진 분석 결과 같은 달 23일 철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거된 건축물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는 남북 관계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운영되다가 북한 측에 의해 폭파되었으며, 이후 폐지되었다.
  • 락랑구역 - 과학기술전당
    과학기술전당은 2016년 김정은 참석 하에 준공된 북한의 과학기술 시설로, 과학기술 강국 건설을 목표하며 젊은 세대의 과학기술 관심 증진에 기여하고자 원자 구조 외관 디자인과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갖추고 과학기술관, 과학탐구관 등을 포함하고 있지만,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해 실제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기여도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각품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은 평양 보통강변에 건립되어 한국 전쟁 승리를 기념하고 북한 주민의 이념적 단결을 도모하는 구조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각품 - 만수대대기념비
    만수대대기념비는 김일성, 김정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평양 만수대 언덕에 세워진 기념물로, 두 지도자의 동상과 조선혁명박물관 모자이크 벽화, 군상 등으로 구성되어 북한 주민과 외국인 관광객의 참배 장소이자 개인 숭배 논란의 대상이다.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2014년의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2014년의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위치평양직할시
완공일2001년 8월
해체일2024년 1월
헌정 대상조국통일 3대 헌장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
전국적 통일 10대 강령
너비61.5 m
높이30 m
명칭
한국어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한자祖國統一三大憲章記念塔
로마자 표기Joguk Tongil Samdae Heonjang Ginyeomtap

2. 건립 배경 및 준공

1999년 8월 14일 평양직할시에서 열린 통일대축전과 제10차 범민족대회를 기념하기 위하여 통일거리에서 기공식을 했으며, 2001년 8월 14일에 준공되었다.[17] 평양시남포시를 잇는 청년영웅도로의 출발점인 평양시 통일거리 입구에 세워졌다.

당초 광복절 55주년인 2000년 8월 15일까지 완공할 계획이었으나,[5] 2000년 남북 정상 회담 직후 위치와 디자인을 변경하여 2001년에 완공되었다.[5] 김정일은 조선 통일 문제의 진전을 위해 이 탑의 건설을 지시했다.[12]

2001년 북측은 이 기념탑에서의 8.15 공동행사를 제의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북측의 통일방안인 고려연방제와 10대 강령을 지지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로 기념탑에서의 행사에 남측 민간 대표단이 참석하는 것을 막았다.[17]

3. 외형 및 상징

100000m2) 부지에 아치문 모양으로 세워진 이 탑은 한복을 입은 두 명의 여성이 3대 헌장이 새겨진 한반도 지도가 그려진 구를 마주 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했다.[18] 기념탑은 60kg이 넘는 화강암 2,560개를 붙여 제작되었으며, 높이는 30m, 너비는 6·15 남북 공동선언을 의미하는 61.5m이다.[19][11] 조각상 양쪽에는 각 부조 2개, 총 4개가 놓여 있고, 기념탑 내부에는 남과 북, 해외 동포들과 관련 단체들이 보낸 기념 석재 740여개가 붙여져 있다.[20]

3. 1. 디자인

한복|조선옷한국어을 입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의미하는 두 명의 여성이 '3대 헌장'이 새겨진 한반도 지도가 그려진 구를 마주 들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였으며, 기념탑은 60kg이 넘는 화강암 2,560개를 붙여 제작되었다.[18] 높이는 조국통일3대헌장을 상징하는 30m, 너비는 6·15 남북 공동선언을 의미하는 61.5m이다.[19] 조각상 양쪽에는 각 부조 2개, 총 4개가 놓여 있고 기념탑 내부에는 남과 북,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과 관련 단체들이 보낸 기념 석재 740여개가 붙여져 있다.[20]

기념탑은 남과 북을 상징하는 두 명의 한국 여성이 재통일된 한국 지도[원]을 담은 구체를 공동으로 받치기 위해 앞으로 기울어진 모습으로 구성되었다. 이 구체는 조국 통일 3대 원칙,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한국어, 민족통일대강령의 세 헌장을 상징한다. 아치 하단 양쪽에는 독립운동 장면을 묘사한 청동 부조가 있었다. 구조물의 받침대에는 다양한 개인, 단체 및 국가의 통일과 평화를 위한 메시지가 새겨져 있었다.

4. 조국통일3대헌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7년 1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주요 기관지의 신년 공동사설을 통해 '3대헌장'을 처음으로 공식 언급했다.[21] 조국통일 3대헌장은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에서 천명된 조국통일 3대 원칙(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 1980년 10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차 당대회에서 제시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채택된 전민족 대단결 10대 강령을 의미한다.[21] 이 가운데 남과 북이 합의한 내용은 '조국통일 3대 원칙' 하나뿐이다.[22]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은 햇볕 정책이 절정에 달했을 때 완공되었는데, 이는 두 국가 간의 갈등 위험을 줄이고 북한과의 화해를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이었다. 기념탑의 폭 61.5m는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을, 높이 30m는 조국 통일 3대 원칙을 각각 상징한다.[11]

4. 1. 조국통일 3대 원칙

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 등 조국통일 3대원칙은 1961년 9월 노동당 제4차 대회에서 제시했던 '자주·평화·민주'의 3개 원칙에 기초한 것으로, 7.4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23]

  •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해야 한다.
  •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해야 한다.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은 남과 북을 상징하는 전통 의상(조선옷한국어)을 입은 두 명의 한국 여성[2]이 재통일된 한국 지도[원]을 담은 구체를 공동으로 받치기 위해 앞으로 기울어진 모습으로 구성되었다. 이 구체는 조국 통일 3대 원칙,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한국어, 그리고 ''민족통일대강령''의 세 헌장의 상징이다. 기념탑의 폭 61.5m는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을, 높이 30m는 조국 통일 3대 원칙을 각각 상징한다.[11]

4. 2. 고려민주연방공화국 방안

김일성은 1991년 신년사에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을 제시했다. 이는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두 개의 제도, 두 개의 정부에 기초한 연방제 방식, 즉 낮은 형태의 연방제 통일 형태를 의미한다. 잠정적으로는 연방공화국의 지역적 자치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장차 중앙정부의 기능을 높여 나가는 방향에서 연방제 통일을 점진적으로 완성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24] 북측은 2016년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44주년을 맞아 각종 매체를 통해 연방제 통일방안이 한반도 통일의 '유일한 방도'라고 강조했다.[25]

4. 3. 전민족 대단결 10대 강령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강성산 총리가 보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전민족 대단결로 자주·평화·중립적 통일국가 창립
2민족자주정신에 기초하여 대단결
3공존·공영·공리를 도모하며 통일 위업에 모든 것을 복종시키고 단결
4동족 간 분열·대결을 조장시키는 일체의 정쟁을 중지하고 단결
5북침·남침, 승공과 적화를 하지 않고 신뢰·단합
6민주주의를 기본으로 주의·주장이 다르다고 배척하지 말고 단결
7개인과 단체가 소유한 물질적·정신적 재산 보호로 민족대단결 도모에 이용
8남북한 접촉·왕래·대화 보장
9남북·해외 동포 연대성 강화
10민족대단결과 조국통일 위업에 공헌한 사람들을 예우

[19]

북측은 이 강령을 제의하면서 외세의존정책 포기, 주한미군 철수의지 표명, 외국군과의 합동 군사연습 중지, 미국의 핵우산 탈피 등 4개 항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다.[23]

5. 철거

김정은은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수도 평양의 남쪽관문에 꼴불견으로 서 있는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을 철거"하는 등 "공화국 민족역사에서 '통일', '화해', '동족'이라는 개념 자체를 완전히 제거해버려야 한다"며 철거를 지시했다.[26] NK뉴스가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1월 19일 촬영된 사진에서 포착됐던 기념탑은 1월 23일 오전 촬영된 영상에서 사라졌다.[26]

2023년 12월, 김정은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미국 군사 훈련 증가와 일부 군사 자산의 한반도 인근 배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을 미국의 "전진 기지이자 핵무기고"라고 비난했다.[6] 당시 김정은은 평화적 수단을 통한 남북 통일 가능성을 배제하고 북한이 남북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발표했다.[6]

2024년 1월, 김정은은 평화적 통일 목표를 포기하려는 추가 조치로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의 철거를 지시했다.[7] 같은 해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김정은은 기념탑을 "흉물"이라고 칭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을 개정하여 남한을 "주적이며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하라고 지시했다.[8]

위성 사진에 따르면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은 2024년 1월 19일에서 23일 사이에 철거되었다.[9][8]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이 철거되었다는 소식은 2024년 1월 24일 대한민국 통일부에 의해 확인되었다.[10]

김정은조선로동당 총비서는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연설하여, 대한민국을 "제1의 적대국이자 불변의 주적"이라고 표현했다. 한국을 통일의 대상이 아닌 적대적인 국가로 간주하는 방침으로 전환하고[13], 동시에 기념탑을 "눈엣가시"라며 철거할 방침을 밝혔다.[14]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1월 19일 시점에서는 기념탑이 확인되었으나, 1월 23일 시점에서는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되었다.[15] 다음날인 24일에는 한국 통일부가 기념탑의 철거를 파악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16]

6. 사진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13-07
[2] 서적 Inside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3] 웹사이트 Monument to the Three Charters for National Reunification https://kcnawatch.or[...] 2015-11-29
[4] 웹사이트 North Korea has demolished its monument to reunification but it can't fully erase the dream https://theconversat[...] 2024-02-06
[5] 뉴스 Arch nemesis: Kim Jong Un dismantled a monument — and his grandfather's legacy https://www.nknews.o[...] 2024-01-30
[6] 웹사이트 North Korea to launch new spy satellites, build drones, says war inevitable https://www.reuters.[...] Reuters 2023-12-31
[7] 뉴스 North Korea's Kim calls for South to be seen as "primary foe", warns of war https://www.reuters.[...] 2024-01-16
[8] 뉴스 North Korea tears down monument symbolizing union with the South - report https://www.reuters.[...] 2024-01-23
[9] 뉴스 North Korea demolishes symbolic unification arch, satellite imagery suggests https://www.nknews.o[...] NK News
[10] 웹사이트 통일부 "북한, 평양서 '조국통일 기념탑' 철거" https://imnews.imbc.[...] 2024-01-24
[11] 웹사이트 북 통일정책의 집대성 '조국통일 3대헌장' http://www.tongilnew[...] 2017-08-04
[12] 서적 Inside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3] 웹사이트 韓国大統領 北朝鮮の方針転換「反民族的集団みずから認めた」 {{!}} NHK https://www3.nhk.or.[...] 2024-01-16
[14] 웹사이트 金正恩氏、統一記念塔の撤去を表明 「目障り」の表現も https://www.cnn.co.j[...]
[15] 뉴스 南北統一の記念碑破壊か 北朝鮮、専門サイト報道 https://www.sankei.c[...] 2024-01-23
[16] 뉴스 통일부 "북한, 평양서 '조국통일 기념탑' 철거" https://imnews.imbc.[...] 2024-01-24
[17] 문서 북한의 `조국통일 3대헌장'이란 http://nk.chosun.com[...] NK chosun 20180103133637
[18] 문서 준공 앞둔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 http://legacy.www.ha[...] 한겨레 20180104013714
[19] 문서 북 통일정책의 집대성 '조국통일 3대헌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80620124725
[20] 문서 북, '3대헌장 기념탑' 준공식 가져 http://nk.chosun.com[...] NK chosun 20180620101817
[21] 문서 北김정은 '항구적 핵보유국' 선언…정부 "비핵화 않겠다는 뜻"(종합3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103133808
[22] 문서 통일대축전에서 통일부장관 해임까지 http://www.peoplepow[...] 세상을 바꾸는 힘, 참여연대 20180104192600
[23] 문서 '조국통일 3대헌장'이란 무엇인가 http://legacy.www.ha[...] 한겨레 20180103133554
[24] 문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이란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80103193414
[25] 문서 北매체 "연방제통일이 조선통일의 유일한 방도" 강조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0103133442
[26] 웹인용 통일부 "북한, 평양서 '조국통일 기념탑' 철거" https://imnews.imbc.[...] 2024-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