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은 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로, 여성들을 당의 정책에 따라 동원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참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1945년 북조선민주녀성동맹으로 창설되어, 남조선민주녀성동맹과 통합하여 조선민주녀성동맹으로 개칭되었고, 201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여성의 정치 참여와 성 평등을 목표로 했으나, 김일성 일가의 권력 강화에 이용되기도 했다. 30세 이상 전업주부들을 주로 대상으로 하며, 강연, 예술 활동, 선동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당의 지침을 전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 권리 - 북한의 낙태
    북한의 낙태는 과거 출산 장려 정책으로 금지되었으나, 1993년 합법화 이후 인구 감소 우려로 다시 금지되는 등 정책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강제 낙태와 관련된 인권 문제로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는 일본의 비군사화와 민주화를 목표로 일본 점령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1945년 포츠담 선언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를 최고사령관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진행했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는 1945년 임화, 김남천 등 KAPF 소장파가 결성한 문학 단체로, 좌우 통합을 표방했으나 좌익 강경파의 반발과 KAPF 분리 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어 해방 직후 문학 운동 방향 논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
개요
깃발
깃발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의 휘장은 [[조선로동당]]의 상징과 [[백두산]], [[김일성화]]를 보여준다.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의 휘장은 조선로동당의 상징 위에 백두산과 김일성화를 나타낸다.
명칭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
로마자 표기Joseon Sahoejuui Nyeoseong Dongmaeng
이전 명칭조선민주녀성동맹
로마자 표기 (이전 명칭)Joseon Minju Nyeoseong Dongmaeng
약칭녀맹
설립일1945년 11월 18일
유형대중 조직
목적여성 권리
본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중구 중성동
회원수200,000–250,000 (2018년 추정)
주요 간행물'조선녀성'
모체 조직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직
위원장장춘실
부위원장홍선옥
정명희
왕옥환
부국장박창숙
이전 조직
전신북조선녀성동맹
추가 정보
비고최용건의 아내

2. 역사

1945년 11월 18일 '''북조선민주녀성동맹'''으로 창설되었으며, 1951년 1월 20일 남조선민주녀성동맹과 통합하여 '''조선민주녀성동맹'''으로 개칭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녀성동맹의 기원을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이 1926년 12월에 조직했다는 「반일부녀회」라고 주장한다.[18] 초대 위원장은 김정일의 어머니인 김정숙이었다. 2016년 11월 조선민주여성동맹 제6차 대회에서 현재의 명칭인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으로 변경했다.[19]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45~1950)

1945년 11월 18일,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주도로 북조선민주녀성동맹이 창설되었다. 이는 북한 지역에서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대중조직이었다.[18] 초기에는 자발적으로 형성된 지역 여성 단체들을 통제하고, 성 평등 법률 제정과 여성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다.

1946년 북조선 지방 선거에서는 여성의 인민위원회 참여를 독려했으며,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와 김일성의 지도력 강화를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표면적으로는 한반도 전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남한 여성들과의 연관성은 거의 없었다.

1947년까지 회원 수는 150만 명에 달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비율
농민 여성약 73%
노동자5.3%
지식인0.97%
주부 등 기타20%

[18]

2. 2. 남북 통합과 한국 전쟁 (1951~1953)

1951년 1월 20일 남조선민주녀성동맹과 통합하여 조선민주녀성동맹으로 명칭을 변경했다.[18] 이 단체는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여성들을 전쟁 지원 및 복구 사업에 동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2. 3.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 (1953~1970)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당시 명칭 조선민주여성동맹)은 1953년부터 1970년까지 전후 복구 사업과 사회주의 경제 건설에 여성을 동원하는 데 주력했다. 1960년대부터는 직장 생활을 하지 않는 30세 이상 전업주부들을 주요 가입 대상으로 삼았다.[15] 이 시기 녀성동맹은 다른 나라의 여성 단체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나, 점차 전체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조선민주여성동맹은 여성의 노동자 계급으로서 사회주의 경제 건설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활동을 했다.[16]

2. 4. 김성애 시대와 권력 강화 (1971~1998)

1971년, 김일성의 처 김성애가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녀성동맹은 김일성 일가의 권력 강화에 활용되었다. 김성애는 녀성동맹을 통해 자신의 아들들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내세우려 시도하기도 했다. 김정일 집권 이후 녀성동맹의 중요성은 다소 감소했다.[15]

2. 5. 변화와 도전 (1998~현재)

1990년대 경제난과 2000년대 초반 경제 개혁의 영향으로 녀성동맹의 이념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시장 활동에 참여하는 주부들이 늘어나면서 녀성동맹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2016년 11월 조선민주여성동맹 제6차 대회에서 현재의 명칭인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으로 변경했다.[19] 현재도 북한의 주요 대중조직 중 하나로 기능하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역할과 위상이 변화하고 있다.

3. 기능

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로서 여성들을 사회주의 어머니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6] 당원이 아닌 30세 이상 전업주부들을 대상으로 조직되어, 이들의 사상 교육과 조직 생활을 관리한다. 강연회, 예술 소조 활동, 영화 관람, 선동 모임, 건설 현장·생산 현장·군대 지원 동원 등 다양한 활동을 조직한다.[6]

조선로동당 또는 다른 대중 조직의 회원이 아닌 여성, 즉 집 밖에서 일하지 않는 여성에게 회원이 할당된다.[6] 공식적으로는 다른 어떤 대중 조직에도 속하지 않은 여성들을 대표하지만, 실제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내린 결정을 전달하고 정치 동원을 위해 사용된다.

중앙위원회는 조선로동당 근로단체부의 지도를 받으며, 도·시(구역)·군·리(동) 위원회와 인민반 등 하부 조직을 통해 운영된다.[6] 행정 구역별로 위원회가 있으며, 이는 ''''(마을)에서 수준까지 이어진다. 태안 작업 체계에 따라, 작업장 책임 비서 아래에 동맹 대표가 있으며, 이 대표는 다시 작업장 당 위원회에 책임을 진다.

중앙위원회는 연 2회 전원회의를 개최한다.[9] 기관지 《조선녀성》을 발행하여 당의 정책을 선전하고 여성 교양 사업을 진행한다.[10]

4. 역대 위원장

대수이름임기
1박정애? ~ 1965년 (김용범의 부인)
2김옥순1965년 ~ 1971년 (최광의 부인)
3김성애1971년 ~ 1998년 (김일성의 부인)
4천연옥1998년 ~ 2000년
5박순희2000년 ~ 2008년 3월 (박정애의 딸)
6로성실2008년 3월 ~ 2014년 2월[20]
7김정순2014년 2월 ~ 2017년 2월, 2021년 6월 ~ 2024년 6월
8장춘실2017년 2월 ~ 2021년 6월
9전향순2024년 7월 ~ 현재


참조

[1]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2] 서적 Women and Revolution in Africa, Asia, and the New Worl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3] 서적 North Korea: Markets and Military Ru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North Korea Today: Strategic and Domestic Issu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enter for Korean Studies
[5] 웹사이트 Women's union congress held http://www.naenara.c[...] Naenara 2016-11-21
[6] 웹사이트 Union of Women https://www.koreatim[...] 2016-12-15
[7] 웹사이트 Elderly Women Should Stop Complaining and Start Participating https://www.dailynk.[...] 2016-12-07
[8] 웹사이트 Workers' Organizations http://www.nkleaders[...] 2019-02-25
[9]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CQ Press
[10] 서적 Patriarchy in East Asia: A Comparative Sociology of Gender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Korea and the Imperialists: In Search of a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12] 서적 North Korean Policy Elites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2004-06
[13] 웹사이트 6th Session of the 13th SPA Held http://www.nkleaders[...] 2019-01-29
[14]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Kazakhstan – Zimbabwe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15] 웹사이트 북한자료 > 민주여성동맹 http://nkd.or.kr/pds[...] 2022-01-31
[16] 뉴스 朝鮮民主女性同盟第6回大会 http://naenara.com.k[...]
[17] 뉴스 "党に忠実な革命家に"北朝鮮で女性同盟大会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21-06-22
[18] 문서 북한자료 > 민주여성동맹(여맹) http://nkd.or.kr/pds[...] 탈북자동지회
[19] 뉴스 北 여맹,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으로 개칭 http://www.tongilnew[...] 2018-09-17
[20] 뉴스 북한, 여맹 위원장 6년 만에 로성실→김정순 교체 http://www.dailynk.c[...] DailyNK 2014-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