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애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김일성의 비서로 일하다가 한국 전쟁 중 김일성과 결혼했다. 김일성의 후처로서 김정일, 김경희를 돌보았고, 김평일 등 자녀를 낳았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북한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1970년대 후반 이후 공식 석상에서 사라졌다. 1997년 김일성 3주기 행사에 참석한 이후 자취를 감췄으며, 2018년 대한민국 통일부에 의해 사망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배우자 - 홍일천
홍일천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북한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일과의 결혼과 이혼 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김형직사범대학 학장을 지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배우자 - 리설주
리설주는 김정은의 부인으로, 함경북도 청진시 출신으로 추정되며 중국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은하수관현악단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고, 2012년 공식적으로 소개된 후 2018년부터 '여사' 칭호를 사용하며 활발한 외교 활동을 하고 있다. - 최용건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최용건 - 고려공산당
고려공산당은 1920년대 초 러시아와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인 공산주의 정당으로, 한인사회당에서 시작하여 코민테른의 승인을 받았으나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로 분열되어 자유시 참변을 겪은 후 해체되었으며, 조선공산당 창당에 영향을 주었고 초기 공산주의 및 민족 해방 운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 남포시 출신 - 노광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노광철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되었으며, 북미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을 수행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무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 남포시 출신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김성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존경하는 영부인 |
본명 | 김성애 |
로마자 표기 | Gim Seongae |
출생일 | 1924년 12월 29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강서군 |
사망일 | 2014년 9월 (89세)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강계시 |
배우자 | 김일성 (1952년 결혼, 1994년 사망) |
자녀 | 김경진 (딸) 김평일 (아들) 김영일 (아들) |
정당 | 조선로동당 |
직책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부인 | 재임 시작: 1963년 12월 17일 재임 종료: 1974년 8월 15일 김일성 주석 영부인 이전: 직책 신설 이후: 2018년까지 직책 폐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 재임 시작: 1993년 재임 종료: 1998년 4월 25일 김정일 최고사령관 집권 시기 이전: 공석 이후: 천연옥 |
조선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 재임 시작: 1971년 재임 종료: 1976년 김일성 주석 집권 시기 이전: 김옥선 이후: 공석 |
기타 | |
가족 관계 | 오빠: 김광협 남동생: 김성호, 김성갑 맏사위: 김광린 자녀: 김경진, 김경숙, 김평일, 김영일, 김백연 (2남 3녀)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평안남도 평양여자사범학교 중퇴) |
경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주석 영부인 조선로동당 명예대표고문위원 |
군 복무 | 계급: 조선인민군 육군 상사 복무 기간: 1950년 ~ 1953년 부대: 조선인민군 지상군 한국 전쟁 참전 |
거주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통역 비서 | 중국어 통역 비서 부사관 |
관련 정보 | |
역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총리 | 박성철 리종옥 |
2. 생애
김일성의 부인이다. 본명은 '''김성팔'''(金聖八)로,[34][35][23] 1924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23] 김일성의 첫 부인 김정숙이 사망한 후 김일성의 비서 등으로 일하다가[37][23] 1951년[37] 또는 1952년[5] 김일성과 결혼하였다. 이 결혼은 몇 년간 비밀로 유지되다가 1958년 공식화되었다.[37] 김일성과의 사이에서 김평일, 김영일, 김경진 등 여러 자녀를 두었다.[5]
1960년대부터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 정치적으로 활동하며 영향력을 키웠으나,[7][6] 김일성의 후계자 자리를 놓고 의붓아들인 김정일과 갈등을 겪었다.[6] 특히 자신의 아들 김평일을 후계자로 내세우려 했으나,[6] 1973년 동생 김성갑의 비리 사건 등으로 정치적 입지가 크게 약화되었고,[24] 1974년 김정일이 후계자로 공식화되면서 권력에서 밀려났다.[6][7][24]
1994년 김일성 사망 후에는 공식 석상에서 거의 모습을 감추었으며,[38] 1997년 김일성 3주기 행사가 마지막 공식 활동이었다.[38]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었으나, 2018년 대한민국 통일부는 김성애가 사망했다고 공식 확인하였다.[10][29] 정확한 사망 시점과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29]
2. 1. 초기 생애 및 김일성과의 만남
김성애(金聖愛)는 1924년 12월 29일,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의 한 농가에서 장녀로 태어났다.[23] 본명은 '''김성팔'''(金聖八)이었다.[34][35][23]김성애가 김일성을 처음 만난 시점과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있다. 1948년 국방성 사무원으로 일하던 중 김일성을 처음 만났다는 설,[3][4] 한국 전쟁 직전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김일성 집무실 서기 또는 안전부 부부장의 타이피스트(계급 특무대위)로 일했다는 설,[23] 1950년 6월 당시 평양여자사범학교 학생이었으나 전쟁 발발 후 징집되어 김일성 집무실 비서로 배치되었다는 설[37] 등이 있다.
김일성의 첫 부인 김정숙이 1949년 9월 사망한 후, 김성애는 김일성의 집안일을 관리하고[3] 한국 전쟁 중에는 김일성의 자녀인 김정일과 김경희를 돌보았다.[3] 김일성은 김정숙 사별 후 1950년 1월 홍명희의 딸 홍영숙과 잠시 재혼했으나 같은 해 8월 사별했다.[36][33]
이후 김일성은 김성애와 가까워졌으며, 1951년 3월 1일자 부산일보에는 김성애의 본명인 '김성팔'이 김일성의 상대로 보도되기도 했다.[36] 1951년 말 김성애는 김일성의 아이(김경진)를 임신했고, 이 사실을 조선로동당 중앙비서 박정애에게 알렸다.[37] 박정애의 권유로 김일성은 김성애와 결혼했는데, 결혼 시점은 1951년 12월[37] 또는 1952년[5]으로 기록되어 있다. 전쟁 중이라 공식 결혼식은 없었으며,[5] 이 결혼은 몇 년간 비밀로 유지되다가 1958년 가족 사진 공개를 통해 공식화되었다.[37] 김성애는 김일성과의 사이에서 김경진(1952년생), 김평일(1954년생), 김영일(1955년생) 등 여러 자녀를 두었다.[5]
2. 2. 김일성과의 결혼 및 자녀
김일성은 1949년 9월 김정숙과 사별한 후, 1950년 1월 부수상 홍명희의 딸 홍영숙과 재혼했으나 그녀 역시 같은 해 8월 사망했다.[36][33]김성애는 본명이 '''김성팔'''(金星八)이었으며[34][35], 1924년 12월 29일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의 농가에서 태어났다.[23] 1948년 국방성 사무원으로 일하며 김일성을 처음 만났고[3][4], 이후 김일성 관저에서 김정숙의 보좌관으로 일했다.[3]
한국 전쟁 발발 당시 평양여자사범학교 학생이었던 김성애는[37]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김일성 집무실의 서기로 배치되었으며, 군 계급은 특무대위였다.[23] 전쟁 중 김일성의 아이를 임신한 것으로 알려졌고[23], 1951년 3월 1일자 부산일보에는 김일성의 불륜 상대로 '김성팔'이라는 이름이 보도되기도 했다.[36] 1951년 12월, 딸 김경진을 임신한 사실이 알려지자 당시 조선노동당 중앙비서 박정애의 권유로 김일성은 김성애와 비밀리에 결혼했다.[37] 다른 자료에서는 1952년 결혼했다고도 하나, 전쟁으로 공식 결혼식은 없었다고 한다.[5] 이들의 결혼은 수년간 비밀에 부쳐졌다가 1958년 가족사진 공개를 통해 공식화되었다.[37]
김성애는 김일성과의 사이에서 2남 3녀를 두었다고 알려져 있으며[37], 주요 자녀로는 딸 김경진(1952년생)[5], 아들 김평일(1954년생)[5], 김영일(1955년생)[5] 등이 있다. (다른 자녀로 김경숙, 김백연, 김청일 등이 언급되기도 한다.[23]) 김성애는 김일성의 전처 소생인 김정일과 김경희도 함께 양육했는데, 일각에서는 이들에게 친어머니처럼 대했다고 전해지나[23], 김정일은 14살 차이의 계모 김성애를 어머니로 인정하지 않았고 둘 사이는 매우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김정일은 특히 김성애가 낳은 이복동생 김평일을 후계 구도에서 경쟁자로 인식하고 경계했다.[6]
1973년 김성애의 동생 김성갑이 김일성 몰래 인민대학습당 부지에 사저를 짓는 사건이 발생했다. 김정일이 이 사실을 밝혀내 김일성에게 보고하자 김일성은 크게 분노하였으나, 김성애는 오히려 남편과 '''부부싸움을 벌이는 과오를 저질렀다.''' 이 사건으로 김성갑은 숙청되었고, 김일성은 김성애의 아들 김평일을 후계 구도에서 영구히 배제하게 되었다.
2. 3. 정치 활동 및 권력 투쟁
김일성과 결혼 후 김성애는 점차 정치적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64년부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65년에는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당시 조선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7] 1970년 11월 조선로동당 제5차 당대회에서는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이듬해인 1971년에는 조선민주여성동맹 위원장으로 승진하였다.[7] 1972년 12월에는 다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는 등[7],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북한 내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6] 이러한 활동 시기가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 장칭의 활동과 유사하여, 일부에서는 김성애를 "북한판 장칭"에 비유하기도 했다.[6]그러나 김성애의 정치적 부상은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으로 이어졌다. 김성애는 자신의 아들인 김평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만들려는 야심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이 과정에서 김일성의 동생인 김영주 등 일부 정치 엘리트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6] 하지만 김정일은 14살 차이의 계모 김성애를 인정하지 않았고, 이복동생 김평일을 경계하며[38] 후계 자리를 놓고 치열하게 대립했다.
결정적으로 1973년, 김성애의 동생 김성갑이 김일성이 인민대학습당 건립을 위해 마련한 부지에 개인 사저를 짓는 사건이 발생했다. 김정일은 이 사건을 빌미로 김성애 측근의 비리를 폭로하며 정치적 공세를 펼쳤고, 이에 격분한 김일성은 김성갑을 숙청했다. 김성애는 이 과정에서 김일성과 부부싸움을 벌이는 등 상황을 악화시켰고, 결국 김평일은 후계 구도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다.
이후 김성애의 정치적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1970년대 들어 당 내부에서는 김성애의 영향력이 지나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6], 김정일이 1974년 후계자로 공식 지명되면서 김성애 세력은 숙청 대상이 되었다.[6][7]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김성애는 이미 1973년부터 공식 석상에서 배제되고 자강도 강계시의 별장으로 쫓겨났으며[24], 1974년부터는 공식 문서에서도 이름이 삭제되고 단순히 "부인"으로만 표기되었다고 한다.[24] 1976년, 김성애는 조선민주여성동맹 위원장 자리에서 해임되어 주요 권력 기반을 상실했다.[6] 그녀를 따르던 인물들도 지방이나 광산으로 추방되었으며[24], 김성애 본인과 그녀의 지지 세력이었던 김영주는 1981년경 가택 연금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6]
1993년, 김성애는 김정일에 의해 명목상 조선민주여성동맹 위원장으로 잠시 복권되었으나[8], 실권은 없었다. 1994년 6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방북했을 때 김일성과 함께 회담 자리에 잠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지만[25][26], 이것이 권력 복귀를 의미하지는 않았다. 김일성이 사망한 1994년 7월 이후, 김성애는 장례위원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장례식에는 참석하지 않았고, 1997년 김일성 3주기 행사를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1998년에는 조선민주여성동맹 위원장직에서도 다시 해임되었다.[8]
김일성 사후 김성애의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분분하다. 2001년 중국 베이징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는 소문[9], 2011년 건강 악화 상태로 생존해 있다는 설(김평일 대사의 방문)[7], 2012년 탈북자의 증언에 따른 정신질환 및 가택 연금설[7] 등이 있었으나 확인되지 않았다. 2014년 사망설이 제기되었고[2], 2018년 12월 대한민국 통일부는 김성애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하고 공식 문서에서 사망자로 처리한다고 발표했다.[10] 다만 정확한 사망 시점과 원인은 여전히 불분명하다.[29]
2. 4. 김일성 사후 및 사망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고 김정일이 권력을 계승하였다. 김성애는 김일성 장례위원 명단에는 이름을 올렸으나,[24] 장례식 자체에는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김정일이 권력을 장악한 후 김성애는 사실상 정계에서 밀려났으며,[38] 1997년 김일성 3주기 행사에 참석한 것을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다.[38] 1998년에는 1993년 복직되었던 조선민주여성동맹 위원장직에서도 최종 해임되었다.[8] 김정일 정권 하에서 김성애와 관련된 과거 기록들은 상당수 삭제되었고,[24] 평양을 떠나 지방의 별장 등에서 사실상의 가택 연금 상태로 지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27] 일각에서는 김일성 사망 이전인 1990년대 초 이미 정신 질환 진단을 받고 감시 하에 있었다는 탈북자 증언도 있었다.[7]
김성애의 사망 시기와 관련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했다. 2001년 베이징에서의 교통사고 사망설,[9] 2011년 아들 김평일의 병문안을 통한 생존설[7] 등이 있었으며, 탈북자 단체에서는 2014년 9월경 자강도 강계시에서 사망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7][28] 북한 당국의 공식 발표는 없었다.
2018년 12월,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보기관의 판단을 토대로 김성애가 이미 사망했다고 공식 확인했으며, 이후 대한민국 정부 문서에서는 사망자로 기재한다고 밝혔다.[10][29] 하지만 정확한 사망 시점과 원인 등은 여전히 불분명하다.[29]
김성애의 자녀들 역시 김정일 시대에는 권력 핵심에서 벗어나 주로 해외에서 활동했다. 아들 김평일은 폴란드, 체코 등 여러 국가의 대사를 역임했으며, 다른 아들 김영일은 독일 주재 북한 대사관 근무 중 2000년 5월경 간경화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딸 김경진은 전 오스트리아 대사 김광섭과 결혼하여 오스트리아에 거주하다가 남편의 해임 후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3. 가족 관계
- '''배우자''': 김일성
- '''형제자매'''
- * 오빠: 김광협(金光俠, 1915년 ~ 1970년)
- * 남동생: 김성호
- * 남동생: 김성갑
- '''자녀''': 김일성과의 사이에서 3남 2녀를 두었다.
관계 | 이름 | 생년월일 | 비고 |
---|---|---|---|
장녀 | 김경진 | 1952년생 | 남편: 김광섭 (1952년생) |
장남 | 김평일 | 1954년 8월 10일생 | 자녀: 김인강(아들), 딸 1명 |
차남 | 김영일 | 1955년 9월 30일생 - 2000년 5월 10일? 사망 | 자녀: 김성강(아들) |
차녀 | 김경일 | ||
삼남 | 김청일 |
참조
[1]
웹사이트
Kim Il Sung, in 1994, promised no nuclear weapons for N. Korea | NK News
https://www.nknews.o[...]
2013-08-29
[2]
웹사이트
김일성 부인 김성애 사망설 제기
https://n.news.naver[...]
2014-12-01
[3]
웹사이트
Kim Song Ae (Kim So'ng-ae)
http://www.nkleaders[...]
2020-10-25
[4]
웹사이트
북한정보포털 | 인물
http://nkinfo.unikor[...]
[5]
웹사이트
Kim Family
http://www.nkleaders[...]
2020-09-28
[6]
서적
Dear Leader: Poet, Spy, Escapee – A Look Inside North Korea
2014
[7]
웹사이트
Kim Il-sung's wife was declared insane over 20 years ago
http://newfocusintl.[...]
2012-09-18
[8]
웹사이트
Ro Song Sil: a key-elite of the North Korean system?
http://newfocusintl.[...]
2013-04-08
[9]
웹사이트
김부자 실체: 김정일의 계모 김성애
http://www.rfa.org/k[...]
2006-05-02
[10]
웹사이트
NK founder's second wife died in 2014: Unification Ministry
http://www.koreahera[...]
[11]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https://books.google[...]
Monitoring Service of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76-05
[12]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2002
[13]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Far East
https://books.google[...]
Monitoring Service of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4]
서적
Daily report: Asia & Pacific
https://books.google[...]
The Service
[15]
일반
[16]
일반
[17]
웹사이트
North Korea's First Family: Mapping the personal and political drama of the Kim clan
http://www.msnbc.msn[...]
msnbc.com
2013-01-20
[18]
뉴스
The world's most mysterious family tree: Kim Jong Un's secretive dynasty is full of drama, death
http://edition.cnn.c[...]
CNN
2017-02-16
[19]
서적
The Sister: The extraordinary story of Kim Yo Jong, the most powerful woman in North Korea
Macmillan
2023
[20]
일반
[21]
일반
[22]
일반
[23]
서적
女が動かす北朝鮮 金王朝三代「大奥」秘録
文藝春秋社
2016
[24]
서적
マンガ金正日入門
飛鳥新社
2003
[25]
뉴스
김일성 부인 김성애, 공식석상에 처음 나타나
KBS NEWS
1994-06-17
[26]
뉴스
카터.김일성 제2차 선상회담,북한에 대한 국제제재 중단
https://imnews.imbc.[...]
MBCニュースデスク
1994-06-17
[27]
서적
女が動かす北朝鮮 金王朝三代「大奥」秘録
文藝春秋社
2016
[28]
뉴스
김일성 부인 김성애 사망설 제기
https://m.news.naver[...]
Newsis
2014-12-01
[29]
뉴스
金日成夫人の金聖愛氏が死去…金正恩権力の継承に影響は
https://japanese.joi[...]
2018-12-12
[30]
웹사이트
조선향토대백과-김성애
http://m.terms.naver[...]
[31]
뉴스
北노동당 '금고지기'에 한광상…김일성 부인 김성애 2014년 사망(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2-27
[32]
뉴스
통일부 “김정일 의붓 어머니, 김성애 2014년 사망”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8-12-27
[33]
뉴스
홍명희(洪命熹) 맏딸과 김일성(金日成) 재혼(再婚)
http://www.nl.go.kr/[...]
연합신문(聯合新聞)
1950-01-25
[34]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7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1990-11-08
[35]
뉴스
여성들 최고회의 대의원 20%나 차지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1990-11-14
[36]
뉴스
金日成 전속 간호부 趙玉姬, 체포 후 기자회견
http://db.history.go[...]
부산일보
1951-03-01
[36]
뉴스
金日星(김일성)의 看護婦(간호부) 合同搜査本部(합동수사본부)서 逮捕(체포)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1951-03-01
[37]
뉴스
비화 김일성과 북한 : 전 북한군 사단 정치위원 여정(呂政) 수기 <4> 김성애는 시종비서 여군 출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05-13
[38]
뉴스
KBS 특별기획 김정일 3부작 '김정일의 모든 것을 찾아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