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 엘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엘리스(George Francis Rayner Ellis)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우주론 및 이론 물리학자이다. 1939년 요하네스버그에서 태어나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스티븐 호킹과 함께 《시공간의 대규모 구조》를 공동 집필했으며, 케이프타운 대학교 응용 수학 교수로 2005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엘리스는 비등방성 우주론, 불균일 우주, 복잡계 과학 등을 연구했으며, 저서와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학자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학자 - 이매뉴얼 더만
    이매뉴얼 더만은 이론 입자 물리학 연구와 금융공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학문적 활동과 AT&T 벨 연구소, 골드만삭스에서의 경력을 거쳐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금융공학을 가르치고 금융 모델링 관련 저서를 출판했으며 국제금융공학자협회 올해의 금융공학자 선정 및 리스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케이프 타운 대학교 교수 - 라시다 만주
    라시다 만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인권 전문가이자 변호사로서, 여성 폭력과 젠더 평등 문제 해결에 헌신하며, 케이프타운 대학교 교수, 젠더 평등 위원회 국회의원, 유엔 여성 폭력 특별 보고관 등을 역임하며 국제 사회에서 여성 인권 보호를 위해 활동한 공로로 윌리엄 매킨리 상, 미국 변호사 협회 국제 인권상 등을 수상했다.
  • 케이프 타운 대학교 교수 - 이언 샤피로
    이언 샤피로는 정치 철학, 사회 과학 방법론, 정책 문제를 연구하며 민주주의, 정의, 비지배, 현실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예일 대학교의 스털링 교수이다.
조지 엘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지 프랜시스 레이너 엘리스
출생일1939년 8월 11일
출생지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적남아프리카 공화국
학력
교육마이클하우스
학사케이프타운 대학교
박사세인트 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데니스 시아마
경력
근무 기관케임브리지 대학교
SISSA
분야우주론
수상
수상 내역템플턴상 (2004년)
조르주 르메트르 상 (2019년)
종교
종교퀘이커
영향력
주요 업적이론 물리 우주론
제자존 M. 스튜어트
말콤 A.H. 맥칼럼
앤드루 R. 킹
로이 마르턴스
마르코 브루니
헨크 반 엘스트
팀 게비
제프리 무르간
울리히 키르히너

2. 생애

조지 프랜시스 레이너 엘리스(George Francis Rayner Ellis)는 1939년 요하네스버그에서 신문 편집자였던 아버지 조지 레이너 엘리스(George Rayner Ellis)와 어머니 웬돌린 힐다 맥로버트 엘리스(Gwendoline Hilda MacRobert Ellis)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케이프타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60년 물리학 전공으로 우등으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펜싱, 조정, 비행에서 대학 대표로 활동했다.

그는 세인트 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1964년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학 조정팀에 소속되었다. 케임브리지에서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연구원으로, 1970년까지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이후 1974년까지 대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엘리스는 1970년 시카고 대학교의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의 방문 교수가 되었고, 1971년 코르시카의 카르게 여름 학교, 1972년 시칠리아의 에리체 여름 학교의 강사로 활동했으며, 1972년에는 함부르크 대학교의 방문 H3 교수로도 초빙되었다.

그 이듬해, 엘리스는 스티븐 호킹과 함께 ''시공간의 대규모 구조''를 공동 집필했다.

그 다음 해에 엘리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가 케이프타운 대학교의 응용 수학 교수로 임명되어 2005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역임했다. 2005년 엘리스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피터에서 열린 노벨 컨퍼런스의 초청 연사로 참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조지 프랜시스 레이너 엘리스(George Francis Rayner Ellis)는 1939년 요하네스버그에서 신문 편집자였던 아버지 조지 레이너 엘리스(George Rayner Ellis)와 어머니 웬돌린 힐다 맥로버트 엘리스(Gwendoline Hilda MacRobert Ellis)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케이프타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60년 물리학 전공으로 우등으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펜싱, 조정, 비행에서 대학 대표로 활동했다.

그는 세인트 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1964년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학 조정팀에 소속되었다. 케임브리지에서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연구원으로, 1970년까지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이후 1974년까지 대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엘리스는 1970년 시카고 대학교의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의 방문 교수가 되었고, 1971년 코르시카의 카르게 여름 학교, 1972년 시칠리아의 에리체 여름 학교의 강사로 활동했으며, 1972년에는 함부르크 대학교의 방문 H3 교수로도 초빙되었다.

그 이듬해, 엘리스는 스티븐 호킹과 함께 ''시공간의 대규모 구조''를 공동 집필했다.

그 다음 해에 엘리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가 케이프타운 대학교의 응용 수학 교수로 임명되어 2005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역임했다. 2005년 엘리스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피터에서 열린 노벨 컨퍼런스의 초청 연사로 참여했다.

2. 2. 학문적 경력

조지 엘리스는 1939년 요하네스버그에서 태어나 케이프타운 대학교에서 1960년 물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세인트 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에서 1964년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케임브리지에서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연구원으로, 1970년까지 응용 수학 및 이론 물리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이후 1974년까지 대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1970년 시카고 대학교의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 방문 교수, 1971년 코르시카의 카르게 여름 학교, 1972년 시칠리아의 에리체 여름 학교 강사, 1972년 함부르크 대학교 방문 H3 교수로 활동했다. 1973년 스티븐 호킹과 함께 ''시공간의 대규모 구조''를 공동 집필했다.

1974년 케이프타운 대학교 응용 수학 교수로 임명되어 2005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2005년 미네소타주 세인트 피터에서 열린 노벨 컨퍼런스의 초청 연사로 참여했다.

2. 3. 은퇴 이후

조지 엘리스는 2005년 케이프타운 대학교 응용 수학 교수직에서 은퇴했다. 은퇴한 해에 미네소타주 세인트 피터에서 열린 노벨 컨퍼런스에 초청 연사로 참여했다.

3. 연구 업적

조지 엘리스는 수십 년 동안 비등방성 우주론(비앙키 모델)과 불균일 우주 및 우주론 철학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는 현재 복잡성의 출현과, 복잡성 계층에서 상향식 인과 관계가 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 저술하고 있다. 최근 엘리스는 또한 테포 펠린, 데니스 노블, 얀 쿤더링크와 함께 ''Genome Biology'' 저널에 게재된 일련의 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했다.[9][10]

조지 엘리스는 재활용 메커니즘으로서 벌거벗은 특이점이 있는 모델 우주를 제창했다. 그는 이 모델이 기존 모델과 동등한 수준으로 실제 우주를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스의 우주는 원통형 우주와 유사하지만, 지구와 벌거벗은 특이점이 반대쪽에 위치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곳에서는 우주 인플레이션이 없고, 물질의 밀도가 특이점 근처일수록 더 높기 때문에, 은하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지구 주변에서는 극히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물질의 분포가 편향되어 있으면 빛의 적색 편이가 발생하여 지구에서는 각 은하가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지구가 왜 벌거벗은 특이점과 정반대 위치에 있는가 하면,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등, 생물의 존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생물 = 인간이 존재하는 지구는 특이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한다.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엘리스는 플라톤주의자이다.

3. 1. 비표준 우주 모델

조지 엘리스는 수십 년 동안 비등방성 우주론(비앙키 모델)과 불균일 우주 및 우주론 철학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는 재활용 메커니즘으로서 벌거벗은 특이점이 있는 모델 우주를 제창했다. 그는 이 모델이 기존 모델과 동등한 수준으로 실제 우주를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스의 우주는 원통형 우주와 유사하지만, 지구와 벌거벗은 특이점이 반대쪽에 위치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곳에서는 우주 인플레이션이 없고, 물질의 밀도가 특이점 근처일수록 더 높기 때문에, 은하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지구 주변에서는 극히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물질의 분포가 편향되어 있으면 빛의 적색 편이가 발생하여 지구에서는 각 은하가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지구가 왜 벌거벗은 특이점과 정반대 위치에 있는가 하면,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등, 생물의 존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생물 = 인간이 존재하는 지구는 특이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한다.

3. 2. 과학 철학

조지 엘리스는 수십 년 동안 비등방성 우주론(비앙키 모델)과 불균일 우주 및 우주론 철학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는 현재 복잡성의 출현과, 복잡성 계층에서 상향식 인과 관계가 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 저술하고 있다. 최근 엘리스는 또한 테포 펠린, 데니스 노블, 얀 쿤더링크와 함께 ''Genome Biology'' 저널에 게재된 일련의 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했다.[9][10]

조지 엘리스는 재활용 메커니즘으로서 벌거벗은 특이점이 있는 모델 우주를 제창했다. 그는 이 모델이 기존 모델과 동등한 수준으로 실제 우주를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스의 우주는 원통형 우주와 유사하지만, 지구와 벌거벗은 특이점이 반대쪽에 위치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곳에서는 우주 인플레이션이 없고, 물질의 밀도가 특이점 근처일수록 더 높기 때문에, 은하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지구 주변에서는 극히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물질의 분포가 편향되어 있으면 빛의 적색 편이가 발생하여 지구에서는 각 은하가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지구가 왜 벌거벗은 특이점과 정반대 위치에 있는가 하면,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등, 생물의 존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생물 = 인간이 존재하는 지구는 특이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한다.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엘리스는 플라톤주의자이다.

3. 3. 복잡계 과학

조지 엘리스는 수십 년 동안 비등방성 우주론(비앙키 모델)과 불균일 우주 및 우주론 철학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는 현재 복잡성의 출현과, 복잡성 계층에서 상향식 인과 관계가 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 저술하고 있다. 엘리스는 테포 펠린, 데니스 노블, 얀 쿤더링크와 함께 ''Genome Biology'' 저널에 게재된 일련의 논문을 공동으로 집필했다.[9][10]

엘리스는 재활용 메커니즘으로서 벌거벗은 특이점이 있는 모델 우주를 제창했다. 그는 이 모델이 기존 모델과 동등한 수준으로 실제 우주를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스의 우주는 원통형 우주와 유사하지만, 지구와 벌거벗은 특이점이 반대쪽에 위치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곳에서는 우주 인플레이션이 없고, 물질의 밀도가 특이점 근처일수록 더 높기 때문에, 은하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지구 주변에서는 극히 희박하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물질의 분포가 편향되어 있으면 빛의 적색 편이가 발생하여 지구에서는 각 은하가 멀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지구가 왜 벌거벗은 특이점과 정반대 위치에 있는가 하면, 특이점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등, 생물의 존재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되기 때문에, 생물 = 인간이 존재하는 지구는 특이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한다.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엘리스는 플라톤주의자이다.

4. 저서 및 논문

4. 1. 주요 저서


  • G. F. R. Ellis영어, S. W. Hawking영어 공저, 《시공간의 대규모 구조》(The Large Scale Structure of Space-Time), 케임브리지: University Press, 1973. ISBN 978-0-521-20016-5.[11]
  • G. F. R. Ellis영어, David Dewar영어 공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저소득층 주택 정책》(Low Income Housing Policy in South Africa), 케이프타운 대학교 도시 문제 연구 부서, 1979.
  • G. F. R. Ellis영어, Ruth Williams영어 공저, 《평탄하고 곡선인 시공간》(Flat and Curved Space Times),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88, 2000년 개정판.
  • G. F. R. Ellis영어, 《시작 전: 우주론 설명》(Before the Beginning: Cosmology Explained), Bowerdean/Marion Boyars, 1993.
  • G. F. R. Ellis영어, A. Lanza영어, J. Miller영어 공저, 《일반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의 르네상스》(The Renaissance of General Relativity and Cosmology), 케임브리지: University Press, 1993, 2005년 페이퍼백.
  • G. F. R. Ellis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과학 연구 정책》(Science Research Policy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왕립 학회, 1994.
  • G. F. R. Ellis영어, Nancey Murphy영어 공저, 《우주의 도덕적 본성에 대하여: 우주론, 신학 및 윤리》(On The Moral Nature of the universe: Cosmology, Theology, and Ethics), Fortress Press, 1996.
  • G. F. R. Ellis영어, John Wainwright영어 편저, 《우주론의 동역학적 시스템》(Dynamical Systems in Cosmology),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1997. ISBN 978-0-521-55457-2.
  • G. F. R. Ellis영어, Peter Coles영어 공저, 《우주는 열려 있는가 닫혀 있는가? 우주의 물질 밀도》(Is The Universe Open or Closed? The Density of Matter in the Universe), 케임브리지: University Press, 1997. (캠브리지 물리학 강의 노트, vol. 7)
  • G. F. R. Ellis영어 편저, 《먼 미래의 우주: 우주적 관점에서의 종말론》(The Far Future Universe: Eschatology from a Cosmic Perspective), 템플턴 재단 출판사, 2002.
  • G. F. R. Ellis영어, 《믿음과 희망 속의 과학: 상호 작용》(Science in Faith and Hope: an interaction), 퀘이커 북스, 2004.
  • George Ellis영어, 《과학과 궁극적 실재: 양자 이론, 우주론 및 복잡성》(Science and Ultimate Reality: Quantum Theory, Cosmology and Complexity), 케임브리지: University Press, 2004.
  • George Ellis영어, 《물리학 철학 핸드북》(Handbook in Philosophy of Physics), 엘스비어, 2006.
  • G. F. R. Ellis영어, Roy Maartens영어, Malcolm A. H. MacCallum영어 공저, 《상대론적 우주론》(Relativistic Cosmology), 케임브리지: University Press, 2012.
  • G. F. R. Ellis영어, 《물리학이 어떻게 마음을 뒷받침할 수 있는가? 인간적 맥락에서의 톱다운 인과 관계》(How Can Physics Underlie the Mind? Top-Down Causation in the Human Context), 스프링거, 2016.

4. 2. 주요 논문

엘리스는 5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 중 17편은 네이처에 게재되었다.[14]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 "우주는 팽창하고 있는가?(Is the universe expanding?)" (1978), 일반 상대성이론과 중력(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9권, 2호, 87–94쪽.
  • "우주론적 밀도 요동에 대한 공변 및 게이지 불변 접근법(Covariant and gauge-invariant approach to cosmological density fluctuations)" (1989), 피지컬 리뷰 D(Physical Review D), 40권, 6호, 1804–1818쪽.
  • "우주론적 섭동과 게이지 불변 변수의 물리적 의미(Cosmological perturbations and the physical meaning of gauge-invariant variables)" (Marco Bruni, Peter K. S. Dunsby와 공저) (1992), 천체물리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395권, 34쪽.
  • "열린 우주에 대한 주장(The case for an open Universe)" (1994), Nature, 370권, 6491호, 609–615쪽.
  • "우주론적 모델(Cargèse Lectures 1998)(Cosmological models (Cargèse Lectures 1998))" (Henk van Elst와 공저) (1999), Natoadv.studyinst.ser.c.math.phys.sci., 541권, 1–116쪽.
  • "슈바르츠실트 블랙홀 렌즈(Schwarzschild black hole lensing)" (K. S. Virbhadra와 공저) (2000), 피지컬 리뷰 D(Physical Review D), 62권, 8호, 084003쪽.
  • "노출된 특이점에 의한 중력 렌즈(Gravitational lensing by naked singularities)" (K. S. Virbhadra와 공저) (2002), 피지컬 리뷰 D(Physical Review D), 65권, 10호, 103004쪽.
  • "물리학, 복잡성 및 인과관계(Physics, complexity and causality)" (2005), Nature, 435권, 7043호, 743쪽.
  • "상향식 인과관계와 출현: 메커니즘에 대한 몇 가지 논평(Top down causation and emergence: some comments on mechanisms)" (2012), 인터페이스 포커스(Interface Focus), 2권, 2호, 126–140쪽.

5. 수상 및 영예

로즈 대학교는 2019년 그레이엄스타운에서 엘리스에게 명예 법학 박사 학위(LLD, hc)를 수여했다.[12]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George Ellis awarded Georges Lemaître Prize https://uclouvain.be[...] 2019-05-29
[3] 간행물 Profile: George F. R. Ellis – Thinking Globally Acting Universally 1995
[4] 인터뷰 Physicist George Ellis Knocks Physicists for Knocking Philosophy, Falsification, Free Will https://blogs.scient[...] Scientific American 2014-07-22
[5] 웹사이트 The Theology of the Anthropic Principle https://counterbalan[...] Center for Theology and the Natural Sciences 2021-10-13
[6] 서적 Quantum Cosmology and the Laws of Nature: Scientific Perspectives on Divine Action https://www.ctns.org[...] Vatican Observatory 1993
[7] 웹사이트 Is the Future Already Written? https://www.discover[...] 2023-11-19
[8] 웹사이트 Templeton Prize for Progress Toward Research or Discoveries about Spiritual Realities http://www.templeton[...] 2007-05-16
[9] 간행물 The data-hypothesis relationship 2021-02-10
[10] 간행물 Data bias 2021-02-10
[11] 간행물 Book Review: The large scale structure of space-time
[12] 웹사이트 Rhodes University honours five of Africa's best https://www.grocotts[...] 2019-03-07
[13] 웹사이트 Previous Prize Winners - George F. R. Ellis (2004) http://www.templeton[...] The Templeton Prize
[14] Google Scholar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15] 뉴스 http://www.kmctimes.[...]
[16] 뉴스 http://www.igoodnews[...]
[17] 뉴스 https://www.voakor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