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켈은 194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활약한 미국의 야구 선수로, 3루수로서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49년에는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을 차지했다. 1943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보스턴 레드삭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통산 타율 .306, 78홈런, 870타점을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해설자로 활동했으며, 1983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9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칸소주 출신 야구 선수 - 브룩스 로빈슨
브룩스 로빈슨은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3루수로 활약하며 1964년 아메리칸 리그 MVP, 1970년 월드 시리즈 MVP, 1966년 올스타전 MVP를 수상하고,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 아칸소주 출신 야구 선수 - 루 브록
루 브록은 1939년 아칸소주에서 태어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좌익수로 활약했으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하고 8번의 내셔널 리그 도루왕을 차지하며 통산 938도루 기록을 세웠으며, 1985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해설가 - 커트 실링
커트 실링은 1988년부터 2009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통산 3,000탈삼진을 달성하고 은퇴 후에는 ESPN 해설가로 활동했으나 해고되었고 사업가로도 활동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해설가 - 로키 콜라비토
로키 콜라비토는 1955년부터 1968년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외야수로 활약하며 9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1965년 아메리칸 리그 타점 1위를 기록했으며, 은퇴 후 해설자와 코치를 거쳐 2006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가 2024년에 사망했다.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선수 - 에디 플랭크
에디 플랭크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7시즌 동안 326승을 기록한 좌완 투수로,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활약하며 크리스티 매슈슨과의 명승부, 뛰어난 커브볼 구사로 명성을 얻어 1946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선수 - 냅 라조이
냅 라조이는 1874년에 태어나 1937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프랑스계 캐나다인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로, 21시즌 동안 활약하며 통산 .338의 타율과 3,252안타를 기록하고 5번의 타격왕을 차지했다.
조지 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포지션 | 3루수 |
타석 | 우 |
투구 | 우 |
출생일 | 1922년 8월 23일 |
사망일 | 2009년 3월 24일 |
출생지 | 미국 아칸소주 스위프턴 |
사망지 | 미국 아칸소주 스위프턴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MLB |
데뷔 날짜 | 1943년 9월 28일 |
데뷔 팀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마지막 리그 | MLB |
마지막 날짜 | 1957년 9월 14일 |
마지막 팀 | 볼티모어 오리올스 |
팀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43–1946)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46–1952) 보스턴 레드삭스 (1952–1954)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4–1956) 볼티모어 오리올스 (1956–1957) |
통계 | |
리그 | MLB |
타율 | .306 |
안타 | 2,054 |
홈런 | 78 |
타점 | 870 |
수상 | |
올스타 선정 | 10회 올스타 ((1947–1954, 1956, 1957)) |
AL 타격왕 | 1949년 |
명예의 전당 | |
링크 | National Baseball Hall of Fame and Museum |
유형 | 국가 |
날짜 | 1983년 |
방법 | 베테랑 위원회 |
2. 야구 경력
조지 켈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3루수이다. 1943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데뷔하여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보스턴 레드삭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거치며 1957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서 전성기를 보냈으며, 뛰어난 타격과 수비 실력을 바탕으로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특히 1949년에는 아메리칸 리그 타율 1위를 차지하며 테드 윌리엄스의 트리플 크라운 달성을 저지하기도 했다.[19] 통산 .306의 타율과 2054개의 안타를 기록했으며, 은퇴 후 1983년 베테랑 위원회의 선정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9]
2. 1. 초기 경력
켈은 대학 시절 아칸소 주립 대학교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 대학의 야구 시설인 톰린슨 스타디움-켈 필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3]1940년에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했지만, 마이너 리그 시절에 팀을 옮겨 1943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데뷔전에서는 5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는데, 이때 기록한 안타는 3루타였다.
이후 1944년과 1945년 두 시즌 동안 애슬레틱스의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평균 타율은 .270으로 그리 높지는 않았으나, 1946년 시즌 중에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로 이적한 후 타격 실력이 크게 향상되어 아메리칸 리그 4위에 해당하는 .322의 타율을 기록했다.
2. 2. 메이저 리그 경력

조지 켈은 견고한 우타자이자 뛰어난 수비력을 갖춘 3루수였다. 그는 선수 생활 동안 총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 9시즌 이상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 수비에서는 3루수로서 4차례 보살 리그 1위, 수비 기회(TC) 리그 1위, 그리고 7차례 수비율 리그 1위를 차지하는 등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
켈은 1943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서 메이저 리그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보스턴 레드삭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 여러 팀을 거쳤다. 특히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시절에 전성기를 보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시즌은 1949년으로, .343의 타율을 기록하며 테드 윌리엄스를 근소한 차이(.3429 대 .3427)로 제치고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에 올랐다. 이는 윌리엄스의 통산 세 번째 트리플 크라운 달성을 저지한 결과였다.[13][19] 이듬해인 1950년에도 .340의 높은 타율과 함께 리그 최다인 218안타와 56개의 2루타를 기록했지만, 타격왕은 빌리 굿맨에게 돌아갔다.
선수 생활 말년에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뛰었으며, 그곳에서 같은 아칸소 출신의 젊은 3루수이자 훗날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브룩스 로빈슨과 함께 뛰었다. 1957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으며, 마지막 시즌에는 99경기에 출전하여 .297의 타율을 기록했다.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켈은 통산 1,795경기에 출전했지만, 포스트 시즌이나 월드 시리즈에 진출한 팀에서는 뛴 경험이 없다.[6]
1983년 베테랑 위원회의 선정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헌액 연설에서 그는 "나는 항상 '내 자신이 다시 되돌려 줬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위대한 경기 야구에서 받았다'고 말하곤 했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내가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19][7]
2. 2. 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43-1946)
1943년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에 입단하며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9월 콜업 선수로 합류하여 9월 28일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경기에 나섰다. 이 데뷔전에서 선발 3루수 겸 3번 타자로 출전하여 5타수 1안타(3루타) 1타점을 기록했다.이듬해인 1944년에는 애슬레틱스의 주전 선수로 자리 잡았다. 13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8, 138안타를 기록했으며, MVP 투표에서도 약간의 표를 얻었다. 또한, 삼진당 타수 부문에서 아메리칸 리그 8위(22.3타수)에 오르기도 했다. 1945년에는 타율 .272, 154안타(30개의 2루타)를 기록하며 전년도보다 향상된 성적을 보였다. 애슬레틱스에서 주전으로 뛴 1944년과 1945년 2년간의 평균 타율은 .270이었다.
1946년 시즌 중반에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로 이적했다.
2. 2. 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46-1952)
1946년 5월 18일,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는 켈을 바니 맥코스키와 맞바꾸는 트레이드를 통해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로 보냈다.[18] 애슬레틱스에서 26경기를 뛴 후 디트로이트로 이적한 켈은 타격 실력이 향상되어 그해 아메리칸 리그에서 타율 .322(4위), 출루율 .372(9위), 안타 168개(8위)를 기록하며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또한 희생타 15개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그해 9월 20일에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7타수 6안타, 4득점, 3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15-1 대승에 기여했다.[4] 3루수로서 131경기에 출전하여 리그에서 풋아웃, 보살, 수비율, 병살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1947년에는 15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20, 188안타를 기록하며 생애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MVP 투표에서 5위를 차지했다. 1948년 시즌에는 부상으로 인해 92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타율 .304와 112안타를 기록하며 올스타 선정과 MVP 투표에서 표를 받았다.
1949년에는 타율 .343으로 반등하여 생애 첫이자 유일한 타격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 과정에서 테드 윌리엄스의 세 번째 트리플 크라운 달성을 저지했다. 시즌 마지막 날인 10월 2일 경기 전까지 윌리엄스가 타격 경쟁에서 앞서 있었으나, 켈이 3타수 2안타를 기록한 반면 윌리엄스는 2타수 무안타에 그치면서 순위가 역전되었다.[13][19] 최종 기록은 켈이 .3429, 윌리엄스가 .3427이었다. 이 해 켈은 179안타와 개인 통산 최다인 71볼넷을 기록하며 .424의 높은 출루율을 달성했고, 시즌 전체에서 단 13번의 삼진만을 당했다.
1950년에는 타율 .340을 기록했고, 218안타와 56개의 2루타로 메이저 리그 전체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타격왕 타이틀은 윌리엄스의 팀 동료인 보스턴 레드삭스의 2루수 빌리 굿맨에게 돌아갔다. 켈은 이 시즌 157경기에 출전하여 114득점과 101타점을 기록했으며, 수비에서도 .982의 수비율을 기록했다. 그의 56개 2루타는 1936년 찰리 게링거가 기록한 60개 이후 타이거스 선수 중 가장 많은 기록이었으며, 2022년 기준으로 팀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기록이다.
1951년에는 191안타로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리그 안타 1위를 기록했고, 147경기에서 타율 .319와 36개의 2루타를 기록했다. 타이거스에서 활약한 주요 5년(1947년~1951년) 중 4번이나 타율 부문에서 리그 5위 안에 드는 꾸준함을 보였다.
1952년 시즌, 39경기에 출전한 후 6월 3일 대형 트레이드를 통해 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하면서 타이거스와의 인연을 마무리했다. 이 트레이드로 켈은 후트 에버스, 조니 리폰, 디지 트라우트와 함께 레드삭스로 갔고, 타이거스는 그 대가로 월트 드롭포, 프레드 해트필드, 돈 레나르트, 조니 페스키, 빌 와이트를 받았다.
2. 2. 3. 보스턴 레드삭스 (1952-1954)
1952년 6월 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했다. 그해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레드삭스 소속으로 도합 타율 .311을 기록하며 리그 4위에 올랐다. 레드삭스 소속 기간을 포함하여 1947년부터 1954년까지 8년 연속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켈이 보스턴에 있던 시기, 팀은 전광판을 이용한 사인 훔치기에 연루되었다.[5] 1954년 5월 23일, 그레이디 해튼 및 현금과 맞교환되어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되었다.[5]2. 2. 4.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4-1956)
1954년 5월 23일 보스턴 레드삭스는 그레이디 해튼과 현금을 받는 조건으로 켈을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했다.[5] 켈은 1954년 시즌 주로 3루수와 1루수로 출전했으며, 외야수 출전 시간은 적었다. 이 해 97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6을 기록했다. 1955년에도 비슷한 포지션을 소화하며 128경기에 출전, 타율 .312, 81타점, 51볼넷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보였다.시카고로 트레이드된 직후, 켈은 팀 동료 밥 케네디, 단장 프랭크 레인 등과 협력하여 전광판을 이용한 사인 훔치기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관여했다. 이 시스템은 케네디가 쌍안경으로 상대 팀 사인을 확인하면, 전광판 불빛을 조작하여 특정 구종을 타자에게 알리는 방식이었다. 이 계획은 켈이 1956년 팀을 떠난 후에도 한동안 지속된 것으로 알려졌다.[5]
1956년 시즌 도중 다시 트레이드를 경험했다. 시즌 초 화이트삭스 소속으로 21경기를 뛴 후, 5월 21일 마이크 포르니엘스, 코니 존슨, 밥 니먼과 함께 데이비드 필리와 짐 윌슨을 상대로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트레이드되었다.[6] 이 해 두 팀에서 총 12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1, 115안타, 48타점, 33볼넷, 37삼진을 기록했다. 또한 통산 9번째 올스타전에 선정되었으며, 삼진당 타석(11.5) 부문 리그 상위 10위 안에 든 마지막 해이기도 했다.[6]
2. 2. 5. 볼티모어 오리올스 (1956-1957)
1956년 5월 2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소속이던 켈은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이 트레이드는 켈, 마이크 포르니엘스, 코니 존슨, 밥 니먼이 오리올스로 가고, 데이비드 필리와 짐 윌슨이 화이트삭스로 가는 조건으로 이루어졌다.[6] 켈은 오리올스에서 선수 경력을 마쳤다.오리올스에서 켈은 당시 2년차 3루수이자 같은 아칸소 출신인 브룩스 로빈슨과 함께 3루 포지션을 분담했다. 로빈슨은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선수가 된다.[6] 1956년 시즌, 켈은 화이트삭스와 오리올스 소속으로 총 12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1, 115안타, 48타점을 기록했다. 이 시즌에 그는 33개의 볼넷을 얻는 동안 37개의 삼진을 당했는데, 이는 그의 첫 풀타임 시즌이었던 1944년 이후 삼진이 볼넷보다 많았던 두 번째이자 마지막 해였다.[6] 또한 통산 9번째로 올스타 게임에 선정되었으며,[6] 삼진당 타석 수 부문에서 리그 상위 10위 안에 든 마지막 해(통산 10번째)이기도 했다.[6]
1957년은 켈의 현역 마지막 시즌이었다. 그는 99경기에 출전하여 .297의 타율을 기록했으며, 시즌 중 개인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6] 통산 10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올스타 게임에 출전했고, 16개의 삼진과 25개의 볼넷을 기록하며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6]
2. 3. 주요 기록
조지 켈은 견고한 우타자이자 뛰어난 수비력을 갖춘 3루수였다. 그는 선수 생활 동안 총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1947–54, 1956–57), 9시즌 동안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이 중 8시즌은 1946년부터 1953년까지 연속 기록). 수비에서는 3루수로서 아메리칸 리그에서 4차례 최다 보살을 기록했고, 수비 기회(Total Chances, TC)에서도 리그 1위를 차지했으며, 수비율 부문에서는 7차례나 리그 선두에 올랐다.1949년 시즌에는 .3429의 타율로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에 올랐다. 시즌 마지막 날까지 보스턴 레드삭스의 테드 윌리엄스가 타격 선두를 달리고 있었으나, 10월 2일 시즌 최종전에서 켈이 3타수 2안타를 기록한 반면 윌리엄스는 2타수 무안타에 그치면서 순위가 뒤바뀌었다.[19][13] 최종 타율은 켈이 .3429, 윌리엄스가 .3427로, 불과 2모 차이였다. 이로써 켈은 윌리엄스의 통산 세 번째 트리플 크라운 달성을 저지했다. 또한, 이 해 켈은 타격왕을 차지하면서 단 13개의 삼진만을 기록하여, 타격왕 시즌 최저 삼진 기록을 세웠다.
1950년에는 .340의 높은 타율을 기록하고, 리그 최다인 218안타와 56개의 2루타를 쳤지만, 타격왕 타이틀은 윌리엄스의 팀 동료인 빌리 굿맨에게 돌아갔다. 켈의 56개 2루타는 1936년 찰리 게링거가 60개를 기록한 이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선수 중 가장 많은 기록이었으며, 2022년 기준으로도 팀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기록이다. 1951년에도 191개의 안타로 다시 한번 리그 최다 안타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1946년 9월 20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경기에서 7타수 6안타를 기록했으며,[4] 1950년 6월 2일에는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기도 했다. 아메리칸 리그 MVP 투표에서는 세 차례(1947, 1949, 1950)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통산 기록은 타율 .306, 78홈런, 870타점, 881득점, 2054안타, 3852루타, 503루타, 51도루, 621볼넷, 출루율 .367, 장타율 .414이다.
1983년 베테랑 위원회의 선정으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입회 연설에서 그는 "나는 항상 '내 자신이 다시 되돌려 줬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위대한 경기 야구에서 받았다'고 말하곤 했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내가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19]
켈은 대학 시절 아칸소 주립 대학교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이 대학의 야구 시설인 톰린슨 스타디움-켈 필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8][3]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볼넷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1943 | PHA | 1 | 5 | 5 | 1 | 1 | 0 | 1 | 0 | 3 | 1 | 0 | 0 | 0 | -- | 0 | -- | 0 | 0 | 0 | .200 | .200 | .600 | .800 |
1944 | 139 | 556 | 514 | 51 | 138 | 15 | 3 | 0 | 159 | 44 | 5 | 2 | 19 | -- | 22 | -- | 1 | 23 | 28 | .268 | .300 | .309 | .609 | |
1945 | 147 | 602 | 567 | 50 | 154 | 30 | 3 | 4 | 202 | 56 | 2 | 0 | 7 | -- | 27 | -- | 1 | 15 | 13 | .272 | .306 | .356 | .662 | |
1946 | 26 | 100 | 87 | 3 | 26 | 6 | 1 | 0 | 34 | 11 | 0 | 0 | 2 | -- | 10 | -- | 1 | 6 | 1 | .299 | .378 | .391 | .768 | |
DET | 105 | 477 | 434 | 66 | 142 | 19 | 9 | 4 | 191 | 41 | 3 | 2 | 13 | -- | 30 | -- | 0 | 14 | 11 | .327 | .371 | .440 | .811 | |
'46 합계 | 131 | 577 | 521 | 69 | 168 | 25 | 10 | 4 | 225 | 52 | 3 | 2 | 15 | -- | 40 | -- | 1 | 20 | 12 | .322 | .372 | .432 | .804 | |
1947 | 152 | 662 | 588 | 75 | 188 | 29 | 5 | 5 | 242 | 93 | 9 | 11 | 10 | -- | 61 | -- | 3 | 16 | 13 | .320 | .387 | .412 | .798 | |
1948 | 92 | 414 | 368 | 47 | 112 | 24 | 3 | 2 | 148 | 44 | 2 | 2 | 8 | -- | 33 | -- | 5 | 15 | 10 | .304 | .369 | .402 | .772 | |
1949 | 134 | 613 | 522 | 97 | 179 | 38 | 9 | 3 | 244 | 59 | 7 | 5 | 16 | -- | 71 | -- | 3 | 13 | 17 | .343 | .424 | .467 | .892 | |
1950 | 157 | 724 | 641 | 114 | 218 | 56 | 6 | 8 | 310 | 101 | 3 | 3 | 16 | -- | 66 | -- | 1 | 18 | 23 | .340 | .403 | .484 | .886 | |
1951 | 147 | 674 | 598 | 92 | 191 | 36 | 3 | 2 | 239 | 59 | 10 | 3 | 11 | -- | 61 | -- | 4 | 18 | 13 | .319 | .386 | .400 | .786 | |
1952 | 39 | 171 | 152 | 11 | 45 | 8 | 0 | 1 | 56 | 17 | 0 | 1 | 4 | -- | 15 | -- | 0 | 13 | 2 | .296 | .359 | .368 | .728 | |
BOS | 75 | 312 | 276 | 41 | 88 | 15 | 2 | 6 | 125 | 40 | 0 | 1 | 4 | -- | 31 | -- | 1 | 10 | 11 | .319 | .390 | .453 | .843 | |
'52 합계 | 114 | 483 | 428 | 52 | 133 | 23 | 2 | 7 | 181 | 57 | 0 | 2 | 8 | -- | 46 | -- | 1 | 23 | 13 | .311 | .379 | .423 | .802 | |
1953 | 134 | 520 | 460 | 68 | 141 | 41 | 2 | 12 | 222 | 73 | 5 | 2 | 3 | -- | 52 | -- | 5 | 22 | 10 | .307 | .383 | .483 | .866 | |
1954 | 26 | 109 | 93 | 15 | 24 | 3 | 0 | 0 | 27 | 10 | 0 | 0 | 1 | 0 | 15 | -- | 0 | 3 | 2 | .258 | .361 | .290 | .651 | |
CHW | 71 | 261 | 233 | 25 | 66 | 10 | 0 | 5 | 91 | 48 | 1 | 1 | 1 | 9 | 18 | -- | 0 | 12 | 5 | .283 | .323 | .391 | .714 | |
'54 합계 | 97 | 370 | 326 | 40 | 90 | 13 | 0 | 5 | 118 | 58 | 1 | 1 | 2 | 9 | 33 | -- | 0 | 15 | 7 | .276 | .334 | .362 | .696 | |
1955 | 128 | 504 | 429 | 44 | 134 | 24 | 1 | 8 | 184 | 81 | 2 | 2 | 13 | 5 | 51 | 2 | 6 | 36 | 7 | .312 | .389 | .429 | .818 | |
1956 | 21 | 91 | 80 | 7 | 25 | 5 | 0 | 1 | 33 | 11 | 0 | 0 | 2 | 1 | 8 | 0 | 0 | 6 | 3 | .313 | .371 | .413 | .783 | |
BAL | 102 | 389 | 345 | 45 | 90 | 17 | 2 | 8 | 135 | 37 | 0 | 1 | 12 | 4 | 25 | 3 | 3 | 31 | 8 | .261 | .313 | .391 | .704 | |
'56 합계 | 123 | 480 | 425 | 52 | 115 | 22 | 2 | 9 | 168 | 48 | 0 | 1 | 14 | 5 | 33 | 3 | 3 | 37 | 11 | .271 | .324 | .395 | .719 | |
1957 | 99 | 345 | 310 | 28 | 92 | 9 | 0 | 9 | 128 | 44 | 2 | 0 | 7 | 1 | 25 | 2 | 2 | 16 | 11 | .297 | .352 | .413 | .765 | |
통산:15년 | 1795 | 7529 | 6702 | 880 | 2054 | 385 | 50 | 78 | 2773 | 870 | 51 | 36 | 149 | 20 | 621 | 7 | 36 | 287 | 188 | .306 | .367 | .414 | .781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수위 타자: 1회 (1949년)
3. 은퇴 이후
선수 은퇴 후에는 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에서 야구 해설가로 활동했다. 1983년에는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09년 3월 24일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1. 해설가 경력
선수 은퇴 후 켈은 CBS 텔레비전(1958년)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1959년~1963년, 1965년~1996년)에서 경기 중계 해설자로 활동했다. 켈은 또한 밥 드레이니와 함께 ABC 텔레비전에서 1959년 내셔널 리그 타이브레이커 시리즈[8][9][10]를, 잭 퀸란과 함께 NBC 라디오에서 1962년 올스타전을, 밥 울프와 함께 NBC 텔레비전에서 1962년 내셔널 리그 타이브레이커 시리즈[11]를, 조 가라지올라와 함께 NBC 라디오에서 1962년 월드 시리즈를, 커트 고디와 함께 NBC 텔레비전에서 1968년 월드 시리즈 3~5차전(타이거스가 홈팀) 중계를 맡았다.켈은 처음에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에서 모두 타이거스 경기를 중계했으며, 1959년 시즌에는 반 패트릭과, 그 후에는 어니 하웰과 중계를 나누어 맡았다. 1963년 시즌 후, 그는 아칸소주 자택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이유로 방송계를 잠시 떠났으나, 1년 뒤 설득을 받아 1965년에 복귀하여 (빈도가 적은) 텔레비전 경기만 전담했고, 하웰은 라디오 중계를 맡았다. 켈의 후임 텔레비전 파트너로는 레이 레인, 래리 오스터먼, 그리고 1975년부터는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자 전 타이거스 선수인 알 칼라인이 해설자로 참여했으며, 칼라인과의 조합은 켈의 방송 경력이 끝날 때까지 이어졌다. 그는 199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텔레비전 중계석에서 은퇴했다.
4. 명예의 전당 헌액
1983년 베테랑 위원회의 선정으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입회 당시 다음과 같은 연설을 했다. "나는 항상 '내 자신이 다시 되돌려 줬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위대한 경기 야구에서 받았다'고 말하곤 했었다. 그리고 지금 나는 내가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19]
5. 사망
켈은 2009년 3월 24일, 86세의 나이로 고향인 아칸소주 스위프턴에서 잠자던 중 사망했다.[13][14][15]
당시 타이거스의 지역 TV 중계권을 가지고 있던 폭스 스포츠 디트로이트는 켈과 알 칼라인이 타이거스에서 선수로 뛰던 시절과 TV 중계 부스에서 함께 일했던 추억을 담은 인터뷰가 포함된 특집 방송 ''FSN 베이스먼트: 올스타 에디션 2005''를 재방송하며 그를 기렸다. 이 방송은 켈의 사망 후 일주일 동안 여러 차례 재방송되었다.[16]
참조
[1]
뉴스
George Kell, 86, Tigers' Hall of Famer and Broadcaster, Is Dead
https://www.nytimes.[...]
2023-11-01
[2]
웹사이트
George Kell at the Major League Baseball Hall of Fame
https://baseballhall[...]
2023-11-01
[3]
웹사이트
Tomlinson Stadium—Kell Field
https://admin.xosn.c[...]
2010-06-25
[4]
웹사이트
Boxscore of George Kell's 6-hit game
https://retrosheet.o[...]
2023-08-27
[5]
웹사이트
Why Astros' penalties are harsh enough, despite calls for much more
https://www.espn.com[...]
2020-01-24
[6]
웹사이트
Most Games Played with no World Series Appearances
https://www.baseball[...]
[7]
웹사이트
George Kell 1983 Hall of Fame Induction Speech
https://www.youtube.[...]
2014-10-16
[8]
뉴스
Dodgers Confident of National Flag
1959-09-29
[9]
뉴스
Crosby Sings Plenty
1959-09-29
[10]
뉴스
Vet, Rookie Combine for LA Playoff Win
1959-09-30
[11]
뉴스
Torre & Cubs?
1986-06-13
[12]
웹사이트
Skeeter Kell Stats
https://www.baseball[...]
[13]
웹사이트
George Kell, Tiger great and longtime broadcaster, dies at 86
https://web.archive.[...]
Detroit Free Press
2009-03-24
[14]
웹사이트
Hall of Fame baseball player George Kell passes away
https://web.archive.[...]
KAIT
2009-03-24
[15]
뉴스
Hall of Fame third baseman Kell dies
https://www.reuters.[...]
2009-03-25
[16]
웹사이트
Tigers Fans, FOX Sports Detroit Mourn the Passing of George Kell
http://msn.foxsports[...]
2009-03-28
[17]
웹사이트
George Kell
http://www.baseballh[...]
2015-04-28
[18]
웹사이트
Tomlinson Stadium—Kell Field
https://admin.xosn.c[...]
2010-06-25
[19]
웹사이트
George Kell, Tiger great and longtime broadcaster, dies at 86
https://web.archive.[...]
Detroit Free Press
2009-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