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두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두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교육자, 작가, 정치인으로, 남아프리카 흑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남아프리카 원주민 국민 회의(SANNC, 후일 ANC)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의장을 역임했으며, 줄루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1901년에는 아내와 함께 흑인이 설립한 남아프리카 최초의 교육 기관인 오랑게 고등학교를 설립했고, 줄루어/영어 신문인 일랑가 라세나탈리를 창간했다. 또한 부커 T. 워싱턴의 영향을 받아 흑인 사회의 자립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 국민회의 당원 - 음체비시 조너스
음체비시 조너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참여하고 동케이프 지역에서 경제 개발 관련 직책을 역임했으며, 굽타 게이트 연루 의혹으로 해임된 후 경제계에서 활동하며 저서를 출간했다. - 반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 -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을 이끌고 27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석방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이 되어 국민 화합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반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 - 콰메 은크루마
콰메 은크루마는 가나의 독립을 이끈 첫 번째 대통령이자 흑인 민족주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정치 활동으로 아프리카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로 쿠데타로 실각하여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오벌린 대학교 동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오벌린 대학교 동문 - 조지 허버트 미드
조지 허버트 미드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창시자로, 실용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자아 형성과 사회적 실재를 사회적 상호작용 및 상징적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분석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사회심리학자이다.
존 두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랑갈리발렐레 두베 |
출생 이름 | (알 수 없음) |
출생일 | 1871년 2월 22일 |
출생지 | 콰줄루나탈 주 인안다 |
사망일 | 1946년 2월 11일 |
사망지 | (알 수 없음) |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배우자 | 노쿠텔라 두베 (결혼 1894년, 혼전 성: 음디마) |
직업 | 작가 교육자 정치인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알려진 이유 | 남아프리카 원주민 국민회의의 창립 회장 |
주요 작품 | uShembe (1936) 아이제이아 솀베의 전기, Shuter & Shooter Publishers Pty Ltd, 피터마리츠버그 |
정치 | |
소속 정당 | 아프리카 민족회의 |
2. 초기 생애
존 랑갈리발레 두베는 나탈의 이난다 선교 기지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미국 해외 선교 위원회 소속 미국 슐루 선교회(AZM)의 지부였다. 그의 아버지인 제임스 두베 목사는 AZM 최초의 아프리카인 목사 중 한 명이었다. 두베는 이난다와 애덤스 칼리지, 아만짐토티에서 정규 교육을 시작했다. 윌리엄 컬렌 윌콕스 목사는 애덤스 칼리지에서 문제를 일으킨 두베에게 도움을 주었는데, 당시 그의 아버지 제임스 두베는 이난다의 회중 목사였다.[2]
존 두베는 줄루 문학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선구적인 문인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최초로 출판된 줄루 작가 중 한 명이었으나, 최초의 줄루 서적은 마게마 퓨즈가 쓴 역사서 'Abantu abamnyama lapo bavela ngakona'(흑인과 그들의 기원)로, 1880년대와 1890년대 초에 쓰여져 1922년에 출판되었다.
두베는 1890년대 초 미국 유학 시절 부커 T. 워싱턴의 영향을 직접 경험했다. 그는 특히 워싱턴의 저서 ''노예에서 벗어나기'' (Up from Slavery) (1901년 출간)를 읽고 큰 영향을 받았는데, 이 책은 자기 의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이었다. 두베는 워싱턴의 터스키기 연구소(Tuskegee Institute)에서도 영감을 받았으며, 이러한 영향은 그가 1901년 부인 노쿠텔라 두베와 함께 올랑게 고등학교(Ohlange High School)를 설립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존 두베는 1894년 1월 노쿠텔라 음디마와 결혼했다.[4] 노쿠텔라는 존 두베의 첫 번째 부인이었다. 두 사람은 함께 1901년 올랑게 고등학교를 설립했는데, 이 학교는 반투족 여성들에게 현대적인 교육을 제공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
[1]
웹사이트
John Dube profile
http://www2.oberlin.[...]
Oberlin.edu
2023-08-06
1887년, 윌콕스 가족이 미국으로 돌아가게 되자 존 두베와 그의 어머니는 두베가 미국에서 더 공부할 수 있도록 윌콕스 부부를 설득했다. 윌콕스 부부는 두베가 재정적으로 자립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동의했으며, 윌리엄 목사는 그가 미국에 도착했을 때 도로 작업반에서 첫 번째 일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1888년 말, 두베는 오벌린 아카데미 예비 학교에 입학했지만[1][3] 인쇄와 자립 기술을 배웠음에도 졸업하지는 못했다.
1893년 그는 이난다로 돌아왔고, 1894년 1월에 노쿠텔라 음디마와 결혼했다.[4]
3. 정치 활동
존 두베는 남아프리카 원주민 국민 회의(SANNC, 후일 ANC)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의장이었다. 선교사 교육을 받은 그는 새롭게 유입된 서구 교육과 아프리카 전통 사회 사이의 갈등 속에서도 정치가다운 면모를 보이며 사회적 분열을 헤쳐나갔고, 만년에는 줄루 왕족의 신뢰를 얻기도 했다. 그의 가르침과 연설, 특히 단결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은 당시 막 태동하던 정치적 분위기와 일치했다.
1914년에는 영국을 방문한 남아프리카 원주민 국민 회의 대표단에 참여했다. 두베가 흑인 정치 대중 운동의 의장으로서 행한 연설은 공개된 적이 없다. 흑인들이 일관성 있는 사회 정치 운동으로 다시 결성된 것은 1914년에 설립된 마커스 가비의 범아프리카 흑인 향상 연합 및 아프리카 공동체 연맹이었다.
두베는 정치적으로 신중하고 보수적인 성향을 지녔지만, 흑인의 권리와 단결이라는 최우선 원칙에 대해서는 솔직하고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마커스 가비가 국제 무대에 등장하기 훨씬 전에 흑인들의 단결 필요성을 예견했다.
4. 교육 활동
두베는 교육자로서 흑인들의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헌신했으며, 전국을 돌며 백인들을 대상으로 강연하는 유명한 연설가이기도 했다. 1901년, 그는 첫 번째 부인 노쿠텔라 두베와 함께 줄루 기독교 산업 학교(Zulu Christian Industrial School)를 설립했는데, 이 학교는 현재 더반의 피닉스와 에쿠파카메니 근처 오랑게에 있는 오랑게 고등학교이다. 이 학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이 직접 설립한 최초의 교육 기관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5]
그는 여러 곳에 초청받아 강연 활동을 펼쳤으며,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육자로서 그의 구체적인 활동 기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그는 서구식 교육과 아프리카 고유의 공동체적 관습 및 전통을 결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교육 철학은 ''우쿠지파타''(ukuziphatha)와 ''이시타''(isita)라는 개념에서 잘 드러난다. 특히 그는 훗날 1948년 아파르트헤이트 정부가 들어서고 반투 교육법이 제정되면서 교육이 억압적인 방식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예견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교육 방향을 모색하기도 했다.
5. 저술 활동
두베의 첫 출판물은 1910년에 나온 자기 계발과 공공 예절에 관한 영어 에세이였다. 같은 해에 문학적 가치는 상대적으로 덜 평가받는 'Ukuziphatha'(행동에 관하여)라는 에세이도 발표했다. 1930년에는 줄루 문학에서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역사 소설 『Insila kaShaka』(샤카의 시종)를 출판했다. 그에게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안겨준 작품은 에세이 『Umuntu Isita Sake Uqobo Lwake』("자신의 가장 큰 적은 자기 자신이다")였으며, 이 제목은 1936년 이전의 줄루어 표기법을 따른 것이다.
그는 줄루 왕족, 특히 디니줄루 왕의 전기를 집필하기 시작하여, 아프리카 문학사상 최초의 전기 작가가 되었다.
문학 작품 외에도, 두베는 아내 노쿠텔라 두베와 함께 1903년 최초의 줄루어-영어 신문인 『Ilanga laseNatali』(나탈의 태양)를 창간했다. 이 신문은 2003년에 창간 100주년을 맞았다. 그러나 1988년, 당시 정치 단체였던 망고사투 부텔레지가 이끄는 ''Inkatha yeNkululelo yeSizwe''(훗날 잉카타 자유당(IFP)으로 발전)에 인수되면서 독립성을 잃게 되었다.
6. 부커 T. 워싱턴의 영향
두베는 자기 의존을 타인으로부터 존엄성과 존경을 얻기 위한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길로 여겼다. 그는 자신의 저서 ''Isita''에서 흑인들이 세계의 존경을 받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립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기 의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워싱턴의 사상은 남아프리카의 여러 반투 언어로 번역되기도 했지만, 두베는 번역 대신 그 가르침을 직접 실천하는 길을 택했다.
7. 노쿠텔라 두베와의 관계
그러나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 활동과 달리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두 사람 사이에 자녀가 없었던 점이 노쿠텔라에게 어려움을 주었던 것으로 보이며, 존 두베는 학교의 제자 중 한 명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얻었다. 이 문제로 존 두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마무리되었고, 이 과정에서 노쿠텔라는 굴욕감을 느껴야 했다.[9]
결국 두 사람은 1914년경 별거에 이르렀다. 노쿠텔라는 트란스발주로 이주했으나 신장 질환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이후 그녀는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존 두베에게 돌아와 함께 지내다가 1917년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장례식에는 픽슬리 카 이사카 세메와 같이 훗날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의 주요 인물이 되는 사람들이 참석하여 그녀를 추모했다.[10]
참조
[2]
서적
First President: A Life of John Dube, Founding President of the ANC
https://books.google[...]
Jacana Media
2023-08-21
[3]
서적
First President: A Life of John Dube, Founding President of the ANC
2011
[4]
서적
First President: A Life of John Dube, Founding President of the ANC
2011
[5]
간행물
Seth Mokitimi and education for ministry: What's in a Name?
http://www.oikoumene[...]
Missionalia
2010
[6]
웹사이트
John Langalibalele Dube
https://www.sahistor[...]
2023-08-21
[7]
웹사이트
The pioneering woman the world forgot
https://www.bbc.co.u[...]
BBC News
2014-06-23
[8]
웹사이트
Enoch Mankayti Sontonga
http://www.sahistory[...]
SAHistory.org.za
2013-07
[9]
서적
First President: A Life of John Dube, Founding President of the ANC
https://books.google[...]
Jacana Media
2014-06-15
[10]
웹사이트
Nokutela Dube
http://www.jhbcitypa[...]
Johannesburg City Parks
2014-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