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불은 1712년 아버스노트가 창조한 영국의 의인화된 인물이다. 원래는 풍자적인 의미로 시작되었으나, 윌리엄 호가스 등 작가들에 의해 "자유 잉글랜드인의 영웅적인 원형"으로 묘사되었다. 1760년대 이후 앵글로색슨 국가들을 대표하는 인물로 그려졌으며, 밝은 색 조끼와 프록 코트를 입고 중산모를 쓴 모습으로 묘사된다. 존 불은 문학적으로는 선량하고 상식적인 인물로 그려지며, 20세기 초에는 토미 앳킨스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상징 - 유니콘
유니콘은 이마에 뿔이 달린 흰 말의 모습을 한 전설 속 동물로, 순결과 처녀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뿔은 마법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고, 스코틀랜드 왕가와 LGBTQ+ 커뮤니티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영국의 상징 - 영국의 국기
영국의 국기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상징하는 디자인을 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유니언 잭으로 불리고, 1801년 아일랜드 합병 이후 현재의 디자인이 확립되었다. - 나라 의인화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나라 의인화 - 바라트 마타
바라트 마타는 19세기 후반 인도 독립 운동과 함께 등장한 인도의 의인화된 어머니 상징으로,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으나, 힌두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종교적, 정치적 논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 가공의 잉글랜드 사람 - 셜록 홈즈
셜록 홈즈는 아서 코난 도일이 창작한 뛰어난 관찰력과 추리력의 가상 탐정으로, 왓슨 박사와 함께 런던 베이커가 221B에서 다양한 사건을 해결하며 전 세계적인 인기와 탐정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주었고, 법의학 지식, 변장술, 격투 능력과 약물 중독, 여성에 대한 복잡한 감정, 괴짜 같은 성격 등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인물이다. - 가공의 잉글랜드 사람 - 라라 크로프트
《툼 레이더》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주인공인 라라 크로프트는 뛰어난 능력과 고고학적 지식을 갖춘 세계적인 모험가로,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약하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비디오 게임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여성 캐릭터 중 하나이다.
존 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영국 |
유형 | 국가 의인화 |
첫 등장 | 1712년 |
성별 | 남성 |
특징 | |
묘사 | 뚱뚱하고, 쾌활하며, 때로는 부르퉁하고 때로는 현명한 시골 신사 |
의상 | 연미복 조끼 승마 바지 존 불 모자 |
태도 | 실용적, 상식적, 진취적 |
성격 | 때로는 고집스럽고 완고함 우둔하고 둔함 정직함과 선의를 지님 |
외모 | 불룩한 배 붉은 뺨 턱 아래의 처진 살 구렛나루 (때때로) 짧은 머리 |
역사적 맥락 | |
기원 | 조나단 스위프트의 정치 풍자에서 유래 "존 불의 역사" (1712년) |
발전 | 조롱거리에서 영국인의 상징으로 진화 조지 크루크생크, 존 리치, 제임스 길레이 같은 만화가들이 발전 |
대중문화 | 버라이어티 쇼와 정치 만화에 자주 등장 국수주의적 이미지로 활용되기도 함 |
특징적인 물건 | |
지팡이 | 종종 지팡이를 짚음 권위와 전통 상징 |
평가 | |
긍정적 평가 | 영국적인 성실함, 용기, 실용주의 대변 국가적 자긍심의 원천 |
비판적 평가 | 고립주의와 권위주의적 경향 대변 풍자적 대상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조나단 스위프트 조지 크루크생크 존 리치 제임스 길레이 |
언어별 명칭 | |
영어 | John Bull |
일본어 | ジョン・ブル (Jon Buru) |
2. 기원 및 역사
존 불은 1712년 존 아버스노트가 창조한 인물로, 영국의 출판 업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아버스노트는 1712년 자신의 홍보물 《법은 밑빠진 구덩이다》(Law is a Bottomless Pit)에서 불을 창조하였다.[17] 원래 조롱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윌리엄 호가스와 다른 영국의 작가들은 불을 자유 잉글랜드인의 영웅적인 모습으로 바꾸었다.[17] 이후 불의 이미지는 미국의 만화가 토머스 내스트나, 《존 불의 다른 섬》(''John Bull's Other Island'')의 저자인 아일랜드 작가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삽화가와 작가들에 의해 외국으로 퍼져나갔다.
1760년대부터 존 불은 앵글로 색슨 국가 사람들에 의해 그려졌다.[17] 그는 거의 담황색 양복조끼와 단순한 프록 코트를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과거에는 진청색이었지만 최근에는 유니언잭 색깔로 바뀌었다.[17] 브리타니아나 라이언은 종종 다른 시사 만화에서 존 불을 대신하는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문학에서 존 불은 선량하고, 좌절을 겪기도 하지만 상식적이며, 토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후 등장한 엉클 샘과는 달리 권위적인 인물이라기보다는 작은 맥주와 내면의 평화를 즐기는 농부에 가까우며, 애국심은 있지만 영웅적인 도전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아버스노트는 존 불에게 페그(스코틀랜드)라는 여동생을 주었고, 루이 바분(프랑스 부르봉)과는 전통적인 적대 관계를 설정했다. 페그는 18세기 이후에도 계속 등장하지만, 원래 설정에 등장했던 다른 인물들은 점차 사라져 갔다.
2. 1. 아버스노트의 풍자
1712년 아버스노트가 존 불을 만들었으며, 영국의 출판 업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아버스노트는 1712년 홍보물 《법은 밑빠진 구덩이다》(Law is a Bottomless Pit)에서 불을 창조하였다.[17] 원래 조롱의 의미였는데, 윌리엄 호가스와 다른 영국의 작가들은 불을 자유 잉글랜드인의 영웅의 원형으로 만들었다.[17] 이후 불의 형태는 미국의 만화가 토머스 내스트나, 《존 불의 다른 섬》(''John Bull's Other Island'')의 저자 아일랜드 작가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삽화가와 작가들에 의해 외국으로 퍼졌다.1760년대부터 불은 앵글로 색슨 국가들의 사람들에 의해 그려졌다.[17] 그는 거의 담황색 양복조끼와 단순한 프록 코트를 입은 모습으로 그려졌다.(과거에는 진청색이었지만, 최근에는 유니언잭 색깔로)[17] 브리타니아, 또는 라이언은 종종 다른 시사 만화에서 대체물로 사용되었다.
문학적 인물로서 존 불은 선하고, 좌절하고, 상식적이며, 토종적이다. 이후 등장한 엉클 샘과는 달리 그는 권위있는 인물이라기 보다는 작은 맥주와 내면적 평화를 가진 농부에 가까우며 애국심은 가지고 있었으나 영웅적 도전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아버스노트는 그에게 페그(스코틀랜드)라는 여동생을 주었는데, 루이 바분(프랑스 부르봉)과는 전통적 적대 관계였다. 페그는 18세기 이후에도 등장하지만 다른 원래의 설정 인물들은 사라져 간다.
2. 2. 대중화와 이미지 변화
1712년 아버스노트가 존 불을 창조했고, 영국의 출판 업자들이 대중화시켰다. 아버스노트는 1712년 홍보물 《법은 밑빠진 구덩이다》(Law is a Bottomless Pit)에서 불을 창조하였다.[17] 원래는 조롱의 의미였으나, 윌리엄 호가스와 다른 영국의 작가들은 불을 자유 잉글랜드인의 영웅의 원형으로 만들었다.[17] 이후 불의 형태는 미국의 만화가 토머스 내스트나, 《존 불의 다른 섬》(''John Bull's Other Island'')의 저자 아일랜드 작가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삽화가와 작가들에 의해 외국으로 퍼졌다.1760년대부터 불은 앵글로 색슨 국가들의 사람들에 의해 그려졌다.[17] 그는 거의 담황색 양복조끼와 단순한 프록 코트를 입은 모습으로 그려졌다.(과거에는 진청색이었지만, 최근에는 유니언잭 색깔로)[17] 브리타니아나 라이언은 종종 다른 시사 만화에서 대체물로 사용되었다.
문학적 인물로서 존 불은 선하고, 좌절하고, 상식적이며, 토종적이다. 이후 등장한 엉클 샘과는 달리 그는 권위있는 인물이라기 보다는 작은 맥주와 내면적 평화를 가진 농부에 가까우며 애국심은 가지고 있었으나 영웅적 도전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아르부스노트는 그에게 페그(스코틀랜드)라는 여동생을 주었는데, 루이스 바분(프랑스 부르봉)과는 전통적 적대 관계였다. 페그는 18세기 이후에도 등장하지만 다른 원래의 설정인물들은 사라져 간다.
존 불은 보통 밝은 색 바지(breeches)와 중산모(top hat)를 쓴, 뚱뚱한 체격의 꼬리옷(tailcoat)을 입은 남성으로 묘사된다. 얕은 챙의 모자는 중산층 신분을 나타낸다. 조지아 시대에는 그의 조끼(waistcoat)는 빨간색이거나 꼬리옷은 푸른색이었는데, 버프색 또는 흰색 바지와 함께 "푸른색과 버프색" 구성표를 어느 정도 나타낸다.[1] 이것은 영국 휘그당(Whigs (British political party)) 정치 지지자들이 사용했던 색상으로, 존 아부스노스(John Arbuthnot)가 이 인물을 창조하고 디자인할 때 비웃고자 했던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20세기가 되면서 그의 조끼는 거의 항상 영국 국기[1]를 묘사하고, 코트는 일반적으로 감색이다. (하지만 그의 의복은 여전히 섭정 시대의 유행을 반영한다.) 그는 중산모(top hat)(때로는 존 불 중산모라고 함)를 쓰고 있으며, 종종 불독을 데리고 다닌다.


20세기 초반을 거치면서 존 불은 "평범한 사람"을 특별히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지지 않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토미 애킨스(Tommy Atkins)라는 인물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8] 앨리슨 라이트(Alison Light)에 따르면, 전간기 동안 국가는 "이전의 영웅적인...국가적 운명에 대한 공개적인 수사학"을 버리고 "덜 제국적이고 더 내향적이며, 더 가정적이고 더 사적인 영국성"을 선호했다.[9] 결과적으로 존 불은 시드니 스트루브(Sidney Strube)의 교외의 작은 사람(Little Man)으로 대체되었다.[10] 어떤 사람들은 작은 사람에 의한 존 불의 대체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쇠퇴의 상징으로 보았다. W. H. 오든(W. H. Auden)의 1937년 시 "바이런 경에게 보내는 편지"는 존 불을 작은 사람과 비교적 호의적으로 대조했다.[11]
존 불의 성은 또한 영국인의 소고기에 대한 추정되는 애정을 연상시키는데, 이는 프랑스어로 영국인을 부르는 별명인 ''les rosbifs''( "로스트 비프들"을 뜻함)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동물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존 불은 황소처럼 "남성적이고, 강하고, 완고한" 것으로 묘사된다.[1]
3. 외모 및 특징
존 불은 1712년 아버스노트에 의해 창조된 영국의 의인화된 인물이다. 그는 영국의 출판업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원래는 조롱의 의미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하였다.[17]
워싱턴 어빙은 그의 책 ''스케치 북''의 "존 불"이라는 장에서 그를 "정직하고, 솔직하며, 현실적인 사람"으로 묘사하며, 유머 감각이 뛰어나고, 쉽게 감동받지만, 감상적인 것은 싫어한다고 묘사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집트 민족주의 언론인 야쿠브 사누는 존 불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6] 그의 만화에서 존 불은 이집트의 부를 훔치고 이집트인들을 괴롭히는 무례하고 무지한 술 취한 폭력배로 나타난다.[6]
20세기 초반을 거치면서 존 불은 "평범한 사람"을 대표하는 인물로서의 지위를 잃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토미 애킨스라는 인물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8]
존 불의 성은 영국인의 소고기 사랑을 연상시키며, 프랑스어에서 영국인을 부르는 별명인 ''les rosbifs''( "로스트 비프"를 뜻함)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황소(bull)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존 불은 "남성적이고, 강하고, 완고한" 것으로 묘사된다.[1]
3. 1. 복장
존 불은 보통 밝은 색 바지(breeches)와 중산모(top hat)를 쓴, 뚱뚱한 체격의 꼬리옷(tailcoat)을 입은 남성으로 묘사된다. 얕은 챙의 모자는 중산층 신분을 나타낸다. 조지아 시대에는 그의 조끼(waistcoat)는 빨간색이거나 꼬리옷은 푸른색이었는데, 버프색 또는 흰색 바지와 함께 "푸른색과 버프색" 구성표를 어느 정도 나타냈다.[1] 이것은 존 아버스노트(John Arbuthnot)가 이 인물을 창조하고 디자인할 때 비웃고자 했던 영국 휘그당(Whigs (British political party)) 정치 지지자들이 사용했던 색상이다. 하지만 20세기가 되면서 그의 조끼는 거의 항상 영국 국기[1]를 묘사하고, 코트는 일반적으로 감색이다. (하지만 그의 의복은 여전히 섭정 시대의 유행을 반영한다.) 그는 중산모(top hat)(때로는 존 불 중산모라고 함)를 쓰고 있으며, 종종 불독을 데리고 다닌다.3. 2. 상징
1712년 아버스노트가 존 불을 창조했으며, 영국의 출판 업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아버스노트는 1712년 홍보물 《법은 밑빠진 구덩이다》(Law is a Bottomless Pit)에서 불을 창조하였다.[17] 원래는 조롱의 의미였으나, 윌리엄 호가스와 다른 영국의 작가들은 불을 자유 잉글랜드인의 영웅의 원형으로 만들었다.[17] 이후 불의 형태는 미국의 만화가 토머스 내스트나, 《존 불의 다른 섬》(''John Bull's Other Island'')의 저자 아일랜드 작가 조지 버나드 쇼와 같은 삽화가와 작가들에 의해 외국으로 퍼졌다.1760년대부터 존 불은 앵글로 색슨 국가들의 사람들에 의해 그려졌다.[17] 그는 거의 담황색 양복조끼와 단순한 프록 코트를 입은 모습으로 그려졌다.(과거에는 진청색이었지만, 최근에는 유니언잭 색깔로)[17] 브리타니아나 라이언은 종종 다른 시사 만화에서 대체물로 사용되었다.
문학적 인물로서 존 불은 선하고, 좌절하고, 상식적이며, 토종적이다. 이후 등장한 엉클 샘과는 달리 그는 관위있는 인물이라기 보다는 작은 맥주와 내면적 평화를 가진 농부에 가까우며 애국심은 가지고 있었으나 영웅적 도전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아르부스노트는 그에게 페그(스코틀랜드)라는 여동생을 주었는데, 루이스 바분(프랑스 부르봉)과는 전통적 적대 관계였다. 페그는 18세기 이후에도 등장하지만 다른 원래의 설정인물들은 사라져 간다.
존 불은 보통 밝은 색 바지(breeches)와 중산모(top hat)를 쓴, 뚱뚱한 체격의 꼬리옷(tailcoat)을 입은 남성으로 묘사된다. 얕은 챙의 모자는 중산층 신분을 나타낸다. 조지아 시대에는 그의 조끼(waistcoat)는 빨간색이거나 꼬리옷은 푸른색이었는데, 버프색 또는 흰색 바지와 함께 "푸른색과 버프색" 구성표를 어느 정도 나타낸다.[1] 이것은 영국 휘그당(Whigs (British political party)) 정치 지지자들이 사용했던 색상으로, 존 아부스노스(John Arbuthnot)가 이 인물을 창조하고 디자인할 때 비웃고자 했던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20세기가 되면서 그의 조끼는 거의 항상 영국 국기[1]를 묘사하고, 코트는 일반적으로 감색이다. (하지만 그의 의복은 여전히 섭정 시대의 유행을 반영한다.) 그는 중산모(top hat)(때로는 존 불 중산모라고 함)를 쓰고 있으며, 종종 불독을 데리고 다닌다.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은 그의 책 ''스케치 북''의 "존 불"이라는 제목의 장에서 그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A] plain, downright, matter-of-fact fellow, with much less of poetry about him than rich prose. There is little of romance in his nature, but a vast deal of a strong natural feeling. He excels in humour more than in wit; is jolly rather than gay; melancholy rather than morose; can easily be moved to a sudden tear or surprised into a broad laugh; but he loathes sentiment and has no turn for light pleasantry. He is a boon companion, if you allow him to have his humour and to talk about himself; and he will stand by a friend in a quarrel with life and purse, however soundly he may be cudgelled.
진지하고, 뚱뚱하고, 보수적이며, 선량한 존 불의 만화 이미지는 영국 시골의 지주처럼 옷을 입고 있으며, 때때로 전형적인 마른 프랑스 혁명가 생퀼로트 자코뱅과 명백히 대조된다. 이 이미지는 1790년경부터 영국 풍자적 예술가 제임스 길레이(James Gillray), 토마스 로랜드슨(Thomas Rowlandson), 아이작 크루익셱크(Isaac Cruikshank)에 의해 발전되었다.
thumb에 대한 논평: 존 불이 마리안느(Marianne)와 함께 걸어가면서 독일 황제(Wilhelm II, German Emperor)에게 등을 돌린다.]]
존 불의 성은 또한 영국인의 소고기에 대한 추정되는 애정을 연상시키는데, 이는 프랑스어로 영국인을 부르는 별명인 ''les rosbifs''( "로스트 비프들"을 뜻함)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동물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존 불은 황소처럼 "남성적이고, 강하고, 완고한" 것으로 묘사된다.[1]
3. 3. 성격
1712년 아버스노트가 창조하고 영국의 출판 업자들이 대중화한 존 불은 선량하고, 좌절하며, 상식적이고, 토종적인 성격을 지닌 문학적 인물이다. 엉클 샘과는 달리 권위적인 인물이라기보다는 작은 맥주와 내면적 평화를 사랑하는 농부에 가깝고, 애국심은 있지만 영웅적인 면모는 부족하다.[17] 아버스노트는 그에게 페그(스코틀랜드)라는 여동생을 주었고, 루이스 바분(프랑스 부르봉 왕가)과는 전통적인 적대 관계를 설정했다.[5]존 불은 보통 밝은 색 바지와 중산모를 쓴, 뚱뚱한 체격의 꼬리옷을 입은 남성으로 묘사된다. 조지아 시대에는 그의 조끼는 빨간색이거나 꼬리옷은 푸른색이었지만, 20세기가 되면서 그의 조끼는 영국 국기를 묘사하고, 코트는 일반적으로 감색이다.[1] 중산모를 쓰고 있으며, 종종 불도그를 데리고 다닌다.
워싱턴 어빙은 그의 책 ''스케치 북''의 "존 불"이라는 장에서 그를 "정직하고, 솔직하며, 현실적인 사람"으로 묘사하며, 유머 감각이 뛰어나고, 쉽게 감동받지만, 감상적인 것은 싫어한다고 묘사했다.
1790년경부터 영국의 풍자 예술가들은 존 불의 이미지를 발전시켰다.[1]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집트 민족주의 언론인 야쿠브 사누는 존 불을 무례하고 무지한 술 취한 폭력배로 묘사하는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6]
20세기 초반, 존 불은 "평범한 사람"을 대표하는 인물로 여겨지지 않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토미 애킨스라는 인물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8] W. H. 오든은 그의 시에서 존 불을 "어설픈 농담을 하는 거만한 폭력배"라고 묘사하며, 그가 입레와 파센달레에서 사망했다고 언급했다.[12]
존 불의 성(姓)은 영국인의 소고기에 대한 애정을 연상시키며, 이는 프랑스어에서 영국인을 부르는 별명인 ''les rosbifs''( "로스트 비프"를 뜻함)에 반영되어 있다. 존 불은 황소처럼 "남성적이고, 강하고, 완고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
4. 비판적 시각
존 불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주로 이집트와 아일랜드 민족주의 언론 및 민요에서 나타나며, 이러한 관점은 존 불을 제국주의적이고 억압적인 영국의 상징으로 묘사한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이집트 민족주의 언론인 야쿠브 사누(Yaqub Sanu)는 자신이 발행한 지하 신문 ''아부-나다라 자르카''의 만평을 통해 존 불을 비판했다.[6] 아일랜드의 음악가이자 극작가인 도미닉 비한은 자신의 발라드 애국자 게임(The Patriot Game)에서 존 불을 통해 영국 정부를 비판했다.
20세기 초, 존 불은 '평범한 사람'을 대표하는 인물로서의 지위를 잃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토미 앳킨스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었다.[8] 전간기에 영국은 덜 제국적이고 내향적인 정체성을 선호하면서, 존 불은 시드니 스트루브의 작은 사람으로 대체되었다.[9][10] W. H. 오든은 1937년 시 "바이런 경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존 불을 작은 사람과 비교하며, 존 불이 입레와 파센달레에서 사망했다고 썼다.[12]
존 불의 성(Bull)은 영국인의 소고기에 대한 애정을 연상시키며, 이는 프랑스어에서 영국인을 부르는 별명인 ''les rosbifs''(로스트 비프)에 반영되어 있다.[1] 존 불은 황소처럼 "남성적이고, 강하고, 완고한" 이미지로 묘사되기도 한다.[1]
4. 1. 이집트 민족주의 언론의 묘사
야쿠브 사누(Yaqub Sanu)가 발행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인기 지하 신문 ''아부-나다라 자르카''에는 존 불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나타난다.[6] 사누의 만화에서 존 불은 이집트의 모든 부를 훔치면서 평범한 이집트인들을 괴롭히는 무례하고 무지하며 술에 취한 폭력배로 묘사되었다.[6] 사누는 존 불의 알코올 중독, 무례함, 알코올 외 거의 모든 것에 대한 무지, 그리고 이집트 엘리트의 언어인 프랑스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점(이집트인들은 적절한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그는 우스꽝스럽게 망쳐놓았다)에 초점을 맞춰 유머를 표현했다.[7]4. 2. 아일랜드 민요의 비판
음악가이자 극작가이며 아일랜드 공화주의자였던 도미닉 비한(Dominic Behan)은 그의 인기 발라드 애국자 게임(The Patriot Game)에서 존 불을 통해 영국 정부를 비판했다.[1]Dominic Behan영어 형태의 템플릿은 허용된 템플릿이므로 제거하지 않고, 영문 표기를 위해 사용했다.
5.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AngloMania: Tradition and Transgression in British Fashion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2]
간행물
Georgian John Bull
History Today
2014-01
[3]
ODNB
Bull, John (supp. fl. 1712–)
2017-09-01
[4]
서적
Performing Scottishness: Enactment and National Identities
Springer Nature
2020
[5]
웹사이트
The view from England
http://www.fitzmuseu[...]
The Fitzwilliam Museum
2007-07-03
[6]
간행물
Francophone Egyptian Nationalists, Anti-British Discourse, and European Public Opinion, 1885-1910: The Case of Mustafa Kamil and Ya'qub Sannu'
Comparative Studies of South As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2008
[7]
간행물
Francophone Egyptian Nationalists, Anti-British Discourse, and European Public Opinion, 1885-1910: The Case of Mustafa Kamil and Ya'qub Sannu'
Comparative Studies of South Asia, Africa and the Middle East
2008
[8]
웹사이트
Myth, legend, and mystery in the Oxford DNB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Semi-Detached Empire: Suburbia and the Colonization of Britain, 1880 to the Present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10
[10]
간행물
'Everything in the Garden Is Lovely':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Sidney Strube's "Daily Express" Cartoons in the 1930s
Oxford Art Journal
1990
[11]
서적
[12]
서적
The Thirties
Macmillan
1990
[13]
웹사이트
‘Bull, John (supp. fl. 1712–)’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4]
간행물
AngloMania: Tradition and Transgression in British Fashion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15]
서적
英国パブ・サイン物語
[16]
웹사이트
‘Bull, John (supp. fl. 1712–)’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7]
간행물
AngloMania: Tradition and Transgression in British Fashion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