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음비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음비티는 1931년 케냐에서 태어난 아프리카의 종교와 철학 연구에 기여한 신학자이다.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종교학을 전공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마케레레 대학교와 세계 교회 협의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를 연구하며, 저서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을 통해 아프리카인의 시간 개념인 사사와 자마니를 제시하고, 아프리카 윤리관을 설명했다. 2005년부터 베른 대학교 명예 교수로 재직하며 목회 활동을 하였으며, 201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작가 - 조모 케냐타
    조모 케냐타는 케냐의 초대 대통령이자 핵심 독립 운동 지도자로, 키쿠유족 출신으로 키쿠유 중앙 연합 활동을 통해 정계에 입문, 케냐 아프리카 연합 당수를 거쳐 케냐 독립 후 초대 총리 및 대통령을 지내며 케냐 경제 발전을 이끌었으나 독재 정치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케냐의 작가 - 버락 오바마 시니어
    케냐 출신의 경제학자 버락 오바마 시니어는 하와이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케냐 정부 경제학자로 활동했으며, 버락 오바마 2세의 아버지이다.
존 음비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사무엘 음비티John Samuel Mbiti
출생1931년 11월 30일
출생지물랑고, 케냐
사망2019년 10월 5일
사망 장소부르크도르프, 스위스
국적케냐
배우자베레나 음비티-지겐탈러
종교
소속 교회잉글랜드 교회
서품1963년
학력
모교배링턴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아프리카 부족의 복음화와 관련된 기독교 종말론 (Christian Eschatology in Relation to the Evangelization of Tribal Africa)
학위 논문 년도1963년
학문적 전통아프리카 신학
공동체주의
학문 분야
분야철학
신학
세부 분야해당 사항 없음
직장마케레레 대학교
보세 에큐메니컬 연구소
베른 대학교
주요 관심사해당 사항 없음
주요 저서"아프리카 종교와 철학 (African Religions and Philosophy)" (1969)
영향이페아니 멘키티
제시 무감비

2. 생애

존 음비티는 1931년 케냐에서 태어나 우간다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잉글랜드의 배링턴 칼리지에서 수학했다. 이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아프리카의 신 개념(Concepts of god in Africa)〉이라는 논문으로 1963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4][5] 1964년부터 10년간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종교와 신학 등을 가르쳤고, 스위스에 있는 세계 교회 협의회(WCC) 에큐메니컬 연구소 소장 직을 역임했다.[6] 이후 세계 각국을 돌며 여러 대학교에서 아프리카 종교와 신학, 철학 등을 강의하는 한편 활발한 저술 활동을 했다. 2005년부터 베른 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으면서 부르크도르프의 한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하였다.[10]

2. 1. 초기 생애

존 음비티는 1931년 11월 30일 케냐 동부 키투이 주 물란고에서 농부였던 아버지 사무엘 무투비 응아앙기와 어머니 발레시 음반디 키임바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6명의 자녀 중 한 명이었다. 독실한 기독교 집안에서 성장했으며, 아프리카 내륙 교회를 통해 교육받았다.[4] 나이로비에 있는 얼라이언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3년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56년 문학사, 1957년 로드아일랜드에 있는 기독교 인문학 학교인 배링턴 칼리지에서 신학사 학위를 받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C.F.D. 모울의 지도하에 "아프리카 사회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복음화되어 기독교 신앙이 아프리카 토양에 깊고 확고하게 침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논문으로 1963년 신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2. 2. 학문 및 종교 활동

1964년부터 1974년까지 우간다마케레레 대학교에서 종교와 신학을 가르쳤으며, 이후 스위스 보지-보시에 있는 세계 교회 협의회의 에큐메니컬 연구소 소장을 지냈다.[6] 그는 전 세계의 여러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했으며, 철학, 신학 및 아프리카의 구전 전통에 관해 많은 저서를 출판했다.[6]

1969년에 출간된 음비티의 대표적인 저서인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은 전통적인 아프리카 종교 사상이 "악마적이고 반기독교적"이라는 기독교의 가정을 처음으로 반박한 저작이었다.[7] 그는 방대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 종교를 공감적으로 다루었다. 음비티는 이러한 종교에 대한 자신의 해석이 확고한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음을 분명히 했으며, 이 점은 때때로 심한 비판을 받았다.[8][9]

음비티의 연구 관심사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학, 그리고 에큐메니즘을 포함했다. 그는 또한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수집한 아프리카 속담 모음집에도 참여했다.

2005년부터 2019년 사망할 때까지 음비티는 베른 대학교의 명예 교수이자, 스위스 부르크도르프 마을의 은퇴한 교구 목사였다.[10] 잉글랜드 성공회의 성공회 사제로 서품되었던 그는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스위스 부르크도르프에서 교구 목사로 활동했으며, 1983년부터 베른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마케레 대학교에서 그는 첫 번째 저서인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1969)을 집필했다. 그는 이 저서에서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악마적인 반기독교적 가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널리 퍼진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고, 전통 아프리카 종교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불교와 동등한 존경을 받아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성경에서 하느님이 모든 것의 창조주이므로 하느님이 모든 것에 자신을 계시했다고 주장했다. 음비티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는데, 그 종교의 심오한 구전 전통 때문에 그 기초에 관한 이전 강의 내용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수업을 가르치기 위해 개인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현장 연구를 수행하면서 300개 이상의 아프리카 민족 또는 부족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했다. 학생들의 요청에 따라 연구 결과를 모아 1969년에 출판된 그의 첫 번째 책에 그의 노트와 강의를 정리하게 되었다.[4]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음비티는 세계 교회 협의회 보시 에큐메니컬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다. 그는 학문 간 신학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영향력 있는 회의를 주최했다. 그의 목표는 에큐메니컬 만남과 대화를 위해 아프리카, 아시아 및 기타 신학자들을 모으는 것이었다. 1976년 6월에 열린 첫 번째 회의는 현대 신학에 대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기여에 초점을 맞추었다. 1977년 7월 보시에서 열린 그의 두 번째 회의인 "다양한 문화에서 그리스도를 고백하기"에는 35개국에서 1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참석했다. 여기에서는 개인이 어떻게 맥락적 고백에서 보편적 고백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고백이 예배와 찬양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강조했다. 그의 세 번째 회의는 "토착 신학과 보편 교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스위스에서 교구 목사(1996년)와 대학교 강사(2005년)로 은퇴한 후, 음비티는 신약 성경 전체를 그리스어히브리어 원본에서 그의 모국어인 캄바어(키캄바어), 케냐(및 탄자니아)의 캄바족이 사용하는 반투어 언어로 번역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열린, 음비티의 삶과 저술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남부 아프리카 성공회는 음비티에게 평화와 정의를 위한 대주교 상을 수여했다. (2016년 11월)

2. 3. 말년

음비티는 2005년부터 2019년 사망할 때까지 베른 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스위스 부르크도르프의 은퇴한 교구 목사였다.[10] 그는 베레나 음비티-지겐탈러와 결혼하여 슬하에 4명의 자녀와 5명의 손주를 두었다.[11] 2019년 10월 5일 부르크도르프에서 사망했다.[12][13]

3.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African Religions and Philosophy)》은 케냐의 신학자 존 음비티가 1969년에 출간한 아프리카 종교에 대한 개괄서이다. 이 책은 동부 아프리카의 스와힐리 문화권을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수집한 민족지와 신화 등을 분석해 아프리카인의 일상에 녹아 있는 민간신앙의 구조와 행위, 사고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음비티는 이 책을 통해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악마적이고 반기독교적"이라는 서구의 편견을 비판하고,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다른 종교와 동등하게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4]

음비티는 마케레 대학교에서 아프리카 전통 종교를 가르치면서, 300개 이상의 아프리카 민족 또는 부족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이 책을 집필했다.[4] 그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의 기원을 구두 전승을 연구하여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예를 들어, 이그보 종교는 구두 전승을 통해 대대로 전승되었으며, 개인의 종교적 참여는 태어나기 전부터 시작되어 죽음 이후에도 계속된다고 믿었다.[4]

음비티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반기독교적 믿음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인상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이그보 종교의 전통적인 노래, 음악, 춤을 비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공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아프리카인이 있는 곳에는 어디든 종교가 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4]

3. 1. 사사와 자마니

음비티는 아프리카인의 독특한 시간 개념으로 '사사(sasa)'와 '자마니(zamani)'를 제시했다. 사사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 그리고 이미 지나간 가까운 과거를 의미하며, 자마니는 현재의 사사가 흘러 들어가 축적되는 시간의 저장고이자 신화적 시간으로, 개인과 공동체의 삶이 영원히 기록되는 시간의 흐름이다. 음비티는 아프리카인이 인식하고 있는 영적 개념이 사사와 자마니라는 시간 개념을 통해 이해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3. 2. 신비한 힘과 윤리관

음비티는 아프리카인의 삶을 지배하는 초자연적인 힘으로 마술, 주술, 사술 등을 설명한다. 이러한 힘들은 현실적으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긍정적인 목적 또는 부정적인 목적에 따라 '선'과 '악'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마술과 주술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반면, 사술은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음비티에 따르면, 아프리카인의 윤리관은 공동체의 질서 유지에 중점을 둔다. 선과 악의 기준은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며, 행위의 결과에 따라 판단된다. 즉, 어떤 행동이 신이나 영혼에 의해 처벌을 받으면 악한 행동으로 간주되지만, 처벌 없이 지나가면 악한 행동이 아닌 것이다. 예를 들어, 간음을 했더라도 들키지 않고 영적 처벌을 받지 않으면 '악한' 행동이 아니다.

음비티는 아프리카인에게 유일한 선과 악의 윤리적 기준은 공동체의 질서 유무라고 설명한다. 공동체의 질서를 깨뜨리는 행위는 악으로 인식되지만, 질서가 유지되는 한 어떤 행동도 용납될 수 있다는 것이다.

4. 비판

음비티는 자신의 주장을 서구에서 확립된 지적 용어로 표현했다는 이유로 우간다 작가 오콧 p'비텍에게 비판받았다. 특히 p'비텍은 아프리카의 우주론이 궁극적으로 전능하고, 편재하며, 영원한 기독교적 신의 관점과 일치한다는 음비티의 주장을 비판했다. p'비텍은 저서 ''서구 학문 속 아프리카 종교''에서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시골의 평범한 아프리카인들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라고 썼다. 미시간 대학교의 역사 및 아프리카 연구 교수 데릭 피터슨에 따르면, 음비티는 이 비판에 응답하지 않았다.[16]

Tsenay Serequeberhan은 음비티를 민족 철학의 전통에 위치시키고, 음비티가 "기독교인, 무슬림 또는 근대화된 유럽화된 아프리카인의 전복적인 시선에 아프리카인의 내면성을 드러내려 한다"고 주장했다.[17]

5. 저서

제목출판 연도비고
Akamba Stories영어1966년
Poems of Nature and Faith영어1969년
African Religions and Philosophy영어1969년
Concepts of God in Africa영어1970년
New Testament Eschatology in an African Background영어1971년
Love and Marriage in Africa영어1973년
Introduction to African Religion영어1975년
The Prayers of African Religion영어1975년
Bible and Theology in African Christianity영어1987년
African Proverbs영어1997년
Utianiyo Mweu Wa Mwiyai Yesu Kilistokam (The Kikamba Bible영어)2014년번역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2011년장용규 역, 지만지



음비티의 첫 저서인 《아프리카 종교와 철학》(1969)은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반기독교적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믿음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제시했다.[4] 그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불교와 동등한 존경을 받아야 함을 강조했다.[4]

《아프리카의 신 개념》(1970)은 270개 이상의 아프리카 민족 또는 부족으로부터 수집된 전통적인 종교적, 철학적 지혜를 제시한다.

《아프리카적 배경에서의 신약 종말론》(1971)은 신약 신학과 아프리카 전통 개념 간의 만남을 연구한 책이다.

《아프리카 종교 입문》(1975)은 아프리카 속담을 통해 구전으로 전해지는 종교적, 윤리적 관습을 보여준다.

《아프리카 종교의 기도》(1975)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기독교 명상 의식, 주문, 기도와 신성한 힘과의 연결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제공한다.

《아프리카 기독교의 성경과 신학》(1987)은 성경과 신학의 관계를 아프리카 기독교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키캄바어 성경 - 우티아니요 므에우 와 므위아이 예수 킬리스토》(2014)는 음비티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원본에서 그의 모국어인 캄바어(키캄바어)로 번역한 신약성경이다.

참조

[1] 학위논문 A Critical Assessment of African Communitarianism for Environmental Well-Being University of South Africa
[2] 학위논문 The Right to Confidentiality in the Context of HIV/AIDS University of South Africa
[3] 학술지 "Review of ''From Historical to Critical Post-Colonial Theology: The Contribution of John S. Mbiti and Jesse N.K. Mugambi'', by Robert S. Heaney"
[4] 뉴스 Kenya mourns the late Prof. Samuel John Mbiti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9-10-08
[5] 학위논문 Christian Eschatology in Relation to Evangelization of Tribal Africa Cambridge University
[6] 웹사이트 Heinemann http://books.heinema[...] 2006-03-23
[7] 학술지 The Encounter of Christian Faith and African Religion http://www.religion-[...] 2006-03-23
[8] 학술지 A New Analysis of Mbiti's 'The Concept of Time' 2005-03
[9] 학술지 Kalumba, Mbiti, and a Traditional African Concept of Time 2006-03
[10] 웹사이트 University of Bern http://www.theol.uni[...] 2006-03-23
[11] 웹사이트 Mbiti, John Samuel http://www.dacb.org/[...]
[12] 웹사이트 Celebrated Kenyan Scholar Dies in Switzerland https://www.kenyans.[...] 2019-10-06
[13] 뉴스 John Mbiti, 87, Dies; Punctured Myths About African Relig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0-24
[14] 뉴스 WCC commemorates life of former Bossey director John Samuel Mbiti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9-10-08
[15] 학술지 Conflicts Between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and Christianity in Eastern Nigeria: The Igbo Example
[16] 뉴스 John Mbiti, 87, Dies; Punctured Myths About African Relig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0-24
[17] 서적 African philosophy : the essential readings https://www.worldcat[...]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