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의 명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말의 명화는 1969년 8월 9일 MBC TV 개국 이틀 후 'MBC 명화극장'으로 시작하여 같은 해 11월 22일 'MBC 주말의 명화'로 변경된 외화 영화 프로그램이다. 1980년 잠시 'MBC 일요명화'로 변경되었다가 1981년 '주말의 명화'로 부활했다. 1980년대 후반 비디오 대여점 활성화, 1995년 케이블TV와 위성방송 채널 등장, 2000년대 웹하드와 UCC 등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여 2010년 10월 29일 마지막 방송을 끝으로 41년 만에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태평천하 (1969년 드라마)
1969년에 방영된 드라마 태평천하는 김순철, 윤여정, 안인숙, 박근형, 김상순 등이 주요 배역을 맡아 극을 이끈 대한민국의 드라마다. - 1969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개구리 남편
개구리 남편은 1970년대에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유부남의 외도를 소재로 하여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지만, 불륜 묘사로 비판받고 법적 제재를 받기도 했다. - 196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누가누가 잘하나
《누가누가 잘하나》는 KBS에서 동요 공연, 뮤직톡톡 코너, 시상식으로 구성되어 캠벨 에이시아를 비롯한 진행자들이 이끄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결방과 편성 변경을 거치며 방송되고 있으며, 으뜸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동요 대회와 연관되어 어린이 음악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6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태평천하 (1969년 드라마)
1969년에 방영된 드라마 태평천하는 김순철, 윤여정, 안인숙, 박근형, 김상순 등이 주요 배역을 맡아 극을 이끈 대한민국의 드라마다. - 197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데스크는 1970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앵커 시스템 도입 등 새로운 형식을 제시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시청률 하락과 공정성 논란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 평일 저녁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55분에 방송된다. - 197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주말의 명화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2. 역사
1969년 MBC TV 개국과 함께 'MBC 명화극장'으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MBC 주말의 명화'로 변경되었다. 1980년대 초 TV 과외 프로그램 편성으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MBC 일요명화'로 방송되기도 했으나, 1981년 '주말의 명화'로 다시 부활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비디오, 케이블TV, 위성방송, 웹하드, UCC등 여러 매체의 등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였고, 2010년에 폐지되었다.[1]
2. 1. 초창기 (1969년 ~ 1980년대 초)
1969년 8월 9일, MBC TV 개국 이틀째 되는 날에 'MBC 명화극장'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으나,[1] 같은 해 11월 22일에 'MBC 주말의 명화'로 프로그램명이 변경되면서 외화 작품 《발렌티노(Valentino)》를 방영하였다.[1]1980년 가을 개편에 따라 '주말의 명화' 대신 TV 과외 프로그램인 고교교육방송이 편성되었다.
이후 '주말의 명화'는 잠시 'MBC 일요명화'로 이름을 바꾸어 방송했으나, 1981년 과외 방송 채널이 KBS 3TV(한국방송공사)로 이동하면서 '주말의 명화'로 다시 부활하였다.
2. 2. 침체기 (1980년대 후반 ~ 2010년)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에 비디오 대여점이 활성화되었으며, 1995년부터 케이블TV와 위성방송 채널이 등장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 웹하드 및 UCC 등이 등장하면서 시청률이 점차 하락하였다.[1] 2007년 5월 25일부터 방송 시간대가 매주 금요일 새벽 1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가, 결국 수익성 악화로 2010년 10월 29일 《조폭 마누라 3》를 마지막으로 41년 만에 폐지되었다.[1]3. 방송 시간
기본 편성표에는 방송 분량을 1시간 40분으로 잡았으나, 방송하는 작품에 따라서 방송 종료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다. 편성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았고, 특집 프로그램 때문에 결방하는 경우도 있었다.[1]
연도 | 방송 시간 |
---|---|
1969년 8월 9일 ~ 1970년 4월 4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40분 |
1970년 4월 11일 ~ 1970년 9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70년 9월 ~ 1970년 10월 | 매주 토요일 밤 9시 50분 |
1970년 11월 ~ 1973년 10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73년 11월 ~ 1974년 3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
1974년 4월 ~ 1980년 9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981년 3월 ~ 1982년 1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5분 |
1982년 2월 ~ 1982년 9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15분 |
1982년 10월 ~ 1983년 3월 26일 |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983년 4월 2일 ~ 1983년 10월 22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10분 |
1983년 10월 29일 ~ 1984년 3월 |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984년 4월 ~ 1987년 5월 16일 | 매주 토요일 밤 9시 30분 |
1987년 5월 23일 ~ 1987년 10월 10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87년 10월 17일 ~ 1989년 8월 26일 | 매주 토요일 밤 9시 30분 |
1989년 9월 2일 ~ 1990년 4월 27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10분 |
1990년 5월 4일 ~ 1991년 1월 12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50분 |
1991년 1월 19일 ~ 1991년 4월 20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20분 |
1991년 4월 27일 ~ 1991년 10월 5일 | 매주 토요일 밤 9시 35분 |
1991년 10월 12일 ~ 1993년 4월 10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993년 4월 17일 ~ 1993년 5월 |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993년 6월 ~ 1993년 10월 | 매주 토요일 밤 9시 30분 |
1993년 10월 ~ 1994년 4월 | 매주 토요일 밤 9시 50분 |
1994년 4월 ~ 1994년 11월 5일 |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 |
1994년 11월 12일 ~ 1995년 10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995년 10월 ~ 1995년 12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40분 |
1996년 1월 ~ 1996년 2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96년 3월 ~ 1997년 2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997년 3월 ~ 1997년 10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97년 10월 ~ 1998년 4월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998년 4월 ~ 1998년 10월 31일 | 매주 토요일 밤 10시 35분 |
1998년 11월 7일 ~ 2000년 5월 | 매주 토요일 밤 11시 |
2000년 5월 ~ 2004년 5월 1일 | 매주 토요일 밤 11시 10분 |
2004년 5월 8일 ~ 2005년 1월 1일 | 매주 토요일 밤 11시 30분 |
2005년 1월 8일 ~ 2005년 4월 16일 | 매주 토요일 밤 11시 40분 |
2005년 4월 23일 ~ 2005년 10월 22일 | 매주 토요일 밤 12시 |
2005년 10월 29일 ~ 2006년 11월 4일 | 매주 토요일 밤 12시 55분 |
2006년 11월 11일 ~ 2007년 3월 10일 | 매주 토요일 밤 12시 40분 |
2007년 3월 17일 ~ 2007년 5월 19일 | 매주 토요일 밤 12시 30분 |
2007년 5월 25일 ~ 2010년 10월 29일 | 매주 금요일 밤 1시 |
4. 시청률
20세기 말까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21세기 들어 케이블TV, 위성방송, 초고속인터넷 등의 등장으로 인기가 점차 하락하였다. 2007년 이후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고전했는데, 이는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KT, SK브로드밴드 등 여러 업체의 IPTV 서비스 상용화로 지상파 방송의 시청률 확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5. 경쟁 영화 프로그램
과거에는 KBS, SBS, EBS 등 지상파 방송사와 iTV(경인방송), TBC(대구방송) 등 지역 민방, 그리고 종편 채널(TV 조선, 채널A, JTBC, MBN)에서 다양한 영화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KBS는 명화극장(KBS 1TV)과 토요명화(KBS 2TV)를, SBS는 영화특급과 시네클럽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EBS는 한국영화걸작선, 수요극장, 고전영화극장, EBS 금요극장 등을 방영했다.
현재는 OBS, KTV, 국회방송, 국방TV, EBS, MBN 등에서 영화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5. 1. 현재
- OBS 시네마 (OBS 경인TV)
- KTV 시네마 (KTV)
- 한국영화 걸작선 (국회방송)
- NATV 명화극장 (국회방송)
- KFN 명작극장 (국방TV)
- 진중시네마 (국방TV)
- 세계의 명화 (EBS 1TV 첫째주~셋째주)
- 일요시네마 (EBS 1TV)
- 한국영화특선 (EBS 1TV)
- 독립영화관 (KBS 1TV, 한국방송공사)
- MBN 스페셜 무비 (MBN)
5. 2. 과거
- 명화극장 (KBS 1TV)
- 토요명화 (KBS 2TV)
- 위성극장 (KBS 위성1/KBS 위성2)
- 특선영화 종편 (TV 조선/채널A/JTBC/MBN)
- 시네마M (MBN)
- JTBC 시네마 (JTBC)
- 심야극장 (1990년대 중반, 수요일 오후 11시대)
- 영화특급 (SBS)
- 시네클럽 (SBS)
- 월요시네마극장 (SBS)
- 화요시네마극장 (SBS)
- 일요명화 (SBS)
- 시네마2000 (SBS)
- 목요시네마 (iTV 인천방송)
- TBC 일요시네마 극장 (대구방송)
- iTV 시네마 (경인방송)
- * iTV 한국영화특선 (iTV 경인방송)
- * iTV 토요시네마 (iTV 경인방송)
- * iTV 일요시네마 (iTV 경인방송)
- 한국영화걸작선 (EBS TV)
- 수요극장 (EBS TV)
- 고전영화극장 (EBS TV)
- EBS 금요극장 (EBS 1TV)
- KTV 시네마 월드 (KTV 한국정책방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