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사위는 던져졌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면서 한 말에서 유래한 관용구로, 되돌릴 수 없는 중대한 결정을 내릴 때 사용된다. 이 표현은 고대 그리스 희극 작가 메난드로스의 작품에서 처음 등장하며, 플루타르코스와 수에토니우스를 비롯한 여러 역사적 기록에서 다양한 형태로 인용되었다. 라틴어 "iacta alea est"는 "주사위는 던져졌다"로 번역되며, 이는 위험을 감수하고 결단을 내리는 상황을 비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명언 -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젤라 전투 승리를 로마에 알리기 위해 사용한 라틴어 문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그의 간결한 문체를 보여주며 군사적 승리 묘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 변형되어 현대 사회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 율리우스력
    율리우스력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역법으로, 365일의 평년과 366일의 윤년으로 구성되며, 태양년과의 오차로 인해 그레고리력으로 대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 인용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 인용 - 코기토 에르고 숨
    코기토 에르고 숨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뜻의 라틴어 명제로, 데카르트가 제시한 철학적 명제이며, 회의주의적 의심에도 생각하는 자아의 존재는 부정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철학의 제1원리로 삼았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기본 정보
의미주사위는 던져졌다
언어라틴어
원문

로마자 표기Alea iacta est: Al-lea iak-ta est
iacta alea est: Iak-ta al-lea est
유래
관련 인물율리우스 카이사르
배경루비콘 강을 건너기로 결심했을 때 한 말
사용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내렸을 때 사용
기타
참고

2. 어원 및 의미

Shackerstone 가문의 문장에는 라는 격언이 적혀 있다.


카이사르는 이 문구를 고대 그리스고대 그리스 희극 작가인 메난드로스에게서 빌려온 것이라고 한다.[1] 이 문구는 메난드로스의 사라진 희곡 에 등장하며, ''Deipnosophistae''에 인용되어 있다.[2]

플루타르코스는 카이사르가 이 말을 그리스어로 "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 ()라고 했다고 기록했다.[3][4] 아피아노스 역시 "주사위를 던져라"라는 유사한 구절을 언급했다.[5] 수에토니우스는 라틴어로 "iacta alea est"라고 기록했다.[6] Lewis and Short는[7] 카사본과 루링크의 말을 인용하며 수에토니우스의 텍스트는 iacta alea estola로 읽어야 하며, 이를 "주사위를 던져라!" 또는 "게임을 감행하라!"로 번역한다. 이것은 플루타르코스가 사용한 ἀναρρίπτωgrc 동사의 3인칭 단수 완료 중간/수동태 명령법과 일치한다.[8]

이 표현은 '이미 주사위는 던져졌으니 결과를 되돌릴 수 없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2. 1. 고대 그리스어 표현

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아네리프토 퀴보스grc는 "주사위를 던져라"라는 명령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저서 『대비열전』에서 카이사르가 이 말을 고대 그리스어로 말했다고 기록했다.[3]

2. 2. 라틴어 표현

수에토니우스는 『황제전』에서 카이사르가 이 말을 라틴어인 "iacta alea est" (이악타 알레아 에스트)로 말했다고 기록했다.[6] Lewis and Short를 인용한 일부 학자들은 이 표현이 "iacta alea esto" (이악타 알레아 에스토), 즉 "주사위를 던져라!"라는 명령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7][8] 이는 플루타르코스가 사용한 동사 ἀναρρίπτωgrc의 3인칭 단수 완료 중간/수동태 명령법과 일치한다.[8] 즉, 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grc ()이다.

라틴어에서 aleala는 주사위 게임을 의미하며, 더 일반적으로는 위험이나 우연의 게임을 의미한다.[9] 로마 시대에는 주사위를 흔히 사용했으며, 보통 한 번에 세 개씩 던졌다. 주사위에는 두 종류가 있었는데, 6면 주사위는 라틴어로 tesseraela로, 4면 주사위 (양쪽 끝이 둥글게 되어 있음)는 talila로 알려졌다.[9] 그리스어에서 주사위는 κύβοςgrc 였다.[10]

플루타르코스의 『대비열전』 폼페이우스 전에도 거의 같은 말이 나오지만, 카이사르는 이 말을 고대 그리스어로 말했다고 한다. 『대비열전』의 카이사르 전에서도 같은 말을 인용하며 "사람이 보통 파산 직전에 운을 하늘에 맡길 때 하는 말"이라고 했다.

같은 말은 희극 작가 메난드로스의 극의 단편에서도 보이는데, 메난드로스가 이 말을 창작한 것이 아니라 널리 사용되던 속담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에토니우스는 이 말을 라틴어로 번역했지만, 아직 주사위가 던져지지 않았는데(루비콘 강을 건너지 않았는데) "던져졌다"라는 것은 모순이며, 본래는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명령법인 ""(주사위는 던져지게 하라)였을 것이라고 한다.[17]

2. 3. 로마 시대의 주사위

라틴어에서 aleala는 주사위 게임을, 더 일반적으로는 위험이나 우연이 따르는 게임을 의미한다.[9] 로마 시대에는 주사위가 흔히 사용되었으며, 보통 한 번에 세 개씩 던졌다. 주사위에는 두 종류가 있었는데, 6면 주사위는 라틴어로 tesseraela로 알려졌고, 4면 주사위(양쪽 끝이 둥글게 되어 있음)는 talila로 알려졌다.[9] 그리스어에서 주사위는 κύβοςgrc 였다.[10]

3. 역사적 배경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표현은 기원전 49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면서 한 말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중대한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 당시 로마의 법률은 군대를 이끌고 루비콘 강을 넘어 이탈리아 본토로 진입하는 것을 반역 행위로 규정했다. 카이사르는 이 법을 어기고 군대를 이끌고 루비콘 강을 건넘으로써 폼페이우스를 비롯한 원로원 세력과의 내전을 시작했다.

플루타르코스는 『대비열전』에서 카이사르가 이 말을 고대 그리스어로 말했다고 기록했다. 수에토니우스는 이 말을 라틴어로 번역했지만, 일각에서는 이 표현에 모순이 있다고 지적하며, 본래는 명령법 형태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7]

이 표현은 희극 작가 메난드로스의 작품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이 말이 당시 널리 사용되던 속담이었음을 보여준다.

3. 1. 카이사르의 결정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로마 원로원은 그의 군사적 권한을 박탈하고 그를 로마로 소환하려 했다. 카이사르는 이러한 원로원의 조치에 반발하여 루비콘 강을 건너는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13][14] 이 결정은 로마 공화정의 종말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독재, 그리고 로마 제정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플루타르코스의 『대비열전』에 따르면, 카이사르는 이 말을 고대 그리스어로 "'''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아네리프토 퀴보스grc)라고 외치며 군대를 이끌고 강을 건넜다고 한다.[16] 이는 "사람이 보통 파산 직전에 운을 하늘에 맡길 때 하는 말"이라고 한다.

수에토니우스는 카이사르가 라틴어로 "'''주사위는 던져졌다'''"라고 말했다고 기록했지만,[13][14] 일각에서는 아직 주사위가 던져지지 않은 상황에서 "던져졌다"라고 표현한 것은 모순이며, 본래는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명령법인 ""(주사위는 던져지게 하라)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7]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Writings of Julius Caes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Deipnosophists; or, Banquet of the Learned https://books.google[...] Henry G. Bohn
[3] 웹사이트 Perseus Digital Library https://www.perseus.[...]
[4] 문서 See also Plutarch's ''Life of Caesar'' 32.8.4 and ''Sayings of Kings & Emperors'' 206c.
[5] 서적 Roman History, Volume IV: Civil Wars, Books 1–2 Harva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Perseus Digital Library https://www.perseus.[...]
[7] 사전 alea
[8] 사전 ἀναρρίπτω
[9] 사전 alea
[10] 사전 κύβος
[11] 서적 ヨーロッパがわかる 起源から統合への道のり 岩波書店
[12] 서적 スエトニウス『皇帝伝』カエサル、32
[13] 웹사이트 Perseus Digital Library http://www.perseus.t[...]
[14] 웹사이트 De vita Caesarum, libri VII, 32-33 s:la:De_vita_Caesaru[...]
[15] 서적 『皇帝伝』 岩波書店
[16] 웹사이트 Βίοι Παράλληλοι/Πομπήιος s:el:Βίοι Παράλληλοι[...]
[17] 서적 Greek Textual Criticism: A Reader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