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월한국군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월한국군사령부는 1965년 9월 25일,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의해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 국군 부대이다.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이 참전을 요청하고 한국 정부가 이를 수락하면서 파병이 결정되었으며, 수도사단장 채명신 소장이 초대 사령관을 겸임했다. 사령부는 사이공에 주둔하며 수도사단, 제9사단, 해병 제2사단, 해군 수송전대, 공군 제55항공수송단 등을 예속하여 작전을 수행했다. 1968년 야전지휘소를 야전사령부로 개편했으며, 1973년 3월 베트남에서 철수하여 같은 해 6월 30일 제3야전군으로 재편성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령부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령부 - 제100군수사령부
제100군수사령부는 1965년 대한민국 육군이 창설한 부대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군수, 공병, 항공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 1973년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의 합동부대 -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서북도서방위사령부는 서해 5도를 방위하기 위해 2011년 6월 15일 창설되었으며 해병대사령관이 사령관을 겸임하고 해병여단과 연평부대를 예하 부대로 둔 대한민국 국군의 사령부이다. - 대한민국의 합동부대 - 제주방어사령부
6.25 전쟁 초기 조선인민군으로부터 제주도를 방어하기 위해 "해군 제주기지"로 창설되어 제6해역사령부로 개편,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되었으나 2016년 해체 후 제9해병여단이 창설되어 제주 지역의 해안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1973년 해체된 단체 - 제100군수사령부
제100군수사령부는 1965년 대한민국 육군이 창설한 부대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군수, 공병, 항공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 1973년 해체되었다. - 1973년 해체된 단체 - 주월 미국 육군
주월 미국 육군은 1962년부터 1973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파병된 미국 육군의 지원 및 군수 사령부로서, 남베트남에 주둔하는 모든 미 육군 부대의 활동 통제와 군수 지원을 담당하다 1973년 미군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다.
주월한국군사령부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Headquarters of Republic of Korea Forces in Vietnam 駐越韓國軍司令部 |
창설일 | 1965년 9월 25일 |
해체일 | 1973년 6월 30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종류 | 합동사령부 |
역할 | 주월 한국군 총지휘, 베트남 공화국에 대한 민사 지원 |
규모 | 군단, 4만 8천명 |
명령 체계 | 합동참모본부 |
본부 | 사이공 Tran Hung Dao 거리 |
참전 | 베트남 전쟁 |
주요 참전 | 구정 공세 |
2. 역사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이 격화되면서,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우방국들에게 참전을 요청했다. 한국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파병을 결정했고,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를 창설했다.[1][2] 초대 사령관은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
1965년 10월 20일, 사령부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에 전개하였다.[3][4] 1966년 6월 1일, 제100군수사령부 "십자성"을 배속받았다. 같은 해 8월 15일, 냐짱에 야전지휘소를 창설하여 수도사단과 제9사단을 작전통제하고, 군사정보대, 통신보안대, 민사심리전중대를 배속받았다.[5][6]
1968년 6월 1일, 야전지휘소는 야전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73년 3월 7일,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면서, 같은 해 6월 30일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대구광역시에서 제3야전군으로 재편성되며 해체되었다.[7][8][9]
2. 1. 창설 배경
1964년 통킹만 사건이 발생하고 1965년 미국과 북베트남 간 전쟁이 일어났다. 당시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25개 우방국에 참전을 요청하였고, 한국은 이를 승인하여 파병을 결정하였다. 1965년 9월 22일 국무회의에서 주 월남한국군사령부 설치령을 결의하였으며,[1]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따라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수도사단장인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2]2. 2. 창설 및 초기 활동
1964년 통킹만 사건이 발생하고 미국과 북베트남 간 전쟁이 1965년에 발생하였다. 당시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25개국 우방국에 참전을 요구하였는데, 한국은 참전 요구를 승인하며 파병을 결정하게 된다. 1965년 9월 22일 국무회의에서 주 월남한국군사령부 설치령을 결의하였으며,[1]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의해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가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수도사단장인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2]1965년 10월 20일, 사령부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에 전개하였다.[3][4]
1966년 6월 1일, 수도사단으로부터 제100군수사령부 "십자성"을 배속 이전받았다. 같은 해 8월 15일, 수도사단과 제9사단을 효율적으로 작전통제하기 위해 냐짱 쩐흥다이 19번지에 야전지휘소를 창설하였다. 두 개 사단 외에도 군사정보대, 통신보안대, 민사심리전중대가 배속되었다.[5][6]
2. 3. 활동 확대 및 야전사령부 개편
1966년 8월 15일, 수도사단과 제9사단을 효율적으로 작전 통제하기 위해 냐짱 쩐흥다이 19번지에 야전지휘소가 창설되었다. 두 개 사단 외에도 군사정보대, 통신보안대, 민사, 심리전중대가 배속되었다.[5][6] 1968년 6월 1일, 야전지휘소가 야전사령부로 개편되었다.2. 4. 베트남 철수 및 해체
1973년 3월 7일, 베트남 공화국에서 한국군이 철수했고, 같은 해 6월 30일 대구광역시에서 제3야전군으로 재편되면서 주월한국군사령부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7][8][9]3. 지휘관
3. 1. [[채명신]] (1965년 9월 25일 ~ 1969년 4월 30일)
초대 사령관은 중장 채명신으로 1965년 9월 25일부터 1969년 4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1]3. 2. [[이세호]] (1969년 5월 1일 ~ 1973년 7월 1일)
이세호는 1969년 5월 1일부터 1973년 7월 1일까지 주월한국군사령부의 제2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1]4. 편성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본부 및 본부근무대와 1966년 8월 15일에 설립된 야전사령부로 구성되었다. 예하 부대로는 육군, 해병대, 해군, 공군 부대가 있었다.
-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부대", 제9보병사단 "백마부대" 등이 배속되어 주요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 제1공수특전단은 수도사단과 9사단에 배속되어 유격전과 정보 획득 임무를 수행했다.[10] 제100군수사령부 "십자성부대"는 군수 지원을, 주월한국군사원조단 "비둘기부대"는 군사 원조 임무를 담당했다.[11]
- '''해병대''': 제2사단 "청룡"이 배속되어 전투 임무를 수행했다.[12]
- '''해군''': 해군 수송전대 "백구부대"가 해상 수송 임무를 담당했고,[13] UDT는 해군 수송전대에 배속되어 함정 경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 '''공군''': 제55항공수송단 "은마부대"가 항공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14][15]
4. 1. 육군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부대" (1965년 11월 1일 ~ 1973년 3월 8일)
- 제9보병사단 "백마부대" (1966년 8월 29일 ~ 1973년 2월 23일)
- 제1공수특전단 - 12개 팀이 각각 수도사단과 9사단에 배속되어 작전 정보 획득과 유격전 임무 등을 수행[10]
- 제100군수사령부 "십자성부대" (1966년 6월 1일 ~ 1973년 3월 23일)
- 주월한국군사원조단 "비둘기부대" (1965년 3월 16일 ~ 1973년 3월 7일)[11]
4. 2. 해병대
제2사단 "청룡" (1965년 10월 9일 ~ 1972년 1월 29일)[12]4. 3. 해군
- 해군 수송전대 "백구부대" (1966년 3월 15일 ~ 1973년 3월 12일)[13]
- UDT - 해군 수송전대에 배속되어 함정 경비 임무 등을 수행
- LSM-609 월미
- LSM-611 능라
- LST-807 운봉
- LST-808 덕봉
- LST-812 위봉
4. 4. 공군
제55항공수송단 "은마부대" (1967년 7월 1일 ~ 1973년 3월 15일)[14][15]- 비행대
- 수송지원대
- 전술항공지원대
5. 논란 및 비판
이전 출력 결과는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빈 텍스트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주어진 지침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여전히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요약(summary)에 명시된 내용(`민간인 학살 의혹`, `고엽제 피해 문제` 등)을 중심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의의 및 평가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이 벌어지자, 미국은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에 참전을 요청하였다. 한국은 이를 받아들여 파병을 결정했고,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를 창설하였다.[1][2] 초대 사령관은 채명신 소장이 맡았다.[2]
주월한국군사령부의 활동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한미 동맹 강화, 한국군 현대화, 경제 발전 기여 등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 민간인 학살 의혹, 고엽제 피해 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1973년 주월한국군사령부가 철수하고 제3야전군으로 재편성되기까지, 그 역사는 한국 사회에 다양한 교훈과 과제를 남겼다.
6. 1. 긍정적 측면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여러 우방국에 참전을 요청하였다. 한국은 이를 받아들여 파병을 결정했고,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를 창설하였다.[1][2] 초대 사령관은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2]주월한국군사령부는 베트남 공화국에 주둔하면서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을 총괄 지휘하였다. 이를 통해 한미 동맹이 강화되었고, 한국군은 현대화되는 계기를 맞이하였다. 또한, 베트남 파병은 한국 경제 발전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6. 2. 부정적 측면
주월한국군사령부는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미국의 참전 요청에 따라 1965년 대한민국이 파병을 결정하며 창설되었다.[1]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의거,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은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2] 1965년 10월 20일 사령부가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에 전개되었고,[3][4] 1973년 3월 7일 베트남에서 철수하여 6월 30일 대구광역시에서 제3야전군으로 재편성되면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7][8][9]그러나 주월한국군사령부의 활동은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 민간인 학살 의혹, 고엽제 피해 문제 등 여러 부정적인 측면을 낳았으며, 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6. 3. 역사적 교훈과 과제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과 북베트남 간의 전쟁이 발발하면서,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여러 우방국에 참전을 요청했다. 한국은 이를 승인하고 파병을 결정했으며, 1965년 9월 22일 국무회의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 설치령을 결의했다.[1] 대한민국 국방부 일반 명령 제16호에 따라 1965년 9월 25일 합동참모본부에서 주월한국군사령부가 창설되었고, 초대 사령관은 채명신 소장이 겸임했다.[2]1973년 3월 7일,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베트남 공화국에서 철수했고, 같은 해 6월 30일 대구광역시에서 제3야전군으로 재편성되면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7][8][9]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한국 사회에 여러 교훈과 과제를 남겼다.
참조
[1]
웹인용
6: 한국군 전투부대 베트남 파병, 주월한국군사령부 창설…건군 이후 첫 파병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11-02-01
[2]
웹인용
월남전 참전일지 및 통계자료 - 국방군사자료
https://www.haebyeon[...]
2023-10-28
[3]
웹인용
주월 한국군사 설치
https://www.joongang[...]
2023-10-28
[4]
웹인용
::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
http://www.kaova.or.[...]
2023-10-28
[5]
웹인용
화천 만남의장
http://www.vws.or.kr[...]
2023-10-28
[6]
웹인용
대한민국월남전참전자회
http://www.vvak.kr/
대한민국월남전참전자회
2023-10-28
[7]
웹인용
주월한국군 철수
http://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20-01-05
[8]
웹인용
3군사령부 창설
https://web.archive.[...]
국가기록원
2011-03-26
[9]
웹인용
[39] 노병의 독백 - 월남전쟁-주월한국군사령부 > 노병의 독백 > 국가유공자를 사랑하는 모임
https://www.ymvetera[...]
2023-10-28
[10]
웹인용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s://web.archive.[...]
2020-10-03
[11]
저널
물어보세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3-12) 제2차 파병(건설지원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https://web.archive.[...]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11-04-23
[12]
웹인용
월남전 참전일지 및 통계자료 - 국방군사자료
https://www.haebyeon[...]
2023-10-28
[13]
저널
물어보세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4-24) 해군수송전대(백구부대)의 활동은
https://web.archive.[...]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11-04-23
[14]
저널
물어보세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4-25) 공군지원단(은마부대)의 작전 및 활동은?
https://web.archive.[...]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11-04-23
[15]
웹인용
베트남 전쟁사 - 공군지원단
https://web.archive.[...]
국방부 국사편찬연구소
2014-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