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특수전전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 특수전전단(ROKNSWF)은 대한민국 해군 소속 특수 부대로, 1955년 창설된 해군 수중파괴대(UDT)를 모체로 한다. 베트남 전쟁 참전, 대테러 임무 수행, 소말리아 해역 파병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UDT, SEAL, EOD, CT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0년 특수전여단으로 통합된 후 2012년 특수전전단으로 증편되었으며, 2023년 제1특임전대가 창설되었다. 훈련은 미 해군 특수부대 훈련을 참고하여 진행되며, 최첨단 장비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의 특수부대 - 해군 해난구조전대
해군 해난구조전대는 대한민국 해군의 부대로, 해상 인명 구조 및 선체 인양을 주 임무로 하며, 잠수함구조함 등을 보유하고 극한 훈련을 통해 최정예 구조대원을 양성한다. - 대한민국의 특수부대 -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에서 다양한 특수 임무를 수행하며, 1948년 제803독립대대를 시작으로 육군 특수전사령부, 해군 특수전전단, 공군 공정통제사 등 여러 부대가 창설되어 대테러, 적지 종심 작전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특수부대 -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는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사령부 직할 유격 부대로, 1952년 창설되어 서해 도서 지역에서 첩보 수집, 유격전, 해상 봉쇄 등의 임무를 수행하다 1954년 해산되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해군 수송전대
해군 수송전대는 대한민국 해군의 부대로서, 주월한국군사원조단 수송 및 베트남 전쟁에 파병된 국군의 철수 작전을 수행했으며, LSM-609 월미, LSM-611 능라, LST-807 운봉, LST-808 덕봉, LST-812 위봉 등의 함정을 운용했고, 특히 LST-812 위봉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최초 파월 당시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제1이동외과병원
제1이동외과병원은 한국 전쟁 당시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던 대한민국 국군의 이동 외과 병원으로, 이후 제201이동외과병원으로 개명되었다가 철수했다.
해군 특수전전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정식 명칭 |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전단 |
로마자 표기 | Daehanminguk Haegun Teuksujeon Jeondan |
영문 명칭 | Republic of Korea Navy Special Warfare Flotilla |
약칭 | ROKNSWF |
별칭 | ROKN UDT/SEALs |
종류 | 특수부대 |
역할 | 특수 정찰 직접 타격 인질 구출 대테러 폭발물 처리 선견 작전 수중 탐색 및 폭파 요인 암살 경호 등 |
조직 및 지휘 | |
소속 | [[파일:Naval jack of South Korea.svg|20px]] 대한민국 해군 |
상위 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
현재 지휘관 | [[파일:Flag of the ROK Navy Rear Admiral Lower Half (OF-6).svg|30px]] 준장 유재만 |
주요 지휘관 | 준장 김학민(해사 47기) |
지휘관 직책 | 전단장 |
위치 및 기지 | |
주둔지 | 진해, 대한민국 |
본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해군기지 |
역사 | |
창설일 | 1955년 11월 25일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베트남 전쟁 테러와의 전쟁 OEF – Horn of Africa 아덴만 여명 작전 |
기타 | |
표어 | 불가능은 없다 |
2. 역사
1955년 11월 9일, 미국 해군 UDT 과정을 수료한 한국 해군 장교 7명이 1기 교육생 26명을 훈련시켜 수중파괴대(UDT)를 창설했다. 300여 명이 지원했고 26명이 수료했다.[24]
베트남 전쟁에서 한국군 해군 파월 수송전대인 '백구부대'로 배속되어 함정 안전을 위한 수중 장애물 제거 활동을 하며 해군 수송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25]
1968년 폭발물처리대(EOD)가 창설되었고, 1976년 특수전(SEAL) 임무가 추가되었다.[26] 1993년 육군특수전사령부 제707특수임무대대로부터 해상 대테러 임무를 이관받았으며, 1999년 해상 대테러 임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대테러특임대가 창설되었다. 이로써 UDT(수중파괴대), SEAL(특수작전대), EOD(폭발물처리대), CT(대테러특임대)의 네 가지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고, 이후 '작전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3년 제25전대, 1986년 제56전대로 재창설되었고, 1998년 특수선박대가 창설되었다. 2000년 UDT, SEAL, EOD, 대테러특임대 등을 통합하여 특수전여단이 창설되었다.[27]
2012년 특수전전단으로 증편되었으며,[28] 2017년 전군 최대 규모의 폭발물처리대대가 창설되었다.[29] 2018년 해난구조전대(SSU), 구조함 등이 특수전전단에 예속되었고, 2020년 초창기 UDT를 모체로 하는 선견작전대대가 창설되었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48-1955)
1948년 미국 육군 방첩대(CIC)가 한국에 비밀 첩보 부대를 설립한 것이 해군 특수전전단의 모체가 되었다. 이 부대는 북한 침투, 요인 납치 및 암살, 주요 시설 파괴, 첩자 지원 등 비밀 작전을 수행했다.[24] 1955년 한국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해군 내에 수중파괴대(UDT)가 창설되었다. 이는 미국 해군 UDT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초기에는 수중 장애물 제거 및 상륙 작전 지원 임무를 주로 수행했다.[24]구체적으로, 1955년 11월 9일 미국 해군 UDT 과정을 수료한 해군 장교 7명이 1기 교육생 26명을 훈련시켜서 해군 수중파괴대(UDT)를 창설했다. 1기 교육생으로 300여 명이 지원했고 26명이 수료했다.[24]
2. 2. 발전 및 임무 확장 (1960-1990년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실전 경험을 쌓았다. 해군 파월 수송전대인 '백구부대' 소속으로 함정 안전을 위한 수중 장애물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25] 1968년, 폭발물처리대(EOD)가 창설되었다.[26]1976년, 특수전(SEAL) 임무가 추가되면서,[26] UDT는 수중파괴뿐 아니라 육상 및 공중 침투, 타격, 정찰 등 다양한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부대로 발전했다. 1983년 제25전대, 1986년 제56전대로 재창설되었다.
1993년, 육군특수전사령부 제707특수임무대대로부터 해상 대테러 임무를 이관받았다.[26] 이는 북한의 해상 침투 위협이 증가함에 따른 조치였다. 1998년, 특수선박대가 창설되었다. 1999년, 해상 대테러 임무를 전담하는 대테러특임대가 창설되었다.[27]
2. 3. 특수전여단 및 특수전전단으로의 확대 (2000년대 이후)
2000년 1월 1일, UDT(수중파괴대), SEAL(특수작전대), EOD(폭발물처리대), 대테러특임대 등을 통합하여 특수전여단이 창설되었다.[27] 이는 특수전 능력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2012년 2월 1일, 특수전여단은 특수전전단으로 증편되었다.[28]
2017년 2월 1일, 기존 폭발물처리대를 확대 개편하여 전군 최대 규모의 폭발물처리대대를 창설하였다.[29]
2018년 9월 1일, 해난구조전대(SSU)와 구조함 등이 특수전전단에 예속되었다.
2020년 2월 1일, 초창기 UDT를 모체로 하는 선견작전대대가 창설되었다.
2023년 1월 1일에는 제1특임전대가 창설되었다.
2. 4. 주요 작전
- 1965년 베트남 전쟁 당시 해군 수송전대 '백구부대' 파병[25]
- 1983년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당시 간첩선 탐색작전 투입
- 1993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당시 구조작전 투입
- 1996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침투한 상어급 잠수정 수색작전 투입
- 1998년 속초 잠수정 침투 사건 당시 침투한 유고급 잠수정 수색작전 투입
- 2002년 제2연평해전 당시 참수리 357호정 인양 전 폭발물 탐색작전 투입
- 2010년 3월 30일,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구조작전 투입, 이때 구조 작전을 수행하던 한주호 준위(53)가 순직했다.
- 2011년 1월 21일, 아덴만 여명 작전을 통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대한민국의 삼호해운 소속의 삼호 주얼리호(1만 톤급)의 선원을 청해부대 최영함의 UDT가 모두 구조하였다.
- 2011년 4월 21일, 청해부대 최영함의 UDT가 한진해운 소속 한진텐진호의 선원 20명을 모두 구조하였다.
-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구조작전 투입
2011년 1월 21일, 소말리아 북동쪽 1,300킬로미터 인도양상에서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대한민국 국적의 케미컬 탱커에 대한 인질 구출 작전을 실시했다.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구속했으며, 탱커 선원 21명 전원을 구출했다. 인질과 대한민국 해군 측에 사망자는 없었다.[15]
이 작전 과정에서 인질인 선장은 해적이 발사한 AK-47탄 3발과 특수부대가 발사한 권총의 9mm탄 또는 MP5 소음탄으로 보이는 탄 1발을 맞았다. 해적의 탄이 대장과 간이 있는 복부를 관통하여 생사를 가르는 상처가 되었고, 특수부대의 탄은 선장의 오른쪽 옆구리에서 적출되었다. 오른쪽 옆구리에 입은 총상으로 15센티미터 정도 절개하여 고름을 제거한 후, 염증을 일으켜 괴사한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이 진행되었다.[16][17] 특수부대가 발사한 탄환은 벽이나 바닥을 맞고 튄 도탄이었다.[18]
인질 구출 작전 실행 전, 대한민국 군은 주한 미군에 협력을 요청했지만, 미군 관계자는 "논평할 말이 없다"라고 답했다. 이어서 대한민국 정부가 결정을 내린다면 지원하겠지만, 해적과 인질이 분리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구출 작전은 위험이 커서 작전 실행을 권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최종 작전 실행 지시를 내리기 전, 인명 피해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고, 대한민국 군 관계자는 한두 명의 희생은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답했다. 안전 보장 관계 부처의 고위 관계자는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국민 대상 성명"을 미리 준비했다.[19]
이 작전을 지원한 오만 해군의 라이시 사령관은 "대한민국 해군 특수부대는 번개와 같이, 희생자 없이 완벽하게 작전을 수행하여 성공했다. 용감하고 우수한 부대이다. 대한민국은 해군 특수부대를 자랑스럽게 여겨야 한다"고 칭찬했다.[20] 오만의 영자 일간지 "마스카트 데일리"는 1면 톱으로 인질 구출 작전을 "대한민국의 특수부대 요원은 이례적이고 대담한 '기습'을 전개해 해적 8명을 사살하고 선원 21명을 구출했다"고 보도했다.[21] 미국의 헤리티지 연구소의 브루스 클린저 전임 연구원은 미 군사 전문지 "DoD Buzz" 기고에서 "이번 작전은 '브라보 줄루(Bravo Zulu: 성공한 작전을 의미하는 미 해군의 속어)'라는 찬사를 받을 만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해군 특수부대에 찬사를 보내는 것뿐만 아니라 위험한 작전 실행을 결정한 이명박 대통령도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했다.[22] 일본의 군사 잡지 SAT 매거진에서 이시바 토시야키는 완벽한 작전이라고 칭찬했다.[23]
3. 편제
wiki
- '''해군 특수전전대'''
- * 제1특전대대(진해): SEAL 특수작전대(SEAL: SEa, Air, and Land)
- ** 공중작전대(Air Operations)
- ** 해상작전대(Maritime Operations)
- ** 해중작전대(Underwater Operations)
- * 제3특전대대(동해 제1함대)
- * 제5특전대대(평택 제2함대)
- * 특수임무대대(CT: Counter-Terrorism)(진해)
- * 폭발물처리대대(EOD: Explosive Ordnance Disposal)(진해)
- * 선견작전대대(Naval Early Operations)(진해)
- * 특수선박운영대(Special Boat Unit): 특수선박 관리/운용
- * 작전지원대: 교육, 훈련 또는 작전에 필요한 장비와 시설 관리/운용
- '''해난구조전대'''(SSU)
- 교육훈련전대: 교육 훈련을 담당
- * 특수전교육훈련대대(UDT/SEAL)
- * 해난구조교육훈련대대(SSU)
- 제1특임전대[2] - 2023년 1월 1일 창설
- * 대테러 부대 (CT)
- * 폭발물 처리대 (EOD)
- * 해군 전진 작전 부대

4. 훈련
해군 특수전전단(SWF)은 징집병, 부사관, 장교 중에서 지원자를 선발한다. 대부분의 부사관과 모든 징집병은 기초 군사 훈련 전에 지원하며, 장교는 임관(학군, ROTC 또는 OCS) 후, 해상 전투 지휘관 학교(SWOS) 수료 후, 함정 배속 후에 지원한다. 기초 수중 폭파/특수전 훈련(BUD/S) 선발 과정은 미 해군 특수부대 프로그램에서 영감을 받아 유사하게 구성되었으며, 지옥 주간과 같은 신체적, 정신적 도전 과제로 이루어져 있다.[3] 수료율은 일반적으로 30%에서 40% 사이를 유지하는데, 10%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한다.[3]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는 수료율이 78.4%로 이례적으로 높았다.[3]
2010년 이후, 탈락자 대부분은 지원 인력 및 장비 유지 보수 인력으로 잔류했다. 처음 10주를 통과한 사람은 특수전 핀을 받기 전에 개방 및 폐쇄 회로 잠수, 폭파, 육상전 및 전술 훈련을 받는다. 또한 Multi UDT/SEAL 공격 전술(MUSAT) 훈련을 통해 근접전투 훈련을 포함한다.[4][5]
특수전 팀은 7명의 병사로 구성된다: 선두, 소대장, 통신 전문가, 기관총 사수, 유탄 발사병, 부소대장, 후방 경계병. 기초 UDT/SEAL 훈련은 사병의 경우 10주, 부사관 및 장교의 경우 20~26주 동안 진행된다.
5. 장비
해군 특수전전단은 국산 및 수입 장비를 혼용하여 사용하며, 최첨단 장비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1]
구분 | 품명 |
---|---|
권총 | |
기관단총 | |
소총 | |
기관총 | |
저격총 | |
유탄발사기 |
총화기는 국산 병기와 수입 병기 모두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 대한민국 육군의 특수부대인 제707특수임무대대와 더불어 군내에서 최초로 하이테크놀로지 장비가 배치되어 있다.[1]
6. 문화적 묘사
강철부대는 대한민국 예비역 남성들이 특수부대 출신으로 출연하여 경쟁하는 밀리터리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1] 출연자들은 대한민국 국군의 여러 부대 출신이다.[1]
더 솔져스는 세계 최고의 특수 부대 요원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Special Forces: North vs South - SOFREP
http://sofrep.com/10[...]
2012-08-12
[2]
웹사이트
尹대통령, '세종대왕함·도산안창호함' 방문…미사일 탐지 점검
https://v.daum.net/v[...]
[3]
뉴스
특수부대 중 가장 입대 어려운 곳은?
https://news.v.daum.[...]
[4]
웹사이트
Korean SEALs Master Terrifying MUSAT Combat Training
http://koreabizwire.[...]
2017-01-18
[5]
웹사이트
무사트 무술 훈련하는 해군특수전전단 장병들
https://www.news1.kr[...]
2017-01-18
[6]
웹사이트
Special unit remembers comrades
http://www.koreahera[...]
2010-04-06
[7]
문서
아덴만 여명 작전의 성공으로 특수전의 중요성이 강조된 시기이기도 하다.
[8]
웹사이트
North Korea Sub is snagged off South
https://www.nytimes.[...]
2013-09-16
[9]
웹사이트
Sub incident harms Korean relations
http://news.bbc.co.u[...]
BBC News
2013-09-16
[10]
웹사이트
Navy storms hijacked ship, rescues all 21 sailors
http://joongangdaily[...]
2011-01-21
[11]
웹사이트
"<여객선침몰> 육군 특전사 150명·해군 구조대 196명 투입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
2014-04-16
[12]
URL
http://sofrep.com/10[...]
[13]
웹사이트
North Korea Sub is snagged off South
http://www.nytimes.c[...]
2013-09-16
[14]
웹사이트
Sub incident harms Korean relations
http://news.bbc.co.u[...]
2013-09-16
[15]
뉴스
韓国海軍、ソマリアの海賊8人射殺。船員を全員救出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1-01-21
[16]
URL
ソマリア海賊:石船長、重体の原因は海賊の銃弾
http://www.chosunonl[...]
[17]
URL
ソマリア海賊:船長が受けた銃弾、1発は韓国海軍のもの
http://www.chosunonl[...]
[18]
URL
ソマリア海賊:石船長体内の弾丸、韓国海軍のものと確認
http://www.chosunonl[...]
[19]
URL
【コラム】結果は「完全作戦」だったが…(上)
http://www.chosunonl[...]
[20]
URL
ソマリア海賊:「韓国軍の作戦能力に感銘」
http://www.chosunonl[...]
[21]
URL
ソマリア海賊:救出作戦成功の裏には…
http://www.chosunonl[...]
[22]
뉴스
米軍事専門家「アデン湾の黎明作戦に賛辞を贈る」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1-01-26
[23]
간행물
『SATマガジン』2011年5月号
[24]
URL
UDT/SEAL
"[UDT/SEAL] 한국해군의 비밀[...]
[25]
뉴스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3-02-16
[26]
웹인용
소말리아 해적 소탕한 'UDT'는 어떤 부대?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M&M
2013-08-04
[27]
웹인용
UDT/SEAL의 연혁
http://udtseal.or.kr[...]
2012-03-11
[28]
웹인용
2012년 2월1일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 전단 창설식을 끝내고
http://udtseal.or.kr[...]
2012-02-02
[29]
뉴스
해군특수전전단 전군 최대 폭발물처리대대 창설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7-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