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브라질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브라질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브라질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1965년 5월 개설되었다. 1959년 양국 국교 수립 이후, 1967년 첫 대사가 임명되었으며, 2010년 국방무관 직위가 설치되었다. 2012년에는 주한 브라질문화원이 개원했다. 1961년에는 주일본 브라질 대사가 주한 대사 직무를 겸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브라질 관계 -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2년 7월 11일에 개설되어 1971년 3월 21일에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브라질리아로 청사를 이전한 브라질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이며, 초대 대사는 박동진, 현재 대사는 최영한이다. - 대한민국-브라질 관계 - 브라질한국학교
브라질한국학교는 1980년 브라질 상파울루에 개교하여 초등 및 중등 과정을 운영했으나, 재정난과 학생 수 감소로 2000년대 초 폐교된 브라질 한인 사회의 숙원 사업이었다. - 1965년 설립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1965년 설립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주한 브라질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설립일 | 1965년 |
관할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 141번지 |
옛 주소 | 중구 을지로 1가 192-11번지 |
기관장 | 루이스 페르난두 지 안드라지 세하 |
기관장 직함 | 대사 |
상급 기관 | 외교부 |
웹사이트 | 주한 브라질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
2. 공관 연혁
- 1959년 10월 31일: 대한민국과 브라질 양국 간 국교가 수립되었다.[2]
- 1965년 5월: 주한 브라질 대사관이 개설되었다.[2]
- 1967년: 주한 상주 브라질 대사관 개설 이래, 첫 주한 브라질 대사가 임명되었다.
- 2010년: 주한 브라질 대사관에 국방무관 직위가 설치되었다.[3]
- 2012년 3월 16일: 주한 브라질문화원(포르투갈어: Centro Cultural Brasileiro)이 개설되었다.[4]
2. 1. 대한민국-브라질 관계 수립
2. 2. 주한 브라질 대사관 개설
1959년 10월 31일 대한민국과 브라질 간의 국교가 수립되었다.[2] 1965년 5월 주한 상주 브라질 대사관이 개설되었으며,[2] 1967년에는 첫 주한 브라질 대사가 임명되었다. 2010년에는 주한 브라질 대사관에 국방무관 직위가 설치되었고,[3] 2012년 3월 16일에는 주한 브라질문화원(센트루 쿨투랄 브라질레이루/Centro Cultural Brasileiropt)이 개설되었다.[4]2. 3. 기능 확장
2010년 주한 브라질 대사관은 국방무관 직위를 설치하였다.[3] 2012년 3월 16일에는 주한 브라질문화원(센트루 쿠우투라우 브라질레이루/Centro Cultural Brasileiropt)을 개설하였다.[4]3. 역대 공관장
wikitable
대수 | 이름 | 포르투갈어 이름 | 신임장 제정일 | 비고 |
---|---|---|---|---|
주일본 겸 주한 브라질 대사 (일본 도쿄 상주) | ||||
제1대 | 지시오 드 무라 | 지시우 드 무라/Decio de Mourapt | 1961년 10월 6일 | |
주한 브라질 대사 | ||||
제2대 | 로베르토 바텔로자 | 로베르투 바르텔 로자/Roberto Barthel Rosapt | 1967년 8월 23일 | |
제3대 | 밀튼 팔레스 리베이로 | 밀튼 텔레스 리베이루/Minton Telles Ribeiropt | 1969년 2월 14일 | |
제4대 | 조아킴 데 알메이다 세라 | 조아킹 드 아우메이다 세하/Joaquim de Almeida Serrapt | 1973년 10월 3일 | |
제5대 | 라이문도 노나토 로욜라데 카스트로 | 하이문두 노나투 로욜라데 카스트루/Raimundo Nonnato Logola de Castropt | 1977년 4월 22일 | |
제6대 | 프레데리코 카르나우바 | 프레데리쿠 카르나우바/Frederico Carnaubapt | 1978년 9월 13일 | |
제7대 | 모아시르 모레이라 마르틴스 페레이라 | 모아시르 모레이라 마르틴스 페헤이라/Moacyr Moreira Martins Ferreirapt | 1987년 10월 | |
제8대 | 루이스 마토소 아마도 | 루이스 마토주 모이아 아마두/Luiz Mattoso Moia Amadopt | 1989년 12월 | |
제9대 | 세르지오 세라 | 세르지우 바르보자 세하/Sergio Barbosa Serrapt | 1997년 2월 | |
제10대 | 파울로 핀토 | 페드루 파울루 핀투 아숨상/Pedro Paulo Pinto Assumpçãopt | 2003년 8월 28일 | |
제11대 | 셀리나 두 발리 뻬레이라 | 셀리나 M. 아숨상 두 발리 페레이라/Celina M. Assumpção do Valle Pereirapt | 2006년 10월 4일 | |
제12대 | 에지문도 수쑤무 후지타 | 에지문두 수수무 푸지타/Edmundo Sussumu Fujitapt | 2009년 7월 29일 | |
제13대 | 루이스 페르난두 지 안드라지 세하 | 루이스 페르난두 지 안드라지 세하/Luís Fernando de Andrade Serrapt | 2016년 7월 1일 | |
제14대 | 루이스 엔히끼 소브레이라 로페스 | 루이스 엔히키 소브레이라 로페스/Luis Henrique Sobreira Lopespt | 2018년 10월 |
3. 1. 주일본 겸임 대사 (일본 도쿄 상주)
1961년 10월 6일, 지시오 드 무라(Decio de Mourapt)가 주일본 브라질 대사 겸 주한 브라질 대사로 임명되었다.[2] 이후 주일본 브라질 대사가 주한 브라질 대사를 겸임하였다.3. 2. 주한 브라질 대사
대수 | 이름 | 포르투갈어 이름 | 신임장 제정일 | 비고 |
---|---|---|---|---|
주일본 겸 주한 브라질 대사 (일본 도쿄 상주) | ||||
제1대 | 지시오 드 무라 | 지시우 드 무라/Decio de Mourapt | 1961년 10월 6일 | |
주한 브라질 대사 | ||||
제2대 | 로베르토 바텔로자 | 로베르투 바르텔 로자/Roberto Barthel Rosapt | 1967년 8월 23일 | |
제3대 | 밀튼 팔레스 리베이로 | 밀튼 텔레스 리베이루/Minton Telles Ribeiropt | 1969년 2월 14일 | |
제4대 | 조아킴 데 알메이다 세라 | 조아킹 드 아우메이다 세하/Joaquim de Almeida Serrapt | 1973년 10월 3일 | |
제5대 | 라이문도 노나토 로욜라데 카스트로 | 하이문두 노나투 로욜라데 카스트루/Raimundo Nonnato Logola de Castropt | 1977년 4월 22일 | |
제6대 | 프레데리코 카르나우바 | 프레데리쿠 카르나우바/Frederico Carnaubapt | 1978년 9월 13일 | |
제7대 | 모아시르 모레이라 마르틴스 페레이라 | 모아시르 모레이라 마르틴스 페헤이라/Moacyr Moreira Martins Ferreirapt | 1987년 10월 | |
제8대 | 루이스 마토소 아마도 | 루이스 마토주 모이아 아마두/Luiz Mattoso Moia Amadopt | 1989년 12월 | |
제9대 | 세르지오 세라 | 세르지우 바르보자 세하/Sergio Barbosa Serrapt | 1997년 2월 | |
제10대 | 파울로 핀토 | 페드루 파울루 핀투 아숨상/Pedro Paulo Pinto Assumpçãopt | 2003년 8월 28일 | |
제11대 | 셀리나 두 발리 뻬레이라 | 셀리나 M. 아숨상 두 발리 페레이라/Celina M. Assumpção do Valle Pereirapt | 2006년 10월 4일 | |
제12대 | 에지문도 수쑤무 후지타 | 에지문두 수수무 푸지타/Edmundo Sussumu Fujitapt | 2009년 7월 29일 | |
제13대 | 루이스 페르난두 지 안드라지 세하 | 루이스 페르난두 지 안드라지 세하/Luís Fernando de Andrade Serrapt | 2016년 7월 1일 | |
제14대 | 루이스 엔히끼 소브레이라 로페스 | 루이스 엔히키 소브레이라 로페스/Luis Henrique Sobreira Lopespt | 2018년 10월 |
4. 관련 기관 및 정보
4. 1. 관련 기관
4. 2. 양국 관계
대한민국-브라질 관계는 1959년 10월에 시작되었다.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과학기술,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브라질은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 대한민국의 최대 교역 파트너이며, 대한민국은 브라질의 주요 투자 대상국 중 하나이다. 양국은 G20, WTO 등 국제기구에서도 협력하고 있다.4. 3. 브라질의 재외공관
브라질은 일본과 중국 등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이들 대사관은 해당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고, 브라질 국민을 위한 영사 서비스를 제공한다.참조
[1]
서적
Korea Annual 1988
Yonhap News Agency
1988
[2]
간행물
브라질개황2018
대한민국 외교부
2018-03
[3]
간행물
주 대한민국 브라질 대사관 관리 보고서: 에지문도 후지타 대사
http://www.senado.go[...]
브라질 연방상원
2016-07-29
[4]
웹인용
주한 브라질문화원
http://braziliancult[...]
주한 브라질문화원
2019-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