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과 그 상무위원회의 실무 기구로서, 당 총서기가 업무를 주재한다. 서기처 위원들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지명되고,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승인받으며, 정치국 및 상무위원회의 결정 사항을 전달하고 이행하는 역할을 한다. 1934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폐지 및 재설립을 거쳤으며, 1987년 이후 정치국과 상무위원회의 사무 기구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서기로는 덩샤오핑, 후야오방, 후진타오, 시진핑, 왕후닝, 차이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 조직 -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는 당 내부 사항을 결정하고 지도부를 선출하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중앙위원회를 감독하며 중국 공산당 발전과 현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중국공산당 조직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중국 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으로서 전국대표대회 폐회 기간 동안 당의 노선과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당, 정부, 군대의 주요 인사들로 구성되어 정치국, 상무위원회, 총서기를 선출하고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중국 국무원 산하 최고 경제기획 및 관리 기관으로, 경제 및 사회 발전 계획 총괄, 거시경제 관리, 투자 정책 수립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하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능과 역할이 변화해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부처로, 소수 민족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1949년 설립되어 문화대혁명 기간 해체되었다가 1978년 부활하였고, 현재는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으며 소수 민족의 자치 보장과 권익 보호,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 |
---|---|
개요 | |
명칭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
원어 명칭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中国共产党中央书记处)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Gòngchǎndǎng Zhōngyāng Shūjìchù |
약칭 | 서기처 (书记处, Shūjìchù) |
책임 소재 | 정치국 및 상무위원회 |
위치 | 친정전, 중난하이, 베이징 |
구성 | |
선출 | 중앙위원회 |
구성원 수 | 7명 |
주요 인물 | |
총서기 | 시진핑 |
제1서기 | 차이치 |
서기 | 차이치, 스 타이펑, 리 간제, 리 수레이, 천 원칭, 류 진궈, 왕 샤오훙 |
2. 연혁
1934년 1월, 중국공산당 제6기 5중 전회에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중앙서기처로 개칭하였다. 중앙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리지 않을 때에는 중앙서기처가 중앙위원회의 직권을 행사하여 사실상 최고 기관이 되었다.
1956년 9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지도 아래 당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로 개편되었고, 중앙위원회를 대행하는 직권은 없어졌다.
1969년 4월 제9차 당대회에서 중앙서기처가 폐지되었다가, 1980년 2월 제11기 5중전회에서 재설치되었다. 이후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지도 아래 당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로 운영되었다.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총서기가 설치되면서 중앙서기처 총서기는 폐지되었으나, 중앙서기처는 당의 일상 업무 처리 기구로 존속하였다.
1987년 11월 제13차 당대회에서 당 규약이 개정되어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사무 기구로 규정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34년 ~ 1956년)
1934년 1월, 제6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로 이름을 바꾸었다.[2] 1943년 3월 20일, 정치국은 서기처가 정치국이 결정한 일반적인 정책 틀에 따라 정치국의 업무를 수행하고, 이 틀 안에서 결정을 내릴 권한을 갖는다고 결정했다.[3]런 비스는 1941년 8월 제6기 정치국에 의해 중국공산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직책은 1943년 3월 20일 제7기 정치국 회의에서 폐지되고 서기처 주석이라는 새로운 직책으로 대체되었으며, 마오쩌둥이 이 직책을 맡았다.[3] 제7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는 1945년 6월 11일 런 비스를 중앙위원회 서기장으로, 리 푸춘을 중앙위원회 부서기장으로 선출했다.[4] 1950년 10월 27일 런 비스가 사망한 후 누가 그의 직책을 이어받았는지는 불분명하다.
1954년 4월 27일, 제8기 정치국은 중앙위원회 서기장과 중앙위원회 부서기장 직책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덩샤오핑이 서기장으로, 리 푸춘, 양상쿤, 탄전린, 마밍팡, 쑹런충, 류란타오, 린펑, 리쉐펑, 후차오무가 부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3] 이 기구는 서기처라고 불리지 않고 "서기장 회의"라고 불렸다. 1956년 제8차 전국대표대회는 이를 폐지하고 공식적으로 서기처로 대체했다. 제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는 1956년 9월 28일 덩샤오핑을 부서기장 없이 서기장으로 다시 선출했다.[5]
1956년 9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서기처가 다시 개편되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로 변경되었다. 제8차 대회와 제12차 대회에서 설치된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의 지도 아래에서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가 되면서 중앙위원회의 직권은 사라졌다.[2]
2. 2. 개편과 재설립 (1956년 ~ 1982년)
1934년 1월, 제6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로 개칭하였다.[2] 1956년 9월, 제8차 당대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를 다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로 변경하면서,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의 지도하에서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가 되었고 중앙위원회의 직권은 사라졌다.[3] 제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는 덩샤오핑을 서기장으로 선출하였다.[5]1969년 제9차 당대회와 1982년 제11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서기처가 설치되지 않았다.[3]
1980년 2월, 제11기 5중전회에서 중앙서기처가 재설치되어,[6]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지도하에 당의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기구가 되었다.
2. 3. 현재 (1982년 ~ )
1980년 2월, 제11기 5중전회에서 중앙서기처가 재설치되었다. 제8차 당대회 때와 마찬가지로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지도하에 놓여 당의 일상 업무 처리 기구가 되었다. 중앙서기처 총서기에는 후야오방이 취임했다(1981년 6월부터 당 주석 겸 중앙서기처 총서기가 됨).[1]1982년 9월의 제12차 당대회에서 당 주석제가 폐지되고, 중앙위원회 총서기(당 총서기)가 설치되었다. 후야오방은 당 총서기에 취임하고, 중앙서기처 총서기는 폐지되었다. 중앙서기처는 계속 당의 일상 업무 처리 기구로서 존속한다.[1]
1987년 11월의 제13차 당대회에서의 당 규약 개정을 통해 중앙서기처는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사무 기구로 규정되어 현재에 이른다.[1]
3. 기능 및 역할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실무 기구이다.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서기처의 업무를 주재한다.[8] 서기처 위원들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지명되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승인된다. 서기처 서기들은 중앙정치국 및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결정 사항을 전달하고 이행하는 업무를 조정한다. 또한 정치 보고서를 검토하고, 정책 계획을 수립하며, 인사 결정에 도움을 준다.[9]
4. 역대 서기
다음은 역대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명단이다.
; 제11기 중앙서기처 (1980년 2월 - 1982년 9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후야오방 | 1933년 9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앙서기처 총서기 | 첫 임명 |
2 | 완리 | 1936년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3 | 왕런중 | 1933년 | 국무원 부총리,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첫 임명 |
4 | 팡이 | 1931년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5 | 구무 | 1932년 7월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6 | 쑹런충 | 1926년 | 당 중앙 조직부 부장 | 첫 임명 |
7 | 위추리 | 1931년 5월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8 | 양더즈 | 1928년 10월 | 당 중앙 군사위원회 상무위원,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 | 첫 임명 |
9 | 후차오무 | 1932년 | 중국사회과학원 원장 | 첫 임명 |
10 | 야오이린 | 1935년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11 | 펑충 | 1934년 8월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첫 임명 |
12 | 시중쉰 | 1928년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1981년 6월 보선 |
; 제12기 중앙서기처 (1982년 9월 - 1987년 10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완리 | 1936년 | 중앙정치국 위원, 국무원 부총리 | 유임 |
2 | 시중쉰 | 1928년 | 중앙정치국 위원, 제5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유임 |
3 | 덩리췬 | 1936년 |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첫 임명 |
4 | 양융 | 1930년 | 당 중앙 군사위원회 상무위원 | 첫 임명, 1983년 1월 사망 |
5 | 위추리 | 1931년 5월 | 당 중앙 군사위원회 위원, 중국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 유임 |
6 | 구무 | 1956년 7월 | 국무위원 | 유임 |
7 | 천피셴 | 1931년 | 당 중앙 정치법률위원회 서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유임 |
8 | 후치리 | 1948년 4월 | 당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9 | 야오이린 | 1935년 | 국무원 부총리 | 첫 임명 |
10 | 차오스 | 1940년 8월 | 당 중앙 대외연락부 부장 | 1985년 후보에서 승진 |
11 | 하오젠슈 | 1954년 5월 | 1985년 후보에서 승진 |
; 제13기 중앙서기처 (1987년 10월 - 1992년 10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후치리 | 1948년 4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유임, 제13기 4중전회에서 해임 |
2 | 차오스 | 1940년 8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서기, 중앙당교 교장(~1989년) | 유임 |
3 | 루이싱원 | 1945년 | 중앙 선전사상사업 지도소조 부조장 | 첫 임명, 제13기 4중전회에서 해임 |
4 | 옌밍푸 | 1949년 | 당 중앙 통일전선부 부장 | 첫 임명, 제13기 4중전회에서 해임 |
리루이환 | 1959년 9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첫 임명, 제13기 4중전회에서 보선 | |
딩관건 | 1956년 7월 | 중앙정치국 후보위원,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주임 | 첫 임명, 제13기 4중전회에서 보선 | |
후보 | 원자바오 | 1965년 4월 | 당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 제14기 중앙서기처 (1992년 10월 - 1997년 9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후진타오 | 1964년 4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첫 임명 |
2 | 딩관건 | 1956년 7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유임 |
3 | 웨이젠싱 | 1949년 3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서기, 중화전국총공회 주석 | 첫 임명 |
4 | 원자바오 | 1965년 4월 | 중앙정치국 위원 후보, 당 중앙 판공청 주임 | 후보에서 승진 |
5 | 런젠신 | 1960년 4월 | 당 중앙 정치법률위원회 서기, 최고인민법원 원장 | 첫 임명 |
; 제15기 중앙서기처 (1997년 9월 - 2002년 11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후진타오 | 1964년 4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가 부주석, 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1999년), 중앙당교 교장 | 유임 |
2 | 웨이젠싱 | 1949년 3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서기, 중화전국총공회 주석 | 유임 |
3 | 딩관건 | 1956년 7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유임 |
4 | 장완녠 | 1948년 5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 | 첫 임명 |
5 | 뤄간 | 1960년 6월 | 중앙정치국 위원, 국무위원, 당 중앙 정치법률위원회 서기 | 첫 임명 |
6 | 원자바오 | 1965년 4월 | 중앙정치국 위원, 국무원 부총리 | 유임 |
7 | 쩡칭훙 | 1960년 4월 | 중앙정치국 후보위원, 당 중앙 판공청 주임, 당 중앙 조직부 부장(~1999년) | 첫 임명 |
; 제16기 중앙서기처 (2002년 11월 - 2007년 10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쩡칭훙 | 1960년 4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가 부주석, 중앙당교 교장 | 유임 |
2 | 류윈산 | 1971년 1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첫 임명 |
3 | 저우융캉 | 1964년 11월 | 중앙정치국 위원, 국무위원, 공안부 부장 | 첫 임명 |
4 | 허궈창 | 1966년 1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조직부 부장 | 첫 임명 |
5 | 왕강 | 1971년 6월 | 중앙정치국 후보위원, 당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6 | 쉬차이허우 | 1971년 4월 |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중국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2002년 11월~2004년 9월),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2004년 9월~2007년 10월) | 첫 임명 |
7 | 허용 | 1958년 12월 |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부서기 | 첫 임명 |
; 제17기 중앙서기처 (2007년 10월 - 2012년 11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시진핑 | 1974년 1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가 부주석, 중앙당교 교장 | 첫 임명 |
2 | 류윈산 | 1971년 1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선전부 부장 | 유임 |
3 | 리위안차오 | 1978년 3월 |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 조직부 부장 | 첫 임명 |
4 | 허용 | 1958년 12월 |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부서기 | 유임 |
5 | 링지화 | 1976년 7월 | 당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6 | 왕후닝 | 1984년 4월 | 중앙 정책연구실 주임 | 첫 임명 |
; 제18기 중앙서기처 (2012년 11월 - 2017년 10월)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류윈산 | 1971년 1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중앙당교 교장 | 유임 |
2 | 류치바오 | 1971년 12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선전부 부장 | 첫 임명 |
3 | 자오러지 | 1975년 7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조직부 부장 | 첫 임명 |
4 | 리잔수 | 1975년 4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5 | 두칭린 | 1966년 3월 | 전국정치협상회의 부주석 | 첫 임명 |
6 | 자오훙주 | 1969년 8월 | 당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부서기 | 첫 임명 |
7 | 양징 | 1976년 8월 | 국무위원, 국무원 비서장 | 첫 임명 |
; 제19기 중앙서기처 (2017년 10월 - )
서열 | 성명 | 입당 년월 | 겸임 직무 | 비고 |
---|---|---|---|---|
1 | 왕후닝 | 1984년 4월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 17기 서기 |
2 | 딩쉐샹 | 1984년 10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판공청 주임 | 첫 임명 |
3 | 양샤오두 | 1973년 9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규율검사위원회 부서기, 감찰부 부장 | 첫 임명 |
4 | 천시 | 1978년 11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조직부 부장, 중앙당교 교장 | 첫 임명 |
5 | 궈성쿤 | 1974년 12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정법위원회 서기 | 첫 임명 |
6 | 황쿤밍 | 1976년 9월 |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 선전부 부장 | 첫 임명 |
7 | 尤权|유취안중국어 | 1973년 3월 | 중앙 통전부 부장 | 첫 임명 |
4. 1. 주요 서기 (한국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
초상 | 이름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비고 |
---|---|---|---|---|---|
![]() | 덩샤오핑 | 1956년 9월 28일 | 1966년 8월 23일 | 8기 | |
![]() | 후야오방 | 1980년 2월 29일 | 1982년 9월 12일 | 11기 | |
![]() | 후진타오 | 1992년 10월 19일 | 2002년 11월 15일 | 14기, 15기 | |
![]() | 시진핑 | 2007년 10월 22일 | 2012년 11월 15일 | 17기 |
참조
[1]
웹사이트
十一屆三中全會后的中南海
http://cpc.people.co[...]
2011-05-30
[2]
웹사이트
中共第六届历次中央全会
http://cpc.people.co[...]
[3]
웹사이트
中国共产党第七届中央领导机构
http://cpc.people.co[...]
2012-09-21
[4]
웹사이트
中国共产党第七届中央领导机构
https://fuwu.12371.c[...]
Communist Party Membership Network
2012-09-21
[5]
웹사이트
中国共产党第八届中央领导组织
https://www.gov.cn/t[...]
The Central People's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8-09-19
[6]
웹사이트
中国共产党十一届五中全会简介
http://cpc.people.co[...]
[7]
웹사이트
中共第十二届历次中央全会
https://www.gov.cn/t[...]
The Central People's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8]
웹사이트
https://www.gov.cn/z[...]
2020-10-12
[9]
웹사이트
Decoding Chinese Politics: Party Center
https://asiasociety.[...]
[10]
뉴스
Cai Qi Leads Propaganda Ministers Conference
https://chinamediapr[...]
2023-01-05
[11]
뉴스
The big dance: A look back at the 17th Party Congress
https://www.china-br[...]
2007-10-31
[12]
뉴스
Politburo Standing Committee: Who are the men who rule China now?
https://www.bbc.com/[...]
2022-10-23
[13]
웹사이트
Chinese Government Leadership 20th Politburo Standing Committee
https://www.us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