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리(万里, 1916-2015)는 중국 공산당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 중화인민공화국 초기부터 개혁 개방 시기까지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산둥성 둥핑 현 출신으로,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지방 당 조직에서 활동했으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난징, 베이징 등에서 요직을 맡았다. 문화 대혁명 기간에는 고초를 겪었으나, 이후 안후이 성 당 서기 시절 농업 개혁을 주도하며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정책을 지지했다. 1980년 국무원 부총리, 1988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 시위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며 주목을 받았다. 1993년 은퇴 후 2015년 사망했으며, 덩샤오핑 시기 공산당의 주요 결정을 내리는 데 기여한 8원로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자 - 자오쯔양
조자양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로서 1980년대 중국 경제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며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가택 연금 생활을 하였고 사후 복권되지 못했다. - 산둥성 출신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산둥성 출신 - 모옌
중국 산둥성 출신의 소설가 모옌은 문화대혁명과 대약진 시대의 고독한 유년기를 거쳐 인민해방군 복무 중 작가가 되어 '붉은 수수밭' 등 환상적 리얼리즘에 기반한 작품으로 20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중국 정부와의 관계 및 정치적 태도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완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직책 | |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 "대수: 5대" "임기 시작: 1988년 4월 8일" "임기 종료: 1993년 3월 27일" "전임: 펑전" "후임: 차오스" |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 "대수: 4대" "임기 시작: 1983년 6월 6일" "임기 종료: 1988년 3월 25일" "전임: 덩샤오핑" "후임: 야오이린" "총리: 자오쯔양, 리펑" |
| 철도부 부장 | "대수: 3대" "임기 시작: 1975년 1월" "임기 종료: 1976년 12월" "전임: 뤼정차오" "후임: 돤쥔이"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16년 12월 |
| 출생지 | 둥핑 현, 산둥성, 중국 |
| 사망일 | 2015년 7월 15일 |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 정당 | 중국 공산당 (1936년 입당) |
| 배우자 | Bian Tao (邊濤) |
| 자녀 | 5명 (만지페이 포함) |
| 친척 | Wan Bao Bao (손녀) |
| 기타 정보 | |
| 로마자 표기 | Wan Li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완리는 1916년 산둥 성 둥핑 현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사범학교에 진학했으며, 재학 중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공부하는 독서 모임을 조직하기도 했다. 당시 학생 주도의 12·9 운동 이후 확산된 항일 및 혁명 분위기에 영향을 받아, 고향으로 돌아가 교사로 일하면서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혁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4] 이후, 산둥 성을 중심으로 당의 여러 직책을 거치며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2. 1. 초기 생애

완리는 1916년 12월 1일, 산둥 성 둥핑 현 저우청 가도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학문에 대한 열의가 있어 1939년 취푸에 있는 성립 사범학교에 입학했다. 학교에 다니면서 마르크스-레닌주의 서적을 연구하는 독서 모임을 만들었다. 당시 학생 주도의 12·9 운동 이후 중국 전역의 학교에 혁명과 항일 분위기가 퍼졌고, 이는 젊은 학생들이 국가의 미래를 위해 나서도록 이끌었다. 완리는 고향 둥핑현으로 돌아가 시간제 교사로 일하며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자는 주장을 펼치는 등 혁명 활동에 많은 시간을 쏟았다.[3]
1936년에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으며,[4] 이후 산둥 성을 중심으로 현 단위부터 시작하여 당의 여러 행정 직책을 맡았다.
| 기간 | 직책 |
|---|---|
| 1937년 ~ 1938년 | 둥핑 현 당 조직 지도 |
| 1938년 ~ 1940년 | 타이시 지구 선전 및 조직부 부장 |
| 1940년 | 산둥 성 서부 지역 공산당 위원회 선전부 부부장 |
| 1940년 ~ 1947년 | 허베이-산둥-허난 국경 지역 제2, 7, 8 현 위원회 서기 |
| 1947년 ~ 1949년 | 국경 지역 위원회 사무총장 (국공 내전 시기) |
2. 2. 교육
완리는 산둥 성 둥핑 현 저우청 가도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3] 그는 어릴 때부터 학문을 배우기를 열망했으며, 1936년 산둥성립 제2사범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39년에는 취푸에 있는 성립 사범학교에 입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학교에 다니는 동안 완리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서적을 연구하는 독서 클럽을 만들었다. 학생 주도의 12·9 운동 이후 중국 전역의 학교에 혁명과 반일(反日)의 열기가 퍼져나갔고, 이는 젊은 학생들이 국가의 미래를 위해 헌신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완리는 고향인 둥핑 현으로 돌아가 파트타임 교사로 일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혁명 활동과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을 알리는 데 쏟았다.[3]2. 3. 공산당 입당 및 초기 경력
1916년 12월 1일, 산둥성 둥핑현의 빈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6년 산둥성립 제2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1940년 무렵부터 지방의 주요 직책을 맡았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후, 1952년에는 중앙 정부로 자리를 옮겨 주로 도시 건설 분야에서 활동했다. 1958년부터 베이징시 당위원회 서기처 서기, 부시장 등을 역임하며 펑전의 지휘 아래 베이징 시정에 참여했다. 그러나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펑전과 함께 실각했다.3.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완리는 몇 달 안에 난징 시 군사통제위원회 재정부 부주임, 경제부 부장 및 시 건설국 국장으로 임명되었다.[4] 이후 중공 서남 군정위원회 공업부 부부장(1949–52)을 역임했는데, 이 시기에 당시 서남국을 이끌던 덩샤오핑을 만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1952년 완리는 베이징의 중앙 기관으로 자리를 옮겼다.[5] 그는 건축공정부 부부장(1953년)을 거쳐 도시건설부 부장(1955년)을 지냈다. 1958년부터는 베이징 시 중공위원회 서기(당시 제1서기는 펑전)이자 부시장으로 활동하며 펑전의 지휘 아래 베이징 시정에 참여했다. 특히 1959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 기념 행사를 준비하면서 베이징의 인민대회당 건설을 지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그러나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펑전과 함께 실각했다.
4. 문화대혁명 이후
문화 대혁명(1966년~1976년) 기간 동안 완리는 펑전 등과 함께 실각하여 숙청되었고, "노동을 통한 재교육"을 받는 등 시련을 겪었다.
1973년 베이징시 당위원회 서기로 복귀한 것을 시작으로 정치 활동을 재개했으며, 1977년에는 안후이 성 당위원회 제1서기로 부임하여 가정 책임 연대 생산 제도(생산 책임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며 농업 개혁을 이끌었다. 이는 당시 "식량이 필요하면 자오쯔양을, 쌀을 먹고 싶으면 완리를 찾아라"(要吃粮,找紫陽;要吃米,找万里|야오츠량, 자오쯔양; 야오츠미, 자오완리zho)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6]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완리는 덩샤오핑의 신임을 얻어 1980년 국무원 부총리로 발탁되었고, 이후 상무 부총리,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서기처 서기 등을 역임하며 개혁개방 정책을 지지하고 추진하는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7][9][10] 1988년에는 펑전의 뒤를 이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1993년까지 재임했다.[17]
1989년 6·4 천안문 사건 당시에는 캐나다 방문 중 학생 운동을 '애국적 행동'으로 평가하는 듯한 발언을 하여 주목받았으나, 귀국 후 상하이에서 '병상 치료' 명목으로 머물다 결국 당 중앙의 계엄령 결정을 지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1993년 3월, 전인대 상무위원장 임기를 마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은퇴 이후에도 당 원로로서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2009년에는 톈진시를 시찰하는 등 공개 활동을 하기도 했다. 당시 휠체어를 이용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2015년 7월 15일 베이징에서 향년 98세를 일기로 병사했다.[20]
4. 1. 복권 및 안후이성 시절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완리는 많은 동시대인들처럼 숙청되어 독방 심문을 받았고, 노동을 통한 재교육에 참여해야 했다.1973년 5월 베이징의 직책으로 복귀했으며, 1975년 1월에는 철도부 부장(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76년 덩샤오핑이 세 번째로 실각하면서 완리 역시 함께 해임되었다. 1977년에는 제1 경공업부 부장을 잠시 맡았다가 같은 해 5월, 안후이 성의 중국 공산당 제1서기(성 당 서기)이자 혁명위원회 주석(성 정부 수반)으로 부임했다.[4]
안후이성에서 완리는 마오쩌둥 시대 이후 가장 초창기의 농업 개혁을 책임졌다. 그는 농민들이 인민 공사의 토지를 나누어 개별적으로 경작하고 생산량에 따라 분배받는 가정 책임 연대 생산 제도를 과감하게 도입했다. 이러한 개혁은 베이징의 보수주의자들로부터 사회주의 원칙에 어긋나거나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상당한 반대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리는 자신의 소신을 밀고 나가며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개혁 조치인 '안후이 6조'(安徽六条|안후이류탸오중국어)는 농산물 시장 거래에 대한 통제를 완화하여 농민들이 잉여 농산물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농민들은 일정 면적(3/10무)의 토지에 자유롭게 채소를 재배할 수 있었고, 사유지에 심은 밀과 유료 작물에 대해서는 세금을 면제받는 등 농가의 자율성을 크게 높였다.[6]
안후이성의 농업 개혁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중앙 정부로부터 획기적인 혁신으로 칭송받았다. 완리가 시행한 이 제도는 이후 자오쯔양이 쓰촨 성에서 추진한 개혁 프로그램의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시중쉰, 후야오방 등 다른 개혁가들과 함께 완리는 1980년대 중국 개혁개방 정책을 이끈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으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민간에서는 그의 성공적인 농업 정책을 칭송하며 "식량이 필요하면 자오쯔양을 찾고, 쌀을 먹고 싶으면 완리를 찾아라"(要吃粮,找紫阳;要吃米,找万里|야오츠량, 자오쯔양; 야오츠미, 자오완리중국어)라는 말이 널리 퍼졌다.
4. 2. 전국정치로의 진출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숙청되어 "노동을 통한 재교육"을 받았던 완리는 1973년 5월 베이징시 당위원회 서기 겸 혁명위원회 부주임으로 복귀했다.[4] 1975년 1월 철도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나, 1976년 4월 덩샤오핑의 세 번째 실각과 함께 해임되었다. 1977년에는 제1 경공업부 부장을 잠시 맡았다가 같은 해 5월, 안후이 성 당위원회 제1서기 겸 혁명위원회 주석(성 정부 수반 해당)으로 자리를 옮겼다.[4]안후이 성에서 완리는 마오쩌둥 사후 중국에서 가장 선구적인 농업 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농민들에게 인민 공사의 토지를 나누어 개별적으로 경작하고 책임지는 가정 책임 연대 생산 제도(생산 책임제)를 도입했다. 이러한 개혁은 사회주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베이징 보수파의 비판에 직면했지만, 완리는 이를 강행했다. 특히 '안후이 6조' (''Anhui liu tiao'') 지침을 통해 시장 통제를 완화하고 농민들이 잉여 농산물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특정 조건 하에서는 세금을 면제해주기도 했다.[6] 이 개혁은 큰 성공을 거두어 안후이 성의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중앙 정부로부터 획기적인 혁신으로 평가받았다. 이는 자오쯔양이 쓰촨 성에서 추진한 개혁과 함께 전국적인 개혁의 모델이 되었다. 시중쉰, 후야오방 등과 더불어 완리는 1980년대 중국 개혁개방의 중요한 선구자로 인정받았으며,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의 칭찬을 받았다. 당시 민간에서는 "식량이 필요하면 자오쯔양을 찾고, 쌀을 먹고 싶으면 완리를 찾아라" (要吃粮,找紫陽;要吃米,找万里|야오츠량, 자오쯔양; 야오츠미, 자오완리중국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였다.
1977년 제11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80년 2월에는 중앙서기처 서기로 임명되어 총서기 후야오방 밑에서 일했다. 같은 해 4월 국무원 부총리로 발탁되었고, 9월 자오쯔양 내각이 출범하자 상무 부총리(제1부총리)로 승격했다. 또한 8월에는 국가농업위원회 위원장을, 9월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상무위원을 겸임했다.[7] 1982년 제12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정치국 위원과 중앙서기처 상무 서기로 선출되어 당내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그는 5강4미3애 활동 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8]
완리는 개혁 노선을 꾸준히 지지했다. 1979년부터 1981년까지 가정 책임제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후야오방과 자오쯔양의 노력을 적극 지원했으며,[9] 1980년대 중반 보수파들이 주도한 반 정신오염 운동을 억제하려는 자오쯔양 총리의 입장을 지지했다.[10]
1987년 1월 후야오방 총서기가 사임한 후, 완리는 당의 최고 의사결정을 임시로 담당하는 "5인조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해 가을 제13차 당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보이보 등 당 원로들과 야오이린, 천윈과 같은 보수파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 특히 야오이린은 완리가 "너무 많은 사람들을 화나게 했다"거나 "만약의 사태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소란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며 그의 상무위원 진입을 공개적으로 반대했고, 천윈 역시 이에 동조했다.[11]
덩샤오핑은 완리의 상무위원회 진입에 대한 보수파의 반대를 수용하는 대신, 그에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직을 제안했다.[12] 이 자리는 당 최고 지도부 직책은 아니지만 국가 지도자급의 권위 있는 자리였다. 완리는 처음에는 법률 지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고사했으나, 덩샤오핑은 "언제든 배우면서 할 수 있고, 도와줄 사람을 찾으면 된다"고 설득했다.[11] 결국 완리는 1988년 3월 펑전의 뒤를 이어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1993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17]
1989년 학생 민주화 운동이 고조되던 시기, 완리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였다. 5월 10일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정부의 청렴성 강화를 위한 위원회 설립을 제안하는 등 초기에는 개혁적 목소리를 내는 듯했다. 5월 17일, 방문 중이던 캐나다에서 천안문 광장의 학생 시위를 '애국적 행동'으로 평가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는 보도(신화사)가 나오면서, 계엄령 선포에 반대하는 개혁파와 학생들 사이에서 기대감을 낳기도 했다. 그러나 예정보다 일찍 귀국한 완리는 베이징이 아닌 상하이에 머물렀는데, 표면적으로는 병 치료였지만 실제로는 당 중앙의 지시에 따른 연금 상태에 가까웠다. 당시 상하이 당서기였던 장쩌민을 통해 양상쿤 등이 설득 작업에 나섰고, 결국 5월 27일 완리는 당 중앙의 계엄령 선포 등 강경 대응 결정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했다.
천안문 사건 이후 자오쯔양이 실각하고 장쩌민이 새로운 총서기로 부상하자, 펑전은 중앙 정치 경험이 부족한 장쩌민 대신 자신의 옛 부하였던 완리를 총서기로 추천하기도 했으나, 완리의 고령과 전인대 상무위원장이라는 현직 때문에 실현되지 않았다. 완리는 1993년 3월 전인대 상무위원장 임기를 마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5. 1989년 톈안먼 사건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운동 당시 완리는 캐나다와 미국을 공식 방문 중이었다. 중국 공산당 내 대표적인 개혁파로 여겨졌던 완리에 대해, 당 지도부와 은퇴한 원로들은 그가 학생 시위에 동정적이며, 당시 개혁파 지도자인 자오쯔양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했다.[13]
완리는 5월 12일 예정대로 북미 순방길에 올랐다. 바로 다음 날인 5월 13일부터 톈안먼 광장의 시위는 단식 투쟁으로 격화되었다. 일부 시위대는 5월 말 완리가 귀국할 때 환영 시위를 계획하기도 했다.[14] 당시 완리가 위원장을 맡고 있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헌법상 전인대 정식 회의를 소집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일부 학자와 정치 관계자들은 이 특별 회의 소집이 교착 상태에 빠진 국면을 헌법적으로 해결할 방법이라고 보았다.[13] 실제로 전인대 상무위원 57명은 톈안먼 사태 해결을 위한 특별 회의 소집을 청원하기도 했다. 5월 17일, 방문지 캐나다에서는 완리가 학생 운동을 애국적 행동으로 인정하는 담화를 발표했다는 신화사의 보도가 나와 계엄령 반대파의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상황이 악화되자 덩샤오핑은 5월 21일 당시 상하이 당서기였던 장쩌민을 만나 완리가 귀국하면 그를 설득하여 강경 진압 결정에 대한 지지를 얻어내라고 지시했다. 덩샤오핑은 장쩌민에게 앞으로 더 큰 역할을 맡게 될 것임을 암시하기도 했다.[13]
5월 25일 오후, 예정보다 일찍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완리의 비행기는 베이징이 아닌 상하이로 향했다. 신화사는 '병상 치료' 때문이라고 보도했지만, 실제로는 당 중앙의 지시에 따라 상하이에 머물게 된 것이었다. 상하이에서는 장쩌민 등이 그를 기다리며 학생 시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도록 설득했다.[13] 완리는 상하이에 머무는 동안 자신의 정치적 동지였던 자오쯔양이 이미 실각했으며, 덩샤오핑과 당 원로들이 군대를 동원해 시위를 진압할 계획임을 알게 되었다. 완리는 이러한 결정에 맞설 힘이 없다는 현실을 인지하고, 결국 5월 27일 당 중앙의 결정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특히 보수파인 리펑 총리와 양상쿤 국가주석이 발표한 계엄령을 지지한다는 내용이었다. 다만 완리는 비서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각서를 작성하게 했을 뿐, 추가적인 지지 발언은 하지 않아, 진심으로 동의하기보다는 상황에 순응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13]
6. 은퇴와 사망

완리는 199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에서 물러나며 은퇴한 이후 점차 대중의 시야에서 멀어졌다. 그는 가끔 모습을 드러냈지만, 은퇴한 정치인은 당과 국가의 운영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견해를 비교적 충실히 따랐다. 2007년 1월 15일 보이보가 사망하면서, 완리는 혁명 이전 세대의 당 원로 중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다. 많은 역사가는 완리를 덩샤오핑이 1978년 최고 지도자가 된 후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참여했던 혁명 경험을 가진 원로 그룹인 "8원로" 중 한 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5]
2009년 8월에는 "국경절 60주년 전야, 어떤 고참 동지의 담화"라는 제목의 글이 발표되었는데, 이 글의 '고참 동지'가 완리를 지칭한다는 견해가 있다. 같은 해 10월 9일, 완리는 톈진시 당서기 장가오리 등 시 지도부의 영접을 받으며 톈진시를 시찰했는데, 이때 그가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완리는 2015년 7월 15일 베이징에서 향년 98세로 사망했다. 사인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16] 그의 공식 부고에서 완리는 "훌륭한 당원, 공산주의 대의를 위한 오랜 투사, 뛰어난 프롤레타리아 혁명가, 정치가, 당과 국가의 지도자"로 칭송받았다. 또한 "평생 당에 충성하고, 인민에게 충성하고, 사회주의 대의에 충성했으며 [...] 당 규율을 준수하고 당의 단결을 유지했다"고 평가되었다.[17]
완리의 공식 부고는 2,200자 이상으로, 2세대 핵심 인물인 덩샤오핑과 천윈의 부고 길이의 절반 수준이었지만, 전 지도자 화궈펑, 전 정치국 상무위원 류화칭, 황쥐 등 수백 자 정도만 할애된 다른 지도자들의 부고보다는 훨씬 길었다. 그의 사망 소식은 당일 저녁 ''신원 롄보'' 프로그램에서 다섯 번째 소식으로 보도되었으며, 이는 최고위급 지도자에게만 사용되는 당과 국가 최고 기관의 "공동 성명" 형식으로 발표되었다.[18]
2015년 7월 22일, 완리의 추도식이 바바오산 혁명 묘지에서 거행되었고, 당일 톈안먼 광장과 주요 정부 건물에는 조기가 게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인 시진핑과 위정성을 제외한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전원이 추도식에 참석했다. 전 주석 후진타오도 참석했다. 그의 사망은 전 정치국 상무위원 웨이젠싱이 2015년 8월 7일에 사망하기 약 한 달 전이었다.[19]
7. 주요 직책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이후 1940년 무렵부터 지방의 요직을 맡기 시작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1952년 중앙 정부에 들어가 주로 도시 건설 분야에서 활동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인 1966년 잠시 실각했으나 1973년 복귀하여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을 지지하며 고위직을 역임했다. 주요 직책은 아래와 같다.
| 기간 | 직책 |
|---|---|
| 1950년 6월 ~ 1954년 9월 | 서남군정위원회 재정경제위원회 위원 |
| 1952년 11월 ~ 1954년 ? | 중앙인민정부 건축공정부 부부장 |
| 1954년 ~ 1955년 4월 | 국무원 건축공정부 부부장 |
| 1955년 4월 ~ 1956년 5월? | 국무원 도시건설총국 국장 |
| 1956년 5월 ~ 1958년 2월 | 도시건설부 부장 |
| 1958년 3월 ~ 1966년 10월 | 베이징시 당위원회 서기처 서기 |
| 1958년 8월 ~ 1966년 6월 | 베이징시 부시장 |
| 1959년 9월 ~ 1977년 11월 | 베이징시 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제2기 ~ 제4기) |
| 1973년 5월 ~ 1975년 1월 | 베이징시 당위원회 서기, 시혁명위원회 부주임 |
| 1975년 1월 ~ 1977년 6월? | 철도부 부장 |
| 1977년 6월 ~ 1978년 1월? | 안후이성 당위원회 제1서기 |
| 1978년 1월 ~ 1979년 12월 | 안후이성 혁명위원회 주임, 성군구 정위 |
| 1980년 2월 ~ 1982년 9월 | 당 중앙서기처 서기 |
| 1980년 4월 ~ 1988년 4월 | 국무원 부총리 (1980년 9월부터 상무 부총리) |
| 1980년 8월 ~ 1982년 5월 | 국가농업위원회 주임, 당조 서기 |
| 1982년 9월 ~ 1987년 11월 | 제12기 당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서기처 상무 서기 |
| 1987년 11월 ~ 1992년 10월 | 제13기 당 중앙정치국 위원 |
| 1988년 4월 ~ 1993년 3월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제7기) |
1993년 3월 모든 공직에서 은퇴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e Bal des Débutantes
https://www.lebal.pa[...]
2022-03-31
[2]
뉴스
全国人大常委会原委员长万里逝世 享年99岁
http://news.qq.com/a[...]
QQ News
2015-07-15
[3]
뉴스
万里的"山东足迹"(图)
http://news.163.com/[...]
Netease
2015-07-16
[4]
서적
"Who's Who in China: Current Leaders"
Foreign Language Press
1989
[5]
서적
"Wan Li" Political Leaders of Modern Chin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2002
[6]
서적
Hungry Ghosts: China's Secret Famine
John Murray
1996
[7]
서적
Directory of Officials and Organizations in China, 1968-1983
M.E. Sharpe
1984
[8]
웹사이트
Wan Li
http://news.xinhuane[...]
신화사
2011-07-03
[9]
서적
Prisoner of the State
Simon & Schuster
2009
[10]
문서
[11]
뉴스
赵紫阳披露 万里田纪云被1小人搞出局
http://www.boxun.com[...]
Zhao (via Boxun)
[12]
문서
[13]
뉴스
万里八九学运时遭江泽民软禁内幕
http://history.dwnew[...]
Duowei News
2015-07-17
[14]
문서
The Tiananmen Papers
[15]
웹사이트
薄一波逝世后八大元老仅存万里
http://blog.sina.com[...]
[16]
뉴스
Wan Li
http://www.thetimes.[...]
[17]
뉴스
中共中央 全国人大常委会 国务院 全国政协讣告 万里同志逝世
http://news.xinhuane[...]
Xinhua
2015-07-15
[18]
뉴스
"[CCTV] 《新闻联播》 20150715"
https://www.youtube.[...]
CCTV
2015-07-15
[19]
뉴스
万里同志遗体在京火化 习近平等到八宝山革命公墓送别
http://news.xinhuane[...]
Xinhua
2015-07-22
[20]
뉴스
全国人大常委会原委员长万里逝世 享年99岁
http://news.sin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