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오이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오이린은 1917년 홍콩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당의 고위 관료로 활동한 인물이다. 칭화 대학을 졸업하고 1935년 공산당에 입당하여 항일 운동에 참여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무역, 상업 분야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실각했으나 복귀하여 국무원 부총리, 국가계획위원회 주임을 역임하며 경제 정책을 주도했다. 그는 톈안먼 사건 당시 계엄령을 지지했으며, 이후 중국 경제 정책의 조정 기조를 이끌었다. 1994년 사망했으며, 그의 누나는 피아니스트 야오진신이고, 사위는 왕치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에 거주한 중화인민공화국 대륙 본토인 - 이연걸
이연걸은 중국 무술 국가대표 5연패의 전설적인 무술가 출신 배우로, 영화 《소림사》 데뷔 후 《황비홍》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액션 스타로 발돋움했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에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홍콩에 거주한 중화인민공화국 대륙 본토인 - 리쭝런
리쭝런은 중국동맹회에 가입하여 혁명 활동을 시작하고 국민당 장군으로서 북벌과 중일 전쟁에 참여했으며, 중화민국 부총통과 총통 권한대행을 역임했으나 공산당과의 협상 실패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귀국한 중화민국의 군벌이자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총리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총리 - 자오쯔양
조자양은 중국 공산당 지도자로서 1980년대 중국 경제 개혁과 개방 정책을 주도하며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몰락하여 가택 연금 생활을 하였고 사후 복권되지 못했다. - 칭화방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칭화방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야오이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姚依林 |
로마자 표기 | Yáo Yīlín |
출생 이름 | William Yiu Hak-kwong |
출생일 | 1917년 9월 6일 |
출생지 | 영국령 홍콩 |
사망일 | 1994년 12월 11일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35–1994) |
배우자 | Zhou Bin Hong Shouzi |
자녀 | Yao Mingrui Yao Mingshan Yao Mingduan Yao Mingwei |
친척 | 왕치산 (사위) 멍쉐농 (사위) |
모교 | 칭화 대학 |
경력 | |
제4대 및 6대 국가계획위원회 주임 | 1987년 6월 1989년 12월 |
총리 | Zhao Ziyang 리펑 |
전임 | 쑹핑 |
후임 | 저우자화 |
국가계획위원회 주임 | 1980년 8월 1983년 6월 |
총리 | Zhao Ziyang |
전임 | 위추리 |
후임 | 쑹핑 |
국무원 제1 부총리 | 1988년 3월 25일 1993년 3월 5일 |
총리 | 리펑 |
전임 | 완리 |
후임 | 주룽지 |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 1978년 1982년 |
지도자 | 화궈펑 후야오방 |
전임 | 왕둥싱 |
후임 | 후치리 |
상무부 부장 | 1978년 8월 18일 1978년 10월 |
총리 | 화궈펑 |
후임 | 진밍 |
군사 복무 | |
복무 기간 | 1935–1949 |
참전 | 중일 전쟁 중국 국공 내전 |
2. 생애
영국령 홍콩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함께 중국 본토의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살았다. 1934년 칭화 대학 이학원에 입학하여 학생 운동에 참여했으며, 1935년 11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톈진시 등지에서 항일 운동과 학생 운동을 지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무역부, 상업부, 중앙재정무역부 부부장(차관급)을 역임했고, 1960년에는 상업부장(장관급)으로 승진했다. 1958년에는 제8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중앙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반동파로 몰려 실각했으나, 1973년 대외무역경제합작부 부부장으로 복권되었다. 1977년 제11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 1978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비서장 및 왕둥싱의 후임으로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에 임명되었다.[10] 1979년에는 국무원 부총리[11] 겸 국무원 재정경제위원회 비서장[12], 1980년에는 국가계획위원회 주임[13]을 맡으며 경제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과는 거리를 두며 보수파 원로 천윈의 신임을 받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1985년, 천윈의 지시에 따라 샤먼, 선전, 하이난섬 등 경제특구의 운영 실태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정책 재검토를 주장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중국 지도부로서는 21년 만에 소련을 방문하여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 체결을 추진했고, 8월에는 일본 사회당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중국 지도자 중 처음으로 공식 비판하여 이후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가 국제적인 정치 쟁점으로 부상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1985년 9월,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4]
1987년 11월 제13기 1중전회에서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5] 당시 총서기 자오쯔양은 야오이린을 후임 총리로 추천하려 했으나, 연령과 건강 문제 등이 고려되어 리펑이 총리가 되었고 야오이린은 국무원 상무부총리(제1부총리)를 맡았다. 그는 완리, 톈지윈 등 개혁파 인사들의 정치국 상무위원 진입에 천윈과 함께 반대하는 등 보수적 입장을 견지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리펑과 함께 계엄령 시행을 지지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사건 이후 중국 내 보수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경제 정책 역시 긴축 기조로 전환되었다. 1990년 제8기 5개년 계획 수립 과정에서 야오이린이 주도한 최종안은 긴축과 조정을 강조했으나, 주룽지 상하이시 당서기 등 개혁 성향 지방 지도자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덩샤오핑의 개입으로 최종안 수정 작업에서 배제되었다.
1992년 2월 29일부터 3월 29일까지 약 1개월간 리펑 총리를 대신하여 국무원 총리 권한대행을 맡았다.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그가 추구했던 노선과는 달리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구축 방향으로 나아갔다. 1993년 3월 29일 국무원 부총리 직에서 퇴임하였다.
1994년 12월 11일 사망했다. 그의 사위는 훗날 국가 부주석을 지낸 왕치산이다. 누나 야오진신(姚锦新중국어)은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이다.
2. 1. 초기 생애 및 청년기 활동
야오이린은 1917년 영국령 홍콩에서 대륙 본토계 망명객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차이이민(蔡亦民)과 함께 홍콩을 떠나 장쑤, 저장, 상하이 등지를 옮겨 다니며 살았다. 한때 안후이성 구이츠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으며, 이후 베이핑(현재의 베이징)에서 성장했다.1934년, 우수한 성적으로 칭화 대학 이학원에 입학하였다. 대학 재학 중 칭화대학교 민족 무장 자위회에서 활동했으며, 1935년에는 학생회 간부로서 중화 항일 혁명 모임에 참여했다. 같은 해 11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12·9 운동 당시에는 베이징시 공산당 학습 그룹의 서기를 맡았다.
1936년 6월, 활동 무대를 톈진시로 옮겨 항일 운동을 이어갔다. 톈진시 당 위원회 선전부장이 되어 허베이성 지역의 학생 운동을 지도하였다. 중일 전쟁 기간에는 공산당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재무부 부국장을 맡으며 재정 분야에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는 경제 관료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무역부, 상업부, 중앙재정무역부에서 부부장(차관급)을 역임했으며, 1958년에는 제8기 전인대 중앙 후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0년에는 상업부장(장관급)으로 승진하였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야오이린은 무역부, 상업부, 중앙재정무역부 부부장(차관급)을 역임하며 경제 관료로서 경력을 쌓았다. 1958년에는 제8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중앙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0년에는 상업부장(장관급)으로 승진했다.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는 반동파로 몰려 실각하는 정치적 시련을 겪었으나, 1973년 대외무역경제합작부 부부장으로 복권하며 다시 공직에 복귀했다. 1977년 제11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8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비서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2월, 제11기 3중전회에서 왕둥싱이 비판받고 물러나자, 야오이린은 왕둥싱이 겸임하던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직을 이어받았다.[10]
1979년 7월 국무원 부총리 겸 국무원 재정경제위원회 비서장으로 임명되었고[11][12], 1980년에는 국가계획위원회 주임(장관급)을 겸임했다.[13] 이 시기 야오이린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과는 다소 거리를 두는 입장을 취했으며, 보수파 원로인 천윈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985년, 야오이린은 천윈의 지시에 따라 샤먼, 선전, 하이난 등 경제특구 및 준경제특구가 외화 획득이라는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오히려 부정 수출 등으로 외화 유출을 야기한다고 지적하며 경제특구 정책의 재검토를 주장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중국 지도부로서는 21년 만에 소련을 방문하여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했다. 8월에는 일본 사회당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당시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중국 지도자 중 처음으로 공식 비판했으며, 이후 중국 외교부도 이를 계속 비판하면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는 국제적인 정치 쟁점으로 부상했다. 같은 해 9월, 제12기 5중전회에서 당 중앙 서기처 서기직에서 물러나고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4]
1987년 11월 제13기 1중전회에서 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5] 당시 총서기 자오쯔양은 야오이린을 후임 국무원 총리로 추천하려 했으나, 연령과 건강 등을 고려하여 리펑이 총리가 되었고 야오이린은 국무원 상무부총리(제1부총리)를 맡았다. 그는 완리, 톈지윈 등 개혁파 인사들의 정치국 상무위원 진입에 천윈과 함께 강력히 반대하는 등 보수적 입장을 견지했다.
1989년 6·4 톈안먼 사건 발생 시 리펑과 함께 계엄령 시행을 지지했다. 톈안먼 사건 이후 중국 내 보수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경제 정책도 긴축 기조로 전환되었다. 1990년 9월, 야오이린 주도로 작성된 제8기 5개년 계획 최종안이 발표되었으나, 긴축 기조 유지로 인해 예쉔핑 광둥성 성장, 주룽지 상하이시 당서기 등 지방 지도자들의 불만을 샀다. 이로 인해 덩샤오핑은 야오이린을 최종안 수정 작업에서 배제시켰고, 계획안은 재수정을 거쳐 12월에야 채택되었다.
1992년 리펑 총리가 해외 순방 등으로 자리를 비운 2월 29일부터 3월 29일까지 약 1개월간 국무원 총리 권한대행을 맡았다. 1993년 3월 29일 국무원 부총리 직에서 퇴임하였다.
1994년 12월 11일 사망했다.
2. 3. 경제 정책 및 개혁개방에 대한 입장
야오이린은 오랫동안 국무원 상무부총리를 역임한 경제 관료 출신이다. 그는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과는 다른 입장을 취했으며, 보수파 원로인 천윈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1985년, 야오이린은 천윈의 지시에 따라 샤먼, 선전, 하이난섬 등 경제특구에 대해 외화 획득 목표 미달성과 외화 유출 문제를 지적하며 재검토를 주장했다. 이는 개방 확대보다는 균형과 안정을 중시하는 그의 보수적인 경제관을 보여준다. 같은 해 7월에는 소련을 방문하여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1987년 제13기 1중전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5] 당시 총서기였던 자오쯔양은 야오이린을 후임 국무원 총리로 추천했으나, 연령과 건강 문제 등을 고려하여 리펑이 총리가 되고 야오이린은 상무 부총리를 맡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야오이린은 천윈과 함께 개혁파로 분류되던 완리, 톈지윈 등의 정치국 상무위원회 진입을 반대하며 보수적 입장을 견지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에는 리펑과 함께 계엄령 시행을 지지했다. 사건 이후 보수파의 입지가 강화되면서 중국 경제 정책은 긴축 기조로 전환되었다. 1990년 제8기 5개년 계획 수립 과정에서 야오이린이 주도한 최종안은 긴축과 조정을 강조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예쉔핑 광둥성 성장, 주룽지 상하이시 당서기 등 개혁 성향의 지방 지도자들이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결국 덩샤오핑의 개입으로 야오이린은 최종안 수정 작업에서 배제되었고, 계획안은 재수정을 거쳐 채택되었다. 이는 개혁개방 심화를 둘러싼 당내 노선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야오이린의 노선과는 달리,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야오이린은 1993년 3월 29일 국무원 부총리 직에서 퇴임했다.
2. 4. 톈안먼 사건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야오이린은 국무원 부총리(제1부총리)로 재직하며 경제 기획 및 관리를 담당했다.[3] 그는 학생들의 시위를 애국심의 발로로 보지 않았으며, 운동의 신속한 진압을 주장하는 중국공산당 내 보수 세력과 입장을 같이했다. 야오이린은 리펑과 함께 개혁파인 자오쯔양 총서기에 맞서 보수파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4]4·26 사설이 ''인민일보''에 게재되어 학생 시위가 격화되자 당내에서는 사설의 논조를 유지하려는 입장과 이를 수정하려는 입장이 맞섰다. 덩샤오핑의 강경한 입장이 반영된[3] 이 사설은 시위가 소수의 반공 세력에 의해 선동된 "혼란"이라고 규정했다. 자오쯔양이 사설 수정을 통해 학생들을 달래려 했으나, 야오이린은 당의 단결성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거부했다.[3] 그는 학생들에 대해 비타협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시위 지지 확산을 막고 학생들의 수업 거부를 중단시키며, 생산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노동 규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야오이린과 리펑은 보수파의 핵심 인물로서, 마오쩌둥과의 관계로 인해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덩샤오핑의 시위 진압 견해에 동조하며 자신들의 입지를 다졌다.[5] 야오이린은 자오쯔양이 사설 문제에서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유화적이었다고 비판하며, 부패를 방치하고 중국의 민주주의와 법치를 후퇴시킨 책임을 당에 돌린다며 자오쯔양을 공격했다.[3] 결국 자오쯔양은 야오이린을 비롯한 보수파의 견제 속에 고립되는 상황에 처했다.[6]
야오이린은 리펑과 함께 6월 4일 계엄령 발동을 주도한 핵심 인물 중 하나였다. 보수파는 시위가 반공 세력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고 보았으며, 계엄령만이 시위를 끝내고 베이징의 질서를 회복시킬 유일한 방법이라고 판단했다.[3] 야오이린은 계엄령을 강력하게 지지하며[7] "이 학생 운동의 성격이 변질되었다. 자연스러운 슬픔의 표현으로 시작하여 사회적 혼란으로 변했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진다.[3] 그는 비공식 학생 단체들이 전국적으로 혼란을 확산시킬 것을 우려하여 이들을 불법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수의 음모자들이 학생 운동 배후에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학생들과의 대화를 거부한 유일한 상무위원이었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리펑과 야오이린이 계엄령을 선호한 것은 강경파가 권력을 유지하려는 의도였다고 분석하기도 했다.[8]
톈안먼 사건 이후 중국 내 보수파의 목소리가 커졌고, 경제 정책 또한 긴축 기조로 돌아섰다.
2. 5. 외교 활동
1985년 7월, 중국 지도부로서는 21년 만에 소련을 방문하여 경제 및 기술 협력 협정의 조인을 위해 노력했다. 같은 해 8월, 일본 사회당 대표단과 회담했을 때 나카소네 야스히로 당시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중국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서 처음으로 비판했다. 이후 중국 외교부도 이를 계속 비판하면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국제 정치 문제'로 자리하게 되었다.2. 6. 말년
자오쯔양이 총서기로 취임한 1987년 11월 2일의 제13기 1중전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5] 자오쯔양은 야오이린을 자신의 후임 국무원 총리로 추천했으나, 결국 기술 관료 출신인 리펑이 총리로 취임했으며, 야오이린은 1988년 2월 29일부터 상무 부총리를 맡았다. 그는 보수파 원로 천윈의 지지를 받아 개혁파인 완리, 톈지윈 등의 정치국 상무위원 진입에 반대하기도 했다.1989년 톈안먼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리펑과 함께 계엄령 시행을 지지하며 강경 입장을 보였다. 사건 이후 중국 내 보수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경제 정책 역시 긴축 기조로 전환되었다. 1990년 야오이린은 제8기 5개년 계획 최종안 작성을 주도했으나, 여전히 긴축과 조정을 강조하는 내용에 예쉔핑 광둥성 성장과 주룽지 당시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 등 개혁 성향의 지방 지도자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이로 인해 덩샤오핑은 야오이린을 최종안 수정 작업에서 배제시켰고, 계획안은 재수정을 거쳐 채택되었다.
1992년 2월 29일부터 3월 29일까지 리펑 총리의 해외 순방 기간 동안 잠시 총리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으나,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은 덩샤오핑이 강조한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 방향으로 나아갔다. 1993년 3월 29일 상무 부총리 직에서 퇴임하였다.
1994년 12월 11일, 질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77세였다. 그의 사위는 훗날 국가 부주석을 지낸 왕치산이다.
3. 가족 관계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蔡亦民|차이이민중국어 슬하에서 자랐다. 누나 姚锦新|야오진신중국어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아내 홍서지와의 사이에서 야오밍루이, 야오밍산, 야오밍돤 등 세 딸과 아들 야오밍웨이를 두었다. 둘째 딸 야오밍산의 남편은 전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을 지낸 왕치산이며, 셋째 딸 야오밍돤의 남편은 전 산시성 성장과 전 베이징시 시장을 역임한 멍쉐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姚明瑞同志逝世消息
http://lgj.mofcom.go[...]
[2]
서적
Who was Who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7-01-01
[3]
서적
Tiananmen Papers
Public Affairs
2002
[4]
문서
White House Situation Room Files, Tiananmen Square Crisis File, China – Part 1 Of 5 Tianamen Square Crisis
George H. W. Bush Library
1989-05-06
[5]
뉴스
Balance of Power
http://docs.newsbank[...]
Ming Pao
1989-06
[6]
뉴스
CPC Split
http://docs.newsbank[...]
Cheng Ming
1989-06
[7]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the Beijing People's Movement
Contemporary China Cente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0-07
[8]
뉴스
Zhao Ziyang alleges Li Peng 1989 scheming; Late leader's explosive memoirs out
South China Morning Post
2009-05
[9]
서적
紅色生活史: 革命歲月那些事(1921-1949)
時報文化出版企業
2015-01-16
[10]
간행물
改革開放後の権力闘争について考察
http://www.law.nihon[...]
政経研究
2014-03
[11]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公告
http://www.gov.cn/te[...]
[12]
웹사이트
第五届全国人民代表大会常務委員会第九次会議簡況
http://www.npc.gov.c[...]
[13]
웹사이트
第五届全国人民代表大会常務委員会任免人員(1980年8月26日)
http://www.npc.gov.c[...]
[14]
웹사이트
第十二届中央委員会第五次全体会議公報(1985年9月24日)
http://cpc.people.co[...]
[15]
웹사이트
第十三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cpc.people.co[...]
[16]
웹인용
전중국부총리/요의림 사망
https://www.seoul.co[...]
2022-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