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야오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야오방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개혁 개방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여 공산당에 입당한 후, 홍군에서 복무하며 혁명 활동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는 덩샤오핑의 지지를 받아 당 조직부장, 당 주석 등을 역임하며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정치 개혁, 언론 자유, 대외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보수 세력과의 갈등으로 인해 1987년 당 총서기직에서 물러났다. 그의 죽음은 1989년 천안문 사건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사후에는 그의 개혁적인 면모가 재평가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동문 - 캉커칭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여성 운동가인 캉커칭은 어부의 딸로 태어나 홍군에 합류, 봉건주의와 제국주의에 맞서 싸웠으며 주더와 결혼 후 혁명 동지로서 활동, 대장정 참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아동 보호와 여성 권익 향상에 헌신했다.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동문 - 허쯔전
허쯔전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마오쩌둥의 세 번째 부인으로, 공산당 입당 후 혁명 활동과 '융신 봉기'를 주도하고 마오쩌둥의 비서로 대장정에 참여했으며, 소련 유학 후 귀국하여 정치 활동을 하다 상하이에서 생을 마감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후야오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호요방 (胡耀邦) |
로마자 표기 | Hu Yaobang |
출생일 | 1915년 11월 20일 |
출생지 | 중화민국 후난성 류양시 |
사망일 | 1989년 4월 15일 |
사망지 | 베이징시, 중화인민공화국 |
안장지 | 공청성, 주장시 |
국적 | 중국 |
![]() | |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공산당 (1933년–1989년) |
배우자 | 리자오 (1941년 결혼, 1989년 사망) |
자녀 | 4명 |
주요 직위 | |
직위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
임기 시작 | 1982년 9월 12일 |
임기 종료 | 1987년 1월 15일 |
이전 | 본인 (주석으로서) |
후임 | 자오쯔양 |
직위 1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
임기 시작 1 | 1981년 6월 29일 |
임기 종료 1 | 1982년 9월 12일 |
이전 1 | 화궈펑 |
직위 2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총서기 |
임기 시작 2 | 1980년 2월 29일 |
임기 종료 2 | 1982년 9월 12일 |
이전 2 | 덩샤오핑 (1966년) |
후임 2 | 후치리 (제1서기) |
주요 활동 | |
기타 직책 | 1978년–1980년: 선전부 부장/"홍보부" 1977년–1978년: 조직부 부장 1964년–1965년: 산시성 당위원회 서기 1953년–1978년: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 |
소속 | |
학력 | 항일군정대학 졸업 (1937년) |
종교 | 무신론 |
군사 경력 | |
소속 | 홍군 중국인민해방군 육군 |
복무 기간 | 1936년 ~ 1952년 |
최종 계급 | 소좌 |
참전 | 국공 내전 |
2.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후야오방은 1915년 후난성 창사시 류양현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객가 출신으로, 장시성에서 명나라 시대에 후난성으로 이주해 왔다.[1][2][3]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스스로 글을 깨우쳤다.[4] 12세에 추수 봉기에 처음 참가했고, 14세에 가족을 떠나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5] 1933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했다.[6]
1930년대 공산당 내 파벌 투쟁에서 후야오방은 마오쩌둥을 지지하고 28 볼셰비키에 반대했다. 대장정의 가장 어린 참전자 중 한 명이었던[7] 그는 마오쩌둥이 권력에서 물러난 후 지지자들이 박해받을 때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탄유바오의 개입으로 목숨을 구했다.[8]
준이 근처 루산 전투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었으나,[9] 어린 시절 친구이자 중국 인민해방군 사령관의 도움으로 구조되었다. 1930년대에 덩샤오핑과 친분을 맺고 긴밀히 협력했으며, 1940년대에는 제2야전군에서 덩샤오핑의 정치 위원으로 일했다. 중국 내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덩샤오핑과 함께 쓰촨성으로 갔고, 1949년에 공산군은 국민당군으로부터 이 지역을 성공적으로 장악했다.[6]
2. 1. 중국 공산당 입당과 장정
192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공청단)에 가입했고, 이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였다. 마오쩌둥과 주더가 이끄는 홍군에 초급 장교로 합류했으나,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마오와 주더를 대신하여 당권을 장악한 친소련 성향의 지도부("28인의 볼셰비키")는 마오쩌둥에 충성하던 그의 성향을 불신하여 체포 후 사형을 선고하였다.[8] 그러나 다른 중국공산당 지도부의 도움으로 석방되었다.[8]
이후 작전 중 부상을 입어 후송되어 장정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장궈타오 부대의 일원으로서 장정에 참가하던 중, 그의 부대가 중국 정부에 충성하는 회족 마부팡 군벌군에게 패해 포로가 되었다. 마부팡의 영지에서 노역을 하다 다른 포로와 함께 탈주하여 공산당 지도부가 있던 옌안으로 복귀하였다.
옌안에 도착한 후 후야오방은 항일 군사 학교를 졸업하고, 펑더화이 휘하의 정치 부서에서 일했다.[10]
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군을 격파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했다. 후야오방은 1952년부터 1966년까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지도자를 역임했고,[6] 1964년에는 산시성 제1서기로 파견되기도 했다.[12]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두 차례 숙청되었다가 복권되는 등 덩샤오핑과 비슷한 정치 역정을 겪었다.[13] 1977년 복권 후, 당 중앙조직부장, 중앙선전부장 등을 역임하며 문화대혁명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에 힘썼다.[6] 그는 3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의 무죄를 입증하는 데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었다고 알려져있다.[13]
1978년 민주 벽 시위자들을 묵묵히 지지했고, 화궈펑의 "두 개의 무엇이든" 정책에 반대하며 덩샤오핑의 권력 상승에 중요한 지지자 역할을 했다.
3. 1.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지지
1978년 덩샤오핑이 실권을 장악하는데 기여했고,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6] 1980년 당 중앙서기처 총서기, 1981년 당 중앙위원회 주석에 취임했다. 1982년 당 주석제가 폐지되고 총서기제가 도입되면서 총서기직을 계속 수행했다.[6] 덩샤오핑이 화궈펑을 "최고 지도자" 자리에서 물러나게 한 후 후야오방은 당의 최고위직에 올랐으며, 1982년까지 덩샤오핑 다음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14]1980년대 초 덩샤오핑은 후야오방과 자오쯔양을 자신의 "좌우 손"이라고 불렀다.[15] 후야오방은 자오쯔양과 자주 협력하며 여러 정치 개혁을 추진했는데,[16] 정치국 진입을 위해 후보자가 직접 선출되도록 요구하고, 복수 후보로 더 많은 선거를 실시하며, 정부 투명성을 높이고, 당 정책 결정 전에 여론을 수렴하며, 정부 관리들이 자신의 실수를 직접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방식으로 중국 정치 시스템을 개혁하려 했다.[16]
후야오방은 문화 대혁명 기간에 박해받았던 사람들을 복권시키려 노력했는데, 많은 중국인들은 이것이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또한 이전 정책의 실수를 깨닫고 티베트 자치구에서 실용적인 정책을 선호했다.[17] 1980년 5월 이 지역을 방문한 후 수천 명의 한족 간부를 티베트 자치구에서 철수하도록 명령했으며, 티베트인과 위구르족이 자신들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믿었다.[17] 그는 티베트 자치구에 대한 국가 기금 증가, 교육 개선, 티베트 및 위구르 문화 부흥 노력 등을 포함하여 '기존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6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20]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 후야오방은 계속해서 당의 수장으로서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하여 개혁 개방 노선과 자유화 노선을 내세웠다. "4개의 현대화"의 구체적인 목표를 20년 동안 공업·농업의 생산액을 4배로 늘리고 국민 생활을 "중간 정도"로 하는 것으로 정했다.
4. 개혁 정치와 실각
덩샤오핑의 중국 공산당 개혁 개방 정권에서 후야오방은 마오쩌둥의 후기 노선과 화궈펑의 구 노선을 교정하고,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옌안 시절의 경험,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경력, 1976년 톈안먼 사건 등으로 덩샤오핑의 후계 세력으로 간주되어 최고 지도부에 발탁되었다. 그는 개혁개방 정책 추진에 있어 정치적으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문혁 시기 박해받았거나 박해에 가담했던 인사들의 권익 회복 조치에 참여했으며, 농촌 및 도시 경제 개혁, 남부 연해 지역의 상품 경제 개발에도 참여했다.
덩샤오핑이 경제 건설과 정치 안정을 동시에 중시한 반면, 후야오방은 혁명적 사회주의나 청년 마오쩌둥주의 군중 노선을 통해 중국 공산당의 반부패 대중 운동과 중국 인민들의 정치 변혁 요구를 지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정치 개혁은 보수파의 반발에 직면하여 1986년 9월 제13기 6중전회에서 보류되었고, 같은 회의에서 보수파 주도의 "정신 문명 결의"가 채택되면서[56], 후야오방은 보수파와 8대 원로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1986년 12월 5일 안후이성 허페이 시의 중국과학기술대학교 학생 시위[57]를 시작으로 전국적인 학생 데모가 발생했다. 시위의 직접적인 원인은 시 인민 대표 선거에서 학생 대표 선출 문제였으며[57], 베이징, 상하이 등 전국으로 확산되었다[57]。팡리즈, 류빈옌, 왕뤄망 등 당원 지식인들이 학생 데모를 지지했고[57], 덩샤오핑은 12월 30일 후야오방, 자오쯔양, 완리, 리펑 등을 불러 학생 데모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57]。
덩샤오핑은 제13차 당대회에서 중앙고문위원회 주임직을 사임하고 후야오방에게 자리를 물려주려 했으나, 고문위원회가 주최한 민주생활회에서 후야오방은 보수, 개혁파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결국 1987년 1월 16일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천윈 등 당 원로들이 참석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후야오방의 해임과 자오쯔양의 총서기 대리 취임이 결정되었다. 후야오방은 집단 지도 원칙 위반, 정치 원칙 문제에서의 오류, 특히 "부르주아 자유화"에 대한 관용이 해임 사유로 지적되었다[42]。
실각 후에도 후야오방은 정치국 상무위원직을 유지하며 당내 개혁을 호소했지만, 1987년 11월 제13기 1중전회에서 정치국원으로 강등되었다[58]。
4. 1. 개혁 정책 추진
덩샤오핑이 화궈펑을 중국의 "최고 지도자" 자리에서 물러나게 한 후, 후야오방은 당의 최고위직에 올랐다. 1980년 후야오방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가 되었고,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1981년, 후야오방은 중국 공산당 주석이 되었지만, 1982년 당 주석직을 폐지하는 데 기여했다. 주석의 기능 대부분은 후야오방이 맡았던 총서기 직위로 이전되었다.[6] 1982년까지 후야오방은 덩샤오핑 다음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14]1980년대 초 덩샤오핑은 후야오방과 자오쯔양을 자신의 "좌우 손"이라고 불렀다.[15] 총서기 직위로 승진한 후, 후야오방은 자오쯔양과 자주 협력하며 여러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 후야오방은 정치국 진입을 위해 후보자가 직접 선출되도록 요구하고, 복수 후보로 더 많은 선거를 실시하며, 정부 투명성을 높이고, 당 정책 결정 전에 여론을 수렴하며, 정부 관리들이 자신의 실수를 직접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방식으로 중국의 정치 시스템을 개혁하려 했다.[16]
재임 기간 동안 후야오방은 문화 대혁명 기간에 박해받았던 사람들을 복권시키려 노력했다. 많은 중국인들은 이것이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또한 이전 정책의 실수를 깨닫고 티베트 자치구에서 실용적인 정책을 선호했다. 1980년 5월 이 지역을 방문한 후 수천 명의 한족 간부를 티베트 자치구에서 철수하도록 명령했으며, 티베트인과 위구르인이 자신들의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믿었다.[17] 후야오방은 한족 당 간부의 수를 줄이고 사회 통제를 완화했다.[18] 남은 한족은 티베트어와 위구르어를 배워야 했다.[19] 그는 티베트 자치구에 대한 국가 기금 증가, 교육 개선, 티베트 및 위구르 문화 부흥 노력 등을 포함하여 '기존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6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20] 동시에 후야오방은 "티베트의 조건에 맞지 않는 것은 거부하거나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19] 후야오방은 이번 방문에서 중국의 이 지역 통치에 대해 티베트인들에게 명시적으로 사과했다. 그는 또한 신장에서 병단(군인 농부)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왕전의 반대로 인해 실패했다.
후야오방은 자유주의적이고 솔직하게 의견을 표현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이는 때때로 다른 고위 중국 지도자들을 자극했다. 1984년 내몽골 자치구 방문 당시, 후야오방은 중국인들이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서양식 식사(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고 개인 접시에 음식을 담는 방식)를 시작할 수도 있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그는 마오쩌둥의 의상을 버리고 서양식 정장을 입기 시작한 최초의 중국 관리 중 한 명이었다. 마오주의의 이론 중 현대 중국에 바람직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그는 "아무것도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22]
후야오방은 마르크스주의를 완전히 포기할 준비는 되지 않았지만, 공산주의가 "인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의견을 솔직하게 표명했다. 후야오방은 지식인들에게 민주주의, 인권, 중국 정부 내 공산당의 영향력에 대한 법적 제한 도입 가능성을 포함한 논쟁적인 주제를 언론에서 제기하도록 장려했다. 많은 당 원로들은 처음부터 후야오방을 불신했고, 결국 그의 영향력을 두려워하게 되었다.[21]
후야오방은 중국-일본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진지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그의 노력의 범위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1984년, 베이징이 일본의 중화인민공화국 외교적 승인 12주년을 기념했을 때, 후야오방은 3,000명의 일본 청년을 베이징으로 초청하여 상하이, 항저우, 난징, 우한, 시안을 관광하도록 했다. 많은 고위 관리들은 후야오방의 노력이 지나치다고 여겼는데, 일본은 전년에 500명의 중국 청년만을 일본으로 초청했기 때문이다. 후야오방은 방문한 일본 관리들에게 사치스러운 선물을 제공하고, 딸이 일본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아들이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 개인적으로 동행하도록 허용한 것에 대해 내부적으로 비판을 받았다. 후야오방은 강력한 중일 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이 중국에서 저지른 잔학 행위는 군벌의 행동이었지 일반 시민의 행동이 아니라는 자신의 신념을 인용하며 자신의 행동을 옹호했다.[23]
1982년 9월 제12차 당대회에서 당 규약이 개정되어 당 주석제가 폐지되고 총서기제가 도입되자, 후야오방은 계속해서 당의 수장으로서 중앙위원회 총서기에 취임하여 개혁 개방 노선과 자유화 노선을 내세웠다. "4개의 현대화"의 구체적인 목표를 20년 동안 공업·농업의 생산액을 4배로 늘리고 국민 생활을 "중간 정도"로 하는 것으로 정했다. 또한 이 당대회에 맞춰 후야오방은 55세 이하의 젊은 간부들을 발탁하여 장쩌민, 리펑, 후진타오 등 112명이 중앙위원, 중앙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86년 5월에는 "백화제방·백가쟁명" (쌍백)을 다시 제창하여 언론의 자유화를 추진했다.
4. 2. 실각과 죽음
후야오방은 급진적인 개혁 정책으로 당내 보수파의 반발을 샀다. 1985년 홍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군사위원회 주석 불필요 발언을 하고, 왕전과의 갈등으로 덩샤오핑의 신임을 잃었다.[24] 중국-일본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과도한 대일 유화 정책은 당내 비판을 초래했다.[23]1986년 말, 팡리즈 등이 주도한 학생 시위가 발생하자, 보수파들은 후야오방이 "부르주아 자유화"에 관대했다는 이유로 비판했다.[5][26][42] 결국 1987년 1월, 후야오방은 당 총서기직에서 해임되었고, 자오쯔양이 총서기 대행을 맡았다.[42] 후야오방은 정치국 상무위원직은 유지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잃었다.[6]
1989년 4월 8일, 후야오방은 중난하이에서 열린 정치국 회의 도중 심장마비로 쓰러졌다.[28] 그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4월 15일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 그의 죽음은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 시위를 촉발시켰고, 이는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이어졌다.[30]
5. 사후 평가와 영향
후야오방은 덩샤오핑의 중국 공산당 개혁 개방 정책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오쩌둥 시기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출신으로, 덩샤오핑의 후계 세력으로 여겨져 최고 지도부에 발탁되었다. 문화대혁명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명예 회복에 앞장섰으며, 초기 경제 개혁과 상품 경제 개발에도 참여했다.[37]
하지만 덩샤오핑과 달리 민주적인 개혁을 지지하고, 학생 시위와 같은 대중의 정치적 요구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성향은 1987년 실각으로 이어졌고, 그의 죽음은 1989년 톈안먼 사건의 도화선이 되었다.
실각 이후, 그의 업적은 중국 내에서 공개적으로 논의되기 어려웠다. 전기 출판이 검열되거나, 기념 기사를 실은 잡지가 폐기되는 등 그의 이름은 한동안 금기시되었다.[37] 그러나 2005년 이후 분위기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개혁 성향 잡지 ''염황춘추''에서 기념 기사가 게재되었고, 2010년 원자바오 총리가 ''인민일보''에 추모 글을 기고했다.[38] 원자바오는 후야오방을 '스승'으로 존경하며 헌신적인 태도와 개방적인 인격을 칭송했다.[39]
2015년 시진핑 주석이 후야오방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업적을 기리는 연설을 했다. 시진핑은 후야오방을 "당과 인민에게 헌신한 영웅"으로 칭송하며 공헌이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40]
이처럼 후야오방은 개혁개방과 민주주의를 추구했던 지도자로서, 그의 실각과 죽음은 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의 정책과 사상은 현재 중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 논의에서 그의 이름이 자주 언급된다.
1986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을 때, 전두환 대통령이 제안했던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국교 수립, 1988년 서울 올림픽 등 스포츠 교류, LT 무역 사무소 및 통상 대표부 설치에 대해 논의했다. 나카소네 총리는 일본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동맹국인 북한과 무역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52][53][54] 같은 해 9월,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참가했다. 후야오방은 한국의 대중국 자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중일 무역이나 중한 국교 정상화 제안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54]
5. 1. 공식적인 평가
후야오방은 사망 당시 반(半) 은퇴 상태였고, "실수"로 인해 실질적인 권력에서 물러난 상태였지만, 여론의 압박으로 중국 정부는 당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국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장례식에서 그의 업적을 칭송했으며, 조문객들의 줄은 길게 이어져 중국 지도자들을 놀라게 했다.[30] 그의 장례식 직후, 베이징 학생들은 정부에 그의 "사임"을 초래한 판결을 공식적으로 번복하고, 더 성대한 공개 장례식을 제공해 달라고 청원하기 시작했다.[28]1989년 4월 22일, 5만 명의 학생들이 천안문 광장으로 행진하여 리펑 총리에게 청원서를 전달했다.[31] 많은 사람들이 당의 느린 대응과 비교적 조용한 장례 절차에 불만을 품고 공개적인 애도를 시작했다. 이 애도는 인민 영웅 기념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정부 부패, 후야오방의 부당한 해임, 그리고 덩샤오핑과 같은 "원로"들의 배후 역할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공공의 통로가 되었다.[30] 이 시위는 결국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확대되었다.[30] 후야오방이 언론의 자유와 출판의 자유에 대한 생각을 장려한 것은 시위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중국 정부는 후야오방과 그의 유산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가 정치 개혁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여, 그를 언급하는 데 신중을 기하고 있다.[34]
후진타오는 2005년 후야오방의 재평가 계획을 발표하고, 그의 90주년 생일인 11월 20일에 맞춰 기념행사를 기획했다. 베이징, 후난성, 지우장시에서 기념식이 열릴 예정이었으며, 이는 개혁 성향 동료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후진타오의 정치적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되었다.
2005년 11월 18일, 공산당은 인민대회당에서 후야오방의 90주년 생일을 공식적으로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36] 원자바오 총리, 쩡칭훙 부주석 등 약 350명이 참석했으며,[36] 쩡칭훙은 후야오방의 장점, 특히 그의 솔직함과 중국 국민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36]
2010년 4월, 원자바오 총리는 ''인민일보''에 "싱이로 돌아와 후야오방을 회상하며"라는 기사를 썼다.[38] 이 기사에서 원자바오는 후야오방의 "대중의 고통에 완전히 헌신하는 탁월한 업무 스타일"과 "고결한 도덕성과 개방적인 인격"을 칭찬했다.[39]
2015년 11월 20일, 후야오방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시진핑은 베이징에서 대규모 기념 행사를 열었다.[40]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모든 위원이 참석했으며, 시진핑은 후야오방을 "위대한 혁명가이자 정치가"라고 칭송했다.[44] 하지만, 시진핑의 연설에서는 민주화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다.[44]
5. 2. 한국과의 관계
1986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을 때, 대한민국의 전두환 대통령이 제안했던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국교 수립, 1988년 서울 올림픽 등 스포츠 교류, LT 무역 사무소 및 통상 대표부 설치에 대해 논의했다. 나카소네 총리는 일본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동맹국인 북한과 무역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52][53][54]같은 해 9월,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참가했다. 후야오방은 한국의 대중국 자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중일 무역이나 중한 국교 정상화 제안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54]
5. 3. 대중적 인식과 영향
후야오방은 덩샤오핑의 중국 공산당 개혁 개방 정책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오쩌둥 시기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잡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출신으로, 덩샤오핑의 후계 세력으로 여겨져 최고 지도부에 발탁되었다. 또한, 문화대혁명 등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명예 회복에 앞장섰으며, 초기 경제 개혁과 상품 경제 개발에도 참여했다.[37]하지만 후야오방은 덩샤오핑과 달리 민주적인 개혁을 지지하고, 학생 시위와 같은 대중의 정치적 요구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그의 성향은 결국 1987년 실각으로 이어졌고, 그의 죽음은 1989년 톈안먼 사건의 도화선이 되었다.
후야오방의 실각 이후, 그의 업적은 중국 내에서 공개적으로 논의되기 어려웠다. 그의 전기 출판이 검열되거나, 기념 기사를 실은 잡지가 폐기되는 등 그의 이름은 한동안 금기시되었다.[37]
그러나 2005년 이후 분위기가 점차 변화하기 시작했다. 개혁 성향의 잡지인 ''염황춘추''에서 후야오방 기념 기사가 게재되었고, 2010년에는 원자바오 총리가 ''인민일보''에 그를 추모하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38] 원자바오는 후야오방을 '스승'으로 존경하며 그의 헌신적인 태도와 개방적인 인격을 칭송했다.[39]
2015년에는 시진핑 주석이 후야오방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는 연설을 했다. 시진핑은 후야오방을 "당과 인민에게 헌신한 영웅"으로 칭송하며 그의 공헌이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40]
이처럼 후야오방은 개혁개방과 민주주의를 추구했던 지도자로서, 그의 실각과 죽음은 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의 정책과 사상은 현재 중국 사회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언론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에서 그의 이름이 자주 언급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Gladney
[2]
웹사이트
回忆父亲胡耀邦(十)
https://web.archive.[...]
2015-07-23
[3]
문서
Lee
[4]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5]
문서
Kristof
[6]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7]
문서
Kristof
[8]
웹사이트
Hu Yaobang | Chinese political lead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4
[9]
문서
Lee
[10]
문서
Lee
[11]
서적
Land wars : the story of China's agrar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2]
문서
Lee
[13]
문서
People's Daily
[14]
문서
Forney
[15]
문서
Wu
[16]
문서
Becker
[17]
문서
The Australian
[18]
서적
Living U.S.-China Relations: From Cold War to Cold War
Rowman & Littlefield
2024
[19]
문서
Bass
[20]
문서
Bass
[21]
문서
Lee
[22]
문서
Kristof
[23]
문서
Lee
[24]
문서
Lee
[25]
문서
Lee
[26]
논문
The Impact of the June 4th Massacre on the pro-Democracy Movement
2009-06-01
[27]
웹사이트
Hu Yaobang is Seen as 'More of a Reformer Than Deng Xiaoping,' Says Hu Biographer.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21-03-01
[28]
문서
Lee
[29]
문서
Vogel
[30]
문서
Brook
[31]
문서
Tilly
[32]
문서
Lee
[33]
문서
Lee
[34]
문서
Pan
[35]
문서
Nathan & Gilley
[36]
간행물
Xinhua
[37]
문서
Fan 1
[38]
문서
Wen
[39]
문서
Lam
[40]
뉴스
习近平纪念胡耀邦诞辰100周年讲话(全文)
http://news.dwnews.c[...]
Duowei
2015-11-20
[41]
뉴스
罗马尼亚授予胡耀邦勋章
People's Daily
1985-11-22
[42]
서적
who's who
2013
[43]
문서
1982年の総書記制導入以降。陳独秀を初代総書記とした場合は第5代となる。
[44]
뉴스
生誕100年 習主席『偉大な革命家』胡耀邦氏を再評価 民主化問題触れず
朝日新聞
2015-11-21
[45]
서적
田畑
1995
[46]
서적
毛利
2006
[47]
뉴스
中国には意味のあった訪日・チベット対話
http://www.nikkeibp.[...]
日経BP
2017-05-07
[48]
서적
毛利
2006
[49]
간행물
正論
平成13年9月
[50]
서적
毛利
2006
[51]
뉴스
中国 日本の自衛力増強に理解 83年の首脳会談で
http://www3.nhk.or.j[...]
NHK
2017-01-15
[52]
뉴스
全斗煥元大統領、訪日前に日本に圧力…天皇、初めて過去の歴史に遺憾表明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9-10-06
[53]
뉴스
中曽根氏、中韓を仲介 外交文書で判明「希望伝えて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12-27
[54]
뉴스
日朝貿易へ「用意ある」 中曽根首相、中国に提起 韓国の国交樹立要望伝達 86年会談、外交文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2-20
[55]
뉴스
【外交文書公開】胡耀邦総書記「長老引退を」 中国、鄧小平氏と人事で温度差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11-29
[56]
서적
前田
2014
[57]
서적
田畑
1995
[58]
서적
稲垣
2015
[59]
서적
稲垣
2015
[60]
뉴스
産経新聞 2010年4月16日付記事
産経新聞
2010-04-16
[61]
서적
稲垣
2015
[62]
서적
稲垣
2015
[63]
뉴스
中国国営テレビ趙氏の写真外す 胡耀邦氏生誕100年番組
朝日新聞
2015-11-24
[64]
웹사이트
https://news.yahoo.c[...]
[65]
웹인용
전 중국 당 총서기 호요방 사망[이현규]
https://imnews.imbc.[...]
198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