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립국 감독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한국 전쟁 정전 협정의 감시 및 중립 유지를 위해 설치된 국제 기구이다. 1953년 설립되어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4개국 대표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전 감시, 군사 인원 출입 보고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활동이 축소되었으며, 1990년대 북한의 체코, 폴란드 대표단 추방으로 기능이 약화되었다. 현재는 스웨덴과 스위스 대표단이 판문점에 주재하며 남북 간의 관계를 유지하고, 대화 채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스웨덴 관계 - 주한 스웨덴 대사관
    주한 스웨덴 대사관은 대한민국 주재 스웨덴 외교 공관이며, 대한민국 정부와의 외교, 자국민 보호, 사증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스웨덴 관계 - 주스웨덴 대한민국 대사관
    주스웨덴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정부가 스웨덴에 파견하는 외교 공관이다.
  • 대한민국-스위스 관계 - 주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주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은 스위스 전 지역과 리히텐슈타인을 관할하며, 1963년 2월 11일에 설립되어 스위스와의 외교 및 협력 증진, 스위스 주재 한국인 보호를 위해 정무, 경제, 통상, 문화, 홍보, 영사 업무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스위스 관계 -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는 대한민국 정부가 제네바에 소재한 국제기구 및 유엔과의 협력을 위해 1959년 설치한 외교 공관으로, 국제 평화 및 안보 유지, 인권 증진, 개발 원조, 기후 변화 대응 등의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있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한반도 군사 분계선
    한반도 군사 분계선은 한국 전쟁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남북한 간 육상 경계선으로, 비무장지대(DMZ)와 함께 분단과 냉전 시대 갈등을 상징하며 평화 구축 노력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 - 도라전망대
    도라전망대는 서부전선 최북단에 위치하여 비무장 지대를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개성특별시, 송악산 등을 볼 수 있으며, 1998년부터 1999년까지 건립되어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중립국 감독 위원회 깃발
중립국 감독 위원회 깃발
약칭NNSC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한국어 명칭중립국 감독 위원회 (Jungnipguk Gamdok Wiwonhoe)
조직
창설일1953년 7월 27일
국가스위스
스웨덴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임무한국 전쟁 휴전 협정 이행 감시
병력10명 (2016년)
위치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소속유엔군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제휴 기관주한 미군
대한민국 국방부
활동 인원스웨덴, 스위스: 5명, 폴란드: 2명
웹사이트NNSC
활동
주요 활동조선 전쟁 휴전 협정 이행의 감시

2. 역사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을 위한 군부대 이동을 정전 위원회에 보고하는 역할은 맡았다.[1]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1] 1956년 6월 각 14명이던 대표단은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고, 공동경비구역 내 사무실과 회의장 크기도 조정되었다.[1] 북측은 소련 해체와 중앙유럽 공산주의 약화의 영향으로 1993년 체코 대표단,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했다.[1]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

중립국 감독위원회 구성원들은 자국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1]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 인접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있었다.[1] 2006년 이후 캠프 보니파스는 폐쇄 및 반환되었다.[1]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는 조선인민군이 차지하고 있다.[1]

스웨덴과 스위스 출신 중립국 감독위원회 대표단의 유니폼 패치

2. 1. 설립 배경 (1953년)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을 위한 군부대 이동을 정전 위원회에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다.[1]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1] 1956년 6월 각 14명이던 대표단은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고, 공동경비구역 내 사무실과 회의장 크기도 조정되었다.[1] 북측은 소련 해체와 중앙유럽 공산주의 약화의 영향으로 1993년 체코 대표단,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했다.[1]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

중립국 감독위원회 구성원들은 자국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1]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 인접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있었다.[1] 2006년 이후 캠프 보니파스는 폐쇄 및 반환되었다.[1]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는 조선인민군이 차지하고 있다.[1]

2. 2. 초기 활동 (1953년 ~ 1957년)

1953년 8월 1일, 중립국 감독위원회(NNSC)의 첫 번째 회의가 열렸다.[4]

1954년에는 대한민국 측에서 NNSC의 사찰에 대해 적대감을 보였고, 유엔군 사령부(UNC), 스위스, 스웨덴 측에서는 사찰의 균형적인 적용에 대해 의구심을 품었다. 7월 31일, 대한민국 군대가 NNSC가 대한민국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한 후,[3] 시위대가 인천 NNSC 캠프에 진입하려 했지만, 미군 경비대에 의해 저지되었다.[4][5] NNSC 내부 논의와 군사 정전 위원회의 합의를 거쳐 사찰 팀의 규모는 약 절반으로 축소되었다.[6]

1955년 3월, 대한민국 국회는 NNSC 사찰 팀을 대한민국에서 추방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4] 5월, 미국은 NNSC에 그들의 활동이 UNC 군대에 심각한 불이익을 주고 있으며, "UNC는 앞으로 정전 협정 제13조 (d)항을 무효로 간주할 것을 제안한다"는 입장을 전달하기로 결정했다.[4] 8월,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은 NNSC 위원들의 대한민국 철수를 요구했으며, 철도 노동자 1,200명과 대한민국 참전용사 300명이 월미도 NNSC 구역을 습격하려 했지만, 수백 명의 미군이 최루탄을 사용하여 저지했다. NNSC 사찰 팀에 대한 시위는 9월과 10월까지 계속되었다.[4]

1956년 5월 31일, UNC는 NNSC가 사찰을 회피하는 북한이 재무장하고 있다고 믿었기에, NNSC 고정 사찰 팀의 대한민국 항구에서의 철수를 요구했다. 이는 군사 정전 위원회에서 북한 측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1956년 6월 9일에 시행되었다. 이어서, 북한에 있던 NNSC 사찰 팀은 며칠 안에 철수했다. 이 시점부터 NNSC의 활동은 양측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제한되었으며, 인원 수준도 축소되었다.[6]

1957년 6월 21일 군사 정전 위원회 회의에서, 미국은 북한 대표에게 UNC가 더 이상 한국에 신무기 도입을 막는 정전 협정 제13조 (d)항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통보했으며, 이 조항의 시행은 NNSC의 주요 임무였다.[7][8] 1958년 1월, 미국의 핵무기 탑재 Honest John 미사일과 280mm 원자포가 대한민국에 배치되었고,[9] 1년 후에는 중국과 소련까지 사정거리에 닿는 핵무기 탑재 Matador 순항 미사일이 추가되었다.[10][11]

2. 3. 활동 축소 (1958년 ~ 1995년)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을 중단했지만, 전쟁 당사자들의 군사 인원 출입에 대한 보고서를 UNCMAC에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했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규모는 점차 줄어들었다. 1956년 6월 9일에는 각 14명, 1960년에는 각 9명, 1978년에는 각 6명으로 감소했다.[6] 공동경비구역(JSA) 내에는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사무실과 회의실이 있다.

1976년 NNSC 캠프 입구


JSA 지도, NNSC 건물 및 스웨덴 및 스위스 NNSC 캠프 입구인 CP# 5 위치 표시


스웨덴 및 스위스 구성원과 그 직원을 위한 캠프는 JSA에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에 위치해 있다. 군사 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의 북측에 인접해 있던 이전 폴란드 및 체코 캠프는 북한군에 의해 인수되어 현재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989년 혁명 이후 체코슬로바키아가 NATO에 가입하고,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체코(Czech Republic)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북한은 중립국 감독위원회가 중립성을 상실했다고 판단하고 붕괴되었다고 간주했다.[12] 북한은 1993년에 체코 구성원을, 1995년에 폴란드 구성원을 추방했다.[13][14]

1995년 이후 북한은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14][16] 스웨덴과 스위스 대표단은 한국군 병력 이동에 대한 보고서를 계속 북한에 제출하지만 무시당하고 있다.[15][16] 폴란드는 중립국 감독위원회 회의에 계속 참석하고 있지만, 더 이상 북한의 병력 이동을 감시할 수 없다.[17]

NNSC의 역사가(Historian)는 이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2. 4. 북한의 대표단 철수 요구 (1993년 ~ 1995년)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에 대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을 위한 군부대 이동을 정전 위원회에 보고하는 역할은 맡았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 1956년 6월 각 14명이던 대표단 규모는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고, 공동경비구역 내 사무실과 회의장 크기도 조정되었다. 북측은 소련 해체와 중앙유럽 공산주의 약화에 영향을 받아, 1993년 체코 대표단,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했다.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는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3. 현재 상황 (1995년 ~ 현재)

1993년 체코 대표단과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이 북한에 의해 추방된 이후,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역할은 축소되었다.[36]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는 자국 영토 내에서만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스웨덴스위스 대표단은 판문점에 주재하며 중립국 감독위원회 업무를 보고 있다. 이들의 주요 목적은 군사분계선의 존재를 통해 정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19] 폴란드 대표단은 1995년 이후 연 2회씩 대한민국의 협조를 얻어 서울과 판문점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36]



2008년 이후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주요 역할은 양측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소통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다. 스웨덴 대표단은 현재 임무를 휴전 메커니즘의 유효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유엔군 사령부(UNC)와는 지속적으로 연락하지만 북한과는 연락이 없다고 밝혔다.[21]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대한민국 내 병력 수준을 감시하고, 미국과 대한민국의 연례 군사 훈련을 감시한다. 북한 사람이 대한민국에 들어올 때, 중립국 감독위원회 위원들은 이들이 송환을 원하는지, 아니면 귀순을 원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인터뷰를 할 수 있다. 때때로 해상 충돌 시 대한민국 측의 행동과 같은 유엔군 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조사에 참여하기도 한다.[15]

폴란드는 연 2회 위원회 회의에 대표를 계속 파견하고 있다.[22] 2014년에는 중립국 감독위원회 회의실 문을 북한 영토 쪽으로 여는 관행이 북한의 지적으로 중단되었다.[22]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연간 비용은 약 400만달러이다.[15] 2023년 공동경비구역 내 중립국 감독위원회 건물은 개조되었으며, 1950년대에 지어진 일부 목조 건물이 철거되었다.[23] 중립국 감독위원회 70주년 기념 회의는 2023년 6월 20일 바르샤바에서 스웨덴, 스위스, 폴란드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24]

4. 각국 대표단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 도발을 위한 군부대 이동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았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 1956년 6월 각 14명, 1960년 9명, 1978년 6명으로 대표단 규모가 줄었고, 공동경비구역 내 사무실과 회의장 크기도 조정되었다.

소련 해체와 중앙유럽 공산주의 약화의 영향으로 북측은 1993년 체코 대표단을, 1995년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했다.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 구성원들은 자국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와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있었다. 2006년 캠프 보니파스가 폐쇄 및 반환되었다.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는 조선인민군이 차지하고 있다.

최근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양측 관계 구축을 위한 대화 창구 유지 역할을 한다. 현재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은 판문점에 주재하며 위원회 업무를 보고 있다. 이들의 중요 목적은 군사분계선 존재를 드러내어, 지속적인 정전 상태를 알리는 것이다. 폴란드 대표단은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추방 이후 연 2회 대한민국 협조를 얻어 서울판문점에서 열리는 위원회 회의에 참석한다.[36]

스위스 중립국감독위원회 대표단 규모
연도직원 수[25][16]
195396
195614
19609
19786
19945


4. 1. 스위스

1953년 8월 1일, 96명으로 구성된 첫 번째 스위스 중립국 감독위원회 대표단이 대한민국에 도착했으며,[25][26] ''성조지'' 보도에 따르면 몇 달 안에 약 150명으로 증가하여 감시를 지원했다.[15] 사찰팀이 해산된 후 대표단은 14명으로 축소되었다. 그 후 수년에 걸쳐 대표단은 현재 규모인 5명으로 순차적으로 축소되었다. 현재 국방부 또는 외교부에서 선발된 대표단장은 3~5년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4명의 예비역 장교가 1~2년의 임무를 지원한다.[25]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에 대한 감독은 그만두었지만,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군부대가 움직이고 나가는 것에 대한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스위스 대표단이 갖고 있던 힘은 점차 줄어, 1956년 6월 14명,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으며, 공동경비구역안의 사무실과 회의장의 크기도 조정되었다.

스위스 중립국 감독위원회 대표, 장자크 조스 소장과 주한 미군 사령관 제임스 D. 서먼 대장이 정전 58주년 기념 행사에서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스위스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와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현재 스위스 대표단은 판문점에 주재하며 중립국 감독위원회 업무를 보고 있다. 그들의 중요 목적은 군사분계선의 존재를 드러내어, 아직도 지속적인 정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4. 2. 폴란드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을 일으키기 위한 군부대의 이동을 정전 위원회에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 1995년에는 북한폴란드 대표단을 추방했다.[36]

1995년 이후, 중립국 감독위원회에 파견된 폴란드 대표단은 대한민국 측에서 접근 가능한 비무장 지대에서 활동한다.[33] 폴란드 대표단은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추방된 이래 연 2회씩 대한민국 측의 협조를 얻어 서울판문점에서 열리는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36]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유럽의 정치적 변화는 북한 당국이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성격 변화를 모색하게 했다. 평양은 1989년 이후의 정치적 변화로 폴란드가 중립국 지위를 상실했다고 판단하여, 폴란드 대표단을 NNSC에서 철수시키라는 압력을 가했다. 1994년 11월, 북한 외무성은 폴란드에 보낸 공식 서한에서 "정전 협정 제37조에 따라 폴란드를 중립국 감독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한 것의 법적 효력은 만료되었다"고 발표했다.[32] 결국 폴란드는 1995년 북한 측 NNSC 캠프를 떠나야 했다. 그러나 폴란드는 체코와 달리 중립국 감독위원회에 남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정전 협정 조항과 바르샤바가 약속한 국제적 의무 때문이었다. 폴란드의 참여 없이는 NNSC가 목적을 잃게 될 것이었다.[33]

4. 3. 체코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 감독은 중단했지만, 전쟁 도발을 위한 군부대 이동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았다.[27]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의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27] 1956년 6월 각 14명, 1960년 9명, 1978년 6명으로 대표단 규모가 줄었고, 공동경비구역 내 사무실과 회의장 크기도 조정되었다.[27] 1993년 소련 해체와 중앙유럽 공산주의 약화의 영향으로 북측은 체코 대표단을 추방했다.[27]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27]

과거 체코슬로바키아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있었으나, 현재는 조선인민군이 차지하고 있다.[27] 1953년 7월과 8월, 300명 이상의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이 기차와 비행기로 판문점에 도착했다.[27] 중립국 감독위원회(NNSC) 창설 초기 4년 동안 약 500~600명의 체코슬로바키아인이 참여했다.[27] 초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의 이야기는 "휴전 이후 한반도 - 중립국 감독 위원회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의 시각"이라는 책에 수록되어 있다.[27] 이 책에는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이 촬영한 250장 이상의 사진과 홍승주, 야로슬라프 올사 주니어, 가브리엘 욘손, 알렉스 슈밤베르크가 작성한 NNSC 초기 역사에 관한 4개의 글이 담겨 있다.[27] 사진 샘플은 코리아 타임스 등 한국 및 체코 언론에 게재되었다.[28] 체코슬로바키아-북한 관계의 역사와 NNSC의 시작을 다룬 책의 서문은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29]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 규모는 상당히 축소되었다.[27] 체코슬로바키아의 평화로운 분리 후, 체코가 NNSC 회원 자격을 승계하기로 합의했다.[27] 1993년 4월, 체코 대표단은 북한의 위협으로 판문점 캠프를 떠나야 했고, 이후 NNSC 회의에 참여하지 않았다.[27]

2013년, 한국 전쟁 정전 협정 조인 60주년을 기념하여 주대한민국 체코 대사관은 NNSC에 참여한 체코슬로바키아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30]

5. 대중문화 속 중립국 감독위원회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에서 이영애가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감시관 역을 맡았으며, 이 영화는 2000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로 스위스 육군 중립국 감독위원회 대표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1][2]

참조

[1] 문서 Korean Armistice Agreement
[2] 웹사이트 Misja Polska do Komisji Nadzorczej Państw Neutralnych https://ine.org.pl/m[...]
[3] 학위논문 The United States - Republic of Korea security relationship, 1953-1960: great power and small state http://discovery.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7-04-09
[4] 보고서 Post-Armistice Korean Service Review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 2005-12
[5] 뉴스 'Consensus, policy consistency integral for reunification' http://www.koreahera[...] 2013-07-21
[6] 보고서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in Korea http://oldsite.nauti[...] U.S.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Agency 1970-08
[7] 뉴스 KOREA: The End of 13D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57-07-01
[8] 뉴스 Statement of U.S. Policy toward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Office of the Historian 1957-08-09
[9] 뉴스 News in Brief: Atomic Weapons to Korea https://www.youtube.[...] Universal International Newsreel 1958-02-06
[10] 서적 War and state terroris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Asia-Pacific in the long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1] 뉴스 'Detailed Report' Says US 'Ruptured' Denuclearization Process http://www.fas.org/n[...]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3-05-12
[12] 보고서 Detailed report by the Panmunjom Mission of the Korean People's Army http://www.securityc[...]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08-08-12
[13] 뉴스 Polish Observers Leave North Korea Via Beijing https://apnews.com/5[...] 1995-03-09
[14] 서적 Asi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1995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5] 뉴스 Uncollected paperwork a sign of DMZ battle of wills http://www.stripes.c[...] 2010-02-03
[16] 뉴스 Cow bells in the DMZ: Swiss, Swedish generals uphold Korean truce their way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4-01
[17] 뉴스 Poland promises to continue armistice monitoring mission http://english.yonha[...] 2013-07-27
[18]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Welcomes Swedish Senior Member of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http://www.navy.mil/[...] U.S. Navy 2012-08-29
[19] 웹사이트 NNSC https://www.vtg.admi[...] 2023-11-15
[20] 웹사이트 NNSC (Korea) http://www.vtg.admin[...] Swiss Armed Forces
[21] 웹사이트 Korea – NNSC http://www.forsvarsm[...] Swedish Armed Forces
[22] 뉴스 At the DMZ, Swiss and Swedish soldiers keep 'peace' watch https://www.koreatim[...] 2015-02-09
[23] 뉴스 Historic buildings razed in major renovation project at inter-Korean border https://www.nknews.o[...] NK News 2023-04-06
[24] 웹사이트 2023 Joint Statement by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Member States https://www.governme[...] 2023-06-20
[25] 웹사이트 NNSC in Korea http://www.vtg.admin[...] Swiss Armed Forces
[26] 뉴스 Man on a Korean mission http://www.swissinfo[...] 2013-07-26
[27] 서적 Seoul Museum of History
[28] 뉴스 Images shed light on work of Czechoslovakia https://koreatimes.c[...] 2013-07-26
[29] 웹사이트 http://www.mzv.cz/pu[...] 2022-03
[30] 웹사이트 SEOUL – Czech activities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http://www.mzv.cz/se[...] Czech Embassy Seoul
[31] 간행물 Misja polska w Komisji Nadzorczej Państw Neutralnych w Korei : geneza – struktura – funkcje
[32] 간행물 Peace-keeping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ole of Commissions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33] 웹사이트 Misja Polska do Komisji Nadzorczej Państw Neutralnych https://ine.org.pl/m[...] Institute of New Europe
[34] 웹사이트 スイス軍、南北朝鮮の間で60年 https://www.swissinf[...] スイス放送協会 2013-07-26
[35] 웹사이트 アングル:非武装地帯のカウベル、朝鮮「休戦監視」の最前線 https://jp.reuters.c[...] 2016-04-03
[36] 웹사이트 Misja Polska do Komisji Nadzorczej Państw Neutralnych https://ine.org.p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