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구전후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전후도는 1834년 최한기가 간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목판본 세계 지도이다. 장정부의 《지구도》를 모방하여 제작되었으며,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전도와 후도로 구성된 소형 절첩장 형식이며, 양각과 음각을 활용하여 육지와 해양을 구분하는 특징을 갖는다. 19세기 조선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중화주의에서 벗어나 사실적인 세계 인식을 반영하며, 서양 지도를 수용하면서도 동양적 지식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세계 지도 - TO 지도
    T-O 지도는 이시도르의 『어원』에 나오는 세계 지도로, T자 모양의 육지와 O자 모양의 대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중해, 나일 강, 돈 강을 경계로 세 대륙을 표현하고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아시아가 상단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옛 세계 지도 - 곤여만국전도
    곤여만국전도는 마테오 리치가 1602년 제작한 중국 중심 세계관과 서양 지리학 지식을 반영한 계란형 세계지도로,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고, '일본해' 명칭의 최초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판은 보물로 지정되어 역사적·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 한국의 고지도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1402년 조선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로, 이택민의 『성교광피도』, 청준의 『혼일강리도』, 조선과 일본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의 정치적 위상과 세계 지리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며, 아프리카, 유럽, 중동 지역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한반도 및 일본 묘사에서 조선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지구전후도
지구전후도
지구전후도
지구전후도
정보
종류지도
언어한문
제작 시기1834년 이후
제작 장소조선
소장미국 의회도서관
설명
내용지구의 전면과 후면을 그린 세계지도

2. 유래와 소장 현황

1800년 청나라의 莊廷敷|장정부중국어가 제작한 지도를 바탕으로, 1834년(순조 34년) 최한기가 《지구전후도》를 간행하였다.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원본),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첩자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필름)에 소장되어 있다.[1]

3. 제작

《지구전후도》는 한국인이 간행한 근대식 목판본 세계지도이다. 지도 하단에 '도광갑오맹추태연재중간(道光甲午孟秋泰然齋重刊)' 등의 간기가 있어, 한때 '태연재'가 김정호의 당호로 알려져 김정호 제작설이 제기되기도 했다.[2] 그러나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따르면, 최한기가 제작하고 김정호가 판각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김정호와 최한기가 같이 제작했다고 봐야 한다. 그리고 장정부의 〈지구도〉를 모방하여 제작하였으나 양각과 음각을 바꾸어 제작하였다.

4. 특징

地球前後圖중국어는 가로 42cm, 세로 88cm 크기의 소형 절첩장 형식의 지도이다. 전도와 후도, 두 개의 반구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반구도는 지름 37.0cm, 세로 37.5cm의 균일한 크기이다. 경위도는 각각 10도 단위로 그려져 있다.[3] 다른 세계 지도들이 8첩 병풍 형태의 큰 지도인 것에 비하면 地球前後圖중국어는 매우 작은 지도이다.

4. 1. 세부 사항과 형태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곤여전도처럼 양반구형 세계지도의 형태를 띤다. 기본적으로 지구전도에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가 그려져 있고 지구후도에는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가 그려져 있다. 하지만 곤여전도에 비해 일본동남아시아 일대가 전혀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 지역이 현재 우리가 아는 것과 달리 섬 모양으로 그려져 있고 남극의 존재를 인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 양반구도 모두 10도 간격으로 경위도를 구현했고,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극선, 남북회귀선이 그려져 있다. 양반구도의 남북회귀선을 가로지르는 황도 위에는 24절기가 새겨져 있으며 각 반구의 테두리에는 지대별 주야 시간의 차이가 눈금과 수치로 표시되어 있다.[1] 곤여전도의 경우 양반구를 동서로 나누고 서반구를 동반구 앞에 놓은 반면 <지구전후도>는 양반구를 전후로 하여 전도를 동반구, 후도를 서반구로 위치해 놓았다.[1] 이 지도의 가장 큰 특색은 육지의 나라 이름, 지명, 주기는 양각되어 있고, 해면의 나라, 지명 등은 음각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대주는 흰색(혹은 회색)으로 표현되어 있고 대양은 검게 되어 있다.[1][2]

4. 2. 세계관

地球前後圖중국어는 중화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세계를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인식하려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노력을 보여준다. 19세기 전반의 조선 실학자들은 중국 사회에서 크게 인정받지 못하던 장정부의 지구설 및 세계 지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는 1834년 최한기의 地球前後圖중국어를 통해 표면화되었다.[1]

5. 의의

《지구전후도》는 한국 최초로 판각된 세계지도이다.[4] 서양 지도의 단순한 모방을 넘어 서양 지도를 수용하면서도 동양적 지식의 흔적이 남아있는 독창적인 지도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는 고왜인국, 소함물리오귀(蘇喊勿里烏鬼), 공악오귀국(工鄂烏鬼國), 오귀갑(烏鬼岬), 오귀국(烏鬼國) 등이 표시되어 있고, 남아메리카에는 지리모인국 등이 기록되어 있어 산해경 등에서 나오는 전설적인 기록이 더해져 있다.

이러한 동양적 세계관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구전후도》를 통해 당시 조선인들이 세계를 얼마나 깊이 있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이 지도가 판각된 이후로 더 이상 중화주의는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중국이나 조선이나 모두 이 세계의 일부라는 인식이 조선의 지식인 사이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지구전후도 http://kyujanggak.sn[...]
[2] 서적 한국 고지도 발달사 혜안
[3] 서적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 효형 출판사
[4] 간행물 고산자 김정호 기념사업 연구보고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