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403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403호선은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양구군을 경유하는 지방도로, 2000년대 초부터 도로 확충 및 선형 개량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2021년에는 춘천시 신매교차로 ~ 춘천역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으로 승격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홍천군 서면, 춘천시 남면, 남산면, 서면, 신사우동, 신북읍, 사북면, 화천군 하남면, 간동면, 양구군 양구읍 등이 있으며, 국도 제4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407호선, 지방도 제461호선과 중복되는 구간이 있다. 도로명으로는 모곡로, 충효로, 소주고개로, 경춘로, 박사로, 신샘밭로, 영서로, 지내고탄로, 춘화로, 용화산로, 파로호로, 간척월명로, 박수근로 등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구군의 교통 -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6호선은 인천광역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인천~속초선으로 지정된 후 1981년 종점 연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주요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후 노선 변경이 예정되어 있다. - 양구군의 교통 -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양구시외버스터미널은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에 위치하며 강원고속과 금강고속이 주요 노선을 운행, 강원권, 수도권, 충청권 방면과 양구군 내 각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터미널이다. - 화천군의 교통 -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6호선은 인천광역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인천~속초선으로 지정된 후 1981년 종점 연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주요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향후 노선 변경이 예정되어 있다. - 화천군의 교통 - 영서로
영서로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홍천군, 춘천시, 화천군, 철원군을 연결하는 도로로, 부분적인 개통과 확장을 거쳐 2009년 8월 7일에 2개 이상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주요 시설 및 건물이 이 도로를 따라 위치한다. - 홍천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홍천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지방도 제403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강원특별자치도 지방도 |
![]() | |
노선명 | 홍천 ~ 양구선 |
노선 번호명 | 지방도 제403호선 |
총연장 | 98.465km |
기점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
주요 경유지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
종점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
주요 교차 도로 | 서울양양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지방도 제407호선 지방도 제461호선 지방도 제494호선 |
2. 역사
- 2012년 7월 2일 : 화천군 간동면 오음리 ~ 방천리 구간 5.514km 개통
2. 1. 2000년대
- 2000년 10월 17일: 춘천시 사북면 고성리~동리 130m 구간 확·포장 공사 (2001년 5월 30일까지)[2]
- 2002년 3월 30일: 모곡~발산간 도로 확포장공사에 의해 홍천군 서면 모곡리~춘천시 남면 발산리 7.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2002년 11월 9일: 선형개량공사로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 1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2003년 2월 15일: 노선 폐지 및 재지정[5]
- 2003년 7월 12일: 춘천시 사북면 고성리 500m 구간 포장공사 도로구역 변경
- 2004년 11월 30일: 충의대교 개통으로 춘천시와 홍천군 구간 연결[6]
- 2009년 8월 10일: 홍천군 서면 모곡리~춘천시 남면 발산리 7.1km 구간 개통, 기존 비포장 구간인 홍천군 서면 모곡리~마곡리 6.8km 폐지.[7]
2. 2. 2010년대
2010년대한국어에는 춘천시 지역의 도로망 확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2011년 12월 13일: 강촌 나들목에서 강촌 및 춘천 시내로 진입하는 구간인 소주터널이 개통되었다.[8]
- 2015년 12월 11일: 창촌 ~ 발산간 도로(춘천시 남산면 창촌리 ~ 남면 발산리) 4.65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3.35km 구간은 폐지되었다.[9]
- 2017년 12월 26일: 강촌 ~ 창촌간 도로(춘천시 서면 당림리 강촌 교차로 ~ 남산면 방곡리 방곡 교차로) 2.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2.3km 구간은 폐지되었다.[10]
- 2018년 12월 31일: 지내 ~ 고성간 도로 및 새밑터널(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 사북면 고성리) 3.3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새밑고개(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 사북면 고탄리) 4.39km 구간은 폐지되었다.[11]
- 2019년 10월 29일: 월명터널(양구군 양구읍 월명리 ~ 공수리) 2.0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공수령 2.0km 구간 폐지[12]
- 2019년 12월 31일: 강촌 ~ 창촌간 도로(춘천시 남산면 방곡리 방곡 교차로 ~ 창촌리 창촌3 교차로) 3.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3]
2. 3. 2020년대
2017년 12월 26일, 강촌 교차로에서 방곡 교차로까지 2.1km 구간의 강촌 ~ 창촌간 도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어 개통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2.3km 구간은 폐지되었다.[10]2018년 12월 31일, 지내 ~ 고성간 도로 및 새밑터널(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 사북면 고성리) 3.3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기존 새밑고개(춘천시 신북읍 지내리 ~ 사북면 고탄리) 4.39km 구간은 폐지되었다.[11]
2019년 10월 29일, 월명터널(양구군 양구읍 월명리 ~ 공수리) 2.0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면서, 기존 공수령 2.0km 구간은 폐지되었다.[12] 2019년 12월 31일에는 방곡 교차로에서 창촌3 교차로까지 3.2km 구간의 강촌 ~ 창촌간 도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어 개통되었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13]
2021년 5월 7일, 신매교차로 ~ 춘천역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으로 승격되었다.[14]
3. 주요 경유지
지방도 제403호선은 홍천군에서 춘천시, 화천군을 거쳐 양구군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지역 | 구간 |
---|---|
홍천군 | 서면 모곡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분기점) ~ 충의대교 |
춘천시 | 충의대교 ~ 사북면 고성리 (비포장 구간 : 양동마을 ~ 큰고개) |
화천군 | 하남면 큰고개 ~ 양구군 양구읍 상방교 (미개통 구간 존재)[1] |
양구군 | 양구읍 상방교 ~ 정림교 동단 |
3. 1. 홍천군
홍천군 서면 모곡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과 분기) - 보리울교 - 마곡리 - 배바위교 - 충의대교 교차로 - 충의대교3. 2. 춘천시
충의대교 - 수암교 - 남면 행정복지센터 - 반딧불이야기캠핑장(구 발산중학교) - 발산리 - 발산 교차로 - 발산1교 - 후동3교 - 후동3 교차로 - 후동2교 - 후동2 교차로 - 후동1교 - 후동1 교차로 - 소주교 - 소주터널 (750m) - 남산면 소주터널 (750m) - 소주 교차로 - 창촌교 - 거곡 교차로 - 창촌3 교차로 - 창촌1교 - 창촌1 교차로 - 구만이 교차로 - (교량) - 남산1 교차로 - 방곡3 교차로 - 방곡2 교차로 - 방곡1 교차로 - 덕거리 교차로 - 구곡1 교차로 - 강촌터널 (134m) - 강촌대교 - 서면 강촌대교 - 강촌 교차로 - 등선교 - 의암 교차로 - 의암댐 - 덕두원리 - 덕두원교 - 현암리 - 강원정보문화진흥원 - 현암교 - 서면 행정복지센터 - 강원애니고등학교 - 강서중학교 - 신매리 - 신매대교 - 신사우동 신매대교 -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초등학교 - 신동삼거리 - 신북읍 지내리저수지 - 지내리 - 세밑고개 - 사북면 세밑고개 - 고탄리 - 길성주유소(지방도 제407호선과 분기) - 세월교 - 고성리 - ('''비포장 구간''' : (양동마을) - 큰고개)3. 3. 화천군
하남면 큰고개 - 삼화리 - ('''미개통 구간''' : 삼화리 - 성북령)[1] - 간동면 ('''미개통 구간''' : 성북령 - 미륵정사 - 유촌리)[1] - 유촌리 - 풍울교 - 오음리 - 오음사거리 - 에네미고개 - 갓골 교차로 - 후동1교 - 후동 교차로 - ('''미개통 구간''' : 방천리)[1] - 상방교3. 4. 양구군
양구읍 상방교 - 상무룡리 - 상무교 - 월명낚시터 - 월명4교 - 월명3교 - 월명교 - 월명계곡 - 월명터널 - 공수리 - 동수리 - 하리교 서단 - 양구국민체육센터 - 양구여자고등학교, 양구여자중학교 - 정림교 - 정림교 동단4. 중복 구간
다음은 지방도 제403호선과 다른 도로와의 중복 구간이다.
- 국도 제46호선 : 춘천시 서면 강촌삼거리 ~ 의암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춘천시 서면 신매대교 서단 ~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 춘천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삼거리
- 지방도 제407호선 : 춘천시 사북면 길성주유소 ~ 고성리
- 지방도 제461호선 :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 ~ 오음사거리
4. 1. 국도 제46호선
춘천시 서면 강촌삼거리에서 의암 교차로까지의 구간은 국도 제46호선과 중복된다.4. 2.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춘천시 서면 신매대교 서단에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까지의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1]4. 3.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춘천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 ~ 신동삼거리 구간은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된다.4. 4. 지방도 제407호선
춘천시 사북면 길성주유소에서 고성리 구간은 지방도 제407호선과 중복된다.4. 5. 지방도 제461호선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에서 오음사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461호선과 중복된다.5. 도로명
-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서 춘천시 남면 충의대교 북단까지 구간은 모곡로이다.
- 춘천시 남면 충의대교 북단에서 발산 교차로까지 구간은 충효로, 발산 교차로에서 서면 강촌 교차로까지 구간은 소주고개로이다.
- 춘천시 서면 강촌삼거리에서 의암 교차로까지 구간은 경춘로, 의암 교차로에서 신매대교 서단까지 구간은 박사로, 신매대교 서단에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까지 구간은 신샘밭로이다.
- 춘천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에서 신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영서로, 신동삼거리에서 사북면 길성주유소까지 구간은 지내고탄로이다.
- 춘천시 사북면 길성주유소에서 고성리까지 구간은 춘화로, 고성리에서 화천군 하남면 삼화리까지 구간은 용화산로이다.
-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에서 오음사거리까지 구간은 파로호로, 오음사거리에서 양구군 양구읍 월명교 남단까지 구간은 간척월명로이다.
- 양구군 양구읍 월명교 남단에서 하리교 서단까지 구간은 파로호로, 하리교 서단에서 정림교까지 구간은 박수근로이다.
5. 1. 홍천군 서면 ~ 춘천시 남면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서 춘천시 남면 충의대교 북단까지 구간은 모곡로이다.5. 2. 춘천시 남면
춘천시 남면 충의대교 북단에서 발산 교차로까지 구간은 충효로에 해당한다.5. 3. 춘천시 남면 ~ 서면
춘천시 남면 발산 교차로에서 서면 강촌 교차로까지 구간은 소주고개로에 해당한다.5. 4. 춘천시 서면
5. 5. 춘천시 신사우동
춘천시 신사우동 인형극장사거리에서 신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영서로에 해당한다.5. 6. 춘천시 신사우동 ~ 사북면
춘천시 신사우동 신동삼거리에서 사북면 길성주유소까지 구간은 지내고탄로이다.5. 7. 춘천시 사북면
춘천시 사북면 길성주유소에서 고성리까지 구간은 춘화로로 지정되어 있다.[1]5. 8. 춘천시 사북면 ~ 화천군 하남면
춘천시 사북면 고성리에서 화천군 하남면 삼화리를 잇는 구간은 용화산로이다.5. 9. 화천군 간동면
화천군 간동면 유촌리에서 오음사거리까지 구간은 파로호로이다.5. 10. 화천군 간동면 ~ 양구군 양구읍
화천군 간동면 오음사거리에서 양구군 양구읍 월명교 남단까지의 구간은 간척월명로이다.5. 11. 양구군 양구읍
양구군 양구읍 월명교 남단에서 하리교 서단까지 구간은 파로호로, 하리교 서단에서 정림교까지 구간은 박수근로라고 부른다.[1]참조
[1]
뉴스
춘천∼화천 지방도 403호선 확장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0-03-15
[2]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00-249호
http://www.provin.ga[...]
2000-10-21
[3]
간행물
강원도고시 제2002-69호
http://www.provin.ga[...]
2002-03-30
[4]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02-267호
http://www.provin.ga[...]
2002-11-09
[5]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03-69호
http://www.provin.ga[...]
2003-02-15
[6]
뉴스
충의대교 30일 개통
https://news.naver.c[...]
강원일보
2004-11-27
[7]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09-772호
http://www.provin.ga[...]
2009-08-10
[8]
뉴스
지방도 403호선 소주터널 개통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1-12-14
[9]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5-1345호
http://www.provin.ga[...]
2015-12-11
[10]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7-1445호
http://www.provin.ga[...]
2017-12-22
[11]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8-1948호
http://www.provin.ga[...]
2018-12-31
[12]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9-1925호
http://www.provin.ga[...]
2019-10-29
[13]
간행물
강원도공고 제2019-2243호
https://www.provin.g[...]
2019-12-31
[14]
뉴스
춘천 신매교차로~춘천역 7km 국지도 승격
https://news.naver.c[...]
강원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