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화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화천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생천군 또는 야시매로 불렸다. 신라 시대에는 낭천으로, 고려 시대에는 삭방도에 속했다가 춘주도의 관할이 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화천으로 개칭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에는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1979년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산악 지형이 많으며, 북한강과 파로호가 위치해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옥수수, 콩 등을 생산하며, 관광 명소로는 파로호, 평화의 댐, 화악산 등이 있다. 매년 산천어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천군의 행정 구역 - 사내면
    사내면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남서쪽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 고지대로, 경기도와 접경하며 5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었고, 조선 시대 춘천군에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쳐 화천군에 편입, 광덕계곡, 삼일계곡 등 관광 명소가 있다.
  • 1902년 설치 - 원주우체국
    원주우체국은 1902년 원주임시우체소로 시작하여, 1977년 일산동, 2010년 단구동으로 이전했으며,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하여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 1902년 설치 - 제주우체국
    제주우체국은 1898년 정의임시우체사로 시작하여 제주시 동 지역과 조천읍 일부를 관할하며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덕로에 위치한 우체국이다.
  • 화천군 - 화천민속박물관
    화천민속박물관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 화천군 - 한국수달연구센터
    한국수달연구센터는 수달을 포함한 야생동물의 생태 연구, 보호, 교육, 사육, 자연 복귀 훈련을 수행하며 멸종 위기 야생동물 보호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화천군
위치 정보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화천군
한자 표기華川郡
로마자 표기Hwacheon-gun
면적909.45 km²
인구 (2024년 9월)22,965명
인구 밀도26.2 명/km²
지역관동
방언강원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4면
화천읍
하남면
간동면
사내면
상서면
상징
군목미즈키
군화진달래
군조꾀꼬리
화천군 엠블럼
화천군 엠블럼
화천군 깃발
화천군 깃발
정치
군수최문순 (국민의힘)
국회의원한기호 (국민의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기타 정보
홈페이지화천군청 공식 웹사이트
국도 제5호선 화천 구간
국도 제5호선 화천 구간

2. 역사


  • 고구려 시기 : '''생천군'''(牲川郡) 또는 '''야시매'''(也尸買)로 불렸다.[4]
  • 685년(신라 신문왕 6년) : '''낭천'''(狼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3]
  • 995년(고려 성종 16년) : 삭방도(朔方道)에 속했다가, 1178년(고려 명종 8년) 삭방도가 폐지되고 춘주도(春州道) 관할이 되었다.[21][13]
  • 1413년(조선 태종 13년) : 현감을 두었다.[13]
  • 1645년(조선 인조 23년) : 현이 폐지되어 지금의 김화군에 있던 도호부 관할이 되었다가, 뒤에 다시 현이 복구되었다.
  • 1869년(조선 고종 6년) : '''화천'''(華川)으로 개칭되었다.[13]
  • 1895년 : 낭천군으로 개칭하였다.[13]
  • 1902년 : 화천군으로 개칭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하서면과 남면을 하남면으로, 상면과 서면을 상서면으로, 간척면과 원동면을 간동면으로 통합하였다.[22][1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 구역신 행정 구역
화천군 군내면군내면대리리, 상리, 수상리, 수하리, 신읍리, 하리, 아리, 중리, 풍산리, 하리
화천군 상서면상서면구운리, 노동리, 다목리, 마현리, 봉오리, 산양리, 신풍리, 파포리
화천군 하서면하남면계성리, 논미리, 서오지리, 원천리
화천군 남면거례리, 용암리, 위라리
화천군 동면간동면동촌리, 방천리, 태산리
화천군 간척면간척리, 구만리, 오음리, 유촌리


  • 1917년 : 군내면을 화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1년 : 화천댐이 건설되면서 간동면의 사무소를 구만리에서 유촌리로 옮기고, 화천호 북쪽의 동촌리와 태산리를 화천면으로 이관하였다.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화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춘천군 사내면 전역과 사북면의 38선 이북 지역을 편입하고, 가평군 북면 일부를 사내면에, 춘천군 북산면 일부를 간동면에 병합하였다. (6면)
  • 1953년 7월 27일 : 한국 전쟁의 결과, 화천군 전 지역이 수복되었다.
  • 1954년 10월 21일 : 춘천군 사북면 일부·북산면 일부와 가평군 북면 일부를 원 행정구역으로 복구하였고, 사내면은 화천군으로 유지되었다.[23] (5면)
  • 1954년 11월 17일 : 화천군의 행정권이 군정(軍政)으로부터 강원도로 이양되었다.[24] (5면)
  • 1979년 5월 1일 : 화천면이 화천읍으로 승격하였다.[25] (1읍 4면)

2. 1. 고대 ~ 조선 시대

화천군은 고구려 시대에 '''생천군'''(牲川郡) 또는 '''야시매'''(也尸買)로 불렸다.[4] 685년(신라 신문왕 6년) '''낭천'''(狼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3] 995년(고려 성종 16년) 삭방도(朔方道)에 속했다가, 1178년(고려 명종 8년) 삭방도가 폐지되고 춘주도(春州道) 관할이 되었다.[21][13] 고려 시대에는 남천현(Nangcheon County)이라 불렸으며, 춘천의 속현이었다.[4]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13] 1645년(조선 인조 23년) 현이 폐지되어 김화군에 병합되었다가,[4] 1653년에 다시 복구되었다.[4] 1869년(조선 고종 6년) '''화천'''(華川)으로 개칭되었다.[13] 1895년 낭천군으로 개칭하였다가,[13] 1902년 다시 화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를 통해 하서면과 남면을 하남면으로, 상면과 서면을 상서면으로, 간척면과 원동면을 간동면으로 통합하였다.[22][14] 1917년 군내면을 화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41년 화천댐 건설로 간동면 사무소를 구만리에서 유촌리로 옮기고, 화천호 북쪽 동촌리와 태산리를 화천면으로 이관하였다.

1964년 위라리 지역에서 신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고, 용암리에서는 고대 주거지가 발견되었다.[4] 2011년 원천리에서 발견된 유적은 이 지역에 백제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5]

2. 2. 일제 강점기 ~ 현대

고구려 시기에는 '''생천군'''(牲川郡) 또는 '''야시매'''(也尸買)로 불렸다. 685년(신라 신문왕 6년) '''낭천'''(狼川)으로 불렸으며, 995년(고려 성종 16년) 삭방도(朔方道)에 속하였다. 1178년(고려 명종 8년) 춘주도(春州道)가 설치되면서 춘주도의 관할이 되었다.[21] 1413년(조선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가 1645년(조선 인조 23년) 현이 폐지되고 금화군 관할로 변경되었다가, 이후 다시 현이 복구되었다. 1869년(조선 고종 6년) '''화천'''(華川)으로 개칭되었고, 1895년 낭천군으로 개칭하였다가 1902년 다시 화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00년 이전 화천군은 험준한 지형과 혹독한 겨울로 인해 주요 강가에 작은 마을 몇 개만 있을 정도로 인구 밀도가 매우 낮았다. 1914년 4월 1일 하서면과 남면을 하남면으로, 상면과 서면을 상서면, 간척면과 원동면을 간동면으로 각각 통합하였다.[22] 1917년 군내면을 화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19년 3·1 운동 당시 3월 23일과 28일에 시위가 있었으며, 3월 23일 시위는 천도교도들이 주도했다.[4] 1941년 화천댐이 건설되면서 간동면의 사무소를 구만리에서 유촌리로 옮기고, 화천호 북쪽의 동촌리와 태산리를 화천면으로 이관하였다. 1944년 화천댐이 완공되면서 전력 생산에 크게 기여하였다.[6]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한반도가 분할 점령되면서 화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이후 춘천군 사내면 전역과 사북면의 38선 이북 지역을 편입하고, 가평군 북면 일부를 사내면에, 춘천군 북산면 일부를 간동면에 병합하여 6개 면이 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결과, 화천군 전 지역이 수복되었다.

1954년 10월 21일 춘천군 사북면 일부·북산면 일부와 가평군 북면 일부를 원 행정구역으로 복구하였고, 사내면은 화천군으로 유지되었다.[23] 1954년 11월 17일 화천군의 행정권이 군정(軍政)으로부터 강원도로 이양되었다.[24] 1979년 5월 1일 화천면이 화천읍으로 승격하였다.[25]

3. 지리

## 지형

화천군은 서울 동북방 132 km, 휴전선 남방 22 km 지점의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산악지대로서 동쪽은 양구군, 서북쪽은 철원군, 남쪽은 춘천시, 서쪽은 경기도 포천군가평군과 접하고 있어 5개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26] 동서간 66 km, 남북간 45 km로 면적의 86.2%가 산지로 형성되어 있다.[26] 서부에는 광주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있고 동부는 태백산맥의 지맥들이 험준한 고산지대를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26]

강원도의 영서지방 중북부, 북쪽에서 태백산맥의 서사면을 차지하며 서북경의 광주산맥에는 백암산·대성산 등이 솟아 있고, 남경 사명산맥에는 간곡산·죽엽산 등이 솟아 있다. 북한강이 감입곡류하며 그 사이를 흐르고 구만리 부근에는 화천발전소의 파로호가 구축되었다. 지류 서옥천·동림천·원천 등이 모이는 간동면에 분지가 발달하였다.

## 수계

화천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의 산악지대로, 동쪽은 양구군, 서북쪽은 철원군, 남쪽은 춘천시, 서쪽은 경기도 포천군가평군과 접하고 있다.[26] 동서간 66 km, 남북간 45 km로 면적의 86.2%가 산지이다.[26] 서부에는 광주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있고 동부는 태백산맥의 지맥들이 험준한 고산지대를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26]

강원도 영서지방 중북부, 북쪽에서 태백산맥의 서사면을 차지하며 서북경의 광주산맥에는 백암산·대성산 등이 솟아 있고, 남경 사명산맥에는 간곡산·죽엽산 등이 솟아 있다. 북한강이 감입곡류하며 그 사이를 흐르고 구만리 부근에는 화천발전소의 파로호가 있다. 지류 서옥천·동림천·원천 등이 모이는 간동면에 분지가 발달하였다.

3. 1. 지형

화천군은 서울 동북방 132 km, 휴전선 남방 22 km 지점의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산악지대로서 동쪽은 양구군, 서북쪽은 철원군, 남쪽은 춘천시, 서쪽은 경기도 포천군가평군과 접하고 있어 5개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26] 동서간 66 km, 남북간 45 km로 면적의 86.2%가 산지로 형성되어 있다.[26] 서부에는 광주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있고 동부는 태백산맥의 지맥들이 험준한 고산지대를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26]

강원도의 영서지방 중북부, 북쪽에서 태백산맥의 서사면을 차지하며 서북경의 광주산맥에는 백암산·대성산 등이 솟아 있고, 남경 사명산맥에는 간곡산·죽엽산 등이 솟아 있다. 북한강이 감입곡류하며 그 사이를 흐르고 구만리 부근에는 화천발전소의 파로호가 구축되었다. 지류 서옥천·동림천·원천 등이 모이는 간동면에 분지가 발달하였다.

3. 2. 수계

화천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의 산악지대로, 동쪽은 양구군, 서북쪽은 철원군, 남쪽은 춘천시, 서쪽은 경기도 포천군가평군과 접하고 있다.[26] 동서간 66 km, 남북간 45 km로 면적의 86.2%가 산지이다.[26] 서부에는 광주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있고 동부는 태백산맥의 지맥들이 험준한 고산지대를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26]

강원도 영서지방 중북부, 북쪽에서 태백산맥의 서사면을 차지하며 서북경의 광주산맥에는 백암산·대성산 등이 솟아 있고, 남경 사명산맥에는 간곡산·죽엽산 등이 솟아 있다. 북한강이 감입곡류하며 그 사이를 흐르고 구만리 부근에는 화천발전소의 파로호가 있다. 지류 서옥천·동림천·원천 등이 모이는 간동면에 분지가 발달하였다.

3. 3. 기후

내륙 산간에 위치한 까닭에 기온의 교차가 심하다. 연평균 기온 9.4°C, 1월 평균 -7.2°C, 8월 평균 26.4°C, 최고 기온 39.5°C, 최저 기온 -25.1°C, 연평균 강수량 1,300mm이다. 겨울철에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눈이 내리지만, 강원도 영동지방보다는 적은 양이 내린다. 바람은 겨울철에는 한냉 건조한 북서 계절풍이 주로 불고, 여름에는 고온다습한 남서 계절풍이 많이 분다. 봄가을에는 편서풍이 강하게 불 때가 있다.

4. 행정 구역

화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4면으로, 면적은 2016년 기준으로 908.93 km2이다.[27]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2만 4917 명, 1만 2603 가구이며, 남녀 성비는 1.18:1이다.[28]

행정구역한자면적인구세대행정 지도
화천읍華川邑291.738,5233,928
행정구역도
간동면看東面128.202,7621,545
하남면下南面118.592,8971,377
상서면上西面219.254,2712,517
사내면史內面151.176,4643,236
화천군華川郡908.9324,91712,603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화천읍은 1979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벼, 콩, 옥수수 외에 사과, 배, 약초, 가금류를 생산하며, 복숭아 재배, 사슴 사육, 표고버섯 생산도 활발하다. 국도 제5호선이 춘천과 연결되며, 지방도 제460호선은 평화의 댐을 지나 양구로 이어진다.[4]

읍·면법정리
화천읍대리리, 동촌리, 상리, 신읍리, 아리, 중리, 풍산리, 하리
하남면거례리, 계성리, 논미리, 삼화리, 서오지리, 안평리, 용암리, 원천리, 위라리
간동면간척리, 구만리, 도송리, 방천리, 오음리, 용호리, 유촌리
상서면구운리, 루동리, 다목리, 마현리, 봉오리, 부촌리, 산양리, 신대리, 신풍리, 장촌리, 파포리
사내면광덕리, 명월리, 사창리, 삼일리, 용담리


5. 인구

2005년 기준 화천군의 인구는 2만 3,822명이었다. 이 중 남성은 1만 2,471명, 여성은 1만 1,351명이었다. 외국인 주민은 90명(0.38%)에 불과했는데, 남성 20명, 여성 70명이었다. 평균 가구 구성원 수는 2.4명이었고, 65세 이상 인구는 3,577명(15%)이었다.[3] 이 수치에는 약 3만 5,000명으로 추산되는 주둔 군인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6. 교통

6. 1. 도로

화천군을 지나는 국도는 다음과 같다. 국도 5호선영서로로, 국도 46호선춘양로로 이어진다. 국도 56호선은 수피령로와 사내천로로, 국도 75호선가화로와 포화로로 연결된다.

화천군을 지나는 지방도는 다음과 같다. 지방도 372호선은 포화로, 지방도 391호선화악산로로 연결된다. 지방도 403호선평화로와 파로호로로, 지방도 407호선은 춘화로로 이어진다. 지방도 460호선평화로, 지방도 461호선영서로, 다파로, 강변로, 파로호로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지방도 463호선은 사내로와 포화로로 이어진다.

6. 2. 버스

버스 터미널
화천공영버스터미널 (화천읍 하리)
사내공용버스터미널 (사내면 사창리)


7. 산업

화천군의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콩·감자·누에고치·꿀 등이다. 축산업으로는 한우·젖소·돼지·닭·사슴·산양 사육이 활발하며 농가에서 부업으로 양봉·양잠이 행해지기도 한다. 광업은 규석광산 1개 소가 있으나 생산량이 많지 않다.

화천군에서는 느타리버섯·동촌달래·두류산방울토마토·무공해유정란·뽕잎미숫가루·사과·생칡즙·아카시아꿀·재래메주·천마·취나물·파로호산양유·평화가시오이·현미숭늉차·화악산찰토마토 등이 유명하다. 화천은 삼겹살로 유명하며, 거의 모든 식당에서 돼지고기 요리를 제공한다. 뜨거운 숯불에 구운 돼지고기를 한입 크기로 잘라 상추잎에 마늘, 고추, 밥과 여러 가지 채소와 소스를 함께 싸서 손으로 먹는다. 양념한 소고기를 사용하는 변형 메뉴도 있다.

7. 1. 농업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콩·감자·누에고치·꿀 등이다. 축산업으로는 한우·젖소·돼지·닭·사슴·산양 사육이 활발하며 농가에서 부업으로 양봉·양잠이 행해지기도 한다. 광업은 규석광산 1개 소가 있으나 생산량이 많지 않다.

7. 2. 특산물

화천군에서는 느타리버섯·동촌달래·두류산방울토마토·무공해유정란·뽕잎미숫가루·사과·생칡즙·아카시아꿀·재래메주·천마·취나물·파로호산양유·평화가시오이·현미숭늉차·화악산찰토마토 등이 유명하다. 화천은 삼겹살로 유명하며, 거의 모든 식당에서 돼지고기 요리를 제공한다. 뜨거운 숯불에 구운 돼지고기를 한입 크기로 잘라 상추잎에 마늘, 고추, 밥과 여러 가지 채소와 소스를 함께 싸서 손으로 먹는다. 양념한 소고기를 사용하는 변형 메뉴도 있다.

8. 관광

평화의 댐


파로호1944년 5월에 화천댐이 건설되면서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다. 일제는 대륙침략을 지원하는 군수산업을 위해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와 용호리의 북한강 협곡을 막아 화천댐을 축조하였다. 파로호는 이 때 생긴 인공호수로, 면적은 38.9km2이다.[10]

평화의 댐은 북한의 금강산댐 건설에 따라 2005년 10월 19일 완공한 대응댐이다.[11] 총저수량 26.3억톤, 총길이 601m, 높이 125m의 대규모 댐이다. 입구 좌측에는 비목공원과 물문회관이 있으며, 물문회관에서는 물의 중요성을 홍보 자료와 함께 식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화악산은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화천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1,468m의 산이다. 38선 정상을 가르고 있어서, 한국전쟁 때는 치열한 격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삼일계곡을 비롯해, 법장사, 화음동정사지 등 역사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 삼일리에서 출발하여, 법장사와 화음동정사지를 둘러보고, 촛대바위를 거쳐 내려오면 낙수대와 모골계곡, 반수암지 법장사, 화음동 계곡, 농수정사지, 곡운구곡 등의 명승고적을 즐길 수 있다.[29]

이외에도 비수구미, 아쿠아틱리조트, 붕어섬, 용화산, 딴산, 낭천산림욕장, 비목공원, 미륵바위 등이 있다.

8. 1. 관광 명소

1944년 5월에 화천댐이 건설되면서 파로호가 만들어졌다. 일제는 대륙침략을 지원하는 군수산업을 위해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와 용호리의 북한강 협곡을 막아 화천댐을 축조하였다. 파로호는 이 때 생긴 인공호수로, 면적은 38.9km2이다.[10]

평화의 댐은 북한의 금강산댐 건설에 따라 2005년 10월 19일 완공한 대응댐이다.[11] 총저수량, 26.3억톤, 총길이 601m, 높이 125m의 대규모 댐이다. 입구 좌측에는 비목공원과 물문회관이 있으며, 물문회관에서는 물의 중요성을 홍보 자료와 함께 식당 등을 운영하고 있다.

화악산은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화천군의 경계에 있는 높이 1,468m의 산이다. 38선 정상을 가르고 있어서, 한국전쟁 때는 치열한 격전이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삼일계곡을 비롯해, 법장사, 화음동정사지 등 역사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 삼일리에서 출발하여, 법장사와 화음동정사지를 둘러보고, 촛대바위를 거쳐 내려오면 낙수대와 모골계곡, 반수암지 법장사, 화음동 계곡, 농수정사지, 곡운구곡 등의 명승고적을 즐길 수 있다.[29]

이외에도 비수구미, 아쿠아틱리조트, 붕어섬, 용화산, 딴산, 낭천산림욕장, 비목공원, 미륵바위 등이 있다.

8. 2. 축제

화천군에서는 매년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얼음나라 화천 산천어 축제는 1월 중 약 25일간 화천천 축제장과 파로호, 평화의 댐 등지에서 개최된다.[7] 산천어 얼음낚시, 루어 낚시, 산천어 맨손잡기, 창작썰매콘테스트, 얼음썰매장, 눈썰매장, 봅슬레이, 빙상장, 얼음축구장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마련되어 있다.[7] 주최측은 매년 약 100만 명의 방문객이 축제를 찾는다고 주장하며,[8] CNN에서 겨울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9]

화천 산천어 축제


7월 말에는 쪽배(쪽배/쪽배한국어) 축제가, 8월 중순에는 토마토 축제가 열리며, 용 축제도 개최된다.

9. 교육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교육지원청의 지원을 받는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10. 인물

wikitable

인물
분류:화천군 출신을 참고하십시오.


11. 자매 도시

지역 & 국가도시
25px
서울특별시
25px
서초구
채텀-켄트, 온타리오주





}}}}










12. 역대 군수

wikitable

대수이름임기정당비고
1김준원1945년 11월 3일 ~ 1946년 9월 10일미군정
2홍순근1946년 9월 11일 ~ 1947년 12월 20일미군정
3김영호1947년 12월 21일 ~ 1949년 3월 20일미군정
4이재욱1949년 3월 21일 ~ 1950년 3월 20일
5홍순복1950년 3월 21일 ~ 1951년 7월 10일
6이재욱1951년 7월 11일 ~ 1952년 5월 31일
7박영근1952년 6월 1일 ~ 1954년 6월 30일
8이재영1954년 7월 21일 ~ 1956년 5월 14일자유당
9김영근1956년 5월 15일 ~ 1958년 2월 28일자유당
10김종순1958년 3월 26일 ~ 1959년 4월 19일자유당
11김준경1959년 4월 20일 ~ 1960년 5월 1일자유당
12박용익1960년 5월 2일 ~ 1960년 10월 30일무소속
13정낙훈1960년 10월 31일 ~ 1961년 7월 6일민주당
14김용하1961년 7월 7일 ~ 1963년 12월 15일
15김재극1963년 12월 16일 ~ 1966년 4월 10일민주공화당
16김선옥1966년 4월 11일 ~ 1969년 3월 24일민주공화당
17박규진1969년 3월 25일 ~ 1971년 8월 25일민주공화당
18원종성1971년 8월 26일 ~ 1973년 7월 15일민주공화당
19김준영1973년 7월 16일 ~ 1975년 9월 2일민주공화당
20한석용1975년 9월 3일 ~ 1978년 7월 15일민주공화당
21김주완1978년 7월 16일 ~ 1979년 6월 30일민주공화당
22김경수1979년 7월 1일 ~ 1980년 7월 15일민주공화당
23이진호1980년 7월 16일 ~ 1981년 6월 30일민주정의당
24이수영1981년 7월 1일 ~ 1982년 12월 31일민주정의당
25김영준1983년 1월 1일 ~ 1983년 7월 15일민주정의당
26이기엽1983년 7월 16일 ~ 1984년 7월 9일민주정의당
27정갑철1984년 7월 10일 ~ 1985년 2월 25일민주정의당
28김기선1985년 2월 26일 ~ 1986년 3월 12일민주정의당
29박용희1986년 3월 13일 ~ 1987년 7월 15일민주정의당
30김경수1987년 7월 16일 ~ 1988년 5월 29일민주정의당
31임채홍1988년 5월 30일 ~ 1989년 1월 3일민주정의당
32황영일1989년 1월 4일 ~ 1989년 12월 27일민주정의당
33김주완1989년 12월 28일 ~ 1990년 6월 30일민주자유당
34이수영1990년 7월 1일 ~ 1991년 9월 9일민주자유당
35이기엽1991년 9월 10일 ~ 1993년 4월 14일민주자유당
36안금모1993년 4월 15일 ~ 1994년 3월 3일민주자유당
37김경수1994년 3월 4일 ~ 1995년 6월 30일민주자유당
38전창범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무소속
39주종화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한나라당
40정갑철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한나라당
41·42정갑철2006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한나라당 → 새누리당
43·44최문순2014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45최문순2022년 7월 1일 ~더불어민주당



화천군의 역대 군수 목록이다. 화천군수를 선출하는 선거에 대해서는 화천군수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Hwacheon https://english.visi[...] 2020-01-01
[3]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eholds https://web.archive.[...] 2008-09-11
[4] 웹사이트 화천군 https://encykorea.ak[...]
[5] 웹사이트 백제취락유적 화천원천리 https://www.k-herita[...]
[6] 웹사이트 Hwacheon Dam http://wikimapia.org[...] 2008-09-11
[7] 웹사이트 South Korea's Ice Fishing Festival http://news.bbc.co.u[...] 2008-01-14
[8] 웹사이트 Sancheoneo (Mountain Trout) Ice Festival https://web.archive.[...] 2008-09-12
[9] 웹사이트 7 wonders of winter https://edition.cnn.[...]
[10] 웹사이트 Paroho Lake http://english.visit[...]
[11] 웹사이트 Peace Dam (Hwacheon) http://english.visit[...]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3] 웹사이트 화천군의 연혁 https://web.archive.[...] 2012-03-31
[14]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5] 웹사이트 화천군 연혁 https://web.archive.[...] 2017-07-04
[16] 법령 法律第350号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7] 법령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기타
[21] 웹사이트 화천군의 연혁 https://web.archive.[...] 2012-03-31
[2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3] 웹사이트 화천군 연혁 https://web.archive.[...] 2017-07-04
[24] 법령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25]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6] 웹사이트 2012년 군정백서 https://web.archive.[...] 2012-04-19
[27]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s://web.archive.[...] 2017-07-04
[2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11-01
[29]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