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구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요은홀차로 불렸다. 1954년 행정 기능이 회복되었으며, 현재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지형으로는 태백산맥의 산들과 서천, 장평천, 북한강, 소양강 상류의 해안분지가 있으며, 기온의 교차가 심하고 강수량이 적은 내륙 산간 지역이다. 국토정중앙점이 위치해 있으며,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과 임업이 발달했다. 교통은 국도와 지방도를 통해 이루어지며, 양구시외버스터미널과 양구정중앙터미널이 있다.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두타연, 선사박물관 등의 문화 관광 자원이 있으며, 강원외국어고등학교, 양구고등학교, 양구여자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일본의 치즈정, 필리핀의 칼람바, 미국의 로스엔젤레스, 프랑스의 생망데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현 군수는 서흥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구군의 행정 구역 - 국토정중앙면
국토정중앙면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 위치하며 13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고 면사무소는 용하리에 있으며 용하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죽리초등학교, 용하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다. - 양구군의 행정 구역 - 양구읍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의 중앙에 위치한 양구읍은 조선 시대 양구현의 소재지였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는 21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양구군 - 양구군의 농어촌버스
양구군의 농어촌버스는 군내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으로, 2018년 10월 기준 성인 요금은 현금 1,400원, 카드 1,300원이며, 2013년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고 용하리, 팔랑리, 해안, 웅진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된다. - 양구군 - 양구백자박물관
양구백자박물관은 사회교육실, 사무실, 전시실, 문화상품판매소, 수장고, 공방, 전통 가마 등을 갖춘 박물관으로, 09시부터 18시까지 관람 가능하며 매주 월요일과 특정 공휴일 오전에 휴관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양구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양구군 |
원어 이름 | 양구군 |
한자 표기 | 楊口郡 |
로마자 표기 | Yanggu-gun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
면적 | 700.8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24,027명 |
인구 밀도 | 34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1읍 4면 |
방언 | 강원 방언 |
상징 | 군목: 주목 군화: 살구꽃 군조: 꾀꼬리 |
군청 소재지 | 양구읍 관공서로 38 (하리 34-5) |
홈페이지 | 양구군청 공식 홈페이지 |
행정 및 정치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관동 지방 |
군수 | 서흥원 (국민의힘) |
국회의원 | 한기호 (국민의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
선거구 | 춘천시,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일원 |
지리 | |
지형 | 해안 분지(Punchbowl) |
주요 지형 | 돌산령 |
기타 | |
ISO 3166-1 | 해당 정보 없음 |
국가 도메인 | 해당 정보 없음 |
전화 코드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고구려 시대에는 요은홀차라 하였는데, 고려에 와서 양구현(楊溝縣)으로 고쳐 춘주(春州)에 속하였다가, 후에 양구로 개명하고 예종 원년(1106년) 감무를 두었다. 조선 태조 2년(1393년)에 다시 분리되어 태조 13년(1404년)에 현감을 두었다.[18] 조선 중기에는 양구현이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양구군으로 개편하였다.[19]
-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양구군으로 개편하였다.[20]
- :9면 - 군내면, 서면, 남면, 동면, 상동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 1914년 4월 1일: 7면으로 개편하였다.[21]
- :7면 - 군내면(서면 편입), 남면(동면 편입), 동면(상동면 개칭), 북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 1917년: 군내면을 양구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현재의 양구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현재 인제군 남면으로 편입된 남면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각 일부지역이 38선 이남에 있어, 춘성군 북산면으로 편입되었다.[22]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이 수입면의 거의 대부분을 제외한 군역의 거의 대부분을 수복하였다.
- 1954년 11월 17일: 양구군의 행정기능이 회복되고, 해안면이 인제군에 이관되었다. 수입면의 수복지구를 방산면에 편입하였다.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38선 이남지역이 양구군 관할로 환원되었다.[23] (4면)
- 1963년 1월 1일: 북면을 양구면에 합면하였다.[24] (4면)
- 1973년 7월 1일: 인제군 서화면에서 옛 해안면 지역인 현리, 오류리, 만대리, 월산리, 후리, 이현리를 동면으로 편입하고, 해안출장소를 설치하였다. 상수내리와 하수내리가 인제군 남면으로 편입되었다.[25]
- 1979년 5월 1일: 양구면이 양구읍으로 승격하였다.[26] (1읍 3면)
- 1983년 2월 15일: 해안출장소 관할지역에 해안면이 다시 설치되었다.[27] (1읍 4면)
- 2021년 1월 1일 : 남면을 국토정중앙면으로 개칭하였다.
2. 1. 미수복 지역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미수복된 수입면(水入面) 명예면장을 임명한다.[32]면 | 리의 수 | 리(里) | 비고 |
---|---|---|---|
수입면(水入面) | 18 | 문등(文登) 송거(松巨) 내(內) 백현(栢峴) 근(芹) 수청(水靑) 청송(靑松) 두포(杜浦) 석사(石寺) 지혜(智惠) 분지수(分池水) 인패(印佩) 암(岩) 오천(烏川) 점방(占方) 지경(地境) 대정(大井) 천(泉) | 문등·내·수청·암리 방산면에 편입 |
강원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태백산계의 여러 산이 위치하고 있다. 3지맥이 종주하는데 동쪽 대암산맥에는 용문산(1,068m)·마패령(697m)·가칠봉(1,243m) 등이, 중앙 비봉산맥에는 두밀령(787m)·항령(676m) 등이, 서쪽 어은산맥에는 어은산(1,277m) 등 여러 산이 솟아 있다. 강은 동편 계곡에 서천, 중앙에 장평천이 남류한다. 서천은 양구 동쪽에서 곡계의 기경을 이루며 낭천이 되어 장평천과 합하여 파로호에 들어간다. 군의 서쪽은 북한강 계곡에 속하며, 동쪽의 소양강 상류에는 전형적인 침식분지인 해안분지가 있다. 지질은 대부분이 화강편마암이고 화강암과 결정편암도 있다.[28]
3. 지리
3. 1. 기후
내륙 산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심하며, 강수량이 도내에서 제일 적다. 연평균 기온은 9.8℃, 1월 평균 -7.9℃, 8월 평균 25.6℃, 최고기온 41.5℃(1940년 6월), 최저기온 -30.0℃(1939년 1월), 평균 강수량 1,100mm이다.
3. 2. 국토정중앙점
2002년 강원도민일보 부설 강원사회조사연구소에서 조사, 발표한 한반도의 중앙점으로, 국토정중앙면 도촌리 산48번지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30] 측정기준은 섬을 포함한 한국 영토의 4극지점(극동, 극서, 극남, 극북)을 기준으로 한 중앙경선과 중앙위선의 교차점이다.[30] 2002년 국립지리원(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의 좌표측정에서 국토정중앙점 좌표를 동경 128° 02′ 02.5″, 북위 38° 03′ 37.5″로 발표하였다.[30] 한편, 섬을 제외한 내륙을 기준으로 한 정중앙점 좌표는 동경 127° 28′ 55″, 북위 38° 39′ 00″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회양군 현리에 해당한다.[30]
4. 행정 구역
양구군의 행정 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22,278명, 10,828 세대이며, 이 중 63%가 양구읍에 거주한다.[31] 전체 면적은 701.27 km2이다.[31] 성비는 113으로, 화천군(118), 인제군(117)보다는 낮고, 춘천시(97)보다는 높으며 강원도에서 세 번째로 성비가 높다.
행정구역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
---|---|---|---|---|
양구읍 | 楊口邑 | 14,214 | 6,309 | 173.62 |
국토정중앙면 | 國土正中央面 | 3,381 | 1,817 | 135.26 |
동면 | 東面 | 2,024 | 1,197 | 123.62 |
방산면 | 方山面 | 1,346 | 830 | 206.7 |
해안면 | 亥安面 | 1,313 | 675 | 61.52 |
양구군 | 楊口郡 | 22,278 | 10,828 | 701.27 |
5. 인구
wikitable
6. 산업
농경지는 하천 계곡에 약간 분포되어 있으며 밭이 많아 잡곡이 많이 난다. 천연림이 무성하여 임상이 아름답고, 용재와 신탄의 산출이 많으며, 밤·잣·도토리 등과 웅담·사향·복령·백화사 등 한약재의 산출이 많다.[34] 주요 농산물은 쌀·잡곡·감자·삼·꿀·양초 등이다.[34] 쌀의 질이 좋기로 유명하며, 채소·과일 등도 양구읍 부근에서 널리 재배한다.[34] 초지와 산지가 넓어 목축업이 활발해 목축업 종사자가 많다.[34] 또한 임야면적 5만 6,407ha에 국·공유림이 64%에 이르며, 입목지가 99%나 된다.[34] 산지에서 잣·대추·도토리가 많이 생산되며 송이·표고버섯의 생산량이 많다.[34] 주요 생산물로는 가시오이, 산재배더덕, 산채, 생감자가루, 고랭지감자, 석공예, 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쌀, 쑥엿, 도토리묵, 떡, 유정란, 미숫가루, 전통메주, 백합, 전통한과, 뽕잎국수, 표고버섯, 사과, 취나물, 민들레, 멜론 등이 있다.[34]
7. 교통
양구군은 산간 벽지이기 때문에 교통이 불편하였으나, 최근 군사도로가 발달해 도로망이 잘 정비되었다.[35] 인제군이나 평창군 등지로 통하는 국도 제31호선이 남북을 종단하고, 동서를 잇는 국도 제46호선이 간성읍과 춘천시를 연결한다. 서울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1일 23회(06:30~20:05) 운행한다.[35]
춘천역에서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등을 거쳐 속초역으로 통하는 춘천-속초선이 계획 중이다. 1960년대에는 원주역에서 홍천군 홍천읍을 거쳐 화천군과 양구군으로 각각 통하는 철도가 구상되기도 했다.
버스 터미널 |
---|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양구읍 중심로, 시외 버스 운행) |
양구정중앙터미널 (국토정중앙면 정중앙로, 시외 버스 운행) |
8. 문화·관광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은 양구군과 인제군에 걸쳐 있으며, 해안분지를 둘러싸고 있다. 두타연은 민통선 안에 있는 숲으로, 2003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50년간 숨어 있던 계곡과 숲은 청정지역 그 이상의 것을 안겨주었다.[35] 베일이 벗겨진 숲은 은밀하거나 신비롭기보다는 소름 돋는 서글픔이 들게 한다.[35] 심곡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유물이 있다. 선사박물관(先史博物館)은 부지 면적 32,464m2, 건축 면적 1,144.7m2, 전시 면적 438.75m2(5개 전시실)로서, 양구읍 상무룡리의 구석기 유적과 해안면 일대의 신석기,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집중 전시한 박물관으로서 선사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유구한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국내 최초의 선사박물관이다.[36]
9. 교육
양구군에는 3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강원외국어고등학교는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다. 양구고등학교와 양구여자고등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분류:양구군
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교육
10. 출신 인물
wikitext
11. 자매 도시
지역 & 국가 | 도시 |
---|---|
일본/日本일본어 | |
필리핀/Philippines영어 | 라구나주 칼람바 |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영어 |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
- 일본/日本일본어 치즈
- 중국/中国중국어 간리
- 프랑스/France프랑스어 생망데
12. 역대 군수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경.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어서 01-01로 설정
[2]
웹사이트
The Natural Side of the DMZ in Yanggu, Gangwon-do
http://english.visit[...]
[3]
웹사이트
Travel to the nude in nature, “DMZ’s story 4 – Yanggu” 한반도의 배꼽, 양구
http://culturemmag.c[...]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yanggu.go[...]
Yanggu County
2020-07-07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백과사전
양구의 연혁
[7]
법률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 음력을 양력으로 변환 불가능하여 음력 날짜 그대로 표기
[8]
법률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0]
법률
法律第350号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1]
법률
法律第1178号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12]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3]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6]
기타
[17]
백과사전
양구의 상징물
[18]
백과사전
양구의 연혁
[1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 음력을 양력으로 변환 불가능하여 음력 날짜 그대로 표기
[2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2]
웹사이트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납북자 명단
http://www.kwari.org[...]
[23]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24]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25]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6]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 등 53개읍설치에 관한 규정
1979-04-07
[27]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8]
백과사전
양구의 자연
[29]
백과사전
기후
[30]
웹사이트
양구군청 공식 사이트
http://www.yanggu.go[...]
[31]
기타
[32]
웹사이트
이북5도위원회 - 미수복강원도 양구군 조직
http://www.ibuk5do.g[...]
[33]
기타
[34]
백과사전
양구의 산업·교통
[35]
서적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2009-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어서 01-01로 설정
[36]
백과사전
선사박물관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춘천·양구 '국도 46호선' 병목에…'4차선 확장 촉구'
임금 체불 신고당한 농장주들이 ‘조사 철저히 해달라’ 탄원···“우리도 브로커에 돈 뜯긴 피해자”
백신도 없어 "저녁에 조심"…전국에 '경보'
‘청춘 양구 배꼽축제’ 29~31일 개최···다회용기 사용 친환경 축제장 조성
철원·화천·양구 등 강원 영서 북부에 150~230㎜ 폭우···춘천·의암댐 수위조절 나서
양구 ‘버드나무 예술창고’ 준공···전시·공연·교육 기능 갖춘 복합문화공간
전시환경 개선한 ‘양구 전쟁기념관’ 15일부터 정상 운영
[단독] 돈 뜯기든 업체 바뀌든…이 지경 되도록 "몰랐다"는 지자체
[단독] 돈 벌러 온 필리핀 노동자들 협박·갈취 '브로커 횡포'
접경지역에서 감성을 노래하다…DMZ바이브페스타 개최
강원 양구 이주노동자 91명 임금체불…노동부, 전담 수사팀 구성
필리핀 계절노동자 91명 “임금 가로챈 브로커 잡아달라”
양구군, 폭염 대비 스마트 그늘막 설치 확대···시가지 중심 20곳에 추가 설치
“소멸 위기 극복·경제 효과”…‘무료 농어촌버스’ 전국 확산
명품 양구 수박 본격 출하…도매가 1통 최고 4만 5천 원
강원 양구군에 ‘말라리아 경보’ 발령
양구군 “여성 농업인 건강관리 지원 확대”···예방접종, 특수건강검진 비용 일부 지급
'정약용면' 추진…지명 관행 깬다
강원특별법 만들었더니…민통선 북상·농업진흥지역 해제 등 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