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어는 산시성의 약칭에서 유래되었지만, 행정 구역으로서의 산시성과는 다르다. 진어는 중국어 방언의 하나로, 진진 방언 또는 조위 방언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1985년 리룽은 진어를 중국어의 최상위 방언군으로 간주할 것을 제안했으며, 진어는 입성을 성문 파열음 형태로 보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진어는 병주 방언, 뤼량 방언, 상당 방언 등 8개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며, 입성의 보존, 비음의 특징, 다양한 성조, 고어의 사용 등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성 - 허난 요리
허난 요리는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중국 허난성 지역의 요리로, 카이펑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간식과 튀김 기술이 발달했으며, 돼지고기와 양파를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진어 | |
---|---|
개요 | |
이름 | 진어 |
원어 이름 | / / |
로마자 표기 | Jin yu |
사용 지역 | |
국가 | 중국 |
지역 | 산시성 대부분 내몽골 자치구 중부 허베이성 일부 허난성 일부 산시성 (섬서성) 일부 |
언어 정보 | |
사용자 수 | 4800만 명 (2021년)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
문자 | 한자 |
언어 코드 (ISO 639-3) | cjy |
글롯톨로그 | jiny1235 |
링구아 목록 | 79-AAA-c |
방언 정보 | |
하위 방언 | 진어의 하위 방언 분포 [[파일:Idioma jin.png|275px]] |
중국어 정보 | |
중국어 이름 | 진어 |
간체 | 晋语 |
번체 | 晉語 |
병음 | Jìnyǔ |
웨이드-자일스 | Chin4-yü3 |
주음부호 | ㄐㄧㄣˋ ㄩˇ |
예일 로마자 | Zeon3 jyu5 |
광둥어 | Jeun yúh |
다른 이름 | 산시성 말 산시화 |
간체 (다른 이름) | 山西话 |
번체 (다른 이름) | 山西話 |
병음 (다른 이름) | Shānxīhuà |
웨이드-자일스 (다른 이름) | Shan1-hsi1-hua4 |
주음부호 (다른 이름) | ㄕㄢ ㄒㄧ ㄏㄨㄚˋ |
예일 로마자 (다른 이름) | Saan1 sai1 waa2 |
광둥어 (다른 이름) | Sāan sāi wá |
2. 명칭
'진어'의 '진(晉)'은 산시성의 약칭이지만, 방언 구획으로서의 '진어구'는 행정 구획으로서의 산시성과 동일하지 않다. '진어구'의 중심 지역이 산시성에 있기 때문에 '진어구'라고 명명되었다.[12]
진어의 기원에는 진진 방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조위 방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두 가지 설이 있다.
3. 기원
3. 1. 진진 방언 기원설
《절운서》에 따르면, "진(秦)·롱(隴)은 거성(去聲)이 입성(入聲)으로 된다"는 특징이 현대 진어와 일치하기 때문에 진어가 진진 방언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1]
3. 2. 조위 방언 기원설
고대 조(趙)나라의 삼대 도성이 현재도 진어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진어가 조위 방언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현재의 진어권은 춘추 시대 진(晉)나라, 전국 시대 조(趙)나라의 대부분 영토, 그리고 전국 시대 한(韓)나라 북부, 위(魏)나라 서북부 영토를 포함하고 있다.
4. 분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표준 중국어(보통화) 장려를 위해 산시성의 다양한 방언을 표준 중국어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른 관화 방언에는 존재하지 않는 진어만의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1985년 리룽(李荣)은 진어를 월어나 오어처럼 중국어의 최상위 방언군으로 간주할 것을 제안했다. 리룽의 판단 기준은 진어가 다른 관화 방언과 달리 고대 중국어의 입성(入聲)을 성문 파열음의 형태로 보존하고 있다는 점이었다.[13][14]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진어를 별도의 방언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한다.
5. 하위 방언
중국어 방언 지도는 진어를 다음의 8개 그룹으로 나눈다.[1]
- 并州片|병주편중국어: 산시성 중부(고대 병주)에서 사용되며, 타이위안을 포함한다. 이 그룹 방언 대부분은 밝은 입성(入聲)과 어두운 입성을 구별하며, 1개의 평성(平聲)을 갖는다. 특히 타이위안 남쪽 방언에서는 중고 중국어의 유성 파열음이 모든 성조에서 무성음으로 변한다. ( → , → , → )
- 吕梁片|뤼량편중국어: 산시성 서부 (뤼량 포함)와 산시성 북부에서 사용된다. 이 그룹 방언은 밝은 입성과 어두운 입성을 구별한다. 대부분의 방언에서 중고 중국어의 유성 파열음은 평성과 입성에서 모두 유기음으로 변한다. ( → , → , → )
- 上党片|상당편중국어: 산시성 동남부의 창즈 (고대 상당)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그룹 방언은 밝은 입성과 어두운 입성을 구별할 수 있다. 일부 방언에서는 연구개 자음의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 五台片|우타이편중국어: 산시성 북부 일부 지역 (우타이 현 포함)과 내몽골 자치구 중부에서 사용된다. 이 그룹에 속하는 소수의 방언은 밝은 입성과 어두운 입성을 구별할 수 있지만, 나머지는 그렇지 않다. 일부 방언에서는 평성과 상성이 합쳐졌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그룹의 모든 방언이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2]
- 大包片|다바오편중국어: 산시성 북부 일부와 내몽골 자치구 중부에서 사용되며, 바오터우를 포함한다.
- 장자커우-후허하오터군: 허베이성 북서부의 장자커우와 내몽골 자치구 중부 일부 지역 (후허하오터 포함)에서 사용된다.
- 邯新片|한신편중국어: 산시성 동남부, 허베이성 남부 (한단 포함) 및 허난성 북부 (신샹 포함)에서 사용된다.
- 즈옌군: 산시성 북부의 즈단 현과 옌촨 현에서 사용된다.
병주군에 속하는 타이위안 방언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진어의 대표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타이위안 어휘가 만다린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진어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데 동의한다.[3] 뤼량군은 진어의 가장 오래된 특징을 대부분 보존하고 있어 진어의 "핵심"으로 간주되지만, 뤼량군 내 어떤 방언이 대표 방언인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6. 특징
진어는 만다린어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운모: 치경 비음(n)과 연구개 비음(ŋ)을 구별하지만, 양순 비음(m)은 없고 n에 합류했다. 또한 ŋ도 n에 합류하는 경향이 있다.
- 대부분의 진어 방언에는 5개의 성조가 있으며, 지역에 따라 4개, 6개 또는 7개의 성조를 갖기도 한다.
- 진어의 전 유성 무성음의 진화 방법에는 4가지 종류가 있다.
- 진어에는 관화 방언과 크게 다른 특징적인 단어나 고어가 많이 남아 있다.
- 입성 - 으로 보존되어 있다.
6. 1. 음운
대부분의 만다린어와 달리 진어는 종성 파열음의 잔재인 종성 성문 파열음을 보존하고 있다. 이는 원나라 (14세기경) 시대의 고대 만다린어와 현대 중국 남부 방언의 특징과 유사하다. 중국어의 중고 시대에는 파열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은 성조가 없었다. 그러나 중국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음절을 전통적으로 "입성"이라고 불리는 별도의 성조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을 선호한다. 진어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음절은 여전히 무성조이거나, 진어가 여전히 입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표준 만다린 중국어에서는, 과거에 성문 파열음으로 끝났던 음절들이 겉보기에 무작위적인 방식으로 다른 성조 범주 중 하나로 재할당되었다.[2]- 입성 - 으로 보존되어 있다.
- 운모 - 과 의 구별이 있지만, 은 없고 에 합류했다. 또한 도 에 합류하는 경향이 있다.[4]
- 대부분의 진어 방언에는 5개의 성조가 있으며, 지역에 따라 4개, 6개 또는 7개의 성조를 갖기도 한다.[7]
- 진어의 전 유성 무성음의 진화 방법에는 4가지 종류가 있다.[7]
6. 1. 1. 자음
대부분의 만다린어와 달리 진어는 종성 파열음(, 또는 )의 잔재인 종성 성문 파열음을 보존하고 있다.[2] 이는 원나라 (서기 14세기 경) 시대의 고대 만다린어와 현대 중국 남부 방언의 특징과 유사하다. 운모에서는 치경 비음()과 연구개 비음()의 구별이 있지만, 은 없고 에 합류했다. 또한 도 에 합류하는 경향이 있다.[4]- 는 주로 종성에서 사용된다.
- 비음은 비음 또는 비음화 파열음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 비음화 파찰 마찰음 도 존재한다.
6. 1. 2. 모음
진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대부분의 만다린어와 달리 진어는 종성 파열음(/p/, /t/, /k/)의 잔재인 종성 성문 파열음을 보존하고 있다. 이는 원나라 (서기 14세기 경) 시대의 고대 만다린어와 현대 중국 남부 방언의 특징과 유사하다.[2]
- 중국어의 중고 시대에는 파열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은 성조가 없었다. 그러나 중국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음절을 전통적으로 "입성"이라고 불리는 별도의 성조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을 선호한다. 진어에서 성문 파열음으로 끝나는 음절은 여전히 무성조이거나, 또는 진어가 여전히 입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은 진어의 대표적인 방언들의 모음 체계를 보여주는 표이다.
펀양 방언의 경우,
- 이중 모음 는 단모음 중설 고모음 로 실현될 수 있다.
- 시퀀스 로 끝나는 소리는 로 들릴 수 있으며, 이어서 로 실현된다.
- 는 초기 자음 앞에 오는 경우 구개접근음 로 들릴 수 있다.
- 는 치경음 뒤에 오는 경우 치경 음절 로 들릴 수 있으며, 권설 자음 뒤에 오는 경우 권설 음절 로 들린다.
6. 1. 3. 성조
대부분의 진어 방언은 5개의 성조를 가지며, 지역에 따라 4개, 6개 또는 7개의 성조를 갖기도 한다.[7] 진어는 단어가 구로 결합될 때 복잡한 성조 연쇄 현상을 보인다.[7] 또한, 진어에서 전 유성 무성음이 변화하는 방식에는 4가지 종류가 있다.[7]6. 2. 문법
진어는 다양한 파생 구문에 圪|글|/kəʔ/중국어, 黑|흑|/xəʔ/중국어, 忽|홀|/xuəʔ/중국어, 入|입|/ʐəʔ/중국어(日)과 같은 접두사를 사용한다.[7]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入|입|/ʐəʔ/중국어鬼 "어슬렁거리다" < 鬼 "귀신, 악마"
또한, 진어에는 단음절 단어를 둘로 나누고 그 사이에 'l'을 추가하여 진화한 단어들이 있다.[7]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蹦|붕|/pəŋ/중국어 "뛰다"
- < 拖|타|/tʰuɤ/중국어 "끌다"
- < 刮|괄|/kua/중국어 "긁다"
- < 巷|항|/xɒ̃/중국어 "거리"
이와 비슷한 현상은 대부분의 만다린 방언에서도 발견되지만(예: 窟窿|굴륭중국어 kulong < 孔|공중국어 kong), 진어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난다.[7]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상고 한어에서 이중 초성에 대한 일종의 보존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어, 진어에서 窟窿|굴륭중국어으로 더 자주 나타나는 문자 孔|공중국어(만다린에서는 로 발음)은 상고 한어에서는 과 같은 발음을 가지고 있었다.[7]
6. 3. 어휘
진어는 관화 방언과 크게 다른 특징적인 단어나 고어가 많이 남아 있다. 상당한 어휘적 다양성이 있으며, 일부 단어는 매우 뚜렷한 지역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핵심 방언에는 비핵심 방언보다 더 많은 고유 단어가 있다. 또한 일부는 한자로 쉽게 표현할 수 없다.참조
[1]
학술지
Jìn yǔ wǔ tái piàn yīn píng hé shàng shēng de fèn hé jí qí yǎn biàn
https://kns.cnki.net[...]
2015
[2]
웹사이트
Jìn fāngyán yánjiū de lìshǐ, xiànzhuàng yǔ wèilái
https://www1.doshish[...]
[3]
서적
Tàiyuánhuà yīndàng
Shanghai jiaoyu chubanshe
1999
[4]
웹사이트
"[汾阳方言语音教程] 第五课 - 汾阳话拼音方案 ([Fenyang Dialect Phonetics Course] Lesson 5 - Fenyang Dialect Pinyin Scheme)"
https://mp.weixin.qq[...]
2022-04-11
[5]
학회자료
Vowels and Diphthongs in the Taiyuan Jin Chinese Dialect
https://www.isca-spe[...]
2016
[6]
서적
汾阳话与普通话简编 [A Compendium of Fenyang and Mandarin]
山西省汾阳县志办公室 [Shanxi Province Fenyang County Office]
[7]
서적
Tone Sandhi: Patterns across Chinese Dial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
서적
Tone Sandhi: Patterns across Chinese Dial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9]
문서
Xiaoyi fangyan zhi 孝义方言志
Yuwen
1989
[10]
학술지
The origin of Chinese tones
https://shs.hal.scie[...]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and Africa,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24-06-15
[11]
학술지
Audio files of some shangsheng 上声 words in Xiaoyi 孝义 dialect (Shanxi), in the pronunciation of Prof. Guo Jianrong 郭建荣, Oct. 1985
https://stan.hypothe[...]
Hypotheses
2024-06-15
[12]
문서
中国語における「晉方言」のイエス•ノー疑問文の構文パターンについて
[13]
인용
Introduction to Chinese Dialectology
LINCOM Europa
[14]
인용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De Gruyter Mou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