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순 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비음은 조음 방법이 파열음이고, 조음 위치가 양순인 유성 비음 자음이다. 코와 입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며,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일반적인 [m] 외에 구개음화된 [mʲ], 연구개음화된 [mˠ], 인두음화된 [mˤ] 등의 변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비강음 - 비음
    비음은 유성음의 성질을 가지며, 공기가 입술이나 혀에 의해 막혀 코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나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n], [m] 등으로 표기되고, 일부 언어에서는 무성 비음이 존재하며, 음향학적으로 공명음과 장애음의 성질을 갖는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p/)은 양쪽 입술을 막았다 터뜨려 내는 소리로, 한국어 'ㅂ', 'ㅍ'과 유사하며 여러 언어에 존재하지만 일부 언어에는 없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변종을 가진다.
양순 비음
'지도 정보'
'음성학'
'국제 음성 기호'm
'십진수''109'
'엑스-삼파'm
'브라유''134'
'기능''자음'
'조음'
'조음 방법''비음'
'조음 위치''양순음'
'발성''유성음'

2. 특징


  • 조음 방법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양쪽 입술로 조음하는 양순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에서 발성 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 기류의 발생원 - 폐에서의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한 유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아래입술과 위입술에 의한 양순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의 기류 -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와 그 개방에 의한 폐쇄음.
  • ** 구개범의 위치 - 구개범을 내려서 비강으로도 호기를 보낸 비음.

3. 종류

IPA설명
m일반 m
구개음화된 m
연구개음화된 m
인두음화된 m


4. 발음의 예

한국어에서 'ㅁ'은 받침과 단어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마을'은 [mɐɯl]로 발음된다.

영어에서 'm'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him'은 [hɪm]으로 발음된다.

일본어에서 ま행과 みゃ행의 첫소리, 그리고 ぱ행·ば행·ま행 음절 앞의 '(ン)'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豆 (mame)'는 [mäme̞]로 발음된다.

표준 중국어에서 병음 'm'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貓 (māo)'는 [mɑʊ̯˥]로 발음된다.

프랑스어에서 묵음이 아닌 첫소리 'm'과 음절 중간의 'mm'에서 이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manger'는 [mɑ̃ʒe]로 발음된다.

독일어에서 'm'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Maus'는 [maʊ̯s]로 발음된다.

러시아어에서 'м'은 이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муж'는 [muʂ]로 발음된다.

여러 언어에서 의 발생
언어단어IPA의미참고
쿵어m|mkfl[m]'먹다'
아디게어 / [maːza]'달'
아랍어표준어[3]مطابخ|마따비흐ar[maˈtˤɑːbɪχ]'부엌들'아랍어 음운론 참조
아르메니아어동부[4]մայր|마이르hy[mɑjɾ]'어머니'
아시리아 신아람어ܡܪܐ|마라aii[maːra]'소유자'
바스크어maitatu|마이타투eu[majt̪at̪u]'사랑하다'
벵골어মা|마bn[ma]'어머니'벵골어 음운론 참조
카탈루냐어[5]meu|메우ca[ˈmeʊ̯]'나의'카탈루냐어 음운론 참조
체로키어|아마chr[ama˦]'물'
추크치어Mанэгран|마네그란ckt[maneɣɻan]'텐트'
추바시어манăн|마넌cv[manən]'나의'
체코어muž|무슈cs[mʊʃ]'남자'체코어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6]mond|몬트nl[mɔnt]'입'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
디베히어mas|마스디베히어[mas̪]'물고기'디베히어 음운론 참조
에스페란토어tempo|템포eo[ˈtempo]'시간'에스페란토어 음운론 참조
필리핀어manok|마녹fil[maˈnok]'닭'필리핀어 음운론 참조
핀란드어minä|미나fi[ˈminæ]'나'핀란드어 음운론 참조
조지아어[8]საი|사미ka[ˈsɑmi]'셋'
그리스어[9]μάζα|마자el[ˈmaza]'덩어리'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조
구자라트어મોર|모르gu[moːɾ]'수컷 공작'구자라트어 음운론 참조
하와이어[10]maka|마카haw[maka]'눈'하와이어 음운론 참조
힌디어धु|머두hi[məd̪ʱuː]'꿀'힌디어-우르두어 음운론 참조
히브리어אמא|이마he[ˈʔimäʔ]'어머니'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참조
헝가리어ma|머hu[mɒ]'오늘'헝가리어 음운론 참조
인도네시아어[11]masuk|마숙id[ˈmäsʊʔ]'들어가다'
이탈리아어[12]mamma|맘마it[ˈmamma]'엄마'이탈리아어 음운론 참조
카바르디노어 / mazè|마제kbd[maːza]'달'
카가얀어[14]manang|마낭cgc[manaŋ]'언니'
카자흐어кеме|케메kk[keme]'배'카자흐어 음운론 참조
크메르어ខ្មែរ|크마에km[kʰmae]'크메르'크메르어 음운론 참조
림뷔르흐어moer|무르li[muːʁ]'당근'일반적인 예. 베르트 방언의 예시.
리투아니아어mama|마마lt[ˈmɐmɐ]'엄마'
마케도니아어мајка|마이카mk[ˈmajka]'어머니'마케도니아어 음운론 참조
말레이어malam|말람ms[mäläm]'밤'
말라얄람어[15]കമ്മി|검미ml[kəmmi]'부족'
몰타어ilma|일마몰타어[ilma]'물'
마라티어न|먼mr[mən]'마음'마라티어 음운론 참조
무츠운어muruṭ|무룻css[muɾuʈ]'밤'
네팔어मा|아마ne[ämä]'어머니'네팔어 음운론 참조
노르웨이어mamma|맘마no[ˈmɑmːɑ]'엄마'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오지브웨어ᒻ|아나밈oj[ənaːˈmɪm]'고발하다'오지브웨어 음운론 참조
오디아어ମା|마or[mä]'어머니'
페르시아어مادر|마데르fa[mɒdær]'어머니'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
피라하어[ˈmàí̯ʔì]'부모'의 동소체
폴란드어[16]masa|마사pl[ˈmäsä]'질량'폴란드어 음운론 참조
포르투갈어[17]mato|마투pt[ˈmatu]'덤불'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펀자브어ਮੈਂ|멤pa[mɛ̃ː]'나'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môːj]'나의'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운론 참조
슬로바키아어muž|무슈sk[mu̞ʂ]'남자'
슬로베니아어miš|미시sk[mîʃ]'쥐'
스페인어[19]grumete|그루메떼es[ɡɾuˈme̞te̞]'선원'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스와힐리어miti|미티sw[ˈmiti]'나무들'
스웨덴어mask|마스크sv[mask]'벌레'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텔루구어బ్బు|마부te[mabːu]'구름'후음유음 뒤에 올 때 동소체로 나타남
태국어มม|멈맴th[mɔːm.mɛːm]'낡은'태국어 음운론 참조
토키 포나mani|마니tok[mani]'돈'
체즈어 / [mɛ̝t͡s]'혀'
터키어benim|베님tr[be̞ˈn̟ɪm]'나의'터키어 음운론 참조
우크라이나어молоко|몰로꼬uk[mɔɫɔˈkɔ]'우유'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
우르두어مکان|마칸ur[məkaːn]'집'힌디어-우르두어 음운론 참조
위구르어مەن|맨ug[mæn]'나'
우즈베크어men|멘uz[men]'나'
베트남어[20]muối|무오이vi[mwojˀ˧˥]'소금'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웨일스어mam|맘cy[mam]'어머니'웨일스어 음운론 참조
서프리지아어mar|마르fy[mar]'호수'서프리지아어 음운론 참조
이어어ꂷ|마ii[ma˧]'대나무'
사포텍어틸키아판[21]man|만zts[maŋ]'동물'



이 음은 모호크어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언어에 존재한다.

4. 1. 구개음화된 [mʲ]

불가리아어에서 мя́сто|mästobg는 '장소'를 뜻하며, 발음은 [mʲa̟sto]이다. 러시아어에서 медь|měďru는 '구리'를 뜻하며, 발음은 [mʲetʲ]이다.[22]

4. 2. 연구개음화된 [mˠ]

má|마ga아일랜드어에서 '만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로 발음된다. 이는 와 대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egments - m https://phoible.org/[...] 2022-12-27
[2] Wikidata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