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어는 중국 장강 삼각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의 일종으로, 다양한 하위 방언과 독특한 음운, 문법, 어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오나라와 월나라 시대를 거쳐, 4세기와 12세기의 대규모 이주를 통해 발전했으며, 특히 남송 시대에는 문어층이 형성되었다.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시기에는 상하이 방언이 대표적인 오어 방언으로 부상했으며, 문학 작품에서도 사용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표준어 보급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최근에는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어는 북부, 남부, 서부 우어의 세 가지 주요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 내에서도 상호 이해도가 낮다. 음운론적으로는 복잡한 성조 체계와 다양한 자음, 모음 체계를 가지며, 형태론적으로는 표준 중국어와 유사하면서도 고유한 특징을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기본으로 하며, 독특한 어순, 중복 현상, 그리고 어기 조사를 사용한다. 어휘는 고유 어휘와 고한어 차용어, 그리고 외국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 - 장쑤 위성 텔레비전
장쑤 위성 텔레비전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에서 방송되는 텔레비전 채널로, 뉴스, 예능, 드라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해외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 장쑤성 - 장강 삼각주
장강 삼각주는 중국 경제의 핵심 지역이자 량주 문화의 발상지이며, 상하이, 난징, 항저우를 중심으로 광역 도시권이 형성되어 중국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제 중심지이지만 인구 밀도가 높고 해양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 저장성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저장성 - 민중어
민중어는 객가어의 방언으로, 싼밍, 융안, 샤현 지역에서 사용된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우어 | |
---|---|
개요 | |
이름 | 오어 |
원어 이름 | 吳語 (중국어) |
발음 | /ɦəu˨˦ ȵy˧˩/ (쑤저우 음) /ɦu˨ ȵy˦/ (상하이 음) /ɦu˨ ȵy˨˦/ (산인 음) /ŋ˧˩ ȵy˧˦/ (원저우 음) /ŋ˨˦ ȵy˧˩/ (우시 음) /ɦu˩ ȵy˧˩/ (닝보 음) |
간체 | 吴语 |
로마자 표기 | Wu yu (중국어 병음) |
사용 지역 | |
주요 사용 지역 | 상하이시 저장성 장쑤성 남부 안후이성 일부 장시성 일부 |
해외 | 해외 및 이주 공동체 |
사용자 | 오월족 |
언어 통계 | |
사용 인구 | 8339만 7340명 (2021년) |
순위 | 10위 |
언어 계통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 |
방언 | |
분류 | 방언 |
주요 방언 | 타이후 (상하이어 포함) 타이저우 오우장 우저우 추-취 쉬안저우 |
문자 체계 | |
문자 | 한자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wuu |
Glottolog | wuch1236 |
2. 명칭
오 방언 화자들은 대부분 자신의 언어를 가리키는 "오"라는 용어를 알지 못하는데, 이는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오"라는 분류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용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오어를 사용한다"고 말하는 것은 "로망스어를 사용한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며, 표준 중국어처럼 명확하게 정의된 실체가 아니다.
대부분의 화자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이 다른 유사하게 분류된 방언과의 연관성만 인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체 방언군보다는 자신의 지역 오 방언만을 언급한다. 이는 보통 지역의 고유 명칭에 話|말wuu을 붙여서 표현한다. 예를 들어, 溫州話|온주화wuu는 온주 방언을 의미한다. 閒話|한화wuu를 붙이는 것도 흔하며, 특히 북부 오어에서 嘉興閒話|가흥한화중국어 (Wugniu: 가싱개오)처럼 가흥 방언에 사용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이 방언군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오어''' (吳語|오어중국어; 상하이 방언 ɦu˨ ɲy˦|우니wuu; 소주 방언 ɦoʊ˨ ɲy˦|호우니wuu; 우시 방언 ŋ˨˨˧ nʲy˨|응니wuu; '오어'): 방언학 문헌에서 공식적인 명칭이자 표준적인 참조 용어이다.
- '''오 방언''' (吳方言|오방언중국어): 語|어중국어("언어") 대신 方言|방언중국어("방언")을 붙인 일반적인 명칭으로, 때때로 경멸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
- '''오월어''' (吳越語|오월어중국어): 고대, 특히 전국 시대의 오와 월의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강조하는 시적이고 역사적인 명칭이다.
- '''고에츠어''': 일본어 표기인 ''오월'' (吳越일본어; 고에츠)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Ethnologue''에 나열된 다른 이름 중 하나이다.[1]
- '''장저 방언''' (江浙話|강절화중국어): '장쑤와 저장의 방언'을 의미하며, 이 언어가 두 개의 성에 걸쳐 사용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때때로 사용되는 비표준적인 명칭이다.
- '''강남 방언''' (江南話|강남화중국어): 강남 문화 지역과 이 언어를 연결하는 비표준적이고 덜 일반적인 명칭이다. 이는 향탄에서 사용되는 강남 산업 집단 공통어와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이는 만다린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2] 江北話|강북화중국어(회어)와 대조된다.
3. 역사
한족이 이 지역에 처음 도착한 것은 왕조 이전 시대로 여겨진다. 오호십육국 시대 이후 이동으로 현대 오어로 이어지는 방언이 형성되기 시작했지만, 건강(오늘날 난징)의 관용어는 일반 백성의 언어와는 눈에 띄게 달랐다. 남송 시대에 항저우로 수도를 옮기면서 현대 문어층이 형성되었고, 원과 명 왕조 시대에는 많은 오페라 전통과 구어체 문헌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청 시대에 선교사들이 여러 지역 방언으로 성경을 번역하면서 많은 방언의 정확한 발음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이때 상하이의 경제 호황으로 소주 방언보다 상하이 방언이 우세한 방언이 되었다. 20세기는 표준중국어가 전국적으로 장려되면서 우 방언의 변화에 있어 중요한 시점이었지만, 21세기에는 많은 우 방언에 대한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호 십육국 시대 영가의 난과 같은 사건들로 인해, 서진의 중원 황실은 대규모 북방 이주민들과 함께 남쪽으로 이동하여 강남 지역으로 들어가 건강(오늘날의 난징)에 새로운 수도를 세웠다.[4] 이주민들은 절강성 중부까지 남쪽으로 이동했지만,[4] 많은 이들은 양쯔강 삼각주와 항, 가, 호 평원과 같이 지리적으로 어려움이 적은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5] 이 변화의 초기 단계는 이중언어 사용으로 특징지어졌을 것이다. 일반 백성은 주로 고대 오어나 산둥어나 북쪽 장쑤 방언을 사용했고, 신규 이주민과 구 귀족을 포함한 귀족들은 초기 중세 낙양과 비슷한 방언을 사용했을 것이다.[6] 이러한 언어 상황은 결국 현대 오어의 형성으로 이어졌으며, 오늘날 구분하기 어려운 많은 초기 층위가 존재한다. 백월의 언어가 언제 사멸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후한 시대에는 지역 주민들의 일상 언어에서 크라이-다이어 어휘가 기록되었고,[6] 서진 말기에는 이 지역의 공통어는 한어였다.[7]
오나라 시대 초기, 남쪽 귀족(오어 사용 지역)의 언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들의 언어가 오어나 북방 방언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8] 그러나 일반 대중 사이의 주요 언어는 한어였지만, "교양 있는" 언어로 여겨지지는 않았다.[9] 이 일반 백성의 언어는 강동 한어(古江東方言|고강동방언중국어)였을 것이며, ''위서''에서 야생 동물의 울음소리에 비유하여 강동의 언어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10] 당시 건강의 관용어는 일반 오어와 동일하지 않았지만, 밀접하게 관련되었을 것이다.[9] 이 시기는 일본어의 ''고온''(呉音|오음일본어; Hepburn: ''go-on''; pinyin: ''Wúyīn'') 음독이 차용된 시기이며, 중세 건강의 방언에서 차용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11][12]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우어 사용 지역에서 표준어(普通话, Pǔtōnghuà)의 강력한 보급은 우어 발전에 다시 한번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적의 이해를 피하기 위해 웬저우 방언이 사용되기도 했다.[5] 우어 방언들은 점차 현대 매체와 학교에서 배제되었다. 우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주민 인구 유입[7]과 공공 매체 및 기관의 표준어 독점, 표준어 보급 조치로 인해 우어 보급과 규범화는 불가능해졌고, 표준어화에 더 취약해졌다.[8] 1992년, 상하이 학생들은 캠퍼스에서 상하이 방언을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9] 현재 우어는 공식적인 지위나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승인된 로마자 표기법도 없다.[10]
표준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우어 방언에 거의 유창하지 못한 어린이들이 늘어났다.[11] 이로 인해 우어 보존과 기록이 강화되었으며, 전국 2,791개 지역(우어 지역 121개 포함)을 조사한 『중국 방언 지리 아틀라스』가 주요 시도였다. 이는 모든 지역의 디지털 녹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이어졌지만,[12]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아틀라스 편집자 차오즈윈(曹志耘)은 이 언어들을 "멸종 위기"로 간주하고 濒危方言|빈위방언중국어('멸종 위기 언어' 또는 '멸종 위기 지역 언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13] 그러나 『글로토로그』및 『에스놀로그』와 같은 주요 국제 데이터베이스는 이와 유사한 의견을 공유하지 않는다.[14]
최근 우어 방언으로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이 늘고 있지만,[15] 황금 시간대에는 방송될 수 없다.[16] 항저우의 "阿六頭説新聞|아류터우숴신원중국어"("올드 리우토우가 뉴스를 전해드립니다")와 같이[17] 많은 프로그램이 해당 방언으로 지역 뉴스를 제공하지만, 대부분 15분으로 제한되어 있다. 유쿠와 투두와 같은 동영상 사이트는 우어 방언으로 된 사용자 업로드 오디오 및 비디오 미디어를 호스팅하는데, 지역 TV 프로그램, 사용자가 만든 노래 등이 있다. 소저우 방언과 상하이 방언을 배우는 책도 출판되었으며,[18] 후자는 국제적인 제목도 가지고 있다.[19]
오늘날 우어 보존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매우 강하며,[20] 『바쁜 B』와 『상해의 꽃』과 같은 영화와 TV 프로그램이 우어 방언(상하이 방언)으로 제작되었다.[21] 광고와 간판, 정부 매체에서도 비'''임시변통'''적인 표기법으로 쓰인 우어를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22]
3. 1. 고대 및 초기 왕조 시대
한족 이주 이전에 강남 지역에는 초기 중국인들에 의해 오랑캐로 불렸던 크라이-다이어족 또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거주하고 있었다.전통적인 역사에 따르면, 오나라 태백(太伯)이 상나라 시대에 이 지역에 정착하여 많은 인구와 중국식 행정 관습을 가져와 오나라를 건국했다.[2] 오나라의 대다수 인구는 중국인들과 매우 다른 관습과 풍습을 가진 고대 백월 사람들이었다.
여씨춘추에는 오나라와 월나라의 풍습과 언어가 같았다고 기록되어 있다.[2] 이것은 이 지역의 백월 언어뿐만 아니라 귀족들이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고대 오나라 방언인 한자어에도 해당한다. 이 고대 오나라 방언은 오늘날과 같이 양자강이 아닌 회하(淮河)가 북쪽 경계였으며, 남쪽 경계는 복건성까지 이르렀을 가능성이 있다. 원시 민(閩)어가 고대 오나라 방언의 자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완전히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곽복(275~324) 시대에 이르러서는 고대 오나라 방언이 사용되던 지역을 포함하여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방언의 차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었다. 중원(中原)으로부터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이 언어는 북쪽으로부터 서서히 후퇴하여 서진 말기에 이르러서는 양자강 근처에서 북쪽 경계가 설정되었다. 그러나 모든 현대 오어 방언이 절운 체계를 사용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 고대 중국어 방언이 오늘날 오어의 주요 기원이 될 수는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어는 진(秦)나라와 한(漢)나라 시대에 꾸준히 발전했다.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에 군(郡)이 설치되고 군대가 주둔하게 되면서, 이주민들은 주로 오(吳)(현재 소주), 회지(會稽)(현재 소흥), 만령(萬齢)(현재 선성), 무령(茂陵)(현재 남경) 등 중요한 도시에 정착하여,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언어가 발전해 나갔다.
이 시기는 우어 사용 지역으로의 두 차례의 대규모 이주 물결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주로 산둥성 산악 지대에서 기원한 4세기에 발생했고, 두 번째는 12세기에 발생하여 하락 지역에서 기원했다.
3. 1. 1. 비(非)한어 기층
오어는 크메르-다이어족 계통의 차용어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하이 교외 마치아오(馬橋) 방언 연구에 따르면, 조사된 약 1000개의 어휘 중 126개가 크메르-다이어 계통이었다. 예를 들어, '가지'를 뜻하는 落蘇|luòsū중국어(오어: ''8loq-su1'')는 객가어( , 백음: ''lag8 sou1'')뿐만 아니라 표준 장족어(lwggwzza)와 같은 크메르-다이어와도 공유된다.[1]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공유되는 용어도 제안되었지만, 베트남어의 đầm|đầmvi, bèo|bèovi, kè|kèvi와 같은 많은 용어는 지역적 특징이거나, 중국어 차용, 또는 억측이라는 주장도 있다.[2]
다음은 마치아오 오어 방언에서 나타나는 크메르-다이어족과의 음운 대응 및 어휘 비교표이다.
크메르-다이어 | 마치아오 오어 방언 | 의미 |
---|---|---|
-m, -n이 -ŋ으로 변화 | ||
tam|tam33za (장족어) | təŋ354 | 발걸음 跺|duò중국어 |
fa:n|fa:n31sui (수이족어) | fəŋ55 du53 | 코골다/코골음 鼾|hān중국어 |
ɕam|ɕam21za (장족어) | pəʔ33 ɕhaŋ435 | 즐거워하다 (游|yóu중국어 玩|wán중국어) |
종성/모음 누락 | ||
va:n|va:n31li55za (장족어) | ɑ:31 li33 | 아직도, 여전히 尚|shàng중국어;还|hái중국어 |
tsai|tsai55za (장족어) | tsɔ:435 | 갈다 犁|lí중국어(地|dì중국어) |
thaŋ55 (다이어) | dᴇ354 | 구멍/웅덩이 坑|kēng중국어 |
hai|hai21za (장족어) | hɑ53 | 오물 污垢|wūgòu중국어 |
za:n|za:n11bo (부예이족어) | ɕhy55 zᴇ53 | 건물/방 房子|fángzi중국어 |
kăi13 (다이어) | kᴇ435 | 가까이 다가가다 靠拢|kàolǒng중국어 |
fɤŋ13 (다이어) | fɛ435 | 흔들리다/흔들다 摆动|bǎidòng중국어 |
ɕa:ŋ|ɕa:ŋ33bo (부예이족어) | ɕhɑ55 tsɑ53 | 유능한/능력있는 能干|nénggàn중국어 |
tjeu|tjeu44mww (마오난족어) | thɛ435 | 기어가다 爬|pá중국어 |
종성 성문 폐쇄음 -ʔ이 됨 | ||
loŋ|loŋ21za (장족어) | lɔʔ33 | 아래/밑 下|xià중국어(雨|yǔ중국어) |
kem|kem55za (장족어) | tɕiʔ33 ku53 | 뺨 腮|sāi중국어 |
kam|kam33za (장족어) | kheʔ55 | 누르다 按|àn중국어 |
kau|kau33 son213lis (옹베어) | khəʔ55 tɕoŋ55 | 졸다/낮잠자다 瞌睡|kēshuì중국어 |
tɯ|tɯ11bo (부예이족어) | ʔdəʔ55 | 끝/극단 端|duān중국어 |
ka:u|ka:u11bo (부예이족어) | kuaʔ55 | 쪼개다/금가다 裂|liè중국어 |
peu|peu55sui (수이족어) | pəʔ33 ɕaŋ435 | 즐거워하다(游|yóu중국어)玩|wán중국어 |
-m, -n이 -ŋ으로 변화 | ||
kam11 (다이어) | kaŋ354 | 받치다/지지하다 撑住|chēngzhù중국어 |
tsam|tsam13sui (수이족어) | tshoŋ53 | 머리를 조아리다 低头|dītóu중국어 |
종성/모음 누락 | ||
ve:n|ve:n55za (장족어) | ve:55 | 걸다/매달다 悬挂|xuánguà중국어;吊|diào중국어 |
lɒi55 (다이어) | lu354 | 산/언덕 山|shān중국어(地名用|dìmíngyòng중국어) |
xun—55 (다이어) ha:k|ha:k55za (장족어) | xɔ55 lɔ53 | 관리/공무원 官|guān중국어 |
məu|məu53kmx (동족어) | nɑ55 mo53 | 올챙이 蝌蚪|kēdǒu중국어 |
pai|pai21za (장족어) | pɛ435 fu53 | 회수 접미사 趟|tàng중국어;次|cì중국어 |
la:m|la:m33za (장족어) | lɛ435 | 묶다 拴|shuān중국어(牛|niú중국어) |
tsam|tsam33sui (수이족어) | tsɿ55 | 머리를 조아리다 低头|dītóu중국어 |
(ɣa:i|ɣa:i42za) ɕa:i|ɕa:i42za (장족어) | ɕɑ:354 | 매우, 아주, 매우 很|hěn중국어 |
종성 성문 폐쇄음 -ʔ이 됨 | ||
sa:ŋ|sa:ŋ33kmx səu|səu53kmx (동족어) | seʔ33 zo55 ɦɯ11 | 마법사/마술사 巫师|wūshī중국어 |
tɕe|tɕe31bo (부예이족어) | tɕiʔ55 ɕhiŋ55 | 시장/바자 集市|jíshì중국어 |
pleu|pleu55za (장족어) | pəʔ33 | 옮기다 搬|bān중국어 |
wen|wen55kmx (동족어) | veʔ33 | 붓다 倒|dào중국어(水|shuǐ중국어) |
thăi55 (다이어) | theʔ55 | 잡초를 제거하다 耘|yún중국어 |
ta55 jɯ55 (다이어) | teʔ55 | 눈을 가늘게 뜨다 眯|mī중국어 |
lom|lom24za (장족어) | lɔʔ33 nɒn35 | 함정/가라앉다 陷|xiàn중국어 |
ɣa:i|ɣa:i42za (ɕa:i|ɕa:i42za) (장족어) | ʔɔʔ55 | 매우/아주/매우 很|hěn중국어 |
tom13 (다이어) | thoʔ55 | 요리하다/끓이다 煮|zhǔ중국어(肉|ròu중국어) |
중국-티베트어족, 크메르-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로랑 사가르는 몇 가지 가능한 계통적 연관성을 제시했다. 특히 타이카다이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은 조상 형태 간의 소수 동족어 때문에 중국-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혼동하면 안 됨)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증거도 제시했다.[3] 그러나 그의 견해는 경쟁 가설 중 하나일 뿐이며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4] 자세한 내용은 중국-오스트로네시아어족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오어 방언에는 비한어(非漢語)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계층의 다른 언어와 동족어인 단어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는 드물고, 오어는 전반적으로 다른 중국어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았지 다른 언어의 영향은 미미하다.
3. 2. 중세 시대
한족의 이동 이전에 강남 지역에는 초기 중국인들에 의해 오랑캐로 불렸던 크라이-다이어족 또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역사에 따르면, 오나라의 태백이 상나라 시대에 이 지역에 정착하여 많은 인구와 중국식 행정 관습을 가져와 오나라를 건국했다. 오나라의 대다수 인구는 중국인들과 매우 다른 관습과 풍습을 가진 고대 백월 사람들이었다.여씨춘추에는 오나라와 월나라의 풍습과 언어가 같았다고 기록되어 있다.[2] 이것은 이 지역의 백월 언어뿐만 아니라 귀족들이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은, 고대 오나라 방언인 한자어에도 해당한다. 이 고대 오나라 방언은 오늘날과 같이 양자강이 아닌 회하가 북쪽 경계였으며, 남쪽 경계는 복건성까지 이르렀을 가능성이 있다. 원시 민어가 고대 오나라 방언의 자손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완전히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곽복(275~324) 시대에 이르러서는 고대 오나라 방언이 사용되던 지역을 포함하여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방언의 차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었다. 중원(中原)으로부터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이 언어는 북쪽으로부터 서서히 후퇴하여 서진 말기에 이르러서는 양자강 근처에서 북쪽 경계가 설정되었다. 그러나 모든 현대 오어 방언이 절운 체계를 사용한다는 사실 때문에, 이 고대 중국어 방언이 오늘날 오어의 주요 기원이 될 수는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어(吳語)는 상당수의 크메르-다이(Kra-Dai)어 계통의 차용어를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해 교외 마교(馬橋, Minhang district)에서 사용되는 방언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조사된 약 1000개의 어휘 중 126개가 크메르-다이어 계통이었다. 落蘇|낙소중국어(오어: ''8loq-su1'' "가지")와 같은 용어는 다른 한자어 계통 언어(예: 객가어, 백음: ''lag8 sou1'')뿐만 아니라 크메르-다이어(예: 표준 장족어 lwggwzza)와 공유된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공유되는 용어도 제안되었지만, 월남어 đầm|담vi, bèo|배오vi, kè|객vi와 같이 많은 용어는 지역적 특징, 변장된 중국어, 또는 억측이라는 주장도 있다.
크메르-다이어 | 마치아오 오어 방언 | 의미 |
---|---|---|
-m, -n이 -ŋ으로 변화 | ||
tam33 (장족어) | təŋ354 | 발걸음 |
fa:n31 (수이족어) | fəŋ55 du53 | 코골다/코골음 |
ɕam21 (장족어) | pəʔ33 ɕhaŋ435 | 즐거워하다 |
종성/모음 누락 | ||
va:n31li55 (장족어) | ɑ:31 li33 | 아직도, 여전히 |
tsai55 (장족어) | tsɔ:435 | 갈다 |
thaŋ55 (다이어) | dᴇ354 | 구멍/웅덩이 |
hai21 (장족어) | hɑ53 | 오물 |
za:n11 (부예이족어) | ɕhy55 zᴇ53 | 건물/방 |
kăi13 (다이어) | kᴇ435 | 가까이 다가가다 |
fɤŋ13 (다이어) | fɛ435 | 흔들리다/흔들다 |
ɕa:ŋ33 (부예이족어) | ɕhɑ55 tsɑ53 | 유능한/능력있는 |
tjeu44 (마오난족어) | thɛ435 | 기어가다 |
종성 성문 폐쇄음 -ʔ이 됨 | ||
loŋ21 (장족어) | lɔʔ33 | 아래/밑 |
kem55 (장족어) | tɕiʔ33 ku53 | 뺨 |
kam33 (장족어) | kheʔ55 | 누르다 |
kau33 son213 (링가오어) | khəʔ55 tɕoŋ55 | 졸다/낮잠자다 |
tɯ11 (부예이족어) | ʔdəʔ55 | 끝/극단 |
ka:u11 (부예이족어) | kuaʔ55 | 쪼개다/금가다 |
peu55 (수이족어) | pəʔ33 ɕaŋ435 | 즐거워하다 |
크메르-다이어 | 마치아오 오어 방언 | 의미 |
---|---|---|
-m, -n이 -ŋ으로 변화 | ||
kam11 (다이어) | kaŋ354 | 받치다/지지하다 |
tsam13 (수이족어) | tshoŋ53 | 머리를 조아리다 |
종성/모음 누락 | ||
ve:n55 (장족어) | ve:55 | 걸다/매달다 |
lɒi55 (다이어) | lu354 | 산/언덕 |
xun—55 (다이어) ha:k55 (장족어) | xɔ55 lɔ53 | 관리/공무원 |
məu53 (동족어) | nɑ55 mo53 | 올챙이 |
pai21 (장족어) | pɛ435 fu53 | 회수 접미사 |
la:m33 (장족어) | lɛ435 | 묶다 |
tsam33 (수이족어) | tsɿ55 | 머리를 조아리다 |
(ɣa:i42) ɕa:i42 (장족어) | ɕɑ:354 | 매우, 아주, 매우 |
종성 성문 폐쇄음 -ʔ이 됨 | ||
sa:ŋ33 səu53 (동족어) | seʔ33 zo55 ɦɯ11 | 마법사/마술사 |
tɕe31 (부예이족어) | tɕiʔ55 ɕhiŋ55 | 시장/바자 |
pleu55 (장족어) | pəʔ33 | 옮기다 |
wen55 (동족어) | veʔ33 | 붓다 |
thăi55 (다이어) | theʔ55 | 잡초를 제거하다 |
ta55 jɯ55 (다이어) | teʔ55 | 눈을 가늘게 뜨다 |
lom24 (장족어) | lɔʔ33 nɒn35 | 함정/가라앉다 |
ɣa:i42 (ɕa:i42) (장족어) | ʔɔʔ55 | 매우/아주/매우 |
tom13 (다이어) | thoʔ55 | 요리하다/끓이다 |
중국-티베트어족, 크메르-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로랑 사가르(Laurent Sagart)는 몇 가지 가능한 계통적 연관성을 제시했다. 특히, 타이-카다이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은 조상 형태 간의 소수의 동족어 때문에 중국-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혼동하면 안 됨)에 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훨씬 더 미약하지만 일부 증거도 있다. 그러나 그의 견해는 이들 언어의 계통 발생에 대한 경쟁 가설 중 하나일 뿐이며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중국-오스트로네시아어족 문서를 참조.
오어 방언에는 비한자어(非漢語)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계층의 다른 언어와 동족어인 단어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어는 드물고, 오어는 전반적으로 다른 중국어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았지 다른 언어의 영향은 미미하다.
오호 십육국 시대와 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북방 민족의 남하로 인해 오어는 북방 방언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영가의 난 이후 서진의 중원 황실이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대규모 북방 이주민들이 강남 지역으로 유입되었고, 이들은 건강(오늘날의 난징)에 새로운 수도를 세웠다. 이주민들은 절강성 중부까지 남쪽으로 이동했지만, 상당수는 양쯔강 삼각주와 항, 가, 호 평원과 같이 지리적으로 어려움이 적은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 이러한 변화는 이중 언어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 백성은 고대 오어나 산둥성, 북부 장쑤성 방언을 사용했고, 귀족들은 초기 중세 낙양과 비슷한 방언을 사용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오어가 통합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북방 오어와 남방 오어의 대립이 대체로 형성되었다. 정강의 변으로 송나라 황실이 남송으로 이동하고, 중국 북부에서 많은 이민이 항저우로 들어왔기 때문에, 항저우 방언은 한어의 영향을 받게 되어, 백독(白讀)이 대량으로 사라지고, 주변의 오어와의 차이가 현저해졌다.
3. 2. 1. 남북조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에 영가의 난과 같은 사건들로 인해, 서진의 중원 황실은 북방 이주민들과 함께 남쪽으로 이동했다.[4] 이들은 주로 강남 지역으로 이주하여 건강(오늘날의 난징)에 새로운 수도를 세웠다.[4] 이주민들은 절강성 중부까지 남쪽으로 이동했지만,[4] 상당수는 양쯔강 삼각주와 항, 가, 호 평원과 같이 지리적으로 어려움이 적은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5]이러한 변화 초기에는 이중 언어 사용이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 백성은 주로 고대 오어나 산둥성, 북부 장쑤 방언을 사용했고, 귀족들은 초기 중세 낙양과 비슷한 방언을 사용했을 것이다.[6] 이러한 언어 상황은 결과적으로 현대 오어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 구분하기 어려운 많은 초기 층위가 존재한다.[6] 백월의 언어가 언제 사라졌는지는 불분명하지만, 후한 시대에는 지역 주민들의 일상 언어에서 크라이-다이어 어휘가 기록되었고,[6] 서진 말기에는 이 지역의 공통어는 한어였다.[7]
오나라 시대 초기에도 남쪽 귀족(오어 사용 지역)의 언어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그들의 언어가 오어나 북방 방언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8] 그러나 증거에 따르면 일반 대중 사이의 주요 언어는 한어였지만, "교양 있는" 언어로 여겨지지는 않았다.[9] 이러한 일반 백성의 언어는 강동 한어(古江東方言|고강동방언중국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위서''에서 야생 동물의 울음소리에 비유하여 강동의 언어를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10] 당시 건강의 관용어는 일반 오어와 동일하지는 않았지만,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9]
이 시기는 일본어의 ''고온''(呉音|오음일본어; Hepburn: ''go-on''; pinyin: ''Wúyīn'') 음독이 차용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음독은 중세 건강의 방언에서 차용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11][12]
3. 2. 2. 두 번째 황금기
수나라 양제와 그의 소황후는 중세 오어의 대표적인 화자이다.[3] 소황후의 조부 서량 선제는 양 무제의 신하였는데, 건강에서 오어를 배웠을 가능성이 높다.[3] 수나라의 운서 절운 서문에는 오어와 초 방언이 "때때로 너무 부드럽고 가볍다"고 언급되어 있다. 당나라 영웅 설인귀에 대한 이야기인 "薛仁貴跨海征遼故事"(說晿詞話wuu)는 소주어로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안사의 난 이후 북부 오어 사용 지역으로의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는데, 이는 오늘날 남북 지리적 분열을 야기했다는 주장이 있다. 송나라 시대에 항주 오어의 한 방언인 가 처음 기록되었다. 1200년부터 1285년까지 살았던 의 는 로 쓰여졌으며, 1320년에 출판되었다.
경강의 변 이후 남송 시대가 시작되며, 송나라의 수도는 변경(현재의 개봉)에서 임안(항주)으로 옮겨졌다. 이는 황하 남쪽 중원의 낙양에서 개봉까지 이어지는 하락 지역에서 온 대규모 이주와 일치한다. 이들은 당시 오어와 음운론적, 어휘적으로 다를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 형태론적으로도 구별되는 언어를 가져왔다. 이러한 고한어의 영향은 당시 궁중어이기도 했던 현대 문어층의 형태로 나타났다.
3. 3. 후기 왕조 및 탈(脫)왕조 시대
원나라 시대 이후 구어체 문헌이 등장하면서 오어의 역사는 더욱 명확해졌다. 몽골의 중국 정복 이후, 중국 오페라 공연에서 고전 중국어 대신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구어체 표현이 더욱 폭넓게 수용되기 시작했다.[1] 이는 북방과 남방 우(吳) 방언 지역 모두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1]일본 가마쿠라 시대에 도입된 당음(唐音, 唐音일본어; Hepburn: ''tō-on''; Pinyin: ''Tángyīn'')은 그 이름과는 달리, 송나라 말기 또는 원나라 초기 절강성 북부의 구어에 크게 기반을 두고 있다.[2] 당시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오늘날의 우 방언과 13세기의 우 방언 사이에는 뚜렷한 음성적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2]
명나라 시대에는 수주 평탄과 같은 지역 오페라가 계속 발전하고, 더 많은 구어체 텍스트가 작성되었다. 특히, 『수호전』과 같은 당대 고전 소설들은 항주 방언의 어휘와 구문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4]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원-명 교체기)에는 홍건적의 난과 같은 사건들로 인해 강회 지역에서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홍무제(洪武帝)는 소주, 송강(상하이), 가흥, 항주 등 북부 오어 사용 지역의 강남 사람들에게 현대 장쑤성 중부의 인구가 감소된 지역으로 재정착할 것을 명령했다.[4] 몇십 년 후에는 왜구 해적을 피하기 위해 더 많은 이주가 발생했다.[4] 이러한 이주는 통태어와 같은 서쪽 회어 집단에서 오어와 유사한 특징이 나타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
명나라 시대까지는 방언의 차이가 텍스트 자료에서 그다지 명확하지 않았으며, 지역 언어적 차이는 원나라 멸망 후 매체에서야 나타났다.[4] 이러한 차이는 역사적 민요와 판서(일종의 발라드 또는 서정시)와 같은 음악 자료에서 주로 발견된다.[4]
16세기의 문기집이라는 텍스트에는 각지향음(各地鄉音)이라는 장이 있는데, 여러 지역의 용어 발음을 기록하고 있다.[4] 『절운』의 서문과 달리, 이 책은 후강의 초기 남서부 표준 중국어 즉, 초어와 오어를 구분한다.[4]
초기 청나라 시대의 우어 문헌들은 명나라 시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당시 작품으로는 「청충보」( 清忠譜wuu) 와 초기 청나라의 백화 소설인 「두붕한화」( 豆棚閒話wuu) 가 있다. 18세기 동안 「상어(上語)」에서 보이는 것과는 상당한 어휘 변화가 일어났는데, 당시의 자료들은 대부분 오페라 형태였다.
후기 청나라 시대부터 중화민국 시대(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걸쳐 「상하이의 사창가 여인들」( 海上花列傳중국어) 과 「구미호」( 九尾龜중국어) 와 같은 장편 구어체 소설( 蘇白小說wuu 또는 吳語小說wuu) 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태평천국 운동 이후 표준 중국어 사용 지역 출신의 많은 이주민들이 우어 사용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 결과 선주 우어는 상당히 축소되었으며, 주로 양자강 근처에서 일부 영토 변화와 계층화가 발생했다.
루쉰과 조원렴과 같이 공용어로 구어 중국어를 지지했던 중요 인물들은 북부 우어 방언, 즉 소흥어와 창저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12][13] 온주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도청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3. 3. 1. 원나라 시대
몽골의 중국 정복 이후, 중국 오페라 공연에서 고전 중국어 대신 지역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구어체 표현이 더욱 폭넓게 수용되기 시작했다.[1] 이는 북방과 남방 우(吳) 방언 지역 모두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1]일본 가마쿠라 시대에 도입된 당음(唐音, 唐音일본어; Hepburn: ''tō-on''; Pinyin: ''Tángyīn'')은 그 이름과는 달리, 송나라 말기 또는 원나라 초기 절강성 북부의 구어에 크게 기반을 두고 있다.[2] 당시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오늘날의 우 방언과 13세기의 우 방언 사이에는 뚜렷한 음성적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2]
3. 3. 2. 명나라 시대
명나라 시대에는 지역 오페라가 발전하고 구어체 텍스트가 많이 작성되었다. 특히, 당대 고전 소설인 『수호전』은 항주 방언의 어휘와 구문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4]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원-명 교체기)에는 홍건적의 난과 같은 사건들로 인해 강회 지역에서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홍무제(洪武帝)는 소주, 송강(상하이), 가흥, 항주 등 북부 오어 사용 지역의 강남 사람들에게 현대 장쑤성 중부의 인구가 감소된 지역으로 재정착할 것을 명령했다.[4] 몇십 년 후에는 왜구 해적을 피하기 위해 더 많은 이주가 발생했다.[4] 이러한 이주는 통태어와 같은 서쪽 회어 집단에서 오어와 유사한 특징이 나타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
명나라 시대까지는 방언의 차이가 텍스트 자료에서 그다지 명확하지 않았으며, 지역 언어적 차이는 원나라 멸망 후 매체에서야 나타났다.[4] 이러한 차이는 역사적 민요와 판서(일종의 발라드 또는 서정시)와 같은 음악 자료에서 주로 발견된다.[4] 예를 들어, 명나라 시대에 풍몽룡이 장쑤성 남부와 저장성 북부(현재 북부 오어가 사용되는 지역)에서 수집한 산곡집은 어휘에서 현대 오어의 명확한 흔적을 보여준다.[4] 오어로 쓰여졌거나 일부분에 오어가 사용된 다른 명나라 문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4]
- 삼언(三言|삼언wuu), 풍몽룡이 편찬한 수집된 이야기 3부작[4]
- 이박(二拍|이박wuu), 령몽추의 단편 소설 두 편[4]
- 형세언(型世言|형세언wuu), 륙인룡(陸人龍|륙인룡wuu)이 기록한 소설[4]
- 환사기(浣紗記|환사기wuu), 양진어(梁辰魚|양진어wuu)의 오페라[4]
- 묵한재정본전기(墨憨齋定本傳奇|묵한재정본전기wuu), 풍몽룡의 작품[4]
- 고장절진(鼓掌絕塵|고장절진wuu), 명나라 후기 소설집[4]
- 발중련(缽中蓮|발중련wuu), 저자 미상[4]
이러한 작품들은 소수의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현대 표준 중국어, 고전 중국어 또는 현대 오어 방언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4] 그러나 이들은 현대 오어에 존재하는 많은 독특한 어휘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명사와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4] 하지만 이러한 오어 방언의 이전 독특한 특징들이 모두 현재 방언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4] 이러한 작품들은 또한 고전어에는 없는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하게 형성된 한자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일부 일반적인 한자들을 음차로 사용하여 독특한 오어 어휘를 표현했다.(한자 분류 참조)[4]
16세기의 문기집이라는 텍스트에는 각지향음(各地鄉音)이라는 장이 있는데, 여러 지역의 용어 발음을 기록하고 있다.[4] 『절운』의 서문과 달리, 이 책은 후강의 초기 남서부 표준 중국어 즉, 초어와 오어를 구분한다.[4] 이 장은 다음과 같은 현대 오어의 전형적인 특징을 기록하고 있다.[4]
- 打|타중국어는 종지음을 가진 단어 (打為黨|타위당중국어)[4]
- 解|해중국어 (解為嫁|해위가중국어) 와 같은 단어에서의 마지막 활음 소실[4]
- 끝소리 '-yu' (Wugniu) (豬為知|저위지중국어)[4]
- 역사적으로 유성음이었던 초성의 유성화(그리고 북부 오어로 유명한 숨소리 또는 "웅얼거림"일 수도 있다)(辰為人|진위인중국어, 范為萬|범위만중국어 등)[4]
3. 3. 3. 청나라 시대 및 중화민국 시대
초기 청나라 시대의 우어 문헌들은 명나라 시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당시 작품으로는 「청충보」( 清忠譜wuu)와 초기 청나라의 백화(白話) 소설인 「두붕한화」( 豆棚閒話wuu)가 있다. 18세기 동안 「상어(上語)」에서 보이는 것과는 상당한 어휘 변화가 일어났는데, 당시의 자료들은 대부분 오페라 형태였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주백구」( 綴白裘wuu)에 수록된 오페라(특히 곤곡 오페라) 작곡가 전덕창( 錢德蒼wuu)의 작품과 심기봉( 沈起鳳|중국어 )이 쓴 전설인 「심씨사종」( 沈氏四種wuu) 뿐만 아니라 수많은 탄츠( 彈詞wuu) 발라드가 있다.[2]후기 청나라 시대부터 중화민국 시대(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걸쳐 「상하이의 사창가 여인들」( 海上花列傳중국어)과 「구미호」( 九尾龜중국어)와 같은 장편 구어체 소설( 蘇白小說wuu 또는 吳語小說wuu)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위의 두 예는 모두 음란물이다. 다른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3]
- 「해천홍설기」( 海天鴻雪記wuu)
- 「구미호」( 九尾狐wuu)
- 「관장현형기」( 官場現形記wuu)
- 「오가갑집」( 吳哥甲集wuu)
- 「하전」( 何典wuu)
구어체 표준 중국어로 작품을 쓴 우어 사용 작가들은 종종 「관장현형기」와 「부폭한담」( 負曝閒談wuu)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들의 고유 방언의 흔적을 남겼다.[4][5] 이 시대의 작품들은 변화하는 세상을 묘사하기 위해 우어 방언에 새로운 어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당시 일어나고 있던 큰 사회 변화를 반영한다.[6]
동시에 선교사 조셉 에드킨스는 상당한 양의 자료를 수집하여 상하이 방언에 대한 여러 교육 자료를 출판했으며, 성경을 남부 우어 방언인 진화어와 온주어를 포함한 몇몇 주요 우어 방언으로 번역했다.[7][8]

태평천국 운동 이후 표준 중국어 사용 지역 출신의 많은 이주민들이 우어 사용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 결과 선주 우어는 상당히 축소되었으며, 현재는 안후이성 남부의 산악 고지대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9] 주로 양자강 근처에서 일부 영토 변화와 계층화가 발생했다.[10] 새로 온 회화어 방언은 교외와 시골의 우어 방언을 서서히 대체해왔다. 예를 들어 난징 부의 리수이 현에서는 1960년대까지 회화어 방언이 마을 안에만 국한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시골 지역에서도 우어 방언을 대체하고 있다.[11]
루쉰과 조원렴과 같이 공용어로 구어 중국어를 지지했던 중요 인물들은 북부 우어 방언, 즉 소흥어와 창저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12][13] 온주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도청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3. 3. 4. 1949년 이후 오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우어 사용 지역에 표준어(普通话, Pǔtōnghuà) 보급이 강력하게 추진되면서 우어는 다시 한번 큰 영향을 받았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적의 도청을 막기 위해 웬저우 방언이 암호처럼 사용되기도 했다.[5]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매체와 학교에서 우어 방언 사용이 점차 배제되었다.[6] 우어를 사용하지 않는 이주민 인구 유입,[7] 공공 매체와 기관에서 표준어 사용으로의 전환, 그리고 특정 표준어 보급 조치로 인해 우어의 보급과 표준화는 어려워졌고, 표준어에 더욱 동화되기 쉬운 상황이 되었다.[8] 1992년, 상하이의 학생들은 캠퍼스에서 상하이 방언을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기도 했다.[9] 현재 우어는 공식적인 지위나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승인된 로마자 표기법도 없다.[10]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우어 방언을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표준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어린이들이 늘어났다.[11] 이에 따라 우어 보존 및 기록의 필요성이 커졌고, 전국 2,791개 지역(우어 지역 121개 포함)을 조사한 『중국 방언 지리 아틀라스』가 최초의 주요 시도로 꼽힌다. 이 조사는 모든 지역의 디지털 녹음을 포함하는 정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이어졌지만,[12] 일반 대중에게는 공개되지 않았다. 아틀라스의 편집자인 차오즈윈(曹志耘)은 이러한 많은 언어를 "멸종 위기"로 간주하고 濒危方言|빈위방언중국어('멸종 위기 언어' 또는 '멸종 위기 지역 언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촉구했다.[13] 그러나 『글로토로그』및 『에스놀로그』와 같은 주요 국제 데이터베이스는 이와 다른 견해를 보인다.[14]
최근에는 우어 방언으로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이 늘고 있지만,[15] 황금 시간대에는 방송될 수 없다.[16]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내용보다는 유쾌한 경향이 있으며, 항저우의 阿六頭説新聞|아류터우숴신원중국어("올드 리우토우가 뉴스를 전해드립니다")와 같이[17] 해당 방언으로 지역 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대부분 15분으로 제한되어 있다. 유쿠와 투두와 같은 인기 동영상 사이트에는 다양한 우어 방언으로 된 사용자 제작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가 많이 올라와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지역 TV 프로그램이지만 일부는 사용자가 직접 만든 노래 등도 있다. 소저우 방언과 상하이 방언과 같은 우어 방언 학습 교재도 여러 권 출판되었으며,[18] 후자는 국제적인 제목도 가지고 있다.[19]
오늘날 우어 보존에 대한 대중의 지지는 매우 강하며,[20] 『바쁜 B』와 같은 장편 영화와 『상해의 꽃』과 같은 매우 성공적인 TV 프로그램이 우어 방언(상하이 방언)으로 제작되었다.[21] 이제 광고와 간판뿐 아니라 정부 매체에서도 비'''임시변통'''적인 표기법으로 쓰인 우어를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22]
4. 분류
중국어의 “7대 언어/방언/변종” 중 하나인 우어는 현대 한어(관화)와 차이가 커서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우어는 크게 북방 우어, 남방 우어, 서방 우어로 나뉘며, 이들 간의 상호 이해도는 낮다. 특히 남방 우어는 중국어 방언 중에서도 내부 다양성이 매우 커서 하위 그룹 간 의사소통이 어렵다.
음절 첫소리 위치의 자음이 음절 끝소리 위치의 자음보다 더 많다. 끝소리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자음 음소만 허용하는데, 하나는 단일 비음이고 다른 하나는 성문 폐쇄음이다.[15][16][17] 그러나 일부 방언은 이러한 규칙에서 벗어나 추가 또는 성문 폐쇄음 생략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우 방언은 일반적으로 절운의 유성 초성(, , , , 등)을 보존하지만, 일부 방언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사라졌다. 파열음은 때때로 우 방언에서 발견되는데, 주로 상하이 교외 방언에서, 그리고 永康話|용강 방언중국어에서도 발견된다.
형태론적으로 많은 수의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모음 질 음운 목록을 가진 게르만어족과 비슷하다. 상하이의 봉현구에서 사용되는 진휘 방언은 20개의 모음 질을 가진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17] 우 방언의 비정상적인 모음 수는 부분적으로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운의 경우 많은 방언에서 짧은 모음으로 분석될 수 있기 때문이며, 긴장도와 같은 독특한 음운 변화, 예를 들어 절운 체계의 '산'(山중국어)과 '함'(咸중국어) 운의 긴장 등 다른 요인들 때문이다.
유성음과 성문 협착음 모두 우 방언에서 발견된다. 유성음은 우 북방 방언에 나타나며, 음절 전체의 음고를 낮추는 저음화 요소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성문 협착음은 태주 방언에서 발견되며, 상성(上聲중국어) 범주와 관련이 있다.
선주 우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매우 독특하며, 다음과 같은 복잡한 음절을 가지고 있다.
- (연치 향, 선성 현 宣城雁翅중국어)
- (경현)
4. 1. 오어 하위 그룹
리룽 등의 《중국언어지도집》(1987)에서는 오어를 6가지 하위 방언(片)으로 구분한다.[15]- 타이후 방언(太湖片): 태호(太湖) 주변에서 사용되며, "북부 오어"라고 하면 이 방언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상하이어와 쑤저우어가 여기에 포함된다.
- 타이저우 방언(台州片)[16]
- 어우장 방언(甌江片)
- 우저우 방언(婺州片): 특히 원저우어를 포함한다.
- 추취 방언(處衢片)
- 쉬안저우 방언(宣州片)
우어는 상호 이해도가 없는 북방 우어와 남방 우어의 두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단어 하나하나를 따로 발음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일상적인 대화는 대부분 불가능하다. 서방 우어(서방 우어)는 선저우 방언과 동의어이며, 북방 우어보다 주변 표준어 방언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고, 독특한 음운 변화를 가지고 있어 다른 우어와 형태론적으로 상당히 다르다. 남방 우어는 언어학자와 한학자들 사이에서 중국어 방언 중 내부적으로 가장 다양한 그룹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하위 그룹 간의 상호 이해도는 매우 낮다.

리융의 ''중국 언어 지도'' 초판에서는 우어가 여섯 개의 그룹(片)으로 나뉘었다.
- '''태호 방언'''(太湖片|태호편중국어): 장쑤성 남부와 저장성 북부, 즉 창저우, 우시, 쑤저우, 남통 동부, 자싱, 후저우 대부분, 항저우 대부분, 샤오싱, 닝보 대부분, 저우산 지역, 상하이시, 그리고 장쑤성의 전장, 태저우, 난징 지역 일부에서 사용된다. 이 그룹은 모든 우어 화자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한다. 이 지역의 지역 방언은 대부분 서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이 그룹은 '''북방 우어'''(北部吳語|북부오어중국어) 혹은 '''운하''' 우어(運河片|운하편중국어)라고도 불린다. ''지도''는 이 그룹을 다음과 같은 하위 그룹(小片)으로 더 세분화한다.
- 쑤후자(蘇滬嘉|소호가중국어): 쑤저우, 상하이, 자싱을 가리킨다.
- 필링: 난징 근처를 가리킨다.
- 탸오시 또는 샤오시(苕溪|초계중국어): 후저우를 가리킨다.
- 항저우(杭州|항주중국어): 항저우 방언만 포함한다.
- 린샤오(臨紹|임소중국어): 린안과 샤오싱을 가리킨다.
- 용장(甬江|용강중국어): 닝보를 가리킨다.
- '''태저우 방언'''(台州|태주wuu): 저장성 태저우 지역과 그 주변에서 사용되는 다중 중심 방언이다. 태저우 방언은 남방 방언 중 북방 우어와 가장 가깝다.
- '''우강 방언'''(甌江|구강중국어): 저장성 원저우 지역과 그 주변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은 매우 독특하며, 내부적 및 외부적으로 상호 이해도가 매우 낮다. 일부 방언학자들은 원저우의 약칭인 '우'에 '방언'이라는 단어를 붙여 '''우어'''(甌語|구어중국어)라는 단일 음절로 나머지 우어와 별개의 방언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정장 상방은 이것을 '''동우'''(東甌|동구중국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우저우 방언'''(婺州|무주wuu): 저장성 진화 지역과 그 주변에서 사용된다.
- '''추-쿠 방언'''(處衢|처구wuu): 저장성 리수이와 거저우 지역과 장시성 상라오 지역 동부에서 사용된다. ''지도''에서는 이것을 롱쿠(龍衢|용구중국어)와 추저우(處州|처주중국어)의 두 가지 하위 분기로 더 나눈다.
- '''선저우 방언'''(宣州|선주wuu): 안후이성 남부, 난징의 가오춘과 리수이 현에서 사용되는 언어적으로 매우 다양한 방언이다. ''지도''는 이 분기를 타이가오(太高|태고중국어), 통징(銅涇|동경중국어), 쉴링(石陵|석릉중국어)의 하위 분기로 나눈다.
조지윤은 더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남방 우어의 일부 구분을 재정리했다. 조지윤에 따르면, 남방 우어는 세 가지 큰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진쿠'''(金衢|금구wuu): 진화 지역 대부분, 거저우 지역 동부(거저우 자체 포함), 리수이 지역의 진윈 현을 포함한다.
- '''상리'''(上麗|상려wuu)[25]: 두 개의 하위 구분이 있다.
- 상산(上山|상산wuu): 상라오 지역과 거저우 지역 서부의 우어 사용 지역을 포함한다.
- 리수이(麗水|여수wuu): 리수이 지역 대부분, 원저우 지역의 타이순 현, 푸젠성 난핑 지역의 푸청 현을 포함한다.
- '''우강 방언'''(甌江|구강중국어): 평양과 창난 현의 민어 사용 지역을 제외한 원저우 지역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태저우 방언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변경되지 않았다. 이것은 나중에 리의 ''지도'' 두 번째 판에 채택되었다. 북방 우어 하위 구분에 대한 사소한 조정도 이루어졌다.
5. 음운론
오어의 음운 체계는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에 비해 복잡한 편으로, 특히 모음과 성조 체계가 매우 다양하며 방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오어는 대부분의 중국어보다 더 많은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방언들이 매우 복잡한 성조 변화를 보인다.[1] 오어 방언의 음운론은 다양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
자음은 음절 첫소리 위치에 끝소리 위치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 끝소리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자음 음소만 허용하는데, 하나는 단일 비음이고 다른 하나는 성문 폐쇄음이다.[2][3][4] 그러나 일부 방언은 이러한 규칙에서 벗어나 의 추가 또는 성문 폐쇄음의 생략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5][6][7] 오어 방언은 일반적으로 절운의 유성 초성(, , , , 등)을 보존하지만, 일부에서는 사라지기도 한다.[8] 파열음은 때때로 우 방언에서 발견되는데,[9] 주로 상하이 교외 방언에서,[10][11][12] 그리고 永康話|용강 방언중국어에서도 발견된다.[13]
오어는 형태론적으로 많은 수의 모음을 가지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모음 질 음운 목록을 가진 게르만어족과 비슷하다. 상하이 봉현구의 진휘 방언은 20개의 모음 질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17] 이는 성문 폐쇄음으로 끝나는 운의 짧은 모음과 긴장도 같은 음운 변화, 절운 체계의 '산'(山중국어)과 '함'(咸중국어) 운의 긴장 등 여러 요인 때문이다.[18][19][20][21]
유성음과 성문 협착음 모두 우 방언에서 발견된다. 유성음은 우 북방 방언에 나타나며, 음절 전체의 음고를 낮추는 저음화 요소 역할을 할 수 있다.[22][23][24][25][26] 성문 협착음은 태주 방언에서 발견되며, 상성(上聲중국어) 범주와 관련 있다.[27][28]
선주 우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매우 독특하며, 다음과 같은 복잡한 음절을 가진다.
오어 방언들은 일반적으로 7~8개의 음절(toneme)을 가지지만, 방언에 따라 최대 12개 또는 최소 5개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많은 방언에서 역사적 경음 상승(陽上) 성조는 경음 하강(陽去) 성조와 합쳐진다. 입성 음절의 경우, 진화어(金華語)는 다른 성조와 불규칙하게 합쳐지고, 온주어(溫州語)는 짧고 윤곽이 없는 음절 대신 길어진 음절 윤곽을 가진다.
중국어에서 성조 변화는 음운론적, 통사론적, 형태론적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제한적이다. 그러나 오어에서는 이 세 가지 모두 성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중국어의 성조 변화는 좌우 지배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오어에는 두 시스템 모두 존재하며, 대부분의 방언에서 동시에 나타난다. 우측 지배는 품사의 변화와 관련 있고, 좌측 지배는 일반적으로 다음절 용어에서 볼 수 있다.
오어는 다른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많은 한자에 문어적 발음과 구어적 발음이 존재한다. 문어적 발음층은 남송 시대에 황실이 항저우로 옮겨오면서 이 지역에 전래되었다.
5. 1. 자음
오어의 자음 체계는 음절의 첫소리와 끝소리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자음이 분포하며, 절운(切韻)의 유성 초성을 보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청탁 대립: 다른 많은 지역에서 소실된 중국 고대 음운 체계의 전탁음이 보존되어 있으며, 유성 자음 , , , , , , 등이 존재한다. 즉, , , 처럼 무성 무기, 무성 유기, 유성이라는 3계통의 소리가 대립한다.
- 파찰음: 많은 지역에서 치경음 , , , , 만 존재한다.
- 소주 방언과 항저우어 제외: 日泥孃|gnieq, gni, gnianwuu 세 자음을 구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며, , 뒤에 오면 구개음화하여 이 된다.
- 의모 비음 보존: , 介音을 가진 의모 자라면 구개음화하여 니모와 혼동한다. 이모·영모·운모 등과는 혼동하지 않는다.(과 의 대립)
- 惡|상하이wuu “악”≠“악”
- “예”≠“이”
- 니모와 래모(n과 l) 구별: 남방에서는 오어, 일부의 객가어와 일부의 광동어에서 「니래」모가 구별된다.
- , , , , 청탁 대립: (예: 연 — 념), 각각 음양의 성조에 대응하고 있어, 청탁 대립의 일부로 볼 수 있다.
5. 2. 모음
https://web.archive.org/web/20110724204022/http://wu-chinese.com/romanization/ 통용 오어 병음오어 음운 로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