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 소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소제는 쩐 왕조의 제12대 황제 쩐 순종의 장남으로, 1398년 3세의 나이에 즉위했으나 외조부인 호꾸이리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호꾸이리는 쩐 소제를 옹립한 후 국조장황을 자칭하며 전권을 장악했고, 1400년 쩐 소제에게 선양을 강요하여 호 왕조를 건국했다. 쩐 소제는 보령왕으로 봉해졌으나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베트남의 군주 - 자야 심하바르만 3세
자야 심하바르만 3세는 1288년부터 1307년까지 참파 왕국을 통치했으며, 원나라의 침략에 맞서 대월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여러 사원을 건설했다. - 베트남의 실종자 - 호꾸이리
호뀌리는 쩐 왕조 말 권력을 잡고 호 왕조를 세운 인물로, 국가 체제 정비, 개혁 추진, 최초 지폐 발행, 쯔놈 사용 장려, 수도 천도 등을 단행했으나 명나라 침략으로 몰락 후 행적이 묘연하며, 그의 업적은 찬탈자와 개혁가라는 평가가 공존하고, 그가 건설한 호 왕조의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베트남의 실종자 - 쩐까오 (후 레 왕조)
후 레 왕조 시기 쩐까오는 쩐 태종의 후손이자 제석강생을 자처하며 반란을 일으켜 탕롱을 점령했으나 레 왕조군에 패퇴 후 아들에게 지휘권을 넘기고 승려가 되었다. - 1396년 출생 - 미켈로초
미켈로초는 피렌체 출신의 초기 르네상스 건축가이자 조각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와 도나텔로의 제자였으며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메디치 궁전과 산 마르코 수도원 재건축 등 르네상스 건축 발전에 기여했다. - 1396년 출생 - 변효문
변효문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농업 기술 및 법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계해약조 체결 등 외교적 역할도 수행했으나, 만년에 불법 장물 사건으로 파직되었다.
쩐 소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쩐 티에우 데 (陳少帝) |
원어 이름 | 陳少帝 |
칭호 | 대월 황제 |
아버지 | 쩐 투언종 |
어머니 | 성 응우 왕후 |
출생 | 1396년 |
출생지 | 탕롱, 대월 |
사망 | 미상 |
사망지 | 미상 |
매장지 | 탕롱, 대월 |
휘 | 쩐 옌 (陳[[File:安火缺字.svg|15px]]) |
왕조 | 쩐 왕조 |
연호 | 끼엔 떤 (建新) |
묘호 | 없음 |
시호 | 바오 닌 대왕 (保寧大王) |
종교 | 불교 |
통치 | |
즉위 | 1398년 |
퇴위 | 1400년 |
이전 통치자 | 쩐 투언종 |
다음 통치자 | 왕조 붕괴, 호뀌리 (호 왕조) |
기타 정보 | |
베트남어 한자 | 陳少帝 |
2. 생애
쩐 소제는 쩐 왕조 제12대 황제 순종과 흠성황후 여씨의 장남이다. 1398년 아버지 순종이 외할아버지인 호꾸이리에게 강요받아 퇴위하자, 3세의 어린 나이로 황제가 되었다.[10] 그러나 실권은 없었고, 호꾸이리가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다.[5]
1400년 호꾸이리는 소제에게 선양을 강요하여 퇴위시켰다. 이로써 쩐 왕조는 멸망하고 호 왕조가 성립되었다.[12] 소제는 호꾸이리의 외손자였기 때문에 목숨을 건졌고 보령왕(保寧王)으로 봉해졌으나,[12] 그 이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2. 1. 즉위 전
쩐 소제는 1396년에 순종과 호꾸이리의 딸인 흠성황후 여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1] 이름은 쩐 안(陳--)으로 추정되나,[1] 응우옌 왕조 시기 사료인 『흠정월사통감강목』에서는 정확한 한자를 찾을 수 없어 '쩐 소제'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1398년 음력 3월 15일, 호꾸이리의 압력으로 순종은 세 살배기 아들 쩐 소제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상왕의 자리에 머물렀다.[2]2. 2. 즉위 과정
1398년(광태 11년) 3월, 아버지 순종이 외할아버지인 호꾸이리의 압력으로 퇴위하면서 3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하였다.[10] 연호를 끼엔떤(建新, 1398년 ~ 1400년)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어린 소제는 실권이 없었고, 호꾸이리가 국정을 장악하였다.[12]2. 3. 재위 기간
1398년 3월, 아버지 순종이 외할아버지 호꾸이리(胡季犛)에게 강요받아 퇴위하자 소제가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어린 소제는 실권이 없었고, 호꾸이리가 모든 권력을 장악하였다.[5]1399년, 호꾸이리는 장군 팜카빈(Phạm Khả Vĩnh)에게 퇴위한 황제 순종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5] 얼마 후, 팜카빈은 쩐캇쩐(Trần Khát Chân), 쩐항(Trần Hãng), 르엉응우옌비우(Lương Nguyên Bưu) 등 황실 구성원 및 고위 관리들과 연합하여 호꾸이리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실패했다. 호꾸이리는 이들과 그 가족, 노예들까지 370명 이상을 처형했다.[6]
같은 해 6월, 호꾸이리는 스스로를 '국조장황(國祖章皇)'이라 칭하고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의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7] 조정의 혼란을 틈타 응우옌느낏(Nguyễn Như Kịch)이 북서부 지역에서 쩐 왕조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장군 응우옌방끄(Nguyễn Bang Cư)의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7]
1400년 2월, 호꾸이리는 소제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퇴위시켰다. 이로써 쩐 왕조는 멸망하고 호 왕조가 성립되었다.[8]
2. 4. 퇴위와 최후
1400년 2월, 호꾸이리는 쩐 소제에게 선양을 강요하여 퇴위시키고, 호 왕조를 세웠다. 소제는 호꾸이리의 외손자였기에 목숨을 보전받고 보령왕(保寧王)으로 강등되었다.[8][9] 이후 호 왕조 시대와 명나라의 침략 동안 그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3. 연호
4. 가계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大越史記全書 本紀巻之八 陳紀 順宗皇帝
[11]
서적
[12]
서적
大越史記全書 本紀巻之八 陳紀 付胡季犛、漢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