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꾸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꾸이리는 베트남 쩐 왕조 말기에 활동한 인물로, 1400년 쩐 왕조를 멸망시키고 대우(大虞)를 건국하여 황제가 되었다. 그는 쩐 왕조의 외척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수도를 타인호아로 옮기는 등 개혁을 추진했다. 베트남 최초의 지폐를 발행하고 쯔놈 문자를 장려했으나, 명나라의 침공으로 대우는 멸망하고 호꾸이리는 포로로 잡혀 생을 마감했다. 그의 개혁과 찬탈 행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며, 타인호아에 건설한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부마 - 쩐 태종
    쩐 태종은 리 왕조의 마지막 여제로부터 선위를 받아 쩐 왕조를 개창한 초대 황제로, 몽골의 침입을 격퇴하고 국학원 설치 등 여러 제도를 정비하여 왕조의 기틀을 다진 후 태상황이 되어서도 국정에 깊이 관여했으며, 유교와 불교에 정통하여 불교 관련 저작을 남겼다.
  • 쩐 왕조의 관료 - 쩐투도
    쩐투도는 리 왕조 말기에 권력을 장악하여 쩐 왕조를 세우고 태사로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 인물로, 그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다.
  • 호 왕조의 황제 - 호한트엉
    호한트엉은 호꾸이리의 아들이자 쩐 왕조의 공주 휘녕공주의 아들로, 호조의 제2대 황제이며, 명나라의 침공으로 포로가 되어 행적이 알려지지 않았다.
호꾸이리
기본 정보
이름호뀌리
한자 표기胡季犛
로마자 표기Hồ Quý Ly
다른 이름레뀌리 (黎季犛, Lê Quý Ly)
호녓응우옌 (胡一元, Hồ Nhất Nguyên)
리응우옌 (理元, Lý Nguyên)
통치 정보
칭호대우 황제
국가대우
재위 기간1400년 - 1401년
연호성원(聖元)
퇴위 후상황제 (1401년 ~ 1407년)
생애
출생1336년
출생지대월 탄도 아이쩌우, 빈녕 다이라이 마을
사망1407년 10월 22일
가족 관계
아버지레꿕마오
어머니팜 부인
배우자휘녕 공주 (쩐 민 tông의 딸)
자녀호응우옌쯩
호한트엉 (휘녕 공주 소생)
성오 공주 (휘녕 공주 소생, 쩐 투언 tông의 황후)
왕조
왕조
기타 정보
존호흠덕흥렬대왕(欽德興烈大王)
다른 칭호보정해교황제(輔政該教皇帝), 국조장황(國祖章皇)
화폐
호뀌리 치세 하에 주조된 화폐
치세 하에 주조된 화폐

2. 생애

호꾸이리는 베트남 북부 타인호아 출신으로, 그의 조상은 오대 십국 시대에 현재의 중국 저장성에서 베트남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쩐 왕조 제9대 황제 예종의 외척으로, 추밀사를 거쳐 참파의 침공을 격퇴한 공으로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올랐다. 1388년 예종의 조카인 순종을 옹립하고, 1397년 수도를 타인호아로 옮겼다.

1400년, 쩐 왕조의 쇠퇴를 틈타 제13대 황제 소제를 폐위하고 제위를 찬탈, 국호를 대우(大虞)로 하고 레(Lê)씨에서 호(Hồ)씨로 성을 고쳤다. 그러나 곧 아들 호한트엉(Hồ Hán Thương)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다. 베트남 최초의 지폐를 발행하고, 베트남 고유 문자인 쯔놈(Chữ Nôm)을 장려하는 등 개혁을 실시했다. 그러나 명나라 영락제는 쩐 왕조 부흥을 명분으로 1406년 군대를 일으켜 베트남을 침공했고, 이듬해 수도 타인호아가 함락되면서 호꾸이리와 호한트엉 부자는 하띤에서 명나라군에 사로잡혔다. 호꾸이리는 호한트엉, 호응우옌쯩과 함께 명나라 수도 금릉(현재의 난징)으로 압송되었는데, 이후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 난징에서 처형되었다는 설과 영락제의 사면을 받아 광시에서 관리로 일했다는 설이 전해진다.[6][7][8]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호꾸이리는 1336년 베트남 북부 타인호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레꾸이리(Lê Quý Ly)였다.[1] 그의 조상은 오대 십국 시대에 중국 저장성에서 베트남으로 이주해 온 호씨 가문이었다.[2][3] 호꾸이리는 쩐 왕조 황제 쩐 예종의 외척으로, 쩐 왕조에서 벼슬을 시작했다.

1371년, 그는 국왕의 임무를 완수한 후 쩐 민 통 국왕의 공주와 결혼했다. 1375년, 왕실과의 인연을 통해 호꾸이리는 높은 군사 계급을 받았다.

1376년, 참파의 체 봉 응아가 화 짜우로 공격을 시작하자, 쩐 예종은 반격을 위해 군대를 소집했다. 호꾸이리는 응에 안, 떤 빈, 투언 호아에서 물자와 군대를 수송하는 책임을 맡았다. 1380년, 호꾸이리는 타잉 호아에서 참 공격을 막기 위해 도 투 빈과 합류했다. 1382년, 체 봉 응아는 육지와 바다를 통해 타잉 호아로 또 다른 북쪽 공격을 감행했다. 현지 장군 응우옌 다 푸옹은 호꾸이리의 명령을 무시하고 자신의 위치를 떠나 공격하여 참 군대에 일련의 패배를 안겨주고 그들을 남쪽으로 철수하게 했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참파의 침공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고,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가 되었다.[1]

2. 2. 권력 장악

쩐 왕조 제9대 황제 예종의 외척으로서 추밀대사까지 승진했으며, 참파의 침공을 격퇴하고 동중서문하평장사(재상)가 되었다.[2][3] 1388년 예종의 조카를 폐하고 순종을 제12대 황제로 옹립했으며, 1397년 타인호아로 천도했다.

2. 3. 호 왕조 건국과 개혁

1400년, 호꾸이리는 소제를 폐위시키고 스스로 황제에 올라 호 왕조를 건국했다. 그는 국호를 대우(大虞)로 정하고, 자신의 성을 레(Lê)씨에서 호(Hồ)씨로 바꾸었다.[2][3] 호 왕조고대 중국 주나라 시대의 제후국 중 하나인 진의 건국자 호공의 후손을 주장하며[4][5], 호공은 중국 신화군주의 후예로, 호꾸이리에 의해 순은 호 왕조의 시조로 인정되었다.

호꾸이리는 베트남 최초의 지폐를 발행하고, 베트남 고유 문자인 쯔놈(Chữ Nôm)을 장려하는 등 과감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쯔놈으로 서경을 번역하기도 했다. 또한 유교를 장려하고 과거 제도를 개혁하여 능력있는 인재를 등용하고자 했다.

호꾸이리의 연호
호꾸이리원년
서력
(西曆)
1400년
간지
(干支)
경진(庚辰)
연호
(年號)
성원(聖元) 원년


2. 4. 명나라의 침공과 최후

1400년, 쩐 왕조가 쇠퇴하자 소제에게서 제위를 찬탈한 호꾸이리는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 그러나 명나라영락제쩐 왕조 부흥을 구실로 1406년 군대를 일으켜 베트남을 침공했다.[6][7][8] 이듬해 수도 타인호아가 함락되었고, 호꾸이리와 그의 아들 호한트엉은 하띤에서 명나라 군에 사로잡혔다.[6][7][8]

호꾸이리는 아들과 함께 명나라 수도 금릉(현재의 난징)으로 끌려갔다.[6][7][8]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난징에서 처형당했다는 설과 영락제의 사면을 받아 광시에서 관리로 일했다는 설이 있다.[6][7][8]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상호흥일
아버지호국모
어머니팜 티 모
형제호뀌돈, 호뀌옹, 호뀌모, 호뀌함, 호뀌띠
배우자휘 닌 공주, 태자 황후, 응우옌 티 모
자녀호원징 (장군), 호한상 (제2대 황제), 호성우 (쩐 왕조의 황후)
손자호예 (태자), 호응우 랑, 호무꾸, 호뜨 쯔엉, 호뜨 볘프, 쩐 티에우 데


4. 평가와 유산

호꾸이리는 베트남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개혁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일부 학자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를 찬탈자로 여기기도 한다. 호꾸이리는 타잉호아성에 성채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는데, 이 성채의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

4. 1. 긍정적 평가

호꾸이리는 베트남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개혁을 높이 평가한다. 그는 타잉호아성에 성채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는데, 이 성채의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

4. 2. 부정적 평가

호꾸이리는 베트남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개혁을 높이 평가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를 찬탈자로 여긴다.[1] 그는 타잉호아성에 성채를 건설하도록 명령했으며,[1] 이 성채의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

4. 3. 유산

호꾸이리는 베트남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개혁을 높이 평가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를 찬탈자로 여기기도 한다. 그가 타인호아성에 건설하도록 명령한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

5. 작품


  • 國語詩義|국어시의중국어
  • 明道錄|명도록중국어

참조

[1]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4-03-05
[2]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https://books.google[...]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2013-05-09
[3] 서적 Secondary Cities and Urban Networking in the Indian Ocean Realm, C. 1400-1800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4] 서적 Thuyết Trần https://books.google[...]
[5]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ttp://vi.wikisource[...]
[6] 서적 《越南輯略》
[7] 서적 《越南通史》 中国人民大学出版社
[8] 서적 《ベトナム史略》 北京商務印書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