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평군은 백제 시대 굴지현에서 시작하여, 신라 시대 기양현으로 개칭된 후 고려 시대 창평현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창평현과 광주를 오가며 행정 구역이 변동되었고,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창평군으로 개칭되었다. 1896년 전라남도 창평군이 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군면 통폐합으로 폐지되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이후 옥과군 지역은 곡성군으로, 갑향면은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군의 역사 - 담양역
담양역은 1922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선로 철거로 인해 1944년에 폐역되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능주군
능주군은 전라남도에 위치했던 군으로, 긴 역사를 거쳐 다양한 행정구역 명칭으로 존재했으며, 인헌왕후의 관향이자 전라우의군의 활약지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화순군에 통합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광산군
광산군은 1935년 광주군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광주직할시 편입 전까지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 나주군 지역 편입, 광주시와의 지역 조정, 송정읍의 송정시 승격 등의 변화를 겪으며 읍과 면으로 구성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옥구군
옥구군은 백제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명칭으로 불리다가 1914년 군산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옥구군으로 유지되었고, 1995년 군산시와 통합되었다. - 한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마전군
마전군은 현재 연천군 지역에 있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신라 시대 임단현으로 개칭되었다가 고려 시대에 마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연천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창평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대동여지도 |
설명 | 《대동여지도》 |
2. 역사
창평군은 본래 백제 시대 굴지현이었다가 통일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하위 섹션에서 고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간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본래 백제 시대 굴지현(屈支縣)이었다. 757년 기양현(祈陽縣)으로 개칭하고 무주(武州 : 광주광역시)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 '''창평현'''(昌平縣)으로 개칭하고 나주의 속현이 되었다.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창평현의 현리(縣吏) 탁자보(卓自寶)가 남적(南賊)을 제압한 공이 있어서 주현으로 승격하고 현령(縣令)을 두었다고 한다. 1391년 창평현의 현령이 장평부곡(長平部曲)과 갑향(甲鄕)의 권농사를 겸임하였다. 이들은 본래 창평에 속해있었는데, 고려 시대에 나주에 편입되었다가 뒤에 광주에 편입되고, 이때에 다시 창평으로 돌아왔다.2. 2. 조선 시대
1409년(조선 태종 9년) 전라도의 모든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창평현 관내의 장평부곡과 갑향이 폐지되어 직촌이 되었다.1474년(조선 성종 5년) 강구연(姜九淵)이라는 사람이 창평현령 전순도(全順道)를 능욕했다 하여 창평현을 폐지하고 광주에 편입시켰다가, 10년 후에 다시 설치되었다.
1793년(조선 정조 17년) 현치(縣治)를 지금의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古邑)에서 지금의 창평면으로 이전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23부제 시행으로 전라도 창평현을 남원부 창평군으로 개칭하였다.
1896년(대한제국 건양 원년) 13도제 시행으로 전라남도 창평군이 되었다.
1906년 갑향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08년 옥과군이 폐지되면서 옥과군의 6개면이 창평군에 편입되었다. 담양군 덕면, 대면, 가면이 창평군에 편입되었다.
2. 3. 일제강점기
1914년 조선총독부의 군면 통폐합으로 창평군이 폐지되어 담양군에 편입되고, 옛 옥과 6개 면은 곡성군에 편입되었다. 1906년 장성군에 편입되었던 갑향면도 이때 담양군에 편입되었다.3. 1914년 이후 행정 구역 변화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창평군은 폐지되고, 담양군과 곡성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통폐합 전 | 통폐합 후 |
---|---|
창평군 내남면(內南面), 외남면(外南面), 군내면(郡內面) 일부 | 담양군 남면, 창평면 |
창평군 가면(加面), 북면(北面)·서면(西面) 일부, 고현내면(古縣內面) | 담양군 고서면 |
창평군 동서면(東西面), 장북면(長北面), 장남면(長南面) | 담양군 수북면 |
창평군 대면(大面), 덕면(德面) | 담양군 대덕면 |
창평군 화면 | 곡성군 화면 |
창평군 입면 | 곡성군 입면 |
창평군 지면(只面), 겸면(兼面) | 곡성군 겸면 |
창평군 옥산면(玉山面), 수면(水面) | 곡성군 옥과면 |
3. 1. 담양군 편입 지역
통폐합 전 | 통폐합 후 |
---|---|
창평군 내남면(內南面) | 담양군 남면 |
창평군 외남면(外南面) | |
창평군 군내면(郡內面) 일부 | |
담양군 창평면 | |
창평군 가면(加面) | |
창평군 북면(北面) 일부, 서면(西面) 일부 | 담양군 고서면 |
창평군 고현내면(古縣內面) | |
창평군 동서면(東西面), 장북면(長北面), 장남면(長南面) | 담양군 수북면 |
창평군 대면(大面), 덕면(德面) | 담양군 대덕면 |
3. 2. 곡성군 편입 지역
구 행정구역(창평군) | 신 행정구역(곡성군) | 비고 |
---|---|---|
화면 | 화면 | 가곡리, 단사리, 봉동리, 선세리, 연화리, 운곡리, 율천리, 조양리, 청단리 |
입면 | 입면 | 금산리, 대장리, 만수리, 매월리, 삼오리, 서봉리, 송전리, 약천리, 입석리, 제월리, 창정리, 흑석리 |
지면(只面) | 겸면 | 가정리, 남양리, 마전리, 산정리, 평장리, 현정리, 황산리 |
겸면 | 겸면 | 괴정리, 대명리, 상덕리, 송강리, 운교리, 칠봉리 |
옥산면(玉山面) | 옥과면 | 무창리, 설옥리, 옥과리, 율사리, 이문리, 죽림리 |
수면(水面) | 옥과면 | 소룡리, 송전리, 수리, 주산리, 합강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