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성군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에는 욕내군으로 불렸다. 통일신라 시대에 곡성군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14년 일제의 군면 폐합으로 현재의 1읍 10면 체제를 갖추었으며, 1979년 곡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지리산, 팔량치산맥, 육십치산맥 등 산맥이 뻗어 있으며, 섬진강과 보성강이 흐른다. 주 산업은 농업으로 쌀, 보리 농사가 활발하며, 철도, 도로, 버스 등 교통망이 갖춰져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섬진강 기차마을, 태안사 등이 있으며, 매년 곡성 세계 장미 축제와 곡성 심청 어린이 대축제가 열린다. 경상남도 거창군, 부산광역시 서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경기도 의정부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성군 - 옥과공공도서관
옥과공공도서관은 2001년 7월 23일에 개관한 대한민국의 공공도서관으로, 지하 1층과 지상 1, 2층으로 이루어져 종합자료실, 어린이자료실, 디지털자료실, 문화강좌실, 자유학습실, 심화학습실, 열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운영 시간과 휴관일이 자료실 및 학습 공간별로 상이하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곡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고유 이름 | 곡성군 |
언어 | 한국어 |
한자 표기 | 谷城郡 |
로마자 표기 | Gokseong-g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oksŏng-gun |
위치 | 대한민국 호남 지방 |
면적 | 547.37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26,638 명 |
인구 밀도 | 56.7 명/km² |
방언 | 전라 방언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0면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상위 행정 구역 | 전라남도 |
상징 | |
![]() | |
![]() | |
군목 | 느티나무 |
군화 | 코스모스 |
군조 | 청둥오리 |
기타 정보 | |
군청 소재지 | 곡성읍 군청로 50 |
공식 웹사이트 | 곡성군청 |
군수 | 조상래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권향엽 (더불어민주당,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2. 역사
백제 시대에는 욕내(欲乃) 혹은 욕천(浴川)군으로 불렸는데, 산맥과 하천의 흐름을 본따 신라 경덕왕 때는 곡성(曲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시골장을 떠돌아 다니는 장사꾼들이 교통이 불편하여, 통행에 어려움을 느낀 나머지, 지나갈 때마다 통곡을 한다하여 곡성(哭聲)이라 불렸고, 그 후 곡성(穀城)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국가에서, 지명만을 생각하고 조세를 부과한다는 주민여론에 따라 이를 개칭하여, 곡성(谷城)으로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고려 초에 승평군(昇平郡)에 속하였다가 후에 나주에 속하고 1172년(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고 조선시대에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임진왜란 후에 남원에 예속시켰다가 1608년(광해군 원년) 다시 현을 두었다.
1895년(고종 32년) 군으로 승격, 1914년 창평군의 옥산면 등 8면을 합쳐 지금의 곡성군이 되었다. 1979년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83년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옥과면 송전리가 입면에, 겸면 봉산리가 옥과면에 편입되었다. 1읍(곡성), 10면(오곡·삼기·석곡·목사동·죽곡·고달·옥과·입·겸·오산)을 관할한다.
- 1895년 - 남원부 곡성군으로 개편되었으나, 1896년에 전라남도 곡성군이 되었다.(8면)
- * 도상면, 예산면, 오지면, 우곡면, 삼기면, 석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 1914년 4월 1일 - 군면 폐합에 따라, 창평군의 옥산면, 겸면, 지면, 수면, 화면 및 입면의 일부와 구례군 고달면이 '''곡성군'''에 편입되었다.[6] (11면 126리)
- * 곡성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목사동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입면, 겸면, 화면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곡성군 도상면, 예산면 | 곡성면 |
곡성군 오지면, 우곡면 | 오곡면 |
곡성군 삼기면, 목사동면, 석곡면, 죽곡면 | (변동 없음) |
창평군 화면, 입면 | |
창평군 옥산면, 수면 | 옥과면 |
창평군 지면, 겸방면 | 겸면 |
구례군 고달면 | 고달면 |
- 1949년 - 화면이 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 1973년 7월 1일 - 오곡면 고천리가 곡성면에 편입되었다.
- 1979년 5월 1일 -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되었다.[7] (1읍 10면 126리)
- 1983년 2월 15일 (1읍 10면 125리)
- *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편입되었다.
- * 옥과면 송달리가 입면에 편입되었다.
- * 겸면 황산리가 옥과면에 편입되었다.
2. 1. 상세 연혁
백제 시대에는 욕내(欲乃) 혹은 욕천(浴川)군으로 불렸는데, 신라 경덕왕 때 지형의 특징에 따라 곡성(曲城)으로 불리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장사꾼들이 교통 불편으로 통곡을 한다 하여 곡성(哭聲)이라 불렸고, 이후 곡성(穀城)으로 변경되었다. 주민 여론에 따라 곡성(谷城)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고려 초 승평군에 속했다가 나주에 속하고 1172년(명종 2년) 감무(監務)가 설치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임진왜란 후 남원에 예속되었다가 1608년(광해군 원년) 다시 현이 설치되었다.- 757년 곡성군(谷城郡)으로 개칭하고 부유현, 구례현, 동복현을 관할하였다.
- 940년 승평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1172년 감무가 파견됨으로써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409년 전라도의 모든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곡성현의 율곡부곡(栗谷部曲)이 폐지되어 직촌이 되었다.
- 1597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곡성현이 폐지되어 남원도호부에 편입되었다.
- 1608년 곡성현이 복설되었다.
- 1895년 (고종 32년) 군으로 승격, 남원부 곡성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 곡성군이 되었다.
- 1914년 창평군의 옛 옥과군 지역(옥산면, 입면, 겸면, 지면, 수면, 화면)과 구례군 고달면을 편입하여 지금의 곡성군이 되었다. (11개면)[11]
- 1949년 화면(火面)을 오산면으로 개칭하였다.
- 1979년 곡성면이 곡성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0면)[12]
- 1983년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옥과면 송전리가 입면에, 겸면 황산리가 옥과면에 편입되었다. (1읍 10면)
3. 지리
곡성군은 평균 500m 고도로, 전라남도에서 가장 높은 지대이다. 산맥이 종횡으로 지나면서 4개의 소지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소지역은 독자적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중 곡성은 지리산 산맥, 팔량치산맥, 육십치산맥 사이에 있는 남원권에 속한다. 섬진강과 보성강, 기타 군소 하천은 이들 산지를 남북에서 침식하며 유역 평야를 관개한다. 평야 중 동북부 곡산을 중심으로 한 곡산분지는 비교적 넓고 비옥하다. 지질은 화강편마암계와 편상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547.45km2이며, 인구는 31,886명(2010년 12월 기준)이다.[13]
4. 행정 구역
읍·면 | 법정리 | 세대 | 인구 | 면적(km²) |
---|---|---|---|---|
곡성읍 | 교촌리, 구원리, 대평리, 동산리, 고가리, 서계리, 신리, 신기리, 신월리, 월봉리, 읍내리, 장선리, 죽동리, 학정리 | 3,555 | 8,328 | 52.32km2 |
오곡면 | 구성리, 덕산리, 명산리, 미산리, 봉조리, 송정리, 승법리, 압록리, 오지리, 침곡리 | 1,022 | 2,184 | 62.86km2 |
삼기면 | 경악리, 괴소리, 근촌리, 금계리, 금반리, 노동리, 농소리, 수산리, 원등리, 월경리, 의암리, 청계리 | 964 | 1,858 | 38.18km2 |
석곡면 | 구봉리, 능파리, 당월리, 덕흥리, 방송리, 봉전리, 석곡리, 연반리, 염곡리, 온수리, 유정리, 죽산리 | 1,343 | 2,631 | 53.18km2 |
목사동면 | 공북리, 구룡리, 대곡리, 동암리, 반계리, 수곡리, 신기리, 신전리, 용봉리, 용사리, 죽정리, 평리 | 821 | 1,507 | 46.76km2 |
죽곡면 | 고치리, 남양리, 당동리, 동계리, 봉정리, 삼태리, 신풍리, 연화리, 용정리, 원달리, 유봉리, 태평리, 하한리, 화양리 | 1,070 | 2,019 | 103.4km2 |
고달면 | 고달리, 뇌죽리, 대사리, 두거리, 목동리, 백곡리, 호곡리 | 682 | 1,306 | 41.94km2 |
옥과면 | 리문리, 무창리, 설옥리, 소룡리, 수리, 옥과리, 율사리, 주산리, 죽림리, 합강리, 황산리 | 2,204 | 4,508 | 29.95km2 |
입면 | 금산리, 대장리, 만수리, 매월리, 삼오리, 세봉리, 송달리, 약천리, 입석리, 제월리, 창정리, 흑석리 | 1,316 | 2,851 | 34.06km2 |
겸면 | 가정리, 괴정리, 남양리, 대명리, 마전리, 산정리, 상덕리, 송강리, 운교리, 칠봉리, 평장리, 현정리 | 981 | 1,938 | 38.25km2 |
오산면 | 고곡리, 단사리, 봉동리, 선세리, 연화리, 운곡리, 율천리, 조양리, 청단리 | 824 | 1,602 | 46.56km2 |
총계 | 1읍 10면 | 14,782 | 30,732 | 547.46km2 |
5. 인구
1960년 100,672명에서 1966년 109,739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인구가 감소하여 2010년에는 31,886명이 되었다.[15]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100,672명 |
1966년 | 109,739명 |
1970년 | 97,764명 |
1975년 | 93,104명 |
1980년 | 75,101명 |
1985년 | 63,826명 |
1990년 | 49,707명 |
1995년 | 41,026명 |
2000년 | 38,042명 |
2005년 | 34,157명 |
2010년 | 31,886명 |
2010년 기준 곡성군의 읍면별 인구 및 면적은 다음과 같다.
읍·면 | 세대 | 인구 | 면적(km²) |
---|---|---|---|
곡성읍 (谷城邑) | 3,555 | 8,328 | 52.32km2 |
오곡면 (梧谷面) | 1,022 | 2,184 | 62.86km2 |
삼기면 (三岐面) | 964 | 1,858 | 38.18km2 |
석곡면 (石谷面) | 1,343 | 2,631 | 53.18km2 |
목사동면 (木寺洞面) | 821 | 1,507 | 46.76km2 |
죽곡면 (竹谷面) | 1,070 | 2,019 | 103.4km2 |
고달면 (古達面) | 682 | 1,306 | 41.94km2 |
옥과면 (玉果面) | 2,204 | 4,508 | 29.95km2 |
입면 (立面) | 1,316 | 2,851 | 34.06km2 |
겸면 (兼面) | 981 | 1,938 | 38.25km2 |
오산면 (梧山面) | 824 | 1,602 | 46.56km2 |
곡성군 (谷城郡) | 14,782 | 30,732 | 547.46km2 |
6. 산업
곡성군의 주산업은 농업이며 쌀농사와 보리농사가 활발하고 양봉, 양잠, 축산도 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70.31%가 임야이다. 경지 면적은 9408ha이며, 이 중 논은 6516ha, 밭은 2892ha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면화, 삼 등이고, 농가 부업으로 양잠이 성업하여 많은 수익을 올린다. 또한, 유축 농가가 많아 한우, 돼지 사육을 주로 한다. 야산을 개간하여 조성한 왜성(矮性) 사과단지에서는 당도가 높고 맛이 좋은 사과가 많이 생산되며 토란, 인삼 등의 특용작물도 많이 생산된다. 가내 수공업으로 부채, 종이, 도자기와 그 밖에 죽세공품들이 생산된다. 주요 특산물로는 사과, 배, 대추, 딸기, 오이, 수박, 멜론 등이 유명하다.
7. 교통
곡성군은 산간 지방이지만, 인접 지역으로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전라선 철도가 곡성역을 지나며, 새마을호, 무궁화호, KTX가 정차한다. 호남고속도로와 순천완주고속도로가 지나며, 석곡, 곡성, 옥과 3개의 인터체인지가 있다. 곡성버스터미널에서는 광주, 구례, 순천, 여수, 서울호남 등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남원시 시내버스도 운행한다.
7. 1. 철도
전라선 철도가 곡성역을 통과한다.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모두 정차하며, 일일 왕복 19회(주말 20회) 운행한다. 2011년부터 KTX가 매일 상행 4회, 하행 4회, 총 8회 운행되고 있다.[1]7. 2. 도로
곡성군은 산간 지방이지만, 인접한 각 군으로 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호남고속도로(25호선)가 연결되고 군내에 석곡, 곡성, 옥과의 3개 인터체인지가 설치되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또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호남고속도로에는 3개의 분기점이 있으며, 이 분기점들은 다른 도로들과 연결되어 있다.
- 호남고속도로
- * 석곡 나들목 - 곡성 나들목 - 곡성휴게소 - 옥과 나들목
- 국도 제13호선
- 국도 제15호선 (대한민국)
- 국도 제17호선 (대한민국)
- 국도 제18호선
- 국도 제22호선
- 국도 제27호선
7. 3. 버스
호남고속도로(25호선)와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군내에 석곡, 곡성, 옥과 3개의 인터체인지가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1]곡성버스터미널에서 광주, 구례 방면 버스가 약 30분마다, 순천, 여수, 서울호남 방면 버스가 운행한다. 남원시 시내버스도 약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1]
광주와 구례까지는 버스로 약 30분, 남원까지는 약 1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전남 순천 등 전라남도 남부 지역으로 가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1]
8. 문화·관광
곡성군은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문화·관광 명소이다.
- 섬진강기차마을: 1998년 전라선 복선화 공사로 발생한 섬진강 협곡의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되었다. 이곳에서는 증기기관차와 레일바이크를 체험할 수 있다.[2] 2010년에는 기차마을 내에 천사장미원이 개장하여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 태안사(Taeansa Temple)
- 능파대(Neungpa Tower)
- 섬진강(Seomjin River)
- 동리산 계곡(Dongli mountain valley)
- 곡성 하늘나리 마을(농촌 테마 마을, Gok-song Haneulnari Village)
- 곡성 증기기관차 마을(옛 증기기관차를 타볼 수 있는 곳, Gokseong Train Village)
8. 1. 축제
- 곡성 세계 장미 축제(Gokseong World Rose Festival) - 매년 5월, 전라남도 곡성에서는 세계 장미 축제가 열린다. 곡성 섬진강 기차 마을에서는 증기 기관차와 레일바이크를 비롯한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 곡성 심청 어린이 대축제(Gokseong Shimcheong Children's Grand Festival) (곡성 심청 어린이 대축제|Gogseong Simcheong eolin-i daechugje한국어) (2021~) - 전라남도 곡성군에서는 심청의 효심을 기리고 현대 사회에서 효의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매년 심청축제(심청축제|Simcheongchukje한국어) (2001~2020)를 개최했다. 곡성은 「관은사 예의 설화」의 배경으로 여겨지며, 이 설화는 심청전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다.[3][4]
9.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결연일 |
---|---|---|
대한민국한국어 | 서울특별시 강동구 | 1996년 3월 18일 |
대한민국한국어 | 경상남도 거창군 | 1998년 10월 9일 |
대한민국한국어 | 부산광역시 서구 | 2000년 6월 29일 |
대한민국한국어 | 경기도 의정부시 | 2010년 11월 5일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Simply stunning: 33 incredible Korean temples
http://www.cnngo.com[...]
2012-02-10
[3]
웹사이트
행사내용 < 심청어린이대축제 < 축제/행사 - 곡성문화관광
http://www.gokseong.[...]
2022-12-28
[4]
뉴스
곡성심청어린이대축제 5만 2천여 명 찾아
https://www.breaknew[...]
Break News
2022-11-02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7]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기타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3]
웹사이트
곡성군 면적
http://www.gokseong.[...]
[14]
웹사이트
곡성군 통계연보 2010
http://www.gokseong.[...]
2015-07-09
[15]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7회 조태일문학상에 ‘날혼’의 김수열 시인
'반나절 폭우에 쑥대밭'…진흙더미·쓰레기로 뒤덮여
전남 곡성서 SUV 밭고랑 아래로 굴러…운전자 사망
[속보]섬진강 홍수 경보…곡성군 “곡성읍 신리 등 즉시 대피”
광주·전남 100㎜ 안팎 많은 비···하천 통제·일부 항공기 차질
폭염경보 전남 곡성서 밭일하던 80대 여성 사망
전남 곡성서 폭염에 밭일하던 80대 여성 사망…열사병 추정
곳곳 비 피해 잇따라…호우특보는 해제
"재난문자 7통" 새벽에 화들짝…충청·호남 강타한 장마
남부에 많은 비, 광양 등 ‘산사태 주의보’···비행기 결항도 잇따라
한국동서발전, 곡성 세계장미축제 ‘칙칙폭폭야시장’ 지원
“아프지말고 건강하렴”···고향사랑 2114명이 모여 만든 곡성 ‘기적의 소아과’
[밀착카메라] '아프면 1시간 원정' 이제 끝…65년 만에 '기적의 소아과' | JTBC 뉴스
시민 1만명 곡성에 ‘기적같은 선물’…소아과 전문의 상주 진료
"징하게 감사허요"…할머니의 손편지가 만든 '빨래방'
시골 빨래방 들어서게 한 '80대 할머니 답례 손편지' 화제
[속보] 혁신당 정철원, 담양군수 재선거 민주당 꺾고 당선
달집과 계엄령 [김탁환 칼럼]
곡성군-맥휴먼리소스, 외국인 계절근로자 관리 시스템 ‘나누미’ 출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