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담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군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에는 추자혜군, 신라 시대에는 추성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담주로 불리다가 담양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담양군, 담양부, 담양도호부를 거쳐 담양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창평군, 광주군, 장성군의 일부를 편입하여 현재의 담양군이 되었으며, 2019년에는 남면이 가사문학면으로 개칭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특히 대나무를 이용한 죽세공품이 유명하며, 죽녹원, 소쇄원,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군 - 한국대나무박물관
    전라남도 담양군에 위치한 한국대나무박물관은 1998년 개관하여 한국 대나무의 역사, 문화, 생태 및 대나무 공예품과 생활용품을 전시하며 대나무의 다양한 활용을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 담양군의 행정 구역 - 대전면
    대전면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속한 면으로, 1914년 일제에 의해 여러 면이 통합되어 현재 갑향리 등 12개의 법정리와 학교를 두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전라남도의 군 - 무안군
    무안군은 전라남도 서부에 위치하며 나주시, 영암군, 함평군과 접하고 서쪽은 황해에 면하며, 1914년 목포부 일부와 지도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2005년 전라남도청 이전과 함께 남악신도시가 조성되어 인구가 증가, 2013년 전라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군이 되었으며, 3읍 6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안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담양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담양군
한자 표기潭陽郡
로마자 표기Damyang-gun
위치전라남도
면적455.09 km²
인구44,800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121 명/km²
행정 구역1읍 11면
방언전라도 방언
상징
담양군 휘장
담양군 기
군목대나무
군화매화
군조비둘기
정치 및 행정
군수이병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개호 (더불어민주당,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군청 소재지담양읍 추성로 1371 (객사리 99)
기타
공식 홈페이지담양군청 홈페이지

2. 역사

백제 때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다가 신라 경덕왕 때 추성군(秋成郡/秋城郡)으로 바뀌었다. 고려 시대부터 담양(潭陽)과 창평(昌平)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담주 도단련사(潭州都團練使)를 두었다가 후에 담양으로 고치고 나주에 속하게 했다. 고려 명종 2년(117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공양왕 3년(1391년)에 율원현감(栗原縣監)을 겸임했다.

조선 태조 4년(1395년) 담양군으로 승격하였고, 정종 1년(1398년) 담양부로 승격하였다가, 태종 13년(1413년) 담양도호부가 되었다.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남원부 담양군,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담양군으로 개편하였다.[8][9]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창평군 일원 및 광주군 갈리면, 대치면, 장성군 갑향면 각 일원을 편입하고, 창평군 일부 지역은 곡성군으로 이관되었다.[10][11] 1931년 4월 1일 구암면을 봉산면으로,[12] 1943년 10월 1일 담양면을 담양읍으로 승격하였다.[13] 1955년 7월 1일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를 남면에 편입하였다가,[14] 1957년 11월 6일 남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를 광주시에 편입하였다.[15] 2019년 2월 19일 남면을 가사문학면(歌辭文學面)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군면병합에 따라 담양군, 창평군 일부, 광주군 일부(갈전면·대치면), 장성군 일부(갑향면)를 담양군으로 통합하면서 담양면, 구암면, 고서면, 남면, 창평면, 대덕면, 무면, 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수북면, 대전면 등 13개 면이 설치되었다. 1918년 무면과 정면이 합쳐져 무정면(12면)이 되었고, 1931년 구암면이 봉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43년 담양면이 담양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 봉산면, 무정면, 월산면, 금성면의 각 일부가 담양읍에 편입되었다.

2. 1. 선사 시대 ~ 삼국 시대

백제 때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다. 당나라 웅진도독부 분차주(分嵯州) 고서현(皐西縣)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추성군(秋成郡 / 秋城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담양(潭陽)과 창평(昌平)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담주 도단련사(潭州都團練使)를 두었다가 후에 담양으로 고치고 나주에 속하게 했다. 고려 명종 2년(117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공양왕 3년(1391년)에 율원현감(栗原縣監)을 겸임했다.[8][9][10][11][12]

2. 2. 고려 시대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담주 도단련사(潭州都團練使)를 두었다가 후에 담양으로 고치고 나주에 속하게 했다. 고려 명종 2년(1172년)에 감무(監務)를 두고 공양왕 3년(1391년)에 율원현감(栗原縣監)을 겸임했다. 고려 시대부터 담양(潭陽)과 창평(昌平)의 이름이 사용되었다.[10]

2. 3. 조선 시대

조선 태조 4년(1395년) 담양군으로 승격하였다.[8] 정종 1년(1398년) 담양부로 승격하였다.[9] 태종 13년(1413년) 담양도호부가 되었다.

2. 4. 근현대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남원부 담양군으로 개편하였다.[8]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담양군으로 개편하였다.[9]

1914년 4월 1일 창평군 일원 및 광주군 갈리면, 대치면, 장성군 갑향면 각 일원을 편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창평군 일부 지역[10]곡성군으로 이관되었다.[11] 1931년 4월 1일 구암면을 봉산면으로 개칭하였다.[12]

1943년 10월 1일 담양면을 담양읍으로 승격하였다.[13] 1955년 7월 1일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를 남면에 편입하였다.[14] 1957년 11월 6일 남면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를 광주시에 편입하였다.[15]

2019년 2월 19일 남면을 가사문학면(歌辭文學面)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담양군과 창평군의 일부, 광주군의 일부(갈전면·대치면), 장성군의 일부(갑향면)를 담양군으로 편성하였다. 당시 담양군에는 담양면, 구암면, 고서면, 남면, 창평면, 대덕면, 무면, 정면, 금성면, 용면, 월산면, 수북면, 대전면 (13면)이 설치되었다.

1918년 무면과 정면이 합쳐져 무정면이 발족하였다.(12면)

1983년 2월 15일 봉산면, 무정면, 월산면, 금성면의 각 일부가 담양읍에 편입되었다.

3. 지리

광주 북쪽에 있으며, 영산강 최상류의 지류인 증암천과 용천, 담양천 등 여러 소하천이 흘러 군 중앙은 비교적 넓고 비옥한 평야로 되어 있다. 담양군은 1읍(담양읍, 군청 소재지)과 11면(봉산면, 창평면, 대덕면, 대전면, 금성면, 고서면, 무정면, 남면, 수북면, 월산면, 용면)으로 구성된다.

3. 1. 기후

내륙에 위치하고 지형의 영향으로 기온의 교차가 비교적 큰 편이다. 연평균 기온은 12.5°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5°C, 8월 평균 기온은 26.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이다.

3. 2. 산

광주 북쪽에 있으며, 북쪽에는 노령산맥의 추월산(720m), 금성산(573m), 광덕산(563m) 등 여러 험난한 산들이 전북특별자치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쪽은 이 산맥의 지맥인 병풍산(822m), 불대산(738m) 등의 산이, 남동쪽은 국수봉과 무등산의 여맥이 솟아 있다. 그리하여 남서쪽만이 틔어 전남평야와 연접하여 담양분지를 이루고 있다.[1]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편상화강암으로 되어 있다.[1]

추월산과 병풍산은 인기 있는 등산 코스이며, 금성산으로도 유명하다.[1]

4. 행정 구역

담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1면, 229리, 591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55km2이며, 인구는 2023년 12월을 기준으로 24,557세대 45,373명이다.[16]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1km2)
담양읍潭陽邑7,62515,27129.52
봉산면鳳山面1,4962,62619.49
고서면古西面1,6582,97526.58
가사문학면歌辭文學面7301,18443.55
창평면昌平面2,0613,55533.8
대덕면大德面1,1091,87753.69
무정면武貞面1,4972,39739.31
금성면金城面1,5002,45837.31
용면龍面1,0441,77662.46
월산면月山面1,2722,29849.63
수북면水北面2,3784,76629.06
대전면大田面2,1874,19030.6
합계潭陽郡24,55745,373455



읍·면법정리
담양읍가산리, 강쟁리, 객사리, 금월리, 남산리, 담주리, 만성리, 반룡리, 백동리, 삼차리, 삼만리, 양각리, 오계리, 운교리, 지침리, 천변리, 학동리, 향교리
봉산면대추리, 제월리, 신학리, 기곡리, 연동리, 유산리, 양지리, 와우리, 삼지리
고서면고읍리, 교산리, 금현리, 동운리, 보촌리, 분향리, 산덕리, 성월리, 원강리, 주산리
가사문학면가암리, 인암리, 연천리, 풍암리, 지곡리, 경상리, 구산리, 만월리, 무동리, 정곡리, 학선리
창평면광덕리, 삼천리, 오강리, 외동리, 용수리, 유곡리, 유천리, 의항리, 일산리, 장화리, 창평리, 해곡리
대덕면갈전리, 금산리, 매산리, 문학리, 비채리, 성곡리, 용추리, 운산리, 운암리, 립석리, 장산리
무정면덕곡리, 동강리, 동산리, 봉안리, 서흥리, 성도리, 안평리, 영천리, 오례리, 오룡리, 오봉리, 정석리, 평지리
금성면금성리, 대곡리, 대성리, 덕성리, 봉서리, 봉황리, 석현리, 외추리, 원율리, 원천리
용면도림리, 두장리, 쌍대리, 용연리, 용치리, 월계리, 추성리, 통천리
월산면광암리, 신계리, 오성리, 용암리, 용흥리, 월계리, 월산리, 월평리, 중월리, 화방리
수북면고성리, 개동리, 나산리, 남산리, 두정리, 대방리, 대흥리, 궁산리, 수북리, 오정리, 정중리, 주평리, 풍수리, 황금리
대전면갑향리, 강의리, 대치리, 병풍리, 서옥리, 성산리, 월본리, 응룡리, 중옥리, 대목리, 평장리, 행성리


5. 인구

담양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7]

연도총인구
1960년117,124명
1966년126,805명
1970년110,412명
1975년108,273명
1980년91,141명
1985년84,773명
1990년73,855명
1995년61,041명
2000년54,597명
2005년43,574명
2010년41,027명


6. 산업

담양군은 다른 군과 마찬가지로 농업을 주로 하며, 특히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대나무를 원료로 하는 죽세공품이 유명하다. 담양댐에서 풍부한 농업용수를 얻고 있으며, 경지 면적은 122.9km2이다. 논과 밭의 비율은 74:26이며, 주요 농산물로는 쌀, 나맥, 콩, 면화, 누에고치, 명주, 삼베 등이 있다. 담양에서 생산되는 죽세공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외화 획득에도 기여하고 있다.[1]

예전에는 대나무와 대나무 제품이 지역산업으로 지역 경제를 지탱했으며, 현재도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대나무 숲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

6. 1. 농업

다른 군과 마찬가지로 농업을 주로 하는데, 특히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대나무를 원료로 하는 죽세공품이 유명하다. 담양댐에서는 풍부한 농업용수를 얻고 있다. 경지 면적은 122.9km2이며, 논밭의 비율은 74:26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나맥·콩·면화·누에고치·명주·삼베 등이다. 담양 지방에서 생산되는 죽세공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어 외화 획득에 한몫을 하고 있다.

6. 2. 특산물

담양군은 다른 군과 마찬가지로 농업을 주로 하며, 특히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대나무를 원료로 하는 죽세공품이 유명하다. 담양댐에서는 풍부한 농업용수를 얻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나맥, 콩, 면화, 누에고치, 명주, 삼베 등이다. 담양 지방에서 생산되는 죽세공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어 외화 획득에 한몫을 하고 있다.[1]

창평한과, 창평쌀엿, 대잎차, 청죽환, 죽향딸기, 방울토마토, 죽향메론, 시목단감, 죽향비가림포도, 용면 한봉, 추성주, 죽엽청주, 동충하초, 죽제품, 염장죽순 등이 유명하다.[1]

담양은 한국에서 대나무가 자라는 가장 북쪽 지역 중 하나이며, 그 대나무 숲은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명성을 활용하여 대나무 테마파크/대나무골, 대나무 박물관, 대나무 축제, 푸른 대나무로 가득한 죽녹원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조성되었다.[1]

예전에는 대나무와 대나무 제품이 지역산업으로 지역 경제를 떠받쳤으며, 현재도 한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대나무 숲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어 특산품에도 대나무 관련 상품이 많다. 대표적인 특산물로는 대나무 제품, 죽순회, 떡갈비 등이 있다.[1]

7. 교통

담양은 국도가 남북으로 뻗어 있고 여러 지방도가 집중되어 있어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다. 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는 군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며, 광주대구고속도로 개통으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화순-담양 간 국도, 장성-남원 간 국도 등 지방도가 많아 경제 생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1] 광주광역시와는 여러 노선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특히 담양공용버스터미널과 광주 시내를 잇는 노선이 많다. 그 외 전라북도 순창군, 남원시 등 인근 시·군으로 가는 노선도 있다.

7. 1. 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담양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또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된 이래 교통이 매우 편리해지고 있다.[1]

7. 2. 국도

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는 군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또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된 이래 교통이 매우 편리해지고, 화순-담양간의 국도, 장성-남원간의 국도 등을 비롯한 지방도가 많아 경제 생활에도 크게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1]

  • 국도 제13호선
  • 국도 제15호선
  • 국도 제24호선 (한국)
  • 국도 제29호선 (한국)

7. 3. 철도

일제강점기광주선과 연결되는 철도가 개통되었다가 철거되었고, 1960년대에 착공하였다가 중단되었다. 장기적으로 광주역서대구역을 연결하는 철도가 추진 중이다.[1]

7. 4. 버스

담양은 국도가 남북으로 뻗어 있고 여러 지방도가 집중되어 있어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다. 고창담양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는 군 남부를 동서 방향으로 지나간다. 또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고, 화순-담양 간 국도, 장성-남원 간 국도 등 지방도가 많아 경제 생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인접한 광주광역시와는 담양군과 광주광역시를 잇는 여러 노선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특히 담양 버스터미널과 광주 시내를 연결하는 노선이 많다. 그 외 전라북도 순창군, 남원시 등 인근 시·군으로 가는 노선도 있다.

8. 관광

담양은 빼어난 자연경관과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대나무를 활용한 관광 상품과 생태 공원이 유명하며, 조선시대 정원과 역사 유적지도 많은 이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죽녹원전남도립대학교 남서쪽에 위치한 생태공원으로, 8가지 테마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영화 알포인트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담양 관방제림은 담양천변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숲으로,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되어 있다. 15종 약 320그루의 낙엽 활엽수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한국 드라마 촬영지로도 각광받고 있는데, 특히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은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담양은 '영화마을'을 자랑하며, 드라마 촬영을 적극적으로 유치하여 관광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담양온천에서는 대나무밭이 조성된 노천탕을 즐길 수 있으며, 추월산(秋月山), 한국가사문학관, 한국대나무박물관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8. 1. 주요 관광지

소쇄원


담양 대통밥


여름의 메타세쿼이아 나무


죽녹원(대나무 숲)에는 8가지의 서로 다른 테마가 있다.


죽녹원 내 'R-포인트' 촬영지


담양의 주요 관광지로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원림으로 꼽히는 소쇄원(瀟灑園, 명승 제 40호)이 있다. 조광조의 문하생 양산보가 낙향하여 만들었다.[18][19]

  • '''소쇄원(瀟灑園)''' : 1530년대에 유배된 양반에 의해 만들어진 정원 및 주거지이다. 현재도 정원과 일부 건물이 남아 있으며 사적(史蹟)으로 지정되어 있다. 양산보(1503~1557)가 조성한 사립정원으로, 정자들이 늘어선 아름다운 시냇가를 따라 펼쳐져 있으며, 특히 명상에 알맞은 곳이다. 여름철 무더위 속에서 시원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이다.

  • '''죽녹원''' : 전남도립대학교 남서쪽에 위치한 생태공원이다. 8가지 테마로 구성된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화 알포인트의 촬영지 이기도 하다. 2003년 5월에 개장했으며, 면적은 310000m2이다.

  • '''관방제림''' : 담양천변의 제방인 관방제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숲이다.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5종 약 320그루의 낙엽 활엽수가 남아 있다.

  • '''한국가사문학관'''

  • '''추월산(秋月山)'''

  • '''담양온천''' :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시설이 좋다. 대나무밭이 조성된 노천탕이 특히 인기다.[20]

  •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 담양읍 바로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0년대 박정희 정부 시절 조성되었다. 약 2km의 긴 산책로를 갖추고 있다. 나뭇잎이 선명한 색으로 물드는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특히 아름답다. 이곳에서 촬영된 로맨틱한 드라마 방영 이후 전국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2]


담양은 한국 반도에서 대나무가 자라는 가장 북쪽 지역 중 하나이며, 그 대나무 숲은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명성을 활용하여 대나무 테마파크, 대나무골, 한국대나무박물관, 대나무 축제, 푸른 대나무로 가득한 죽녹원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조성되었다.

금성산성을 비롯한 다양한 국보급 문화재 (탑, 정자 등 – 총 15개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51개의 지방지정 문화재를 포함하여 66개의 문화재)가 있다.

8. 2. 문화재



담양의 정자·원림 중 가사문학면에 있는 소쇄원(瀟灑園, 명승 제40호)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원림으로 꼽힌다. 조광조의 문하생 양산보가 낙향하여 만들었다.[18][19]

  • '''불조역대통재''' (보물 제737호): 담양읍 남산리 106번지에 있다. 중국 원나라 염상(念常)이 편술한 책으로, 석가여래 탄신부터 원나라 원통 2년(1344년)까지 고승대덕들의 전기를 편년체로 수록했다. 김수온(1409~1481)의 발문에 따르면, 조선 성종 3년(1472) 인수대비 한씨가 세조와 예종의 명복, 정희대왕비 윤씨, 성종, 성종비 공혜왕후 한씨의 장수를 빌고자 법화경 등 29종의 불교경전을 인출할 때 함께 간행되었다. 판각이 정교하고 인쇄가 깨끗하며, 발문은 갑인소자로 찍었다. 당시 30부를 인쇄한 것 중 하나로, 현재까지 알려진 완질본으로는 유일본이다.

  • '''읍내리 오층석탑''' (보물 제506호): 담양읍 지침리 45번지에 있는 고려시대 탑이다. 높이는 7m이다. 현재 문화재 지정 명칭은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이다. 담양읍에서 순창 방향 도로로 약 1km 가면 나오는 평지에 조성된 가람(伽藍) 터로 추정되는 곳에 홀로 남아 있다.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린 형태로, 일반적인 석탑과 약간 다른 양식을 보인다. 기단부 지대석은 돌 하나로 구성되었고, 중석에는 중앙 탱주 없이 모서리 기둥 4개가 배치되었다. 기단부 높이가 다른 오층석탑에 비해 매우 낮다. 전체적으로 기단부 중대석이 짧고 1층 옥신이 높아 고준한 느낌을 주지만, 각 부분의 체감률이 적당하여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고려 중기 이전으로 추정된다. 인근에 석당간(보물 제505호)이 있다.

  • '''오룡리 석불입상''' (지방유형문화재 제192호): 무정면 오룡리 산38번지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이다. 높이는 345cm이다. 상호에 비해 몸체가 좁게 조각되었고, 모자와 광배가 온전하게 남아있다. 장방형 광배는 하나의 돌로 구성되었으며, 하단 중앙에 길이 22cm, 깊이 3cm의 단을 만들어 끼웠다.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나, 사각형에 가까운 상호, 짧은 목, 형식화된 옷자락, 하체의 조각 기법 등에서 퇴화 현상이 나타나 고려 중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불 머리 위에 돌이 많이 올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এখনও 치성을 드리는 풍습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과거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들이 석불 코를 갈아 마시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어 석불 코 부분이 심하게 훼손되었다.

  • '''개선사지 석등''' (보물 제111호): 가사문학면 학선리 593번지에 있는 신라시대 석등이다. 높이는 3.5m이다. 팔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고복형(鼓複形) 석등이다. 넓은 방형 지대석 위에 팔각하대석을 올렸는데, 1992년 새 석재로 교체했다. 상대석 복련은 복판팔엽 양련으로, 하대석 복련과 대칭을 이룬다. 상대갑석 위에는 둥근 괴임을 만들었고, 화사석 각 면에는 장방형 창을 내고 간주 양쪽으로 조등기(造燈記)를 새겼다. 팔각 지붕 마루 끝에는 귀꽃을 장식했으나, 현재 대부분 깨지고 하나만 남았다. 화사석 기둥면에 새겨진 조등기는 한 기둥에 두 줄씩, 총 10행 136자로 기록되어 있다. 글자 크기는 4cm이며, 서체는 해서(楷書)이다.

  • '''담양 관방제림''' (천연기념물 제366호): 담양천 북쪽 제방에 있는 방제림이다. 15종의 낙엽활엽수 320여 그루가 남아 있다.

  • '''죽녹원''': 전남도립대학교 남서쪽에 있는 생태공원이다. 8가지 테마의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화 알포인트 촬영지이기도 하다.

  • '''담양온천''':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시설이 좋다. 특히 대나무밭이 조성된 노천탕이 인기다.[20]


추월산(秋月山), 병풍산(전남)은 인기 있는 등산 코스이며, 금성산성(금성산)도 유명하다.

미암일기(미암 유희춘, 1513~1577)가 보존된 대덕면 등 유명 학자들의 집을 방문할 수 있다.

금성산성을 비롯하여 국보급 문화재(탑, 정자 등 총 15개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51개의 지방지정 문화재를 포함, 총 66개)가 있다.

자연환경을 활용한 관광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대나무 향 온천 등 지역 특색을 살린 테마 리조트에서 숙박할 수 있다.

  • 월사면 '''용흥사''' (부산 용궁사와 혼동 주의)
  • 남면 '''개선사'''
  • '''소쇄원''': 1530년대 유배된 양반이 만든 정원 및 주거지 터. 현재도 정원과 일부 건물이 남아 사적(史蹟)으로 지정되었다.
  • '''추월산(秋月山)'''
  • '''한국가사문학관'''
  • '''한국대나무박물관'''

9. 문화

담양은 한반도에서 대나무가 자라는 가장 북쪽 지역 중 하나이며, 그 대나무 숲은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명성을 활용하여 대나무 테마파크, 대나무골, 대나무 박물관, 대나무 축제, 죽녹원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조성되었다.

전라남도는 음식으로 명성이 높으며, 담양에도 다양한 음식점이 많다.

9. 1. 음식

담양은 한반도에서 대나무가 자라는 가장 북쪽 지역 중 하나이며, 그 대나무 숲은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명성을 활용하여 대나무 테마파크/대나무골, 대나무 박물관, 대나무 축제, 푸른 대나무로 가득한 죽녹원 등 많은 관광 명소가 조성되었다.

전라남도는 음식으로 명성이 높으며, 담양에는 다양한 음식점이 많다. 가장 인기 있는 음식으로는 담양 떡갈비가 있다. 이 맛있고 즙이 많은 양념된 쇠고기와 돼지고기 혼합구이는 보통 테이블에서 구워 먹으며, 담양이나 광주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양 음식점에서는 대통밥(대나무에 밥을 지은 것), 대나무 차를 제공하는 다실, 매콤한 식초에 버무린 생대나무 샐러드 등의 대나무 음식을 맛볼 수 있다.[3]

9. 2. 행사

2009년 10월 담양에서 제5회 아시아 태평양 천문 올림피아드가 열렸다.[1]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국가도시결연일
대한민국대구광역시 달성군1984년 8월 8일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성북구1995년 12월 5일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용산구2004년 9월 17일
대한민국대전광역시 서구2012년 6월 27일
대한민국충청남도 계룡시2012년 9월 20일
대한민국충청북도 제천시2017년 6월 9일
대한민국전라남도 신안군2023년 4월 19일
대한민국광주광역시 남구2023년 5월 12일
중국안지
일본다케하라
미국린우드[4][5]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날짜가 년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2] 뉴스 담양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에서 마라톤을.. Yeonhap news 2007-08-15
[3] 웹사이트 DAMYANG – A garden without bamboo is like a day without sunshine https://web.archive.[...] 2014-12-07
[4] 웹사이트 Washington's Sister Cities Relationships http://www.ltgov.wa.[...] Lieutenant Governor of Washington 2018-03-11
[5] 뉴스 Lynnwood seeks input on proposed South Korean sister city http://www.heraldnet[...] 2018-03-11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음력이므로 양력으로 변환이 어려움. 음력 날짜 그대로 표시
[9]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0] 기타
[1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령 도령 제7호 1931-03-09
[1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14] 법률 시·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06-29
[15] 법률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16] 웹인용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4-25
[17]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8] 뉴스 대숲 거닐고 마루 걸터앉으면 누구나 시인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7-01
[19]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20] 뉴스 [week&] 전통 온천, 워터파크, 스파…물이냐 놀이냐 둘 다냐 http://travel.joins.[...] 중앙일보사 200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