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개의 바람이 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미국 시 "내 무덤에 서서 울지 마오"를 번안하여 일본에서 노래로 만들어진 곡이다. 이 노래는 아일랜드 공화국군 테러 희생자의 유품에서 발견된 시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되었으며, 일본에서 아키카와 마사후미가 부른 버전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2009년 임형주가 한국어로 개사하여 발표했고, 세월호 참사 추모곡으로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원작 시의 저작권 문제, 표절 의혹, 상업적 이용 논란, 장례 문화와의 충돌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J-pop - 빌보드 재팬
빌보드 재팬은 미국의 음악 잡지 빌보드가 일본 한신 콘텐츠 링크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어 설립한 일본의 음악 차트 및 음악 관련 사업 브랜드이다. - J-pop - Venus (아스트로의 음반)
《Venus》는 아스트로의 첫 번째 일본 앨범으로, 팬클럽 아로하를 Venus로 표현하여 팬들과 함께 빛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타이틀곡 〈Hanasake Mirai〉를 포함하여 총 6곡이 수록되어 한국 앨범 수록곡의 일본어 버전과 일본 오리지널 곡을 만나볼 수 있다.
천개의 바람이 되어 | |
---|---|
곡 정보 | |
원제목 | 千の風になって (센노카제니낫테) |
한국어 제목 | 천개의 바람이 되어 |
장르 | 가곡, 팝 음악 |
언어 | 일본어, 영어 |
작사 | 미상 (메리 프라이의 시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에서 유래) |
작곡 | 아라이 미츠루 |
가수 | 여러 가수 (예: 아키카와 마사후미) |
노래에 대하여 | |
유래 | 메리 프라이의 시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
특징 | 장례식에서 자주 불림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림 |
한국어 번안곡 | |
제목 | 천개의 바람이 되어 |
작사 | 박정화 |
가수 | 임형주, 조수미, 신문희 등 |
2. 원작 시
이 노래의 원작 시는 1932년 미국 볼티모어의 주부 메리 프라이가 쓴 것으로 알려진 시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두 낫 스탠드 앳 마이 그레이브 앤 위프영어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에 전해 내려오던 작자 미상의 시를 프라이가 영어로 옮긴 것이라는 설도 있다.
2. 1. 기원 및 작가
이 노래의 원작 시는 1932년 미국 볼티모어의 주부 메리 프라이가 쓴 것으로 알려진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두 낫 스탠드 앳 마이 그레이브 앤 위프영어"이다. 프라이는 어머니를 여의고 슬픔에 잠긴 이웃을 위로하기 위해, 죽은 사람이 남은 사람을 위로하는 내용으로 이 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원래 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에서 구전되던 작자 미상의 시를 프라이가 영어로 옮겨 적어 이웃에게 전해준 것이라는 설도 있다.영국의 일간지 더 타임스[7]에 따르면, 원시(原詩)인 《내 무덤 앞에서 울지 마세요》(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영어)는 미국 여성 메리 프라이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가장 유력한 설이지만, 해외에서도 여전히 작가에 대한 논란이 있어 확정된 사실은 아니다.
일본의 번역가 아라이 만은 자신의 단행본 《천 개의 바람이 되어》에서 원작자를 둘러싼 여러 설 중 하나로 메리 프라이의 이름을 언급했지만, 결정적인 설로 소개하지는 않고 '작자 미상'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건축가 이노우에 후미카쓰의 저서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종이 봉투에 쓰인 시》의 출판 전 원고를 읽고, 메리 프라이 설을 납득할 만한 해답으로 받아들여 지지하게 되었다[8].
한편, 2009년 11월 작가 미나미 카제 시이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아라이 만이 번역하고 신이 부른 '천의 바람이 되어'가 자신의 1995년 저작 『1000의 바람 - 남겨진 사람에게』(ISBN 978-4883209064)를 표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나미는 과거 신이가 비공식적으로 사과했던 일화 등을 공개하기도 했다.[14] 그러나 신이는 이후 공식적으로 표절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미나미 카제 시이가 원시인 작자 미상의 시 A THOUSAND WINDS|어 사우전드 윈즈영어가 본래 퍼블릭 도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을 상표로 등록한 것을 비판했다.
신이 역시 퍼블릭 도메인인 영어 원시에 대해서는 상표 등록을 하지 않았지만, 미나미 카제 시이의 저작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는 일본어 번역 시 '천의 바람이 되어'에 대해서는 저작권을 주장하며 상표 등록을 했다. 이러한 행보는 저작권조차 포기한 메리 프라이와 비교되며 일부에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2. 2. 확산과 유명세
이 시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1989년 IRA 테러로 목숨을 잃은 24살의 영국군 병사 스티븐 커밍스의 일화이다. 스티븐은 생전에 무슨 일이 생기면 열어보라며 부모에게 편지 한 통을 남겨두었는데, 그의 사후 개봉된 편지에 이 시가 적혀 있었다고 한다. 스티븐의 아버지가 아들의 장례식에서 이 편지와 시를 낭독했고, 이 장면이 BBC를 통해 방송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그 외에도 영화감독 하워드 혹스의 장례식에서 존 웨인이 낭독했고, 배우 마릴린 먼로의 25주기, 미국 9.11 테러 1주기에도 낭독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3. 노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작자 미상의 영어 시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이다. 일본의 작가이자 작곡가인 아라이 만이 이 시를 일본어로 번역하고 곡을 붙여 2003년에 발표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노래는 이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불리며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3. 1. 일본에서의 탄생과 발전
아라이 만은 처음에 자비로 CD 30장만 제작하여 지인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러나 2003년 8월 28일 아사히 신문 조간의 칼럼 '천성인어'에서 원시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가 소개되고 아라이의 번역 시가 함께 실리면서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6일, 아라이 만이 부른 CD(시판용)와 시집이 정식 발매되었다. 이 CD는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최고 50위까지 오르며 23주간 차트에 머물렀고, 시집은 2006년 말까지 4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2004년 1월 17일에는 닛폰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특집으로 다루어졌으며, 같은 해 동명의 영화가 개봉되었다. 원래 '천국으로의 편지'라는 제목이었으나 제작사 측이 아라이의 동의를 얻어 제목을 바꾸고 곡을 주제가로 사용했다. 감독과 각본은 김수길이 맡았으며, 미나미 카호, 요시무라 미츠코, 니시야마 마유코 등이 출연했다. 배급은 시네캐논이 담당했고, 아라이 만도 주제가와 각본 협력으로 참여했다. 일반적인 DVD나 비디오 출시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2010년 포니캐년에서 도서관용 DVD가 발매되었다.
2005년에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아야노 카나미가 한신·아와지 대지진 10주년 자선 콘서트에서 이 곡을 불렀다.
2006년 테너 가수 아키카와 마사후미가 부른 버전이 발표되었고, 그가 같은 해 연말 NHK 홍백가합전에 출연하여 노래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크게 높아졌다. 아키카와 마사후미의 홍백가합전 출연 이후, 2007년 1월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는 아라이 만의 원곡 버전이 16위로 재진입했으며, 아라가키 츠토무의 버전도 처음으로 200위 안에 들었다.
2006년 11월에는 가수 겸 배우 후쿠야마 마사하루가 자신의 라이브 공연에서 9.11 테러 관련 사진을 배경으로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시를 낭독하기도 했다.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다양한 형태의 악보로도 출판되었다. 대표적으로 오타 사쿠라코 편곡의 혼성 합창 버전, 코지마 사토미(뮤직 에이트 출판) 및 후나모토 타카히로(윈즈 스코어 출판) 편곡의 취주악 버전, 미우라 히데아키(윈즈 스코어 출판) 편곡의 목관 5중주 버전 등이 있다.
2007년에는 일본음악저작권협회(JASRAC)의 저작권 사용료 분배액 순위(일본 내 작품)에서 연간 10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여러 아티스트들이 '천 개의 바람이 되어'를 커버하거나 자신의 앨범에 수록했다. 주요 발표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날짜 | 아티스트 | 내용/앨범/싱글 |
---|---|---|---|
2003년 | 11월 6일 | 아라이 만 | 맥시 싱글 천 개의 바람이 되어 a thousand winds (2001년 오리지널 버전 포함) |
2004년 | 4월 21일 | 아라이 만 | 앨범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재생~' |
9월 22일 | 아라가키 츠토무 | 싱글 발표 | |
2005년 | 7월 2일 | 아야노 히비키 | 맥시 싱글 '영원의 바람' |
10월 | 토마 슈이치 편곡 혼성 합창 버전 | 보컬 앙상블 "아우로라 무지칼레" CD 베스트 셀렉션 (제작: 오사카 코레기움 무지쿰) | |
2006년 | 5월 24일 | 아키카와 마사후미 | 싱글 발표 |
8월 10일 | 나카지마 케이코 | 싱글 발표 | |
9월 6일 | 여러 아티스트 | 아라이 만 프로듀스 컴필레이션 음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스페셜반 (참여: 아라이 만, Yucca, 타니가와 켄사쿠, 나카지마 케이코, 코페르니쿠스, 아라가키 츠토무, 아틀리에 이사나, 수잔 오즈본, 카토 후미오, 히노하라 시게아키 LPC 혼성 합창단) | |
11월 1일 | 소다 마이코 (소프라노) | 싱글 발표 | |
11월 21일 | 오윤나 | 앨범 'Wish~소원~' | |
2007년 | 2월 22일 | 카츠타 토모아키 (테너) | 미니 앨범 '우러러보면 존귀하다' |
3월 21일 | Yucca | 싱글 발표 | |
4월 6일 | 미야모토 류지 | 시 낭독 싱글 '미야모토 류지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 |
5월 7일 | 카토 토키코 | 앨범 샹퇴즈 II ~들장미의 꿈~ (아라이 만의 요청) | |
5월 11일 | 사코 미치요 | 싱글 발표 (오사와 유리 낭독 버전, 포크 버전 수록) | |
5월 23일 | 사메지마 유미코 | 앨범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새로운 일본의 서정가' | |
6월 6일 | 카토 토키코 | 싱글 컷 발매 | |
6월 21일 | 사토 미에코 | 앨범 '천 개의 바람이 되어' | |
7월 7일 | 미네하하 | 싱글 발매 | |
8월 22일 | 미요시다 츠키 | 앨범 'pure flavor #1 ~color of love~' | |
10월 3일 | Zero | 한국어, 일본어 가사 싱글 발표 | |
11월 21일 | 카라시마 미도리 | 앨범 '부케 갈니' | |
12월 19일 | 이노우에 아즈미 | 앨범 '만남과 여행의 노래' | |
12월 26일 | 탄포포 아동 합창단 | 앨범 '어린이 히트! 히트! 송 ~엉덩이 갉아먹는 벌레·천 개의 바람이 되어~' | |
2008년 | 4월 23일 | 체리쉬 | 싱글 '약속은 마음속에' |
6월 1일 | 이광홍 (Lee Koko) | 중국어 번역 버전 싱글 (중국어, 일본어 가사) | |
7월 2일 | 오토다 준 | 싱글 발표 | |
10월 22일 | 이와사키 히로미 | 앨범 'Dear Friends IV' | |
11월 27일 | 사카타 긴토키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 애니메이션 은혼 내에서 사용 | |
2009년 | 7월 7일 | 미네하하 | 앨범 '울림 hibiki' |
12월 2일 | SISTER KAYA | 앨범 'Heartful Lovers' | |
2010년 | 10월 6일 | 시마즈 아야 | 앨범 'Singer' |
12월 22일 | 보이즈 투 멘 | 앨범 'COVERED-Winter-' | |
2015년 | 5월 27일 | 츠루노 타케시 | 앨범 '츠루노 노래 3' |
2007년 8월 6일에는 판화가 칸란사이(観瀾斎)가 '천 개의 바람이 되어'를 주제로 한 그림책 "관람재(칸란사이)의 천 개의 바람에"을 출판하여, 9.11 테러 희생자 자녀 지원 재단 'Tuesday's Children'에 기부했다.
2009년 11월, 작가 미나미 카제 시이는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아라이 만의 '천 개의 바람이 되어'가 자신의 1995년 저작물 『1000의 바람 - 남겨진 사람에게』를 표절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과거 아라이가 비공식적으로 사과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14] 그러나 아라이 만은 이후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미나미 카제 시이는 또한 원시 'A THOUSAND WINDS'가 퍼블릭 도메인임에도 불구하고 아라이 만이 '천 개의 바람이 되어'라는 명칭을 상표 등록한 것을 비판했다. 아라이 만은 영어 원시에 대해서는 상표 등록을 하지 않았으나, 일본어 번역시에 대해서는 저작권을 주장하며 상표 등록을 진행했으며, 이러한 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3. 2.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미
2009년 2월 16일, 팝페라 테너 임형주는 이 곡의 가사를 직접 한국어로 개사(번안)하여 앨범을 발매했다.[18] 이후 2014년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자 이 곡은 음원 차트에서 '역주행'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2014년 4월 25일, 임형주는 이 곡을 세월호 참사 공식 추모곡으로 헌정하고 음원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18] 헌정 직후, 이 곡은 한국의 7개 음원사이트 종합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19] 이는 임형주에게 데뷔 16년 만의 첫 음원 차트 1위 기록이었다.또한, 이 곡은 2020년 10월 13일 아동학대로 사망한 16개월 입양아 정인이를 다룬 2021년 1월 2일 방영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 '정인이는 왜 죽었나?' 편의 엔딩곡으로 삽입되어 정인이를 추모하는 곡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그것이 알고싶다》 공식 유튜브 계정에 게시된 정인이 추모 특별 뮤직비디오는 공개 3일 만에 조회수 200만을 기록하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었다. 이처럼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세월호 참사와 정인이 사건과 같은 사회적 비극 속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남은 이들을 위로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며 한국 사회에 깊은 울림을 주었다.
4. 논란과 비판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원작 시의 저작권 문제와 번안자인 아라이 만의 상업적 이용을 둘러싼 논란이 제기되었다. 원작 시의 저작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번안자인 아라이 만이 관련 상표권을 등록하고 이를 활용한 점 등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4. 1. 원시 저작권 문제
영국의 일간지 더 타임스[7]에 따르면, 《천 개의 바람이 되어》의 원시(原詩)인 《내 무덤 앞에서 울지 마세요》(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는 미국 여성 메리 프라이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 설이 가장 유력하지만, 시의 기원에 대해서는 해외에서도 아직 논란이 있어 확실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번역가인 아라이 만은 단행본 《천 개의 바람이 되어》에서 처음에는 원작자를 둘러싼 여러 설 중 하나로 메리 프라이의 이름을 언급하면서도, 결정적인 설로 소개하지 않고 작자 미상으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건축가 이노우에 후미카쓰의 저서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종이 봉투에 쓰인 시》의 원고를 읽고 메리 프라이 설을 납득할 만한 해답으로 받아들여 지지하게 되었다.[8]
한편, 아라이 만은 "천의 바람"이라는 명칭으로 세정제 및 화장품, 가구 및 플라스틱 제품, 비알코올 음료 및 맥주, 맥주 외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 분야에서 상표권을 등록했다.[9] 이는 원작자로 유력시되는 메리 프라이가 저작권을 포기하여 원시가 퍼블릭 도메인이 된[7] 것과 대조적인 행보라는 지적이 있다.
아라이 만은 자신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상표 사용료 전액을 "천의 바람 기금"에 기부하고 있으며, 그 상세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10] "천의 바람 기금"의 활동 사례로는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피해 지원센터 '안심'에 100만엔, 2007년 7월 니가타 생명의 전화에 100만엔를 기부한 것이 있다.[11] 현재 "천의 바람" 상표를 사용하는 기업은 일본술 "천의 바람"을 판매하는 시오카와 주조(니가타시)와 "향·천의 바람이 되어"를 판매하는 헤이안 여학원(교토시) 두 곳이다. 이들 기업은 《천 개의 바람이 되어》가 탄생한 경위에 공감하여 상품을 기획했으며, 아라이 만과 협의 하에 이윤의 일부를 "천의 바람 기금"에 기부하고 있다.[12][13] 상표 사용료 수입만으로는 기금 운영에 부족하여, 아라이 만 본인과 상표 사용 기업의 기부금도 중요한 재원이 되고 있다.
4. 2. 상업적 이용 논란
아라이 만은 '천의 바람'이라는 제목으로 상표권을 등록했다.[9] 이 상표는 세정제, 화장품, 가구, 플라스틱 제품(다른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음료 및 맥주, 맥주를 제외한 알코올 음료 등의 상품 및 서비스에 적용된다. 이는 원작자인 메리 프라이가 저작권을 포기하여 원시가 퍼블릭 도메인이 된 것과는 다른 상황이다.[9]한편, 아라이 만의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그는 상표 사용료 전액을 '천의 바람 기금'에 기부하고 있으며, 그 상세 내용을 공개하고 있다.[10] 이 기금은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지원 센터 안심'에 100만엔, 2007년 7월 니가타 생명의 전화에 100만엔을 기부하는 등의 활동 사례를 가지고 있다.[11] '천의 바람' 상표를 사용하는 기업으로는 일본술 '천의 바람'을 판매하는 니가타시의 시오카와 주조와 '향·천의 바람이 되어'를 판매하는 교토시의 헤이안 여학원 두 곳이 있다. 이들 기업은 『천의 바람이 되어』가 탄생한 경위에 공감하여 상품을 기획했으며, 아라이 만과의 협의 하에 이윤의 일부를 '천의 바람 기금'에 기부하기로 결정했다.[12][13] 하지만 상표 등록으로 얻는 수입만으로는 기금을 유지하기 어려워, 아라이 만 본인의 기부금과 상표 사용 기업의 기부금도 기금의 재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5. 파생 작품
"천 개의 바람이 되어"는 큰 반향을 일으키며 다양한 파생 작품으로 이어졌다. 원곡에 대한 응답가인 앤서송이 발표되었으며, 곡에 얽힌 사람들의 사연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제작되기도 했다.
5. 1. 앤서송
2005년 7월 2일 발매된 아야노 히비키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커버 맥시 싱글 「영원의 바람」에는 앤서송으로 '영원의 바람'이 수록되었다.왕様는 '천 개의 바람이 되어'의 앤서송으로 '만 개의 흙이 되어〜묘에 가자〜'를 발표했다. 이 곡은 2008년 7월 4일 발매된 앨범 '똑 닮은 전설'에 수록되었다.[15]
5. 2. 관련 프로그램
"천 개의 바람이 되어"를 접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여러 프로그램에서 방송되었다.NHK
- 유도키 네트워크 "「천 개의 바람이 되어」 지금도 당신은 곁에 있어요"
- 클로즈업 현대 "천 개의 바람에 부치는 마음"
- 생활 핫 모닝 "나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후지 TV
- 천 개의 바람이 되어 드라마 스페셜
참조
[1]
웹사이트
新井満さん死去、「千の風になって」訳詞・作曲 秋川雅史、突然の訃報に「茫然としています」
https://www.sanspo.c[...]
2021-12-05
[2]
뉴스
芥川賞作家作曲「千の風になって」紅白効果で大躍進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07-01-01
[3]
웹사이트
「千の風になって」特集-17日ニッポン放送
https://web.archive.[...]
2004-01-16
[4]
웹사이트
「千の風になって」改題映画化
https://web.archive.[...]
スポニチアネックス
2007-02-08
[5]
뉴스
秋川雅史「千の風になって」、1位効果で売上3倍増!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07-01-23
[6]
웹사이트
2008年 国内作品分配額ベスト10(金・銀・銅賞関連)
http://www.jasrac.or[...]
日本音楽著作権協会
2008
[7]
뉴스
Mary E. Frye
http://www.timesonli[...]
Times
2004-11-05
[8]
뉴스
千の風の作者「きっとこの人」――米国の主婦説 来月に本出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01-22
[9]
간행물
週刊プレイボーイ
2007-03-12
[10]
웹사이트
千の風・基金について
http://www.twin.ne.j[...]
[11]
뉴스
新潟日報
2007-07-07
[12]
웹사이트
平安女学院 お香・千の風になって
http://www.tk.heian.[...]
[13]
웹사이트
みや酒店
http://www.miyasake.[...]
[14]
웹사이트
『1000の風』と『千の風になって』 1 | 南風椎の「森の日記」
[15]
뉴스
「千の風になって」のアンサーソング 『万の土になった〜お墓参りに行こう〜』 DVDを全国の墓石店117社協賛で販売開始
https://www.atpress.[...]
"@Press(石文社)"
2010-12-15
[16]
뉴스
韓国語版「千の風になって」ブーム…追悼曲に
https://web.archive.[...]
2014-05-02
[17]
뉴스
「千の風」歌って追悼広がる 韓国船沈没事故
http://www.asahi.com[...]
2014-04-28
[18]
뉴스
"<세월호참사> 임형주 '천개의 바람이 되어' 헌정해 수익 기부"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4-04-25
[19]
뉴스
임형주, ‘천개의 바람이 되어' 7개 음원사이트 1위 올킬
http://entertain.nav[...]
《헤럴드경제》
2014-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