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부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부경은 총 81자로 구성된 경전으로, 1917년 계연수가 단군교에 발견 사실을 알리면서 처음 알려졌다. 이후 대종교에서 경전으로 수용하기까지 논의를 거쳤으며, 1975년에 정식 경전으로 채택되었다. 묘향산 석벽본, 태백일사본, 농은 유집본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신채호는 위조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2. 전래 및 수용

《천부경》은 대종교 중광(1909년)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1917년 계연수가 단군교에 《천부경》을 발견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면서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1920년)에 따르면, 계연수는 묘향산의 석벽에서 최치원이 새긴 《천부경》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2]

1917년 단군교에서 공개한 이후 김용기, 강우 등 일부 대종교 인사들이 관심을 보였으나, 만주의 대종교 총본사는 《천부경》을 경전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해방 이후 윤세복이 귀국하여 대종교를 재건했을 때에도 《천부경》은 대종교의 경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1975년에 이르러서야 대종교는 《천부경》과 《참전계경》을 정식 경전으로 받아들였다.

2. 1. 계연수의 발견

1916년 계연수묘향산에서 수도하던 중 석벽에서 《천부경》을 발견했다고 한다.[1][2] 1917년 계연수는 단군교에 자신이 발견한 《천부경》에 대한 내용의 편지를 보냈으며, 이 편지를 통해 《천부경》이 처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1920년)에 따르면, 계연수는 묘향산의 석벽에서 최치원이 새긴 《천부경》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2]

2. 2. 대종교의 수용

1917년 계연수가 단군교에 《천부경》을 발견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면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계연수1916년 9월 9일 묘향산에서 수도하던 도중 석벽에서 《천부경》을 발견하였다고 한다.[1][2]

1917년 단군교에서 공개한 이후 김용기, 강우 등 일부 대종교 인사들이 관심을 표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만주의 대종교 총본사는 《천부경》을 경전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해방 이후 윤세복이 귀국하여 대종교를 재건하였을 때에도 역시 《천부경》은 대종교의 경전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윤세복의 사후 단군교 신자들이 대거 종단에 참여하게 되면서 단군교 계열의 경전들도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1975년에 이르러서야 대종교는 《천부경》과 《참전계경》을 정식 경전으로 받아들였다.

3. 전문

천부경의 전문은 총 81자이다.[3]

묘향산 석벽본, 태백일사본농은유집본
원문독음원문독음


4. 판본

재야사학자 송호수는 천부경의 여러 판본이 전해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묘향산 석벽본: 계연수가 1916년에 발견하여 1917년에 단군교에 보냈다는 판본이다. 계연수최치원이 석벽에 새겨놓은 것이라 주장하였다. 현재 여러 천부경 판본의 원본으로 보인다.[4]
  • 최고운 사적본: 김용기가 1925년에 쓴 《단전요의(檀典要義)》에 소개되었다. 최국술이 《최문창후전집(崔文昌候全集)》에 실은 천부경의 출전으로 기재되어 있다.
  • 최문창후전집본: 최국술이 1925년에 쓴 《최문창후전집(崔文昌候全集)》[5]에 출처를 《단전요의(檀典要義)》라고 기재한 천부경이 실려있다.
  • 노사 전비문본: 김형택1957년에 쓴 《단군철학석의(檀君哲學釋義)》에 소개된 것으로, 1920년경 습득한 것이라고 한다.
  • 태백일사본: 이유립1979년에 공개한 《환단고기》에 실린 천부경이다. 최치원의 첩(帖)으로 세상에 전하는 것을 1911년 계연수가 적어넣었다고 한다.[6]
  • 농은유집본: 민홍규2000년에 《뉴스피플》에 기고하면서 알려졌다. 민안부의 유품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민홍규는 이것이 일반적인 천부경이 아닌 갑골문으로 된 천부경이라고 주장하였다.[7] 하지만 이 천부경의 갑골문은 실제 갑골문과 전혀 다른 위작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8]


묘향산 석벽본, 태백일사본, 농은유집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에서 다룬다.

4. 1. 묘향산 석벽본

계연수가 1916년에 묘향산에서 발견하여 1917년에 단군교에 보냈다는 판본으로, 계연수최치원이 석벽에 새겨놓은 것이라 주장하였다. 현재 여러 천부경 판본의 원본으로 보인다.[4] 김택영의 《소호당전집》(1922년)에 따르면, 단군의 신하인 신지(神志)가 篆書|전서중국어로 비에다가 경을 새겨 단군의 탄생지에 세워두었던 것을 최치원이 해서체(楷書|해서중국어)로 풀어서 다시 새긴 것이라고 한다.[4]

4. 2. 태백일사본

이유립1979년에 공개한 《환단고기》에 실린 판본이다. 최치원의 첩(帖)으로 세상에 전하는 것을 1911년 계연수가 적어넣었다고 한다.[6] 환단고기에 따르면 天符經|천부경중국어은 천제(天帝) 환국(桓國)에서 구전(口傳)으로 전해지는 글이다. 환웅대성존(桓雄大聖尊)이 하늘에서 내려온 후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하여 녹도문(鹿圖文)으로 썼다. 최고운 치원(崔孤雲致遠)이 일찍이 전고비(篆古碑)를 보고 다시 첩(帖)을 만들어 세상에 전한 것이다.[6]

4. 3. 농은유집본

2000년 민홍규가 《뉴스피플》에 기고하면서 알려진 판본으로, 민안부의 유품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민홍규는 이것이 일반적인 천부경이 아닌 갑골문으로 된 천부경이라고 주장하였다.[7] 하지만 이 갑골문은 실제 갑골문과 전혀 다른 위작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8]

5. 비판

신채호는 《조선사연구초》와 《조선상고사》에서 천부경을 후대에 위조된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9] 일각에서는 신채호의 언급이 “《천부경》이 위작이 아니라 말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10][11]

환단고기 〈태백일사〉에는 천부경이 실려 있다. 그런데 계연수가 천부경을 처음 발견한 것은 1916년으로, 환단고기를 쓴 1911년보다 5년 뒤여서 모순이 발생한다.

5. 1. 친일 논란과 단군교

1910년 조선이 일제에 병합되기 직전, 나철대종교로 이름을 바꾸고 만주로 건너가 일제에 대립하였다. 그러나 나철의 노선에 반발한 정훈모는 친일파들과 함께 조선에 남아 '단군교'라는 이름을 고수하며 새 종단을 세웠다. 이로써 일제에 대항하는 민족종교인 대종교와 일제의 통치에 순응하는 친일 교단인 단군교가 분리, 양립하게 되었다.[12] 전병훈의 저서 《정신철학통편》(1920)에 《천부경》을 전한 윤효정은 당시 단군교 대선사였고, 계연수는 <계연수기서>에서 "《천부경》을 발견, 서울의 단군교당에 전했다"고 했는데, 여기서 말하는 단군교당은 정훈모의 단군교를 가리킨다.[12] 《정신철학통편》에 기재된 《천부경》의 유래 또한 단군교의 주장과 같아, 결국 원 출전은 단군교인 것으로 판단된다.[12]

6. 주해서

김택영은 《소호당전집》(1922년)을[13], 계연수는 《천부경요해발》(1899년)을[14], 단해 이관집은 《천부경직해》를, 이유립은 《천부경요해》(1953년)를 저술했다.

참조

[1] 서적 정신철학통편 우리출판사 2004
[2] 문서
[3] 문서
[4] 논문 단군 천부경의 초기주석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5
[5] 문서
[6] 서적 주해[환단고기] 가나출판사 1985
[7] 문서
[8] 서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9] 문서
[10] 간행물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국학연구원
[11] 서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미디어 2010
[12] 논문 한말·일제시대 단군신앙운동의 전개 : 대종교·단군교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3] 논문 단군 천부경의 초기주석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5
[14] 서적 정신철학통편 우리출판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