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양고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양고추는 1983년 개발된 고추 품종으로, 명칭 유래에 대해 충청남도 청양군,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이 각기 다른 주장을 펼치고 있다. 청양군은 1968년 중앙종묘가 청양에서 고추 재배가 잘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품종 개발을 의뢰하여 청양고추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주장하지만, 중앙종묘는 청송군과 영양군 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육성하고자 했다고 밝히며 반박했다. 국립종자원 기록과 개발자 유일웅 박사의 인터뷰, 서울대학교 출판부의 학술 자료, 농촌진흥청 연구 리포트 등은 청송군과 영양군 기원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청양고추를 '땡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배품종 - 콜리플라워
    콜리플라워는 브라시카 올레라케아 종에서 유래된 채소로,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이며, 다양한 품종과 색상으로 분류되고, 비타민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여 요리 재료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에는 쌀 대체재로도 활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채소이다.
  • 재배품종 - 리크
    리크는 부추속에 속하는 채소로, 양파와 비슷한 순한 맛을 가지며, 유럽 원산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웨일스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고추 - 캐롤라이나 리퍼
    캐롤라이나 리퍼는 "Smokin" Ed Currie가 개발하여 2013년 기네스북에 등재된 세계에서 가장 매운 고추였으나, 세인트빈센트산 하바네로와 파키스탄산 나가 고추의 교배종으로, 강렬한 매운맛과 캡사이신 위험성으로 섭취 및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 고추 - 할라페뇨고추
    할라피뇨 고추는 멕시코 하라파 지역에서 유래된 *Capsicum annuum* 종의 고추로, 매운맛 정도가 다양하며 멕시코 및 텍스멕스 요리에 사용되고, 피클 등으로 가공되어 소비되며, 미국과 멕시코 등에서 재배되고, 높은 수분 함량과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으나 부패에 취약하여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 음식 - 향신료
    향신료는 식물의 다양한 부분에서 얻어지는 천연 재료로, 음식의 풍미를 더하고 보존 기간을 늘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대부터 귀하게 여겨져 무역과 식민지 경쟁을 촉발했고, 현대에는 전 세계 음식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음식 - 닭고기
    닭고기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닭의 고기로, 기원전부터 널리 소비되었으며, 2021년에는 돼지고기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된 육류이고, 다양한 부위로 조리되며 식중독균에 오염될 수 있어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청양고추
기본 정보
바구니에 담긴 익지 않은 청양고추
바구니에 담긴 익지 않은 청양고추
학명Capsicum annuum L.
고추
고추속
원산지한국
맵기매운맛
스코빌 지수10,000
한국어 이름
한글청양고추
한자靑陽고추
로마자 표기Cheongyang gochu
매큔-라이샤워 표기법Ch'ŏngyang koch'u
추가 정보
개발유일웅 홍초원 고추연구소 소장
관련 장소청양군

2. 이름

1983년 종묘 업체인 중앙종묘에서 개발한 고추 품종으로, 중앙종묘는 청양 외에도 청명, 청복, 조은, 조향, 조홍 등 수십 종의 고추 품종을 개발하여 등록하였다.[6] 그러나 1998년 IMF 사태로 인해, 세미니스가 한국의 《흥농종묘》와 《중앙종묘》를 인수합병하여 청양고추의 개발사가 흡수되었고, 개발자들은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7]

고추 품종의 명칭과 동일한 지명을 사용하는 충청남도 청양군(靑陽郡)은 '1968년 중앙종묘회사에서 청양에서 고추가 잘 자란다는 이야기를 듣고, 청양군 농업기술센터(구 농촌지도소) 소장에게 품종을 골라줄 것을 부탁하고 좋은 종자가 선정되면 그 고추에 청양고추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주장한다.[8]

국립종자원에 청양고추의 품종개발자로 등록된 '유일웅' 박사는 조선일보, 파이낸셜뉴스 등의 언론 인터뷰에서 '제주산태국산 고추를 잡종교배하여 만든 것으로 경상북도 청송군영양군 일대에서 임상재배에 성공하였으며, 현지 농가의 요청에 의해 청송의 청(靑), 영양의 양(陽)자를 따서 청양고추로 명명하여 품종등록하였다'고 밝혔다.[10][11]

청양고추 명칭 유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면, 청양군 유래설은 지역 이권에 민감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영향을 받는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의 주장과 군비로 용역을 맡긴 '평생교육실천포럼'이란 단체의 신뢰성 여부가 논란이 될 수 있다. 반면, 청송·영양 기원설은 중립적인 중앙 행정관서인 국립종자원의 기록, 청양고추 개발자인 유일웅 박사의 인터뷰 내용, 서울대학교 연구 총서 자료 등 중립성과 신뢰성을 보인다.

농촌진흥청 공식 연구 리포트는 "1983년 중앙종묘가 개발한 ‘청양고추’는 식품회사에서 요청한 캡사이신 추출용 고추로 개발되었다가 시범 재배한 농업인들에 의해 풋고추로 개발되었다. 청양이라는 이름은 바로 이 품종의 가능성을 알아낸 경북 청송과 영양지역의 농업인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지역명의 글자를 따서 ‘청양’이라 하였다"고 보고한다.[13]

2. 1. 명칭 유래 논쟁



청양고추의 이름은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 경상북도 청송군영양군의 두 지역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왔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1983년 중앙종묘에서 개발한 청양고추는[6] 1998년 IMF 사태로 인해 개발사가 세미니스에 인수합병되면서 개발자들이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7] 이 과정에서 청양고추의 명칭 유래에 대한 논쟁이 발생했다.

각 주장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1. 충청남도 청양군 기원설

1998년 IMF 사태로 인해, 세미니스가 한국의 《흥농종묘》와 《중앙종묘》를 인수합병하여 청양고추의 개발사가 흡수되었고, 개발자들은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7]

충청남도 청양군(靑陽郡)은 1968년 중앙종묘회사에서 청양에서 고추가 잘 자란다는 이야기를 듣고, 청양군 농업기술센터(구 농촌지도소) 소장에게 품종을 골라줄 것을 부탁하고 좋은 종자가 선정되면 그 고추에 '청양고추'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고 주장한다.[8] 청양군은 청양고추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지자 청양고추축제를 개최하고 청양군 농업기술센터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청양이 '청양고추'의 원산지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는 청송군영양군의 반발을 샀다. 청양군은 2009년 군비를 들여 '식탁 위의 화려한 혁명 고추' 책자를 발간하면서 "청양고추의 원산지는 '청양'이라는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으며, 이번에 청양고추 원산지에 대한 논란과 갈등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주장했다. 또 "'청양고추 콘텐츠 구축 연구용역'을 맡은 평생교육실천포럼(대표 전도근)은 청양고추의 원산지가 '충남 청양'이라는 결과를 냈다"며 "청송의 '청'과 영양의 '양' 자를 따서 '청양고추'로 명명한 품종을 등록했다고 하나, 종자를 만들었다는 어떠한 근거도 없다"고 주장하였다.[9]

2. 1. 2. 경상북도 청송군·영양군 기원설

중앙종묘는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 소과종 고추 가격이 높았던 경상북도 청송군영양군 지역에 적합한 품종을 육성하고자 했다고 밝히며 충청남도 청양군 기원설을 반박했다.[6] 국립종자관리소에 청양고추 품종 개발자로 등록된 유일웅 박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제주산과 태국산 고추를 교배하여 만든 품종을 청송군과 영양군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했으며, 지역 농가의 요청으로 '청송'의 '청'과 '영양'의 '양'을 따서 '청양고추'로 명명했다고 밝혔다.[10][11]

서울대학교출판부의 '한국채소종자산업발달사'에도 청송, 영양 기원설을 뒷받침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12] 농촌진흥청 연구 리포트에서도 청양고추가 경북 청송과 영양 지역 농업인들의 요청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13]

2. 2. 중립적 시각

1998년 IMF 사태로 청양고추 개발사인 중앙종묘가 세미니스에 인수되면서 개발자들이 회사를 떠나게 되었고,[7] 청양고추 명칭과 동일한 지명을 가진 충청남도 청양군은 청양고추 원산지가 자신들이라고 주장하며 청송군, 영양군과 갈등을 빚었다.[8][9]

그러나 중앙종묘는 홈페이지 게시물을 통해 청양고추 명칭이 경상북도 청송군영양군 지역에서 유래했음을 밝힌 바 있다. (해당 게시물은 현재 삭제됨) 또한, 국립종자원에 청양고추 품종개발자로 등록된 유일웅 박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청송의 '청'과 영양의 '양'자를 따서 청양고추로 이름 지었다고 밝혔다.[10][11] 서울대학교출판부의 '한국채소종자산업발달사'에도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2]

청양군 기원설은 지역 이권과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주장이라는 점에서 신뢰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반면, 청송·영양 기원설은 국립종자원의 기록, 개발자 인터뷰, 학계 연구 자료 등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어 더 신뢰할 만하다. 농촌진흥청의 공식 연구 리포트에서도 청양고추 이름이 경북 청송과 영양 지역 농업인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지어졌다고 보고하고 있다.[13]

2. 3. 사투리

경상도 지역에서는 청양고추를 '''땡초'''라고 부른다.

3. 개발 및 역사

1983년 중앙종묘에서 청양고추 품종을 개발하였다. 중앙종묘는 청양 외에도 청명, 청복, 조은, 조향, 조홍 등 수십 종의 고추 품종을 개발하여 등록하였다.[6]

1998년 IMF 외환 위기로 인해, 세미니스가 한국의 《흥농종묘》와 《중앙종묘》를 인수 합병하여 청양고추의 개발사가 흡수되었고, 개발자들은 회사를 떠나게 되었다.[7]

참조

[1] 뉴스 Hot pepper town swept by heat wave http://www.koreahera[...] 2017-01-09
[2] 웹사이트 Chili pepper https://www.cheongya[...] Cheongyang County 2017-01-09
[3] 뉴스 고추품종개발 권위자 유일웅 홍초원 고추연구소 소장 http://www.fnnews.co[...] 2011-12-25
[4] 웹사이트 Pepper (Hot) 'Dang Jo Cheongyang' https://loghouseplan[...] 2019-12-03
[5] 뉴스 추품종개발 권위자 유일웅 홍초원 고추연구소 소장 https://news.naver.c[...] 파이낸셜 뉴스 2006-02-27
[6] 웹사이트 세미니스 고추 제품목록 http://www.seminisko[...]
[7] 웹사이트 세미니스의 역사 http://www.seminisko[...]
[8] 웹인용 청양군 고추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08-03-13
[9] 뉴스 중앙일보 청양고추 원산지 논쟁 끝나려나 http://article.joins[...]
[10] 웹인용 조선일보, "경북 청송·영양군, 충남 청양군 '청양고추는 우리 것'" https://web.archive.[...] 2009-01-31
[11] 뉴스 "'청양고추'가 재래종이 아닌 회사 상표명?" http://www.cbs.co.kr[...]
[12] 서적 한국채소종자산업발달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13] 간행물 "'RDA 인테러뱅 79호 살수대첩을 꿈꾸며 - 고추산업의 미래를 위한 준비 - 13페이지" http://www.rda.go.kr[...] 농촌진흥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