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우 옛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순우 옛집은 1984년 사망한 故 최순우 선생이 생전에 거주하던 가옥으로,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시민 성금을 통해 매입하여 보수 및 복원 과정을 거쳐 2004년부터 일반에 개방되었다. 2006년에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1930년대에 지어진 근대 한옥으로, 'ㄱ'자 모양의 바깥채와 'ㄴ'자 모양의 안채가 맞물린 튼 'ㅁ'자 모양의 경기 양식이며, 최순우의 유품이 상설 전시되어 있다. 현재는 내셔널트러스트 시민문화유산 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4월부터 11월까지 관람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최순우 옛집 | |
---|---|
기본 정보 | |
유형 | 국가등록문화재 |
이름 | 최순우 옛집 |
지정 번호 | 268 |
지정 연월일 | 2006년 9월 19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5번길 9 |
소유자 |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
제작 시기 | 일제강점기 |
![]() |
2. 역사
1984년 최순우가 세상을 떠난 뒤, 딸 최수정이 살고 있었다. 성북동에 빌라 건축 붐이 일면서 보존 환경이 어려워지자,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2002년 12월 시민 성금으로 매입하여 보수 및 복원 작업을 거쳐 2004년 4월부터 일반에 공개하였다.
2. 1.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02년 12월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시민 성금으로 최순우 옛집을 매입하여 보수·복원 후 2004년 4월부터 일반에 개방하였다. 문화유산의 전문적인 관리와 운영, 모금을 위해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이 설립되면서 최순우 옛집은 이 재단법인의 기본자산으로 출연되었고, 내셔널트러스트 시민문화유산 1호로 명명되었다.2. 2. 국가등록문화재 지정
2006년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2002년 매입금액은 7.8억원이었으며, 보수 비용은 2억원이 들었다. 대지 면적은 395.042m2, 건물 면적은 101.92m2이며, 건물 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대청과 사랑방에 유품을 상설 전시하고 있다.3. 구조
최순우 옛집은 1930년대에 지어진 근대 한옥으로, 'ㄱ'자 모양의 바깥채와 'ㄴ'자 모양의 안채가 맞물려 튼 'ㅁ'자 모양을 이루는 경기 양식을 따르고 있다.
3. 1. 바깥채
바깥채에는 서고와 다용도실이 있다. 서고는 그 소장품이 모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되어 지금은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의 사무국으로 사용되고 있다. 처마 끝에는 최순우가 스위스 여행에서 가져온 소방울이 풍경 대신 달려 있다. 다용도실은 현재 전시실, 회의실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3. 2. 안채
안채에는 사랑방, 안방, 건넌방이 있다. 사랑방은 최순우의 집필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사랑방 위의 현판에는 "두문즉시심산(杜門卽是深山, 문을 걸어 잠그니 바로 이곳이 산중 깊은 곳)"이라고 최순우의 글씨로 쓰여 있다. 뒤뜰로 난 사랑방 문 위에는 “오수당(午睡堂, 낮잠 자는 방)”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는 평소 스스로를 “오수노인(낮잠 자는 노인)"이라고 부르길 좋아했던 최순우가 단원 김홍도의 화첩에서 따온 글씨이다. 뒤뜰을 향해 난 창과 문에는 한자로 쓸 용(用)자와 비슷한 모양의 용자살이 걸려 있는데, 이는 뒤뜰을 감상하는 데 있어 가장 아름다운 양식이 용자 문양이라 생각한 최순우가 직접 걸어둔 것이다. 건넌방은 딸이 기거하던 곳으로, 추사 김정희의 글씨로 "매심사(梅心舍, 매화 마음을 가진 방)"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3. 3. 뒤뜰
뒤뜰에는 단풍나무, 밤나무, 감나무, 소나무, 자목련, 산수유, 모과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 등 한국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수목들이 심어져 있다. 최순우는 뒤뜰 가운데에 하얀 달항아리를 놓고 그 뒤에는 청죽을 심어 마치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모습을 감상했다고 한다.4. 관람 정보
관람은 4월 1일부터 11월 31일까지 가능하며, 12월부터 3월까지는 겨울 정기 휴관이다. 관람 시간은 매주 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다. 입장료는 무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