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밤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밤나무는 한반도, 일본 열도, 만주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인 낙엽 교목이다. 높이 10~15m, 지름 30cm~1m까지 자라며, 암갈색 또는 암회색의 나무껍질과 타원형 잎을 가진다. 6~7월에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의 꽃이 피고, 9~10월에 견과인 밤이 열린다. 밤은 식용, 목재, 조경 등으로 이용되며, 특히 밤나무 목재는 건축, 가구, 공예 등에 널리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밤나무혹벌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며, 과천시의 상징으로, 주문진 교항리 밤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밤나무속 - 밤 (열매)
    밤은 밤나무 열매를 통칭하며, 탄수화물과 무기질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며, 한국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밤나무속 - 약밤나무
    약밤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수로, 높이 15~20m까지 자라며, 밤나무혹병에 강하고 식용 가능한 견과를 맺는다.
  • 1846년 기재된 식물 - 닥나무
    닥나무는 뽕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높이 2~5m까지 자라고, 한지의 원료로 재배되어 사람이 사는 곳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1846년 기재된 식물 - 지치
    지치는 지칫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용하거나 염료로 사용하며, 한국 각지에서 자라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참나무과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참나무과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밤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Castanea crenata
학명 (명명자)Siebold & Zucc. (1846)
영문명Japanese Chestnut
일본어명クリ
밤나무속
참나무과
참나무목
상목유로시드 I
하강장미군
아강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식물계
멸종 위기 등급LC
멸종 위기 등급 기준IUCN3.1
멸종 위기 등급 참고https://www.iucnredlist.org/species/62004433/62004435
품종
품종야츠부사그리 f.
탄바그리 f.
하제그리 f.
시다레그리 f.
하코그리 f.
하나그리 f.
토게나시그리 f.
이명
이명var. Sarg.
Hassk.
f. (Makino) Sugim.
f. Makino
f. (Makino) Sugim.
f. (Miyoshi) Sugim.
f. (Makino) Sugim.
f. (Honda) Sugim.
f. (Makino) Sugim.
var. (Blume) Koidz.
var. Miyoshi
var. Nakai
var. (Blume) A.Camus
var. Makino
var. Makino
var. (Blume) Koidz.
var. Sugim.
var. (Blume) A.Camus
var. (Blume) A.Camus
var. Makino
var. (Blume) A.Camus
var. (Blume) A.Camus
var. Miyoshi
var. Makino
var. Honda
var. (Blume) A.Camus
var. (Blume) A.Camus
var. (Siebold & Zucc.) A.Camus
var. Makino
var. A.Camus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Blume
var. (Siebold & Zucc.) Blume
(Blume) Koidz.
C.K.Schneid.
var. (Blume) Seemen
var. (C.K.Schneid.) Makino
Siebold & Zucc.
var. A.DC.
var. (Blume) A.DC.
var. (Blume) A.DC.
var. A.DC.
이미지
''Castanea crenata''
Castanea crenata

2. 분포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일본 열도만주에도 분포한다. 한국일본이 원산지이다.[28] 섭씨 12도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북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국의 표고 100~1,100m 지역의 산기슭이나 비옥하고 물빠짐이 좋은 땅에서 자란다.[29][30]

한반도 남부가 원산지이며, 홋카이도 남서부에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야쿠시마까지, 그리고 한반도에 분포한다. 온대에서 난대 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난대 상부에 많이 분포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밤나무대라고 한다. 홋카이도에서는 이시카리 저지대 부근까지 분포하지만, 그보다 북동부는 급격히 감소한다.

햇볕이 잘 드는 산지, 구릉 등에 자생한다. 하지만 현재는 널리 재배되고 있기 때문에 자연 분포와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와 타이완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밤나무 종류가 북반구 온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종(밤나무), 중국종(중국밤나무), 미국종(아메리카밤나무), 이탈리아종(유럽밤나무) 등이 각 지역에 자생하고 재배되고 있다.

3. 특징

밤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키가 10m에서 15m에 이르는 중소형 나무이다. 겨울눈은 가지 끝에 정아, 측아는 어긋나게 달리고, 둥근 삼각형으로 밤 모양과 비슷하다. 겨울눈의 인편은 3~4개가 있다. 엽흔은 반원형이고, 관속흔은 많다.

밤나무 수꽃


밤나무 암꽃


성장을 시작한 어린 각두과(각두에 싸여 있는 상태의 과실)

3. 1. 줄기

밤나무는 높이 10~15m, 지름 30cm~1m까지 자라는 식물이다.[27][29]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을 띠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29] 일년생 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이며, 짧은 털(단모)이나 별 모양의 털(성모)이 있다가 사라진다.[29]

3. 2. 잎

밤나무 잎과 열매


밤나무의 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타원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는 10~20cm 정도이고 표면에 윤이 난다.[29] 잎끝은 점첨두(점차 뾰족해지는 끝), 잎밑은 원저(둥근밑) 또는 아심장저(심장꼴밑)이다.[29] 잎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27] 잎은 어긋나기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달린다.[27] 주맥(가운데 있는 굵은 잎맥)에서 17쌍의 측맥(옆잎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뻗어나가며, 측맥 끝은 피침형이다. 잎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이 아주 빽빽하게 퍼져 있다.[29] 잎자루는 길이 1~1.5cm 정도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29]

밤나무 잎은 상수리나무 잎과 매우 비슷하지만, 톱니 끝부분이 상수리나무만큼 길게 자라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가을에는 노란색이나 황갈색으로 단풍이 들었다가 떨어진다.

3. 3. 꽃

밤꽃은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새 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는 길다란 미상화서(꼬리모양꽃차례)에 무리 지어 핀다.[27][29] 수꽃차례는 유백색이고, 암꽃은 수꽃 아래에 보통 3개씩 한데 모여 달리며 포로 싸인다.[27][29]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을 띠는 꽃은 6~7월에 피어 정액과 비슷한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데,[29][30] 이는 밤꽃이 정액에 든 성분인 스퍼미딘과 스퍼민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암수 꽃은 길이 7cm의 곧추서는 꼬리꽃차례에 달리는데, 수꽃은 윗부분에, 암꽃은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3. 4. 열매

견과로, 9~10월 무렵 밤송이로 익는다.[27] 겉열매껍질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안에는 씨가 1~3개씩 들어 있다.[29] 겉열매껍질은 익으면 벌어지지만, 속열매껍질은 잘 벗겨지지 않는다.[29] 밤송이가 4갈래로 벌어지면 속열매가 드러난다.[27] 익은 밤은 갈색을 띠며, 지름 2.5cm~4cm 정도로 밑부분은 흰색 털이 달린 좌가 전부 차지한다.[29] 밤은 평균 수분 60%, 녹말 30%, 당분 5%, 단백질 4% 정도를 함유한다.

가을(9~10월경)에 열매가 갈색으로 성숙하면, 밤송이인 각두가 4갈래로 갈라져, 안에서 단단한 과실(견과이며 종자가 아니다)이 1~3개씩 나온다. 과실은 단순히 “밤”, 또는 “밤의 열매”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다른 참나무과 식물의 열매인 도토리와 구별된다. 밤송이 모양의 각두에 싸여 있기 때문에 이 상태가 구과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안에 있는 밤 자체가 종자가 아닌 과실이므로 잘못된 표현이다. 열매의 향기 주성분은 메티오날(고구마 향기의 주성분)과 플라논(딸기나 파인애플에도 포함되어 있다)이다. 무배유 종자이다.

밤송이(각두과)


색이 들고 갈라져 안의 과실이 보이게 된 각두


땅에 떨어진 각두. 갈라져 안의 과실이 보인다

4. 재배

밤나무는 내음성이 약해 그늘진 곳에서는 결실이 좋지 않다. 내조성과 내건성은 약하지만, 대기오염에는 보통이고 토양 적응성이 크다.[27][29] 과수로 재배할 때는 4월 중순 무렵 접붙이기를 하며, 목재 생산을 위해서는 봄에 를 뿌려 심는다.[29][30]

줄기마름병, 마름병, 탄저병, 뿌리혹병, 흰가루병 등의 병해가 발생할 수 있다.[29] 하늘소, 박쥐나방, 밤송이진딧물, 복숭아명나방, 깍지벌레, 밤나무혹벌, 밤바구미, 밤나방,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독나방, 응애, 왕진딧물 등에 의한 충해를 입을 수 있다.[29] 과거 일제강점기일본에서 밤나무혹벌이 유입되어 대한민국 밤나무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1958년경부터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일본에서 도입하고, 국내에서도 재래종 중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여 피해를 줄였다.[27]

줄기마름병에 걸린 밤나무


밤나무혹벌

4. 1. 기후

밤나무는 연평균 기온 10~14°C, 4~10월 평균 기온이 16~20°C인 지역에서 잘 자란다.[27][29] 늦가을이나 이른봄에 서리 피해를 입거나 겨울 동안 뿌리 부근의 줄기가 동해를 입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27][29] 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려도 괜찮지만, 햇빛이 부족하면 생장과 결실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29]

4. 2. 토양

밤나무는 다른 과수에 비해 재배가 쉽고, 산간 지역에서도 비교적 잘 자란다.[27]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좋은 비옥한 산록에서 잘 자라며,[29] 칼륨이 부족하고 칼슘이 많은 토양에서는 생장이 어렵다.[31]

4. 3. 지역

밤나무는 한국, 일본이 원산지이며, 중국, 타이완,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미국 등에서도 재배된다.[28]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재배하는데, 충청남도부여, 공주, 전라남도광양, 순창, 임실, 경상남도하동, 산청 등이 대표적인 재배지이다.[29] 중부 이북에서는 밤나무보다 약밤나무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1958년경 밤나무혹벌 피해로 기존 품종이 전멸한 후, 일본에서 내충성 품종을 도입하여 재배하였다.[27] 1961년부터는 한국 재래종 중 내충성 우량종 선발 사업을 통해 10여 품종이 발표되었다.[27] 한국 재래밤은 단맛이 높지만, 일본 밤은 그렇지 못한 편이다.[27]

국내 개발 품종으로는 '광주올밤', '백중밤', '산대밤', '산성밤', '옥광밤', '장위밤', '중흥밤', '포천 B1호'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 도입된 품종으로는 '단택'(丹沢|단자와일본어), '대화조생'(大和早生|야마토와세일본어), '삼조생'(森早生|모리와세일본어), '유마'(有磨|아리마일본어), '은기'(銀寄|긴요세일본어), '이취'(伊吹|이부키일본어), '이평'(利平|리헤이일본어), '축파'(筑波|쓰쿠바일본어),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도요타마와세일본어) 등이 있다.[30][32]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교토 단바 지방에서 재배가 성행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갔다.[10] 생산량은 이바라키현, 쿠마모토현, 에히메현, 기후현, 사이타마현 순으로 많다.[10] 단바밤과 같이 브랜드화하거나 밤을 이용한 과자 개발, 관광객 유치 등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10]

최근에는 껍질 벗기기가 어려운 점이 수요 감소의 원인이 되어, 농연기구에서 껍질이 잘 벗겨지는 '포로탄' 품종(2007년 품종 등록)이 육성되었다.[11]

2014년도 일본의 밤 수확량은 23,401톤이며,[12] 주요 산지는 다음과 같다.

순위지역수확량(t)
1이바라키현5,180
2쿠마모토현3,820
3에히메현1,540
4기후현1,010
5사이타마현727
6미야자키현640
7야마구치현570
8나가노현554
9도치기현541
10지바현510



일본의 주요 밤 산지는 다음과 같다.

4. 4. 품종

한국에서 주로 재배하는 밤나무는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이며, 국내 개발 품종과 일본 등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이 있다.[32] 1958년경 밤나무혹벌 피해로 기존 품종이 전멸한 이후, 일본에서 내충성 품종을 도입하여 재배하였다.[27] 1961년부터 임업시험장에서 한국 재래종 가운데 내충성 밤 우량종 선발사업을 시작하여 10여 품종을 발표하였다.[27] 일반적으로 한국 재래밤은 단맛이 높지만, 일본 밤은 그렇지 못한 편이다.[27]

국내 개발 품종으로는 '광주올밤', '백중밤', '산대밤', '산성밤', '옥광밤', '장위밤', '중흥밤', '포천 B1호' 등이 있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으로는 '단택'(丹沢|단자와일본어), '대화조생'(大和早生|야마토와세일본어), '삼조생'(森早生|모리와세일본어), '유마'(有磨|아리마일본어), '은기'(銀寄|긴요세일본어), '이취'(伊吹|이부키일본어), '이평'(利平|리헤이일본어), '축파'(筑波|쓰쿠바일본어),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도요타마와세일본어) 등이 있다.[30][32]

유럽종 × 일본종 잡종 품종[6]으로는 '콜로설', ‘부슈 드 베티작’, ‘프레코스 미굴’, ‘레이버 데이’ 등이 있다.

4. 4. 1. 국내 개발 품종

C. c.la f. foeminala - 꽃이삭에 많은 밤송이를 맺는다.

단바밤 C. c.la f. giganteala - 다른 이름은 왕밤이다. 재배 품종으로는 ‘은요세’라고 불린다.

껍질이 벌어지는 밤 C. c.la f. imperfectala - 다른 이름은 벌거벗은 밤이다. 과피가 세로로 갈라져 내부가 보인다.

능수 밤나무 C. c.la f. pendulala - 나무 줄기와 가지가 구부러져 늘어진다.

여러 밤이 열리는 밤 C. c.la f. pleiocarpala (이명 C. c.la var. ''pleiocarpa'') - 하나의 깍정이에 6~8개의 열매가 들어 있다.

꽃과 밤송이가 붉은 밤 C. c.la f. pulchellala (이명 C. c.la var. pulchellala) - 꽃과 밤송이는 붉다.

가시 없는 밤 C. c.la f. ''sakyacephala'' (이명 C. c.la var. sakyacephalala) - 밤송이의 가시가 매우 짧다.

약 200종류 이상의 재배 품종이 있으며, 밤나무가 개량된 것이 주류이지만, 해외산 밤과 교잡된 것도 존재한다. 재배 품종은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 중생, 만생으로 크게 나뉜다.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 조생종 - 丹沢(탄자와), 国見(쿠니미)
  • 중생종 - 筑波(츠쿠바), 銀寄(긴요세), 리헤이밤
  • 만생종 - 石鎚(이시즈치), 岸根(간네)

4. 4. 2. 외국 도입 품종

일본 밤은 실제로는 크지만 단맛이 적으며, ‘츠쿠바’, ‘탄자와’ 등의 품종이 있다[1]。교토산으로 알려진 단바밤은 주로 ‘긴요세’라는 대과종이다[2]

재배 품종은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 중생, 만생으로 크게 나뉜다.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구분품종
조생종탄자와, 쿠니미
중생종츠쿠바, 긴요세, 리헤이밤
만생종이시즈치, 간네


4. 5. 번식

밤나무는 과수로 재배할 때 4월 중순 무렵 접붙이기하며,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할 때는 봄에 를 뿌려 심는다.[29][30] 병충해로는 줄기마름병, 마름병, 탄저병, 뿌리혹병, 흰가루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늘소, 박쥐나방, 밤송이진딧물, 복숭아명나방, 깍지벌레, 밤나무혹벌, 밤바구미, 밤나방,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독나방, 응애, 왕진딧물 등에 의한 충해를 입을 수 있다.[29]

4. 6. 병충해



밤나무는 줄기마름병, 마름병, 탄저병, 뿌리혹병, 흰가루병 등 병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하늘소, 박쥐나방, 밤송이진딧물, 복숭아명나방, 깍지벌레, 밤나무혹벌, 밤바구미, 밤나방,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독나방, 응애, 왕진딧물 등에 의한 충해를 입을 수 있다.[29]

과거 일제강점기일본에서 밤나무혹벌이 유입되어 대한민국 밤나무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1958년경부터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일본에서 도입하고, 국내에서도 재래종 중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여 피해를 줄였다.[27] 일본에서는 1979년 이후 밤나무혹벌의 천적인 중국긴꼬리좀벌을 밤 주산지에 방사하여 피해가 급감했다.

밤나무바구미에 의한 과실 피해는 수확 후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으로 방제해 왔지만,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문제로 사용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냉장, 온탕 처리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일본의 밤나무는 중국밤나무에 이어 밤나무줄기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5. 이용

밤나무는 열매인 을 얻기 위해 재배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목재를 얻거나 조경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조경용으로 원예 재배할 때는 녹음 효과가 좋아 녹음수로 적당하다.[29]

나무껍질에서 얻은 타닌은 염색 또는 피혁 가공에 쓰인다.[27]

밤나무 재목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부식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23] 건물의 기둥과 토대[23], 철도 선로침목[23], 가구 등의 목공예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자원량 부족으로 구하기 어려워졌다. 생장이 빠르고 잘 타기 때문에 가는 둥근 나무는 땔나무나 표고버섯 재배의 톱밥으로 이용할 수 있다.[23] 조몬 시대의 건축재와 연료재는 밤나무가 대부분이었던 것이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로부터 알 수 있다. 산나이마루야마 유적의 6개 기둥 거대 구조물 주기둥에도 사용되었다.[23] 촉감은 소나무와 비슷하지만 소나무보다 단단하고 나이테도 또렷하다. 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지만 단단하기 때문에 가공은 어려워진다.[23] 떡갈나무보다는 부드럽다.

밤나무를 사용한 테이블


밤나무 목재



5. 1. 가지

오래 자란 밤나무는 좋은 목재로 쓰인다. 밤나무 목재는 단단하여 잘 부서지지 않고 물과 습기에 잘 견디며 가공하기 쉽고 오래 간다.[27] 또한 방부제 역할을 하는 타닌 성분이 많아서 잘 썩지 않으므로 쓰임새가 다양하다. 장난감, 가구, 기구, 건축, 토목, 선박, 차량을 만드는 데도 쓰이고, 조각, 세공, 칠기 등 목공예에 널리 쓰인다.[29][33][34] 전통적으로 거문고 뒷면을 밤나무 목재로 만들었다.[35] 방아의 축이나 절구공이처럼 단단한 연장을 만드는 데도 밤나무를 쓴다. 철도 침목으로도 쓰고 위패나 장승을 만드는 데도 쓰였다.

밤나무 목재는 심재(心材)와 변재(邊材)의 구분이 분명하고 나이테 또한 뚜렷하다.[29] 변재는 좁고 암회백색 또는 암황색을 띠며, 심재는 담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내구성이 강하고 바르게 잘 쪼개지는 성질이 있다.[27] 환공재로 딱딱하고 나무갗은 거칠고 무거우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이 용이하다.[29] 절삭, 가공, 접착, 도장, 건조성은 보통이며, 약제 주입성은 매우 불량하다.[29]

목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버섯 재배 원목으로 쓰인다.[27]

5. 2. 꽃

밤꽃은 꿀이 많은 밀원식물이다.[29]

5. 3. 열매

은 날로 먹기도 하고, 삶거나 구워서 먹기도 하며, 여러 가공 식품에 쓰이기도 한다.[30] 설탕이나 꿀물에 조리기도 하고, 밤가루를 만들어 아이스크림을 만들거나 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밤 속에는 탄수화물, 칼슘, , 칼륨 같은 무기질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다.[30]

밤은 한약재로도 쓰이는데, 만성 구토증과 당뇨병을 치료하고 장과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30]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 초기부터 밤을 식용으로 이용했다. 나가노현 가미마쓰정의 오미야노모리우라 유적의 움집 유적에서는 1만 2900년 전(또는 1만 2700년 전)의 밤이 출토되었으며, 건조를 위한 구멍이 뚫린 열매도 있었다. 조몬 시대의 밤은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었으며[18], 아오모리현의 사나에마루야마 유적에서 출토된 밤의 DNA 분석 결과[19], 조몬 시대에는 이미 밤이 재배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밤은 일반 과수가 나무 위에 열린 열매를 따서 채취하는 것과 달리, 떨어진 열매를 밤송이에서 조심하며 줍는다. 야생종(야생밤·참밤)은 재배종보다 견과가 작지만, 단맛이 강하고 매우 진한 풍미가 있다. 재배종인 큰밤은 야생종에서 개량된 것이다. 견과류의 일종으로, 열매는 단단한 겉껍질에 싸여 있으며, 겉껍질을 벗기면 속은 얇은 渋皮|시부카와일본어로 덮여 있다. 식재료로서의 제철은 9~10월이며, 열매의 겉껍질에 윤기가 있고, 벌레 먹은 곳이 없고, 무게감이 있는 것이 상품 가치가 높은 우량품으로 여겨진다.

연희식에는 말려서 껍질을 제거한 "빻은밤|가치구리일본어"이나 쪄서 가루로 만든 "히라구리" 등의 기록이 있다.[20]

현대에는 은은한 단맛을 살려 구운밤으로 만든 간구리|간구리일본어, 밤밥, 밤찰밥, 차완무시의 재료, 과자류(밤금떡, 밤양갱, 졸임, 정과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간단하게 구운밤이나 삶은 밤으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유럽에서도 널리 재배 및 이용되며, 구운 밤 외에도 마롱글라세로 만들거나, 속에 밤을 채워 로스트를 하거나, 조림 요리 등에 사용한다. 또한 이탈리아에서는 밤을 갈아서 , 크레페, 케이크, 뇨키 등에 이용한다.[21]

JR큐슈 히사츠선 히토요시역의 역 도시락 "밤밥"


밤 찐 양갱


마롱글라세가 올려진 몽블랑 (케이크)


영양가가 높으며, 가식부 100그램(g)당 열량이 164킬로칼로리(kcal)로 고칼로리이며 탄수화물을 많이 함유하고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칼륨, 엽산 등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22]

밤을 장기간 두면 수분이 빠져 열매가 줄어들고 벌레가 들어가므로, 종이 등에 싸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껍질을 벗긴 밤은 삶은 후 냉동 보관할 수도 있다.

6. 문화

과천시의 상징은 밤나무이다.[36]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있는 주문진 교항리 밤나무(금용길 107-13)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97호로 지정되었다.[29]


  • 원숭이와 게의 싸움』(민담)
  • 밤나무 3년, 밤나무 3년, 감나무 8년 (배나무는 어리석은 녀석이 18년, 또는 유자는 어리석은 놈이 18년, 매실은 술술 16년) - 씨를 심어서 열매를 수확할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을 가리키는 속담.
  • 삼도 밤 이야기 전설
  • 『큰 밤나무 아래에서』(동요)
  • 에도 시대, 일본에 고구마가 전래되었을 때, 그 맛이 밤과 비교되었다. 밤을 9리와 비교하여 '밤에 가깝다'고 하여 '8.5리', 또는 밤보다 (9리+4리) 맛있다고 하여 '13리' 등이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마을에서 가장 큰 밤나무』- 기시다 구니시의 연극.
  • 밤의 꽃말은 "만족", "호화로움"이다.
  • 『쿠리짱』- 시가현 쿠리타의 마스코트 캐릭터[25]

참조

[1] IUCN Castanea crenata 2021-11-19
[2] 웹사이트 Japanese chestnut - Encyclopedia of Life https://eol.org/page[...]
[3] BSBI 2014-10-17
[4] 서적 The Resilient Farm and Homestead: An Innovative Permaculture and Whole Systems Design Approach Chelsea Green Publishing
[5] 학술지 First interspecific genetic linkage map for ''Castanea sativa'' x ''Castanea crenata'' revealed QTLs for resistance to ''Phytophthora cinnamomi'' 2017-01-01
[6] 웹아카이브 Cultivars for Michigan http://chestnuts.msu[...] 2015-06-01
[7] 학술지 Effects of burying depth and seed size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Japanese chestnuts, Castanea crenata https://www.scienced[...] 2002-07-01
[8] YList 2023-09-06
[9] YList 2023-09-06
[10] 웹사이트 第11回かさま新栗まつり http://www.city.kasa[...] 笠間市ホームページ
[11] 학술지 ニホングリ新品種‘ぽろたん’ http://agriknowledge[...] 農研機構果樹研究所 2016-06-09
[12] 간행물 農林水産省 作況調査(果樹)くり 平成26年版
[13] 웹사이트 特産品/日高市公式ページ http://www.city.hida[...] 日高市 2021-12-16
[14] 웹사이트 銀寄栗 http://foodslink.jp/[...] 2020-06-23
[15] 학술지 酒造業経営者の変革行動─滋賀県と高知県の中小酒造メーカーの事業変革に関する研究─ https://hdl.handle.n[...] 滋賀大学経済学部 2019-11-01
[16] 보도자료 『ハイピース くりほうじ茶HOT』をリニューアル発売 http://moritakk.com/[...] 盛田株式会社 2021-12-16
[17]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문부과학성
[18] 뉴스 国内最古、1万年以上前のクリか 長野の遺跡で発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12-26
[19] 웹사이트 日本栗のはじまり https://www.kurihiko[...] 岩間の栗や・小田喜商店 2019-11-20
[20] 웹사이트 栗(くり) http://www.maruka-is[...] 丸果石川中央青果 2023-01-25
[21] 서적 ナッツの歴史 原書房 2016-08-27
[22] 뉴스 秋の味覚”栗” 実は栄養たっぷり 栗の豆知識も | RCC NEWS | 広島ニュース | RCC中国放送 (1ページ) https://newsdig.tbs.[...]
[23] 학술지 学芸員ノート 復元された弥生時代の住居 https://saitama-reki[...] 埼玉県立歴史と民俗の博物館 2021-12-16
[24] 서적 一〇〇の素材と日本料理〈下巻〉野菜・肉篇 柴田書店
[25] 웹사이트 栗東市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くりちゃん」栗東市 https://www.city.rit[...] 2023-05-08
[26] 웹인용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http://www.theplantl[...] 2019-02-14
[27] 위키소스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너도밤나무과(참나무과) > 밤나무 https://ko.wikisourc[...]
[28] 웹인용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9-02-14
[29] 웹인용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http://www.nature.go[...] 국립수목원 2019-02-14
[30] 위키소스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재배와 관찰 > 식물의 이용 > 원예식물 > 과수 > 밤나무 https://ko.wikisourc[...]
[31] 위키소스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생태와 형태 > 환경 요인과 식물 > 토양과 식물 > 영양 염류와 식물의 생활 https://ko.wikisourc[...]
[32] 웹인용 임산물정보 > 수실류 > 밤 http://www.forestinf[...] 산림조합중앙회 2019-02-14
[33] 위키소스 한국미술 > 미술의 종류 > 공예 > 목공예 > 목재 https://ko.wikisourc[...]
[34] 위키소스 한국미술 > 한국미술의 흐름 > 한국 근대미술 > 한국 근대공예 > 목공예 https://ko.wikisourc[...]
[35] 위키소스 한국음악 > 한국음악의 기초지식 > 한국의 악기 > 거문고 https://ko.wikisourc[...]
[36] 간행물 한국지리 > 중부지방-남부지방 > 경기도 > 과천시 https://ko.wikisourc[...]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