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미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미는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구금 및 정학 처분을 받았으며, 이후 사회주의 원전 번역 활동을 했다. 1992년 시 「속초에서」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 첫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1994)로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 여러 권의 시집과 산문집을 출간했으며, 2006년 이수문학상을 수상했다. 2017년 시 「괴물」 발표를 통해 고은 시인의 성추행 사실을 폭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의당 당원 - 윤지선 (철학자)
윤지선은 여성주의 연구 철학 박사로, 여성의당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온라인 혐오 표현을 분석한 논문 《관음충의 발생학》으로 사회적 논란을 빚었고, 윤리학, 페미니즘, 포스트휴먼 시대를 다룬 저서를 집필하고 윤김지영과 《탈코르셋 선언》을 공저했다. - 여성의당 당원 - 오지은 (가수)
오지은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작가이며, 2006년 음악 듀오 heavenly로 활동을 시작하여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하고, 정규 음반과 밴드 활동, 저서 출간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 21세기 시인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21세기 시인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최영미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최영미 |
출생일 | 1961년 9월 25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소설가 |
로마자 표기 | Choe Yeongmi |
학력 | |
모교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미술사 석사 |
활동 | |
활동 기간 | 1992년 - |
장르 | 시, 수필, 소설 |
데뷔 작품 | "속초에서" 등 8편의 시 |
대표 작품 | 서른, 잔치는 끝났다 |
수상 | |
수상 내역 | 제13회 이산문학상 서울특별시 성평등상 대상 |
2. 학력
선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에는 군사 독재에 맞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 시위에 참여하여 10일간 구금되고 1년간 정학 처분을 받기도 했다. 한국 전쟁 이후 칼 마르크스의 『자본』을 한국어로 번역한 비밀 결사체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이 번역본은 1987년 단일 필명으로 출판되어 이론과실천출판사 사장의 체포로 이어졌다. 1980년대 후반 공산주의의 몰락과 국내외 정치적 변화 이후 그의 정치적 관점은 보다 포괄적인 세계관으로 변화되었고, 이는 그의 시에 반영되었다. 졸업 후에는 독재에 맞서 싸우기 위해 설립된 지하 조직인 제헌의회그룹(제헌의회그룹/제헌의회그룹한국어)에 합류했다.
서울대학교 2학년이던 198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내 시위에 가담하여 관악경찰서에서 구류 10일을 살고 1년간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 대학졸업 후에 반독재 투쟁을 위해 만들어진 비합법 조직 '제헌의회그룹'의 사회주의 원전 번역팀에 들어가 카를 마르크스와 레닌의 저작물을 공동번역했다. 십 여명이 번역과 교열작업에 매달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해방 이후 최초로 현대 한국어로 옮긴 《자본 1》이 1987년 이론과실천사에서 김영민이라는 허구의 인물을 역자로 내세워 출판되었고, 출판사 대표는 사회주의 원전을 출판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1980년대 말 소비에트 정권의 붕괴와 공산주의의 몰락을 경험하면서 최영미는 거대 담론과 이데올로기에 회의를 품게 되었고, 자신의 안과 밖에서 진행되는 심각한 변화를 글로 표현하려 노력하며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3. 생애 및 활동
최영미의 문학적 경력은 1992년 겨울호 창작과 비평에 「속초에서」를 포함한 8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2년 후, 그녀는 첫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1994)를 출간했는데, 이는 곧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도 엄청난 인기를 얻어 초판 발행 1년 만에 50만 부가 넘는 기록적인 판매고를 올렸다. 1980년대와 90년대 한국의 일상생활에 대한 서정적인 묘사와 사회 및 문화 풍자를 결합한 이 책은 이후 52번의 인쇄를 거쳤으며, 가장 최근에는 2015년 개정 21주년 기념판이 출간되었다. 그녀는 이후 『꿈의 페달을 밟고』(1998), 『돼지들에게』(2005), 『도착하지 않은 삶』(2009), 『이미 뜨거운 것들』(2013), 『다시 오지 않는 것들』(2019) 등 다섯 권의 시집을 더 출간했다.
2006년 최영미는 『돼지들에게』(2005)로 이수문학상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국회도서관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이미 뜨거운 것들』(2013)은 2013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우수문학도서로 선정되었다. 최영미의 시 「선운사에서」는 음악으로 편곡되어 다양한 음악가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그녀는 2017년 시 「괴물」 발표를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3. 1. 민주화 운동 참여와 문학 활동
서울대학교 2학년이던 198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내 시위에 가담하여 관악경찰서에서 구류 10일을 살고 1년간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 대학졸업 후에 반독재 투쟁을 위해 만들어진 비합법 조직 '제헌의회그룹'의 사회주의 원전 번역팀에 들어가 카를 마르크스와 레닌의 저작물을 공동번역했다. 십 여명이 번역과 교열작업에 매달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해방 이후 최초로 현대 한국어로 옮긴 《자본 1》이 1987년 이론과실천사에서 김영민이라는 허구의 인물을 역자로 내세워 출판되었고, 출판사 대표는 사회주의 원전을 출판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1980년대 말 소비에트 정권의 붕괴와 공산주의의 몰락을 경험하면서 최영미는 거대 담론과 이데올로기에 회의를 품게 되었고, 자신의 안과 밖에서 진행되는 심각한 변화를 글로 표현하려 노력하며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최영미의 문학적 경력은 1992년 겨울호 창작과 비평에 「속초에서」를 포함한 8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2년 후, 그녀는 첫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1994)를 출간했는데, 이는 곧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도 엄청난 인기를 얻어 초판 발행 1년 만에 50만 부가 넘는 기록적인 판매고를 올렸다. 1980년대와 90년대 한국의 일상생활에 대한 서정적인 묘사와 사회 및 문화 풍자를 결합한 이 책은 이후 52번의 인쇄를 거쳤으며, 가장 최근에는 2015년 개정 21주년 기념판이 출간되었다. 그녀는 이후 『꿈의 페달을 밟고』(1998), 『돼지들에게』(2005), 『도착하지 않은 삶』(2009), 『이미 뜨거운 것들』(2013), 『다시 오지 않는 것들』(2019) 등 다섯 권의 시집을 더 출간했다.
2006년 최영미는 『돼지들에게』(2005)로 이수문학상을 수상했다. 2011년에는 국회도서관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이미 뜨거운 것들』(2013)은 2013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우수문학도서로 선정되었다. 최영미의 시 「선운사에서」는 음악으로 편곡되어 다양한 음악가들에 의해 연주되었다. 그녀는 2017년 시 「괴물」 발표를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3. 2. 사회 비판과 풍자
3. 3. 미투 운동과 고은 시인 폭로
최영미는 고은의 성추행을 '괴물'을 통해 폭로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13] '돼지들에게'라는 시를 통해서는 운동권의 위선을 보여주었다. 이에 고은을 성역화하려고 하였던 운동권은 격렬하게 저항하였다. 민족문화작가회의에서 사무국장을 하던 이승철은 최영미의 사생활을 거론하면서 그녀의 발언의 신빙성을 낮추려고 하였다. 하지만 명예훼손으로 소송을 건 고은은 1심과 2심에서 최영미와 언론사에 패했고 항소를 포기하였다.[13]
최영미는 한국의 미투 운동 창시자로 여겨진다.[13] 2017년, 그녀는 한 잡지 편집자로부터 페미니즘에 관한 시를 제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그 결과물인 시 "괴물"(괴물/괴물한국어)에서 존경받는 고령의 남성 시인 "En"으로만 묘사된 인물에게 성희롱을 당한 경험을 묘사했다. 이 가해자가 고은 시인으로 밝혀지면서 전국적인 논란이 일었고, 문학계 성희롱 문제에 대한 논의에 불을 지폈다. 최영미는 자신의 경험을 용감하게 밝힌 공로로 2018년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성평등상을 수상했으며, 이는 "시인의 성희롱 경험에 대한 용감한 고백"으로 평가받았다.
2018년 고은은 최영미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지만, 2019년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최영미의 주장을 "신빙성이 있다"고 판결하고, 그녀의 증언을 "일관되고 구체적"이며 "그녀의 주장의 진실성을 의심할 만한 이유가 거의 없다"고 판시하며 최영미에게 승소 판결을 내렸다. 고은은 서울고등법원에 항소했지만 항소 또한 기각되어 최영미에게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패소했다. 이후 한국 문단의 여러 여성들이 고은의 포식자적 행동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밝혔는데, 최영미는 이를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표현했다. 2023년, 최영미는 한국 외 지역에서 고은의 문학 활동이 계속되고 있는 것에 대해 페이스북에 "위선을 행하는 문학"이라고 비판하는 글을 게시했는데, 이는 ''코리아 헤럴드''에 보도되었다.[1]
3. 4. 기타 활동
최영미는 2011년 국회도서관 홍보 대사로 위촉되었고,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축구협회 축구사랑나눔재단 이사로 활동했다. 열렬한 축구팬인 그녀는 2006년 타게스차이퉁(Die Tageszeitung)에서 발행한 2006년 FIFA 월드컵 특집호 ''Taz journal Mai 2006''에 한국 축구에 대한 글을 기고했고, 2011년 축구 에세이 《공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를 출간했다.
인하대학교와 강원대학교에서 창작과 시를 가르쳤다.
최영미의 삶, 여행, 예술에 관한 여러 에세이가 출판되었는데, 여기에는 ''시대의 우울: 최영미의 유럽일기'', ''우연히 내 일기를 엿보게 될 사람에게'', 그리고 ''길을 잃어야 진짜 여행이다'' 등이 포함된다.
2019년에는 자신의 출판사인 이미출판사(Imi Books)를 설립하여 ''다시 오지 않는 것들''을 출판했다.
4. 작품 목록
- 창작과비평사에서 1994년 《서른, 잔치는 끝났다》, 1998년 《꿈의 페달을 밟고》를 출간했다. 실천문학사에서 2005년 《돼지들에게》, 2013년 《이미 뜨거운 것들》을 출간했다. 2009년에는 문학동네에서 《도착하지 않은 삶》을 출간했다. 2019년에는 이미출판사에서 《다시 오지 않는 것들》을 출간했다. 영어로는 ''Three Poets of Modern Korea: Yi Sang, Hahm Dong-seon and Choi Young-mi'' (translated by James Kimbrell and Yu Jung-yul, 2002 Sarabande Books)가 출판되었다.
- 흉터와 무늬한국어, 2005년
- 청동정원한국어, 2014년
- 최영미는 여러 권의 산문집을 출간했다. 1997년에는 《시대의 우울》을 창작과비평사를 통해 출간했고, 2009년에는 《우연히 내 일기를 엿보게 될 사람에게》를 문학동네에서 출간했다. 2020년에는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해냄출판사에서 출간했다.
- 최영미는 프란시스 베이컨과 미셸 아르샹보의 대화인 『화가의 잔인한 손: 프란시스 베이컨과의 대화』를 1998년에 번역하여 출간했다.
4. 1. 시집
- 창작과비평사에서 1994년 《서른, 잔치는 끝났다》, 1998년 《꿈의 페달을 밟고》를 출간했다. 실천문학사에서 2005년 《돼지들에게》, 2013년 《이미 뜨거운 것들》을 출간했다. 2009년에는 문학동네에서 《도착하지 않은 삶》을 출간했다. 2019년에는 이미출판사에서 《다시 오지 않는 것들》을 출간했다. 영어로는 ''Three Poets of Modern Korea: Yi Sang, Hahm Dong-seon and Choi Young-mi'' (translated by James Kimbrell and Yu Jung-yul, 2002 Sarabande Books)가 출판되었다.
4. 2. 소설
- 흉터와 무늬한국어, 2005
- 청동정원한국어, 2014
4. 3. 산문집
최영미는 여러 권의 산문집을 출간했다. 1997년에는 《시대의 우울》을 창작과비평사를 통해 출간했고, 2009년에는 《우연히 내 일기를 엿보게 될 사람에게》를 문학동네에서 출간했다. 2020년에는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해냄출판사에서 출간했다.4. 4. 번역
최영미는 프란시스 베이컨과 미셸 아르샹보의 대화인 『화가의 잔인한 손: 프란시스 베이컨과의 대화』를 1998년에 번역하여 출간했다. 1999년에는 『돌로레스 오롤레이의 그리스 신화』를 번역했다.5. 수상 경력
6. 평가 및 영향
최영미의 시 여러 편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예를 들어, 창비의 2012년 문학 교과서에는 "지하철에서 2", 학연사의 2012년 수필 교과서에는 "시대의 우울 – 쾰른 편", 지학사의 2014년 문학 교과서에는 "선운사에서"가 실려 있다.
그녀의 시는 음악으로 많이 편곡되었다. 서울시립오페라단 이건용 단장이 작곡하고 전경옥이 노래한 앨범 "혼자사랑 - Artpop & Classic"(1998)에는 최영미 시의 네 곡, "선운사에서", "아도니스를 위한 연가", "슬픈 카페의 노래", 그리고 "북한산(Bukhansan)에 첫눈 오는 날"이 실려 있다. "선운사에서"는 김대성이 편곡하여 강권순과 함께 2007년 발표한 앨범 "첫마음"에 수록되었으며, 안치환 또한 2010년 앨범 "오늘이 좋다"에서 이 시를 노래했다.
참조
[1]
뉴스
[Exclusive] Disgraced poet Ko Un, unseen in Korea, has been active in international literary scene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3-01-13
[2]
서적
三十、宴は終わった : チェ・ヨンミ選詩集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1-07-05
[3]
뉴스
최영미 시인 ‘성평등상 대상’ 두고 논란…“수상 취소돼야”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21-07-05
[4]
웹사이트
최영미 시인 프로필
https://search.naver[...]
2022-12-16
[5]
서적
서른, 잔치는 끝났다 개정3판
https://book.naver.c[...]
교보문고
2021-07-05
[6]
서적
시대의 우울
https://book.naver.c[...]
교보문고
2021-07-05
[7]
뉴스
고은 시인 '상습 성추행?'..인문학 멘토로 섬겨온 수원시 당혹
https://news.v.daum.[...]
Daum
2021-07-05
[8]
간행물
최영미 [崔泳美]
https://terms.naver.[...]
서울대학교 출판부
2021-07-05
[9]
간행물
최영미 [崔泳美]
https://terms.naver.[...]
태학사
2021-07-05
[10]
웹사이트
최영미 (崔泳美)
http://cdb.chosun.co[...]
조선일보
2021-07-05
[11]
뉴스
고은氏のセクハラを暴露した崔泳美詩人、「女性詩人を芸者扱い…文壇のMeTooは先行きが遠い」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1-07-05
[12]
뉴스
최영미 시인 "가해자가 소송해도 못 이긴다... 통쾌"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19-11-08
[13]
웹인용
'고은 시인 성추행 폭로' 최영미 시인 비난, 이승철 "날 우습게 여겨 XXX 하며 울화 달랬다"
http://www.newstown.[...]
2020-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