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천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천문화방송은 1967년 11월 6일 무선국 가허가를 받아 1968년 7월 13일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으며, 1983년 1월 20일 TV 방송을 시작했다.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중·북부 지역과 경기 북동부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방송하며, 라디오는 AM 1채널, FM 2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춘천문화방송은 지상파DMB 사업자로도 참여하고 있으며, 일본 후쿠이테레비전방송, 중국 항저우텔레비전대와 해외 제휴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 춘천시 - KBS춘천방송총국
    KBS춘천방송총국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총국으로, 1944년 춘천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랜 역사를 거쳐 1986년 총국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TV, 2TV, 라디오, DMB 방송 등을 통해 지역 소식을 전달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춘천시 - 공지천
    공지천은 곰짓내 또는 곰실내로 불리다가 한자 표기로 공지천이 된 지명이며, 곰은 옛말로 신을 의미한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춘천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사
한국어 명칭춘천문화방송주식회사
한자 명칭春川文化放送株式會社
영어 명칭Chunch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춘천MBC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68년 4월 6일
개국일라디오 (1968년 7월 13일)
개국일 (TV)1983년 1월 20일
개국일 (음악FM)1983년 7월 13일
이전 명칭강원방송(주) (1968년 ~ 1971년)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1,500,000,000원 (2019.12)
매출액9,370,026,171원 (2019)
영업 이익-1,218,258,499원 (2019)
순이익-958,393,670원 (2019)
자산총액26,062,830,305원 (2019.12)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 100%
직원 수46명 (2019.12)
본사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수변공원길 54 (삼천동)
사장최헌영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춘천문화방송
텔레비전 채널 정보
DTVch.11-1 (가상채널)
아날로그 채널각 지역 케이블 SO에 문의바람.
디지털 채널11(Genie/SK/LG U+)
위성 채널11(skylife)
개국일1983년 1월 20일
위성 채널 (HD)11번
디지털 채널KT : 11번
SK : 11번
LG : 11번

2. 연혁

2. 1. 개국 초기 (1967년 ~ 1978년)

1967년 11월 6일 춘천문화방송은 무선국 가허가를 받았다. 1968년 4월 6일 강원방송주식회사가 설립되었으며, 5월 20일에는 송신소 건물 및 송신탑이 준공되었다. 같은 해 6월 18일, 한국문화방송주식회사와 프로그램 제휴 계약을 체결하였다. 7월 11일 무선국 허가를 받았고, 이틀 뒤인 7월 13일 라디오방송국을 개국하였다. 당시 주파수는 1430kHz, 출력은 10㎾였다.

1969년 5월 16일 육군 6270부대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1971년 9월 20일 춘천문화방송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72년 11월 6일에는 사옥을 강원일보사 내로 이전하였다. 1975년 1월 15일 비상주파수를 설치하였으며, 1976년 3월 1일 주파수를 770kHz로 변경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주파수를 774kHz로, 비상주파수를 657kHz로 호정하였다.

2. 2. 기반 구축기 (1981년 ~ 1988년)

1981년 5월 4일 주주가 서울장학재단에서 삼양식품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 12월 28일 TV방송국 허가를 받았다. 1982년 9월 3일 춘천시 삼천동 238-3번지(현 수변공원길 54)에 신사옥을 착공하였다. 1983년 1월 20일 TV방송(CH 10, 출력 1㎾)을 개국하였고, 7월 13일 창사 15주년을 맞아 FM방송(94.9MHz, 출력 1㎾)을 개국하였다. 1983년 11월 7일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1985년 7월 1일 일본 후쿠이 TV(福井テレビジョン放送)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1987년 3월 9일 뉴스데스크 지역방송을 시작했다. 1987년 6월 13일 화악산 중계소(CH 24, 출력 30㎾) 및 대암산, 양구, 인제, 한계, 기린, 신남, 홍천에 간이TV중계소를 개국하였다. 1988년 6월 11일 홍천, 양구, 신풍, 기린, 인제에 간이TV중계소를 추가 개설하였다. 1988년 7월 13일 창사 20주년을 맞았다.

2. 3. 성장 발전기 (1993년 ~ 2000년)

1993년 7월 13일 창사 25주년을 맞았다. 같은 해 12월 10일에는 중화인민공화국 항저우전시대(항저우 텔레비전/杭州电视台중국어)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1994년 8월 29일 신동 AM라디오 송신소를 이전 준공하였다. 1998년 7월 13일 창사 30주년을 맞이하였다. 1999년 7월 13일 표준FM을 개국하였으며,(92.3MHz, 출력 3㎾) , 2000년 1월 5일 느랏재 송신소를 개소 및 FM주파수를 94.5MHz로 변경하였다. 2000년 3월 20일에는 인터넷방송을 개국하여 R.TV 생방송 및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 4. 디지털 시대 (2003년 ~ 현재)

2003년 7월 13일 창사 35주년을 맞았다. 같은 해 11월 26일 화악산 송신소 신축건물을 준공했다. 2005년 5월 2일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했으며, 같은 해 6월 27일 대룡산 송신소 신축건물을 준공했다. 2006년 9월 4일 대암산 FM중계소를 준공하여 표준FM 88.9MHz, 음악FM 98.3MHz 방송을 시작했다.

2007년 12월 21일 지상파DMB를 개국했다. 2008년 7월 13일 창사 40주년, 2013년 7월 12일 창사 45주년, 2018년 7월 13일 창사 50주년을 맞았다.

2012년 11월 4일 아날로그TV방송을 종료했으며,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방송 재배치를 완료했다.

2022년 9월 8일 AM 라디오 운용을 일시 휴지(774kHz, 10kW)하고 FM방송으로 전환했다. 2023년 4월 2일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774kHz, 10kW)했다. 같은 해 6월 12일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수변공원길 54 삼천동으로 이전하였고, 12월 18일 보도국 마스엘을 가동했다.

3. TV 방송

1981년 방송국 허가를 받고 2년 뒤 1983년 1월 20일 TV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5년 5월 2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면서 시청자들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서비스하고 있다. 강원 영서 중북부지역과 경기 북동부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며, 높은 고지에 위치한 화악산중계소 덕택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기도 파주시, 남양주시 등 일부에서도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3. 1. 개요

3. 2. 프로그램

930 MBC 뉴스 강원, MBC 5시 뉴스와 경제 강원, MBC 뉴스데스크 강원을 보도한다. 강원 365(원주 수중계)는 화요일, 수요일 저녁 18시 5분부터 19시 5분까지 춘천문화방송과 MBC강원영동이 공동 제작한다. 전국시대는 월요일부터 목요일 오전 7시 50분에 방송된다. 가고잡소는 토요일 오전 10시 20분, 테마기행 길은 금요일 18시 5분에 방송된다.

3. 3.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ext

  • 호출 부호: HLAN-DTV
  • 가상 채널: 11-1


송신소물리 채널출력송신소 위치
화악산 중계소CH 332.5㎾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
대룡산 송신소CH 141㎾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홍천 중계소CH 3790W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산11-18
서석 중계소CH 2720W강원 홍천군 서석면 상군두리 산32
서천리 소출력CH 330.05W강원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
강촌 소출력CH 330.05W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원천리 소출력CH 330.05W강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산양 중계소CH 175W강원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 산44
다목리 소출력CH 330.05W강원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간동 중계소CH 455W강원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산5-2
대암산 중계소CH ??9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양구 중계소CH 2720W강원 양구군 양구읍 하리 산74
인제 중계소CH 2620W강원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산14-2
신남 중계소CH 4520W강원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116
철원 중계소CH 272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조.)


  • 호출 부호: HLAN-TV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CH 101㎾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화악산 중계소CH 2430㎾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
홍천군 중계소CH 41100W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산11-6
서석 중계소CH 33100W강원 홍천군 서석면 상군두리 산32
산양 중계소CH 5110W강원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 산44
간동 중계소CH 5110W강원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산5-2
대암산 중계소CH 41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양구군 중계소CH 35100W강원 양구군 양구읍 하리 산74
인제군 중계소CH 37100W강원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산14-2
신남 중계소CH 53100W강원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116
한계 중계소CH 2710W강원 인제군 북면 한계리 산74
기린 중계소CH 23100W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철원군 중계소CH 3110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3. 3. 1. 디지털TV


  • 호출 부호: HLAN-DTV
  • 가상 채널: 11-1


송신소물리 채널출력송신소 위치
화악산 중계소CH 332.5㎾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
대룡산 송신소CH 141㎾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홍천 중계소CH 3790W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산11-18
서석 중계소CH 2720W강원 홍천군 서석면 상군두리 산32
서천리 소출력CH 330.05W강원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
강촌 소출력CH 330.05W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원천리 소출력CH 330.05W강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산양 중계소CH 175W강원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 산44
다목리 소출력CH 330.05W강원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간동 중계소CH 455W강원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산5-2
대암산 중계소CH ??9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양구 중계소CH 2720W강원 양구군 양구읍 하리 산74
인제 중계소CH 2620W강원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산14-2
신남 중계소CH 4520W강원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116
철원 중계소CH 272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3. 3. 2.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25일 오후 2시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조.)

  • 호출 부호: HLAN-TV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CH 101㎾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화악산 중계소CH 2430㎾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
홍천군 중계소CH 41100W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산11-6
서석 중계소CH 33100W강원 홍천군 서석면 상군두리 산32
산양 중계소CH 5110W강원 화천군 상서면 산양리 산44
간동 중계소CH 5110W강원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산5-2
대암산 중계소CH 41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양구군 중계소CH 35100W강원 양구군 양구읍 하리 산74
인제군 중계소CH 37100W강원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산14-2
신남 중계소CH 53100W강원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116
한계 중계소CH 2710W강원 인제군 북면 한계리 산74
기린 중계소CH 23100W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철원군 중계소CH 3110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4. 라디오 방송

1968년 7월 13일, 강원방송(주)로서 출범하면서 라디오 방송을 개국하며 방송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재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영서 중·북부 지역과 경기도 북동부 일부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4. 1. 개요

4. 2. 프로그램

wikitext

== 프로그램 ==

=== 표준FM ===

  • 이브닝 강원/Evening Gangwon영어 평일 18:05 ~ 19:00


=== FM4U ===

4. 3. 방송 송출 시설망

wikitable

춘천MBC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FM 92.3MHz3kWHLAN-SFM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대암산 중계소FM 88.9MHz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철원군 중계소FM 88.9MHz9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춘천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FM 94.5MHz3kWHLAN-FM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대암산 중계소FM 98.3MHz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철원군 중계소FM 98.3MHz9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4. 3. 1. 춘천MBC 라디오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FM 92.3MHz3kWHLAN-SFM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대암산 중계소FM 88.9MHz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철원군 중계소FM 92.3MHz9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홍천 중계소FM 92.3MHz90W강원도 홍천군


4. 3. 2. 춘천MBC FM4U

wikitable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
대룡산 송신소FM 94.5MHz3㎾HLAN-FM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대암산 중계소FM 98.3MHz500W강원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산170
철원 중계소FM 98.3MHz90W강원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 산12-1
홍천 중계소FM 94.5MHz90W없음
철원 중계소FM 94.5MHz90W


5. 지상파DMB

춘천문화방송이 주사업자로서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과 함께 투자하여 강원도내 전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 운영 중이다.
춘천MBC 지상파DMB


  • 호출 부호: HLAN-TDMB
  • 원주문화방송,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과 공동 운영.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대룡산K-13Ach (211.280MHz)2kW
대암산500W
백운산2kW
태기산2kW
양양90W
갑봉산2kW
초록봉90W
호산20W
함백산2kW


5. 1. MY MBC (강원권)

춘천문화방송이 주사업자로서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과 함께 투자하여 강원도내 전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 운영 중이다.

'''춘천MBC 지상파DMB'''

  • 호출 부호: HLAN-TDMB
  • 원주문화방송,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과 공동 운영.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대룡산K-13Ach (211.280MHz)2kW
대암산500W
백운산2kW
태기산2kW
양양90W
갑봉산2kW
초록봉90W
호산20W
함백산2kW


6. 사옥

대한민국 24239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수변공원길 54 (삼천동 238-3)에 춘천문화방송 사옥이 위치하고 있다.

7. 조직

7. 1. 보도국

춘천문화방송 보도국은 뉴스룸 국장 정우성, 뉴스취재팀장 허주희, 보도제작팀장 김종원, 차장 백승호, 기자 나금동, 이승연, 이송미, 김도균으로 구성된 취재팀과 영상부장 최정현, 편집기자 유진훈, 카메라 기자 이인환, 김유완으로 구성된 영상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7. 2. 소속 아나운서


  • 정우성
  • 김지후
  • 노지현
  • 윤진열

8. 해외 제휴 방송사

9. 역대 연중 캠페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