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급 구축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북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운용한 기어링급 구축함의 개량형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이 사용하던 기어링급 구축함을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FRAM II 사업을 통해 전자 장비와 무장을 현대화했다. 총 7척이 취역했으며, 127mm 함포와 하푼 미사일을 장착하여 화력이 우수했다. 북한 해군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고, 차기 주력함 사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1990년대부터 노후화로 인해 울산급 호위함 등에 해상 경비 임무를 넘겨주고, 2000년 12월 마지막 함정이 퇴역하면서 대한민국 해군의 미국산 전함 시대는 막을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북급 구축함 - DD-923 경기
DD-923 경기함은 미국 해군 뉴먼 K. 페리함으로 1945년 취역 후 레이더 초계 구축함으로 개조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 1981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되어 경기함으로 재취역하여 서해 북방한계선 경계 임무 등을 수행하다 1997년 퇴역 후 폐기되었다. - 충북급 구축함 - DD-925 전주
제2차 세계 대전 전몰 3형제의 이름을 딴 미국 해군 구축함 DD-925 전주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 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되어 전주함으로 운용되다가 현재는 함상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 구축함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노후 구축함 대체 및 전력 투사 능력 확보를 위해 설계한 구축함으로, 3척이 건조되어 운용되었으며, 성능 개량 사업을 통해 전투 시스템이 교체되었다. -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KDX-2 사업으로 개발한 스텔스 설계의 구축함으로, SM-2 미사일 탑재로 함대 방공 능력을 강화했으며 6척이 건조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충북급 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급 | 충북급 |
함종 | 구축함 |
건조 | Bath Iron Works |
이전 함급 | 충무급 |
다음 함급 | 대구급 |
계획 척수 | 7척 |
건조 기간 | 1944-1945년 |
취역 기간 | 1972년—2001년 |
퇴역 척수 | 7척 |
보존 척수 | 1척 |
제원 | |
배수량 | 기준: 만재: |
추진 | 4 × GM Mod. 16-278A 디젤 엔진 (전기 구동), 2 × 스크류 |
항속 거리 | (에서) |
승조원 | 350명 |
무장 (1970년대) | |
주포 | 3 × 2연장 5"/38 구경장 포 |
대공포 | 2 × 4연장 40mm 보포스 |
대함 미사일 | 2 × 2연장 RGM-84A 하푼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1 × 팰랭스 CIWS (충북) |
기관포 | 1 × 2연장 Emerlec-30 기관포 (전북) |
어뢰 발사관 | 2 × 3연장 Mark 46 어뢰 발사관 |
대잠 박격포 | 2 × Mark 10 헤지호그 박격포 |
폭뢰 투하 궤도 | 1 × 폭뢰 투하 궤도 |
무장 (1980년대) | |
주포 | 2 × 2연장 5"/38 구경장 포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1 × Sea Vulcan |
기관포 | 2 × Sea Vulcan (전북) 1 × 2연장 Emerlec-30 기관포 (전북) |
대함 미사일 | 2 × 2연장 RGM-84A 하푼 |
어뢰 발사관 | 2 × 3연장 Mark 46 어뢰 발사관 |
대잠 박격포 | 2 × Mark 10 헤지호그 박격포 |
폭뢰 투하 궤도 | 1 × 폭뢰 투하 궤도 |
무장 (1990년대) | |
주포 | 2 × 2연장 5"/38 구경장 포 |
대공포 | 1 × 2연장 40mm 보포스 |
어뢰 발사관 | 2 × 3연장 Mark 46 어뢰 발사관 |
대잠 박격포 | 2 × Mark 10 헤지호그 박격포 |
폭뢰 투하 궤도 | 1 × 폭뢰 투하 궤도 |
센서 | |
수상 탐색 레이더 | 1 × AN/SPS-10B 수상 탐색 레이더 |
대공 탐색 레이더 | 1 × AN/SPS-37 대공 탐색 레이더 |
레이더 경고 수신기 | 1 × AN/WLR-1 레이더 경고 수신기 |
사격 통제 장치 | 1 × Mark 37 사격 관제 장치 |
전자전 장비 | |
전자전 장비 | 1 × AN/ULQ-6 ECM |
기만 장비 | 1 × T-Mk 6 Fanfare |
항공 장비 | |
함재기 | 1 × Aérospatiale Alouette III |
항공 시설 | 단일 격납고 및 헬리패드 |
기타 | |
비고 | 30여년 함대 기함으로 활약, 동·서·남해에서 대간첩 작전에 큰 공을 세움 윤병노 기자, 국방일보, 군함이야기 |
2. 역사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부터 도입을 시작하여 광주급(FRAM I 개량형)과 충북급(FRAM II 개량형)으로 재명명되어 총 7척이 취역했다. 127mm 함포 6문과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을 장비하여 화력이 출중했다. 1972년 미국은 군사 원조 계획의 일환으로 기어링급 구축함 2척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했고, 이후 더 많은 함선이 임대되었다. 이 함선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이 사용했던 함선으로, FRAM II 사업을 통해 전자 장비와 무장을 현대화했다. 1977년까지 임대된 후 해군에 의해 구매되었다.[1]
기어링급 구축함은 원래 헬기 운용능력이 없었으나 미 해군에서 FRAM 개수로 헬기 데크와 격납고를 장착했다. 미 해군에서는 1960년대 개발했던 DASH 무인 대잠헬기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실패했고, 한국 해군에서는 아에로스파시알 알루에트 III 헬기를 운용하여 1983년 8월 13일 AS-12 대함미사일로 북한 무장간첩선을 격침했다.[4]
2. 1. 도입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 방지 및 동맹국 지원을 위해 잉여 군사 장비를 우방국에 제공하는 군사 원조 계획(Military Assistance Program)을 추진했다.[1]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한민국 해군은 북한 해군의 위협에 대응하고 해상 방위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에 구축함 지원을 요청했다.1972년 미국은 군사 원조 계획의 일환으로 기어링급 구축함 2척(충북함, 전북함)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했으며,[1] 이후 추가적인 함선들이 대한민국 해군에 합류했다. 이 함정들의 도입으로 한국 해군은 북한 해군에 대해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주력함 사업(KDX)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2. 2. 대한민국 해군에서의 운용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부터 도입하기 시작한 이 함정들은 광주급(FRAM I 개량형)과 충북급(FRAM II 개량형)으로 재명명되어 총 7척이 취역, 1990년대부터 차례차례 퇴역하기 시작해서 2000년 이후 모두 퇴역하였다. 127mm 함포 6문에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까지 장비하고 있어서 화력은 출중한 편이었다.비록 구형이지만 이 함정의 도입으로 한국 해군은 일단 북한 해군에는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주력함 사업(KDX)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강원함(DDH 922)이 한국 해군 특유의 포술 능력을 발휘, 작은 표적엔 조준도 힘든 5인치 쌍열포로 북한 해군의 소형 고속 간첩선(반잠수정)을 명중시켜 격침시킨 기록도 있다.
기어링급 구축함은 원래 헬기 운용능력이 없었으나 미 해군에서 FRAM 개수로 헬기 데크와 격납고를 장착했다. 미 해군에서는 1960년대 개발했던 DASH 무인 대잠헬기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DASH가 실패하면서 고정 대잠헬기는 없이 운용되었고, 한국 해군에서는 아에로스파시알 알루에트 III 헬기를 운용하였으며, 1983년 8월 13일 대전차미사일을 개조한 AS-12 대함미사일로 북한 무장간첩선을 격침했다.[4]
하지만, 1990년대부터 급격한 노후화로 인해서 해상경비임무를 울산급 호위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등 국산전투함들에게 넘겨주고 2000년 12월말 마지막 남은 광주, 강원, 경남함 등 모두 3척이 퇴역하게 됨에 따라 그 동안 우리 해군의 주력이었던 미국산 전함시대는 막을 내렸다.[5]
2. 3. 퇴역
1990년대에 들어 기어링급 구축함은 노후화로 인해 점차 작전 수행 능력이 저하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해군은 울산급 호위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등 자체 건조한 최신예 전투함들을 도입하면서 기어링급 구축함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2000년 12월 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광주함, 강원함, 경남함 3척이 퇴역하면서 대한민국 해군의 미국산 전함 시대는 막을 내렸다.[5]3. 특징 (대한민국 해군 운용)
대한민국 해군은 기어링급 구축함을 운용하면서 자체적인 개량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켰다. 시벌컨(Sea Vulcan) 근접 방어 무기 체계를 탑재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강화했다.[1] 3연장 Mk.46 경어뢰 발사관, 대함 미사일 발사관 등을 추가 장착하여 공격 능력을 보강했다.[1] 함정에 따라 시벌컨, 경어뢰 발사관, 대함 미사일 발사관 등의 위치와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1] 함포의 경우, 초기에는 3개의 함포를 모두 운용했으나, 이후 상부 갑판의 포탑을 철거하고 보포스 40mm 대공포를 장착하여 대공 능력을 강화하기도 했다.[1]
4. 함명 목록
미국 해군 | 대한민국 해군 | |||
---|---|---|---|---|
함 번호 및 이름 | 취역 일자 | 함 번호 및 이름 | 취역 일자 | 퇴역 일자 |
DD-805 USS 셔벌리어 | 1945년 1월 9일 | DD-915 충북 | 1972년 7월 5일 | 2000년 6월 30일 |
DD-830 USS 에버릿 F. 라슨 | 1945년 4월 6일 | DD-916 전북 | 1972년 10월 30일 | 1999년 4월 30일 |
DD-818 USS 뉴 | 1945년 4월 5일 | DD-919 대전 | 1977년 2월 23일 | 2000년 3월 31일 |
DD-849 USS 리처드 E. 크라우스 | 1946년 5월 23일 | DD-921 광주 | 1977년 2월 23일 | 2000년 12월 31일 |
DD-714 USS 윌리엄 R. 러시 | 1945년 9월 21일 | DD-922 강원 | 1978년 7월 1일 | 2000년 12월 29일 |
DD-883 USS 뉴먼 K. 페리 | 1945년 7월 26일 | DD-923 경기 | 1981년 2월 27일 | 1998년 8월 31일 |
DD-876 USS 로저스 | 1945년 3월 26일 | DD-925 전주 | 1981년 7월 25일 | 1999년 12월 30일 |
5. 기타 국가에서의 운용
Alçıtepe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