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잠수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잠수정은 선체 내 탱크에 물을 채우거나 빼는 방식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수면 아래로 잠수하거나 부상할 수 있는 선박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등에서 레저용, 수중 관광, 해양 조사, 중량물 운반, 로켓 발사 플랫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특히 북한은 간첩 침투를 위해 반잠수정을 사용해왔으며, 크기가 작아 고속, 은밀 침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유 생산 - 액화석유가스
액화석유가스(LPG)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료로 사용되며 요리, 난방, 자동차 연료 등으로 활용되고, 유전 등에서 생산되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률에 의해 규제된다. - 석유 생산 - 비전통석유
비전통 석유는 채굴이 어려운 석유 자원으로, 셰일 오일, 오일 샌드, 석탄 액화 연료 등을 포함하며 풍부한 매장량으로 에너지 안보에 중요하지만 환경 문제와 경제성 논란이 있는 자원이다. - 선박의 종류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반잠수정 |
|---|
2. 역사
미국의 남북 전쟁에서 사용된 장갑함 "모니터"는 초기 반잠수정으로 여겨진다. 건현이 매우 낮고 추진 기관, 연료, 승무원 설비가 수면 아래에 있었지만, 밸러스트수를 조절하여 깊이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스피위튼 듀이빌(USS ''Spuyten Duyvil'')은 물을 채워 잠수함으로써 낮은 외형을 가진 공격함으로, 진정한 반잠수정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은 수중 공격대 수송을 위한 반잠수정 웰프레이터(Welfreighter)를 개발했다. 일본 제국 육군도 오식 반잠 공격정을 개발했지만, 실전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1980년대 무렵부터 조선인민군은 한국에 공작원을 침투시키기 위해 반잠수정을 개발했다. 반잠수정은 일반 잠수정에 비해 크기가 작아 고속, 은밀 침투가 가능하다.
2009년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초로 레저용 반잠수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에는 RED Dot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했다.[1]
1997년 다국적 기업 시 론치는 1988년 제작된 반잠수식 석유 플랫폼을 개조한 반잠수식 로켓 발사대 "오디세이"를 완성하여 로켓 발사대로 사용하고 있다.
콜롬비아의 마약 카르텔 등은 코카인 밀수를 위해 반잠수정을 건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 1. 군사적 목적
조선인민군 반잠수정은 일반 잠수정에 비해 크기가 작아 고속, 은밀 침투가 가능하다. 특히 군사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아 접근을 판단하기 어렵고, 주로 간첩활동에 사용된다.2. 1. 1. 초기 역사
미국의 남북 전쟁에서 사용된 장갑함 "모니터"는 가장 초기의 반잠수정으로 여겨지며, 건현이 매우 낮고 추진 기관과 연료, 승무원 설비의 전부를 수면 아래에 갖추고 있었다. 작은 조타실과 원통형 포탑과 굴뚝만 갑판 위에 돌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밸러스트수를 주입 및 배수하여 깊이를 조절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모니터는 진정한 반잠수정이라고는 할 수 없다.스피위튼 듀이빌(USS ''Spuyten Duyvil'')은 탱크에 물을 채워 잠수함으로써 낮은 외형을 가진 눈에 띄지 않는 공격함이 되었으며, 모니터와 마찬가지로 지향 및 신장이 가능하고 재장전이 가능한 외장 수뢰를 장비하는 등 많은 혁신적인 특징을 가진 무기 시스템으로서, 진정한 반잠수정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은 수중 공격대를 수송하기 위한 반잠수정으로 웰프레이터(Welfreighter)를 개발, 설계했다. 일본 제국 육군도 오식 반잠 공격정을 개발했지만, 실전에 참여하지는 못했다.
2. 1. 2. 북한의 반잠수정 개발
조선인민군 반잠수정은 일반 잠수정에 비해 크기가 작아 고속, 은밀 침투가 가능하다. 특히 군사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아 접근을 판단하기 어렵고, 주로 간첩활동에 사용된다.북한은 한국 전쟁 휴전 이후 '대남 공작'과 '조국 통일 사업'을 명목으로 한국에 공작원을 비밀리에 침투시켜 왔다. 그러나 한국도 스파이 침투를 막는 방책을 잇따라 실행했다. 군사 분계선과 한국 전역의 연안 지역 중 침투 가능성이 높은 해안에 육해군 경비소를 설치하고, 신고자에 대한 현상금 제도 (공작선을 최초 발견자에게 한국 정부에서 5000만원 지급)를 창설하여 연안 감시를 강화했다. 발견된 스파이 혐의의 불심선에 대해서는 대함 미사일까지 사용하여 철저한 단속을 실시, 어선으로 위장한 북한의 침투용 소형 선박을 잇따라 포착, 격파했다. 그 때문에 1980년대 무렵부터 북한은 해안 경비를 따돌리기 위해 반잠수정을 개발, 투입하기 시작했다.
2. 2. 민간 목적
레저용 반잠수정은 2009년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되었다.[1] 2012년에 개발자 명의로 특허 등록되었고, 국제특허도 출원하여 등록 중이다.[1] 같은 해 RED Dot 디자인 어워드에서 국내 레저보트 업계 최초로 수상하였다.[1] 2012년 5월부터 주식회사 이고에서 본격적으로 생산하고 있다.[1]2. 2. 1. 레저용 반잠수정
2009년 대한민국에서 세계 최초로 레저용 소형 반잠수정이 개발되었다.[1] 2012년 개발자 명의로 특허 등록되었으며, 국제특허를 출원하여 등록 중이다.[1] 같은 해 RED Dot 디자인 어워드에서 국내 레저보트 업계 최초로 수상하였다.[1]2012년 5월부터 대한민국의 주식회사 이고에서 본격적으로 생산하고 있다.[1]
2. 2. 2. 수중 관광
'''반잠수식 글라스보트'''는 "수중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배로, 유람선으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승객은 승선하여 수면 아래에 설치된 좌석으로 내려가 창문을 통해 수중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잠수한 배를 탄 것 같은 느낌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배는 전 세계의 경승지 등에서 운항되고 있다.
각 지역에서 운용되는 반잠수식 글라스보트는 지역마다 다르게 불린다. 일본에서는 "반잠수정サブマリン Jr.2|서브마린 Jr.2일본어[5]", "반잠수식 글라스보트シーガル|시갈일본어[10]"와 같이 배 종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글라스보트しらはま|시라하마일본어[15]", "수중 유람선支笏湖|시코츠호일본어[22]", "수중 관광선マリンスター|마린스타일본어[3]"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21세기 전반기 일본에서는 오키나와현에서 다수 운용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운용되는 배는 다음과 같다.
- 나하시: "마린스타[3]", "하모니ハーモニー|하모니일본어", "올카[4]"
- 온나촌 만자 비치: "서브마린 Jr.II"[5]
- 모토부정: "PIAZZA-1(피아자원)[6]"
- 미야코지마시: "시스카이 하쿠아이シースカイ博愛|시스카이 하쿠아이일본어[7]"
- 가고시마현 아마미오섬: "세토[8]"
- 미야자키현 니치난시 난고정: "난고[9]"
- 나가사키현 고토시 후쿠에 해중 공원: "시갈[10]"
- 사가현 요부코항: "핑크 지라[11]"
- 에히메현 아이난정: "유메카이나", "가이아나"[12]
- 도쿠시마현 카이요정: "블루 마린"[13]"
- 와카야마현 쿠시모토정: "스텔라 마리스"[14]"
- 와카야마현 시라하마정: "린카이"[15]
- 시즈오카현 이토시: "하루히라마루 돌고래호", "해적선 유민 훅"[16]
-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NOAH(노아)"[17]
- 가나가와현 미우라시: "무지개 물고기호[18]"
- 지바현 다테야마시: "타테야마호"[19]
- 지바현 미나미보소시: "노지마자키 해저 투시선"[20][21]
- 홋카이도 시코츠호: "사파이어", "에메랄드"[22]
그 외에도 작은 배와 같은 글라스보트를 운용하는 지역도 있다.
2. 2. 3. 해양 조사
'''플로팅 인스트루먼트 플랫폼'''(FLoating Instrument Platform, '''FLIP''')은 거친 바다에서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한 배이다. 스크립스 해양연구소가 운용하는 R/F FLIP은 1962년부터 운용되고 있는 세계 유일의 FLIP이다.[23]
항해할 때는 일반적인 배와 같은 자세를 취하지만, 조사를 할 때는 선수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선체가 수면에 수직으로 서는 자세를 취하여 선미부만 수면 위에 남게 된다.[23] 수직 자세에서는 수면에 닿는 부분이 가느다란 튜브 모양뿐이므로, 바다의 너울이나 파도가 지나가도 힘이 거의 전달되지 않아 일반적인 배에 비해 매우 안정적인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23]
2. 2. 4. 중량물 운반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semi-submersible heavy lift ship|세미서브머시블 헤비 리프트 십영어)은 석유 플랫폼, 대형 화물, 요트 등 중량물 운반에 사용되는 반잠수정 형식의 중량물 운반선이다.전방의 조타실과 후방의 기계실 사이에 길고 낮은 오목 갑판을 가지고 있으며, 외형은 산적 화물선이나 유조선과 비슷하다.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오목 갑판을 수면 아래로 내리고, 다른 선박이나 석유 플랫폼 등의 화물을 탑재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밸러스트 탱크에서 배수하여 오목 갑판을 부상시켜 화물을 들어 올린다. 밸러스트 탱크는 화물의 균형을 잡기 위해 불균등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석유 산업은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가장 큰 고객이다. 석유 플랫폼을 건조 장소에서 굴착 장소까지 자력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약 3~4배 빠른 속도로 운반할 수 있어, 석유 산업은 막대한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미국 해군은 손상된 전투함을 본국으로 회항시켜 수리하기 위해 중량물 운반선을 임차하기도 한다. 1988년 4월 14일 페르시아만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 직전이 된 미사일 프리깃 새뮤얼 B. 로버츠는 두바이까지 예인된 후 독와이즈사의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에 실려 뉴포트 해군 기지로 운송되었다.[26][27] 2000년 10월 12일 미군 콜함 피격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미사일 구축함 콜은 아덴에서 파스카굴라 해군 기지까지 독와이즈사의 ""에 의해 이송되었다.[28]
2017년에는 제7함대 소속 제15구축함대 알레이 버크급 미사일 구축함 피츠제럴드와 존 S. 매케인이 민간 선박과 충돌하여 손상되었다. "존 S. 매케인"은 요코스카 해군 시설로 이송되었지만, "피츠제럴드"는 함체 수밀 수리 후 이지스 시스템까지 손상된 것이 밝혀져 미국 본토로 이송이 필요했다. 당초 두 함을 독와이즈사의 "트레저 (''Treasure'')"[29]로 이송할 예정이었으나, "존 S. 매케인"의 함체 균열과 태풍 접근으로 "트랜스셸프 (''Transshelf'')"[30]를 추가로 투입하여 "피츠제럴드"를 수비크에서 잉걸스 조선소로 이송했다.
2004년에는 가 설계한 세계 최대의 반잠수식 석유 플랫폼 ""(: 366047800)[31]가 한국 거제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조선소에서 미국 텍사스주의 코퍼스 크리스티에 있는 조선소까지 독와이즈사의 ""에 의해 이송되었다.[32]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중 규모가 큰 것들은 대부분 네덜란드 자본의 기업 가 개발, 건조, 소유, 운용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 특화된 세계적인 기업이다.
2. 2. 5. 로켓 발사대
다국적 기업 시 론치는 1988년 제작된 반잠수식 석유 플랫폼 "오션 오디세이(Semi-submersible ''Ocean Odyssey'')"를 개조한 반잠수식 로켓 발사대 "Odyssey (launch platform)|오디세이 (발사대)|label=오디세이영어"를 1997년에 완성하여, 오디세이에 맞춰 개발된 로켓 "제니트 3SL"의 발사대로 사용하고 있다. 오디세이는 발사 해역으로 로켓을 운반하는 데도 사용된다. 로켓 발사대 지원용 특수 선박(Rocket Launch Support Ship영어) "시 론치 커맨더"를 사령선으로 하여 2척 1조로 "오디세이"(LP ''Odyssey'')를 운용한다. 이들 선박의 모항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Port of Long Beach|롱 비치 항영어이다.2. 2. 6. 기타
콜롬비아의 마약 카르텔 등은 코카인 밀수를 위해 반잠수정을 건조하며, 레이더 반사가 작아 단속이 어려워지고 있다.3. 작동 원리
반잠수정은 주로 선내 탱크에 물을 채우거나 빼는 방식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잠수 및 부상을 한다. 이는 완전한 잠수함의 잠수 방식과 같다. 다만, 일부 반잠수정은 부력 조절 기능이 없이, 처음부터 매우 낮은 건현으로 설계되기도 한다.[1]
군용 선박으로는 완전한 잠수함과 동등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발견되거나 포탄에 맞을 확률을 어느 정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완전한 잠수함 건조에 비해 고압 대응이나 물 흡수·배수 장치 등 고도의 기술이 덜 필요하여, 쉽고 저렴하게 건조할 수 있다.[1] 예를 들어 북한의 현용정 외에,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의 항구에서 북군의 봉쇄 함대를 공격한 데이비드형 반잠수정이나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 육군이 건조한 5식 반잠 공격정 등이 있다.[1]
4. 군사용 반잠수정
조선인민군 반잠수정은 일반 잠수정에 비해 크기가 작아 고속, 은밀 침투가 가능하다. 특히 군사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아 주로 간첩활동에 사용된다.
4. 1. 북한 반잠수정의 특징
북한은 여러 유형의 반잠수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생산 및 개량하고 있다. 1998년 대한민국 남해상에서 격침되어 인양된 SP-10H형 반잠수정(조선로동당 작전부 소속)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과 미한 기술 정보팀에 의해 조사되었다. 이 반잠수정에서는 어망 절단 장치와 일본산 GPS, 레이더, HF 무전기 등의 장비가 처음 확인되었다.[4]SP-10H형 반잠수정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 항목 | 내용 |
|---|---|
| 전장 | 약 12m |
| 전폭 | 약 3m |
| 높이 | 약 1.5m |
| 배수량 | 11t |
| 흘수 | 약 70cm |
| 엔진 | 미국의 머큐리사(Mercury)제 375마력 엔진 3기 |
| 최고 속력 | 반잠수 시 6노트, 부상 시 45노트 |
| 정원 | 8명 (거주성 없음) |
짧은 시간 동안 수중에 완전히 선체를 가라앉힐 수 있으며, 선체에는 레이더 탐지를 피하기 위한 검은색 특수 도료가 칠해져 있다.[5]
표준 무장은 각 승무원의 개인 화기, 2문의 RPG-7 발사기, 17~30kg의 자폭용 고성능 폭약이다. 폭약의 신관은 적 함선 충돌 또는 자폭 버튼으로 기폭된다.[6]
4. 2. 북한 반잠수정의 임무 및 침투 방법
조선인민군 반잠수정은 크기가 작아 고속으로 은밀하게 침투할 수 있으며, 군사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아 주로 간첩 활동에 사용된다. 북한은 1980년대부터 대한민국의 해안 경비를 피하기 위해 반잠수정을 개발하여 공작원 침투 및 귀환, 요인 암살, 시설 폭파 등 특수 임무에 투입했다.반잠수정은 목적 해안 30해리(약 55.56km)까지는 부상하여 고속 접근하고, 이후 12해리(약 22.22km)까지는 선내 탱크에 물을 채워 자세를 낮춰 12kn로 항행한다. 이후 반잠수 상태로 전환하여 창문과 스노클만 수면 위로 내놓고 6kn로 대한민국 레이더 탐지를 피하며 침투한다. 엔진 소음으로 발각되지 않도록 목적 해안 500m 지점에서 엔진을 멈추고 공작원과 안내원을 하선시킨다. 이들은 헤엄쳐 해안으로 밀입국하며, 공작원 상륙 후 돌아온 안내원을 회수하고 귀환한다. 안내원은 상륙 직전까지 공작원을 호위하는 역할을 하는 전투원으로, 사격과 격술(태권도 등에서 파생된 군대 격투술)에 능하다.
반잠수정의 항속 거리는 최대 720km이나, 대한민국 남부 침투 시에는 모선 역할을 하는 공작선에 격납되어 목적지 근해(대략 40해리, 약 74.08km)까지 운반된다. 대한민국 북부 침투 시에는 모선 없이 북한의 해주항 등 전선 기지에서 단독으로 최단 거리로 임무를 수행한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戦艦「大和」も運べる船 その驚きの積載方法
https://trafficnews.[...]
株式会社メディア・ヴァーグ
2020-10-30
[2]
웹사이트
The Marines May Mimick Narco-Submarines For Stealthy Resupply Options
https://www.forbes.c[...]
2024-07-18
[3]
웹사이트
水中観光船 マリンスター
http://www.marinenet[...]
株式会社マリン観光開発
2020-10-31
[4]
웹사이트
大型水中観光船 オルカ号
https://www.okinawas[...]
一般財団法人沖縄観光コンベンションビューロー (OCVB)
2020-10-31
[5]
웹사이트
サブマリン Jr.II
https://www.anainter[...]
ANAインターコンチネンタル万座ビーチリゾート
2020-10-31
[6]
웹사이트
海洋自然観察船PIAZZA-1(ピアザワン)
https://www.okinawas[...]
一般財団法人沖縄観光コンベンションビューロー (OCVB)
2020-10-31
[7]
웹사이트
半潜水式水中観光船「シースカイ博愛」
https://www.nanseira[...]
株式会社南西楽園リゾート
2020-10-31
[8]
웹사이트
水中観光船「せと」
https://amamiseto.jp[...]
株式会社カケロマリゾート
2020-10-31
[9]
웹사이트
マリンビューワーなんごう
http://www.k2-dive.c[...]
マリンビューワーなんごう(水中観光船営業所)
2020-10-31
[10]
웹사이트
グラスボート シーガル/クルージング船 ソレイユ 木口汽船
https://goto.nagasak[...]
五島市
2020-10-31
[11]
웹사이트
マルンパル呼子
http://www.marinepal[...]
唐津市
2020-10-31
[12]
웹사이트
海底が見える船 ユメカイナ&ガイヤナ
https://nishiumi.inf[...]
西海観光船
2020-10-31
[13]
웹사이트
海中観光船ブルーマリン
https://www.kaiyo-ka[...]
海陽町観光協会
2020-10-31
[14]
웹사이트
半潜水型海中観光船ステラマリス
http://kushimoto.co.[...]
鈴木商会グループ
2020-10-31
[15]
웹사이트
グラスボート
http://www.glasboat.[...]
白浜海底観光船株式会社
2020-10-31
[16]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ito-marineto[...]
伊東マリンタウン株式会社
2020-10-31
[17]
웹사이트
海中展望船「ノア」
https://rt-clubnet.j[...]
リゾートトラスト株式会社
2020-10-31
[18]
웹사이트
にじいろさかな号
https://www.umigyo.c[...]
株式会社三浦海業公社
2020-10-31
[19]
웹사이트
サブマリーンたてやま号 館山海中観光船 海中散歩へようこそ!
http://nitto.ecnet.j[...]
日東商船株式会社
2020-10-31
[20]
웹사이트
野島崎海底透視船
https://itp.ne.jp/in[...]
野島崎海底透視船株式会社
2020-10-31
[21]
웹사이트
野島崎海底透視船 < トピックス
https://www.hmi-ryok[...]
ホテル南海荘
2020-10-31
[22]
웹사이트
水中遊覧船
https://shikotsu-shi[...]
支笏湖観光運輸株式会社
2020-10-31
[23]
웹사이트
【驚愕】自ら沈没する船、世界で最も奇妙な「Flip Ship」の“反転構造”が凄すぎる!!
https://tocana.jp/20[...]
株式会社サイゾー
2020-10-31
[24]
웹사이트
The Strangest Ship You Probably Have Never Seen Turns 50 < News
http://www.pressure-[...]
Pressure Drop
2020-10-10
[25]
웹사이트
Look at that flipping ship! U.S. Navy celebrates research vessel's 50th year with acrobatic display
https://www.dailymai[...]
Associated Newspapers Ltd
2020-10-31
[26]
웹사이트
MIGHTY SERVANT 1 (Heavy Lift Vessel IMO: 8130875)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27]
웹사이트
Aboard Mighty Servant 2
http://www.navybook.[...]
Navybook
2020-10-31
[28]
웹사이트
BLUE MARLIN (Heavy Load Carrier IMO: 9186338)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29]
웹사이트
TREASURE (Heavy Load Carrier IMO: 8617940)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0]
웹사이트
TRANSSHELF (Heavy Load Carrier IMO: 85122791)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1]
웹사이트
THUNDERHORSE PDQ (Other MMSI: 366047800)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2]
문서
Dockwise, ARRIVAL OF THUNDER HORSE PDQ A NEW MILESTONE AND ERA FOR THE OIL & GAS INDUSTRY
http://www.dockwise.[...]
[33]
웹사이트
BLACK MARLIN (Heavy Load Carrier IMO: 9186326)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4]
웹사이트
BOKA VANGUARD (Heavy Load CarrierIMO: 9618783)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5]
웹사이트
GSF ALEUTIAN KEY (Platform IMO: 8750091)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6]
웹사이트
SONGA DELTA (Drilling Rig IMO: 8756590)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37]
웹사이트
海洋プラットフォーム
https://oilgas-info.[...]
石油天然ガス・金属鉱物資源機構
2020-11-01
[38]
문서
ただし、「リグ」を欠いた「セミサブマーシブル」「セミサブ」まで行くと、省略がすぎて本来の語意を全く残していない。
[39]
웹사이트
1998 Industry Pioneers - Bruce G. Collipp -
http://www.oceanstar[...]
Ocean Star
2012-02-04
[40]
웹사이트
UNCLE JOHN (Platform IMO: 7529902)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1]
웹사이트
FRONT SINGAPORE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2]
웹사이트
BALDER (Platform IMO: 7710226)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3]
웹사이트
HERMOD (Platform IMO: 7710214)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4]
웹사이트
DB 101 (Maintenance Platform IMO: 7709069)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5]
웹사이트
THIALF (Crane Ship IMO: 8757740)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6]
웹사이트
大型起重機船の巨大なフック
https://hunahuna0822[...]
2018-03-24
[47]
웹사이트
SAIPEM 7000 (Pipelay Crane Vessel IMO: 8501567)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48]
웹사이트
Sleipnir
https://hmc.heerema.[...]
Heerema Marine Contractors (HMC)
2020-11-04
[49]
웹사이트
SLEIPNIR (Other IMO: 9781425)
https://www.marinetr[...]
Marine Traffic
2020-11-04
[50]
웹사이트
Heeremaは世界最大のオフショアクレーン船を発表 < News
http://ja.oedigital.[...]
Maritime Activity Reports, Inc.
2019-05-23
[51]
웹사이트
世界最大起重機船建造計画と「Sleipnir」建造進捗情報
https://hunahuna0822[...]
2018-06-12
[52]
웹사이트
ついに完成!!世界最強起重機船!!
https://hunahuna0822[...]
2019-05-30
[53]
웹사이트
Sleipnir吊上げ世界記録更新
https://hunahuna0822[...]
2019-09-12
[54]
뉴스
センブコープ・マリン/世界最大の半潜水型、クレーン船「スレイプニル」建造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社
2019-05-29
[55]
웹사이트
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とは?
http://www.gr-kaneda[...]
金田建設工業株式会社
2012-01-01
[56]
웹사이트
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とは
http://y-seiko.jp/pu[...]
株式会社山本精工所
201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