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유효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료유효량은 치료를 위한 작용에 대한 유효한 치료 작용이 일어나는 양으로, 최소치료유효량과 최대치료유효량 사이의 값이다. 치료 지수는 반수 치사량을 반수 유효량으로 나눈 값으로,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에 따라 안전성 기반, 효능 기반, 보호 지수로 분류된다. 치료 지수는 신약 개발 단계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약물 사용 및 관리,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치료 지수는 약물 상호 작용이나 상승 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안전 비율, 치료 유효 범위, 최대 내약 용량 등을 고려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료유효량 | |
|---|---|
| 정의 | |
| 설명 | 약물의 상대적인 안전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값 |
| 관련 항목 | 약물학 약물 동태학 약물 역학 |
| 계산 | |
| 계산식 | 치료 지수 = TD50 / ED50 또는 치료 지수 = LD50 / ED50 |
| TD50 | 집단의 50%에서 독성을 나타내는 약물 용량 |
| LD50 | 집단의 50%를 치사시키는 약물 용량 (반수 치사량) |
| ED50 | 집단의 50%에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용량 (반수 유효량) |
| 참고 | |
| 설명 | 치료 지수가 높을수록 약물이 더 안전함. |
| 리튬 | 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리튬은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이 필요함. |
2. 치료 지수의 개념 및 계산
치료 지수(Therapeutic Index, TI)는 약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동물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에 따라 치료 지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
- LD50은 반수 치사량으로, 투여한 동물의 절반이 사망하는 용량이다.
- ED50은 반수 유효량으로, 투여한 동물의 절반에서 최소한의 효과가 나타나는 용량이다.
-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는 LD50과 ED50의 차이가 클수록 높아지며, 이는 넓은 치료 범위를 의미한다.
효능 기반 치료 지수:
- TD50은 중앙 독성 용량으로, 투여한 동물의 절반에서 독성 효과가 나타나는 용량이다.
- 효능 기반 치료 지수는 ED50과 TD50의 차이가 클수록 값이 커지며, 치료 범위는 좁아진다.
보호 지수(PI):
보호 지수는 물질의 상대적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효능 기반 치료 지수의 역수이다.
이러한 치료 지수는 전임상 시험과 임상 시험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2. 1. 최소치료(유효량)
치료를 위해 어떤 작용을 가했을 때, 해당 작용이 생체를 변화시키는 최소한의 양이다.치료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큰 치료 지수는 해당 치료제가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즉, 치사량과 효과 용량의 차이가 작은)를 가진 약물 또는 치료제의 경우, 환자의 실제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디아제팜은 관용적인 약물로 치료 지수가 약 100을 나타낸다. 다른 약물들은 상당히 수치가 낮으며, 예를 들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에서 3이다[21]。
; 디곡신의 치료 지수(예)
| 구분 | 값 (mg/kg) | 비고 |
|---|---|---|
| 기니피그(LD50) | 4.4 | HED=1.14[22] |
| 임상 용량(1~4mg) | 0.017~0.067 | [22] |
| 계산식 | 값 | |
| 치료 지수 | 기니피그 LD50/임상 용량 | 66~259 |
| 치료 지수 | 기니피그 LD50 HED/임상 용량 | 17~67 |
2. 2. 최대치료(유효량)
치료를 위해 어떤 작용을 가할 때, 해당 작용이 의도한 변화에서 부작용이나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생체를 변화시키는 최대한의 양이다. 치료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큰 치료 지수는 해당 치료제가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즉, 치사량과 효과 용량의 차이가 작은)를 가진 약물 또는 치료제의 경우, 환자의 실제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디아제팜은 관용적인 약물로 치료 지수가 약 100을 나타낸다. 다른 약물들은 상당히 수치가 낮으며, 예를 들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에서 3이다.[21]; 디곡신의 치료 지수(예)
- 기니피그(LD50) = 4.4mg/kg(HED=1.14mg/kg)[22]
- 임상 용량(1~4mg) = 0.017mg/kg~0.067mg/kg[22]
- 치료 지수 = 66~259 (기니피그 LD50/임상 용량)
- 치료 지수 = 17~67 (기니피그 LD50 HED/임상 용량)
2. 3. 치료유효량
치료유효량은 치료를 위한 작용을 가했을 때 유효한 치료 작용이 일어나는 양으로써, 최소치료유효량과 최대치료유효량 사이의 값이다.치료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큰 치료 지수는 해당 치료제가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즉, 치사량과 효과 용량의 차이가 작은)를 가진 약물 또는 치료제의 경우, 환자의 실제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디아제팜은 관용적인 약물로 치료 지수가 약 100을 나타낸다. 다른 약물들은 상당히 수치가 낮으며, 예를 들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에서 3이다[21]。
; 디곡신의 치료 지수(예)
| 구분 | 값 (mg/kg) | 비고 |
|---|---|---|
| 기니피그(LD50) | 4.4 | HED=1.14[22] |
| 임상 용량(1~4mg) | 0.017~0.067 | [22] |
| 치료 지수 | 66~259 | 기니피그 LD50/임상 용량 |
| 치료 지수 | 17~67 | 기니피그 LD50 HED/임상 용량 |
2. 4. 치료 지수 계산
치료 지수는 투여한 동물의 절반이 사망하는 용량인 반수 치사량(LD50)을 투여한 동물의 절반이 최소한의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인 반수 유효량(ED50)으로 나눈 값이다.:
사람 등가 용량(HED)으로 환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동물 종류에 따라 실제와 동떨어진 치료 지수가 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치료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큰 치료 지수는 해당 치료제가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즉, 치사량과 효과 용량의 차이가 작은)를 가진 약물 또는 치료제의 경우, 환자의 실제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디아제팜은 관용적인 약물로 치료 지수가 약 100을 나타낸다. 다른 약물들은 상당히 수치가 낮으며, 예를 들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에서 3이다[21]。
; 디곡신의 치료 지수(예)
| 항목 | 값 | 비고 |
|---|---|---|
| 기니피그(LD50) | 4.4mg/kg(HED=1.14mg/kg)[22] | |
| 임상 용량(1~4mg) | 0.017mg/kg~0.067mg/kg[22] | |
| 치료 지수 | 66~259(기니피그 LD50/임상 용량) | |
| 치료 지수 | 17~67(기니피그 LD50 HED/임상 용량) |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에 따라 치료 지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3. 치료 지수의 유형
이는 가 보호 지수의 역수임을 의미한다.
위의 모든 유형의 치료 지수는 전임상 시험과 임상 시험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1.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
치사 효과의 위험을 줄이고 치료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LD50 (반수 치사량)의 값이 가능한 한 커야 한다. 위의 공식에서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는 LD50과 ED50 (반수 유효량)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가 높을수록 치료 범위가 넓어진다.
3. 2. 효능 기반 치료 지수
이상적으로 반수 유효량(ED50)은 약물 반응 속도를 높이고 치료 범위를 넓히기 위해 가능한 한 낮아야 하며, 약물의 중앙 독성 용량(TD50)은 독성 효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커야 한다. ED50과 TD50의 차이가 클수록 의 값이 커진다. 따라서 효능 기반 치료 지수가 낮을수록 치료 범위가 넓어진다.
:
3. 3. 보호 지수
보호 지수는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와 유사하게 ED50 대신 TD50(중앙 ''독성'' 용량)을 사용한다.[1]
많은 물질의 경우 치사 효과(사망을 유발)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독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독성이 제대로 명시되면 보호 지수가 물질의 상대적 안전성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성 기반 치료 지수()는 여전히 유용하다.[1] 이는 보호 지수의 상한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객관성과 더 쉬운 이해라는 장점도 있다.[1]
4. 치료 지수의 임상적 의의 및 활용
치료 지수는 신약 개발 단계에서 약물 후보 물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2] 치료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한데, 이는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를 가진 약물(치사량과 효과 용량의 차이가 작은 경우)은 환자의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데, 이를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이라고 한다. 디아제팜은 치료 지수가 약 100으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인 반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3 정도로 매우 낮다.[21]
; 디곡신의 치료 지수(예)
| 대상 | LD50 | HED | 임상 용량 | 치료 지수 (LD50/임상 용량) | 치료 지수 (HED/임상 용량) |
|---|---|---|---|---|---|
| 기니피그[22] | 4.4mg/kg | 1.14mg/kg | 0.017~0.067mg/kg[22] | 66~259 | 17~67 |
유효한 치료 지수는 치료 약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부위에 집중되는 것, 즉 표적화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악성 종양의 방사선 치료에서는 조사 빔을 종양의 모양에 맞추어 독성 작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학 요법에서는 치료제를 친종양성 화합물에 결합하여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 신경내분비종양에 대한 단백질 수용체 방사성 핵종 치료법이나, 간 종양 및 전이암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 색전술 및 방사성 마이크로스피어가 그 예시이다.
4. 1. 신약 개발
치료 유효량()이 낮고 안전성 기반 치료 유효량()이 높은 약물은 효능 대비 안전성 프로파일이 우수해야 한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약물 후보의 임상 TI를 알 수 없지만, TI는 성공적인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가능한 한 빨리 약물 후보의 예비 TI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잠재적으로 최적화되지 않은 TI를 가진 약물 후보를 조기에 식별하면 완화 조치를 시작하거나 자원 재배치를 할 수 있다.[2]TI는 약물의 약리학적 효능과 독성학적 안전성 간의 정량적 관계이지만, 약리학적 또는 독성학적 종말점 자체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산된 TI를 유용하게 활용하려면 약리학적 및/또는 독성학적 종말점의 특성과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임상 적응증,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 경쟁 상황에 따라, 균형 잡힌 적응증별 효능 대 안전성 프로파일을 만들기 위해 약물 후보의 안전성 또는 효능에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약리학적 및 독성학적 효과는 용량보다는 특정 조직의 약물 노출(시간 경과에 따른 약물 농도)에 의해 유발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용량에서도 대사, 약물 상호 작용(DDI)의 다형성, 체중 또는 환경 요인의 차이로 인해 개인 간 노출 변동성이 클 수 있다. 이러한 점은 TI 계산 시 용량 대신 노출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노출과 독성 간의 지연을 고려하여, 다중 용량 투여 후 발생하는 독성에 대한 TI는 단일 용량 투여 후가 아닌 정상 상태에서의 약물 노출을 사용하여 계산해야 한다.[2]
Muller와 Milton은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에 게재한 논문에서 소분자 및 바이오 치료제를 위한 번역적 약물 개발 환경에서 TI 결정 및 해석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2] 디메르카프롤, 테오필린, 와파린, 탄산 리튬 등은 치료 유효 범위를 유지하면서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니터링이 필요한 약물이다. 겐타마이신, 반코마이신, 암포테리신 B, 폴리믹신 B,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특정 항생제도 약효와 부작용 최소화의 균형을 위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스트렙토마이신의 치료 지수(예)
| 투여 경로 | LD50 | HED | 임상 용량(근육 주사) | 치료 지수 (LD50/임상 용량) | 치료 지수 (HED/임상 용량) |
|---|---|---|---|---|---|
| 마우스 정맥 주사[23] | 145mg/kg | 11.8mg/kg | 16.67mg/kg ~ 33.34mg/kg[23] | ||
| 마우스 피하 주사[23] | 600mg/kg | 48.8mg/kg | 18~36 | 1.46~2.93 |
: 스트렙토마이신의 임상 용량이 대략 치사량에 도달했음을 알 수 있다.
4. 2. 약물 사용 및 관리
치료 지수가 낮은 디곡신, 와파린, 탄산리튬 등의 약물은 혈중 약물 농도 모니터링(TDM)을 통해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용량을 투여해야 한다.[11] 특히, 겐타마이신, 반코마이신, 암포테리신 B, 폴리믹신 B와 같은 항생제나 항진균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중한 용량 조절이 필요하다.[16]디곡신은 강심 배당체의 일종으로 치료 지수가 2:1 정도로 매우 낮아[11] 치료 농도와 독성 농도 간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레미펜타닐은 33,000:1의 매우 높은 치료 지수를 가져 상대적으로 안전한 오피오이드 진통제이다. 디아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진정-수면제 및 골격근 이완제로 100:1의 치료 지수를 가지며, 모르핀은 70, 코카인은 15:1, 에탄올은 10:1, 파라세타몰은 10의 치료 지수를 갖는다.[10]
4. 3.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종양을 축소하고 암세포를 죽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에너지는 X선, 감마선, 또는 하전 입자나 중입자에서 발생한다.[12]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의 치료 지수는 암세포를 죽이는 최대 방사선량과 정상 조직 세포에서 급성 또는 만성 이환율을 유발하는 최소 방사선량으로 결정된다.[12]방사선 치료의 메커니즘은 직접 방사선 또는 간접 방사선으로 분류된다. 직접 및 간접 방사선 모두 수리 과정에서 DNA 돌연변이 또는 염색체 재배열을 유도한다. 직접 방사선은 DNA를 손상시키는 방사선 에너지 침착으로부터 DNA 자유 라디칼을 생성한다. 간접 방사선은 물의 방사선 분해로부터 발생하여 자유 수산 라디칼, 히드로늄 및 전자를 생성하며, 이들은 DNA를 손상시킬 수 있다.[13]
암세포는 세포 주기에서 신호의 불균형을 일으킨다. G1 및 G2/M 정지는 인간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주요 검문점으로 밝혀졌다. G1 정지는 S기에서 DNA 합성 및 M기에서 분열 전에 수리 메커니즘을 지연시키며, 이는 세포 생존의 핵심 검문점임을 시사한다. G2/M 정지는 S기 이후에 세포가 수리할 필요가 있지만 분열 진입 전에 발생한다. S기가 방사선에 가장 저항력이 있고 M기가 방사선에 가장 민감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G1 및 G2/M 정지에 역할을 하는 종양 억제 단백질인 p53은 방사선을 통해 세포 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p53이 증가하고 DNA 합성 수준이 감소한다. 운동실조증 환자는 p53 축적의 지연으로 인해 방사선에 과민 반응을 보인다.[14]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방사선 조사된 세포와 방사선 조사되지 않은 세포 모두에서 반응이 유도된다. 방사선 조사된 세포에서 최대 50~75 세포 직경 떨어진 세포에서도 미세 핵 형성과 같은 표현형의 유전자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이는 파라크린 및 접촉 신호와 같은 세포 간 통신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정상 세포는 DNA 수리 메커니즘을 잃지 않지만, 암세포는 방사선 치료 중에 종종 잃는다. 그러나 고에너지 방사선은 손상된 정상 세포가 수리하는 능력을 무력화하여 발암 위험을 추가로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중 치료 지수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G-IMRT, 양성자 및 중이온을 사용하면 분획을 변경하여 정상 조직에 대한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NA 수리 경로의 분자 표적화는 방사선 감수성 또는 방사선 보호로 이어질 수 있다. 예로는 DNA 이중 가닥 파괴에 대한 직접 및 간접 억제제가 있다. 직접 억제제는 DNA 수리에 관여하는 단백질(PARP 계열) 및 키나제 (ATM, DNA-PKCs)를 표적으로 한다. 간접 억제제는 EGFR 및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와 같은 단백질 종양 세포 신호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다.[12]
효과적인 치료 지수는 치료제가 원하는 효과 부위에 집중되는 표적 약물 전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암 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에서 "빔의 눈"에서 종양의 윤곽에 정확하게 방사선 빔을 형성하면 독성 효과를 증가시키지 않고 전달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치료 지수의 한계 및 고려 사항
치료 지수는 약물 상호작용이나 상승 효과를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조디아제핀을 알코올, 오피오이드, 또는 각성제와 함께 복용하면 단독 복용했을 때보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치료 지수는 치사량에 도달하는 것이 얼마나 쉽거나 어려운지를 반영하지 않는데, 이는 약물의 순도가 매우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오락 목적의 약물 사용자에게는 더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5. 1. 안전 비율
때때로, 특히 치료 목적이 아닌 오락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신 활성 약물과 관련하여 '''안전 비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16] 이러한 경우, ''유효'' 용량은 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양과 빈도를 의미하며, 이는 다양할 수 있고 치료 유효 용량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확실한 안전 계수''는 치사량을 인구의 1%에 해당하는 값(LD1)을 인구의 99%에 대한 유효 용량(ED99)으로 나눈 비율(LD1/ED99)을 의미하며, ''안전 한계(MOS)''라고도 한다.[17] 이는 바람직한 효과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모두 가진 물질에 대해 LD50보다 더 나은 안전 지표인데, 그 이유는 한 사람에게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용량이 필요하지만, 동일한 용량으로 다른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스펙트럼의 끝 지점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
5. 2. 치료 유효 범위
약물의 치료 유효 범위(또는 의약품 범위)는 독성 효과 없이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 용량의 범위이다.[18] 치료 유효 범위가 좁은 약물은 해를 피하기 위해 주의해서 관리하고, 약물의 혈중 농도를 자주 측정해야 한다. 치료 유효 범위가 좁은 약물에는 테오필린, 디곡신, 리튬, 와파린 등이 있다.치료 지수가 클수록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큰 치료 지수는 해당 치료제가 치사량에 도달하기 전에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보다 훨씬 많은 투여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치료 가능 범위를 가진 약물은 환자의 실제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하는데, 이는 치료 약물 모니터링(TDM)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디아제팜은 치료 지수가 약 100으로,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디곡신의 치료 지수는 2에서 3 정도로 매우 좁다.[21]
겐타마이신, 반코마이신, 암포테리신 B, 폴리믹신 B를 포함한 일부 항생제 및 항진균제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5. 3. 최대 내약 용량 (MTD)
최대 내약 용량(MTD)은 용인할 수 없는 독성 없이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사선 또는 약리학적 치료의 가장 높은 용량을 말한다.[19][20] 낮은 용량 대신 최대 용량을 사용하는 이유는 실험 대상의 수를 줄이고 테스트 비용을 절감하며, 드물게만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감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유형의 분석은 식품의 화학 잔류물 허용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임상 시험에서도 수행된다.MTD는 약물의 프로파일에서 필수적인 측면이다. 모든 현대 의료 시스템은 각 약물에 대한 최대 안전 용량을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 환자에게 안전하다고 입증된 최고 용량을 초과하는 처방 및 투약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안전 장치(예: 보험 수량 제한, 정부 시행 최대 수량/시간 제한)를 갖추고 있다.
환자는 종종 부작용 때문에 약물의 이론적 MTD를 견딜 수 없다. 이러한 부작용은 환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료 불응으로 이어질 정도로 환자에게 고통 및/또는 불편을 유발한다. 예로는 항우울제의 감정적 "무감각", 아편유사제의 가려움증, 항콜린제의 시야 흐림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Pharmacology Examination & Board Review
McGraw-Hill Medical
2013
[2]
학술지
The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herapeutic index in drug development
2012-10
[3]
학술지
Appropriateness of therapeutic drug monitoring for lithium
2006-11
[4]
학술지
Estimating the minimum therapeutically effective dose of a compound via regression modelling and percentile estimation
https://pubmed.ncbi.[...]
1995-05
[5]
웹사이트
The Minimum Effective Dose: Why Less is More
https://fs.blog/the-[...]
2014-02-13
[6]
서적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7]
웹사이트
IUPAC - median lethal dose (M03810)
https://goldbook.iup[...]
The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
2024-07-25
[8]
웹사이트
CCOHS: What is a LD₅₀ and LC₅₀?
https://www.ccohs.ca[...]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24-05-10
[9]
학술지
Anesthesia for the 21st century
2000-01
[10]
학술지
Paracetamol New Vistas of an Old Drug
[11]
학술지
Drug therapy in dental practice: general principles. Part 2 – pharmacodynamic considerations
2007-Spring
[12]
학술지
DNA repair targeting and radiotherapy: a focus on the therapeutic ratio
2010-10
[13]
학술지
DNA damage induced by the direct effect of radiation
2008-10-01
[14]
웹사이트
Ataxia Telangiectasia
http://www.cancer.go[...]
2016-04-11
[15]
학술지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in ginkgo and guarana
2005-07-01
[16]
학술지
Comparison of acute lethal toxicity of commonly abused psychoactive substances
http://rgable.files.[...]
2004-06
[17]
웹사이트
FAQs: Dr. Damaj
http://www2.courses.[...]
2015-10-04
[18]
서적
Rang & Dale's Pharmac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15
[19]
웹사이트
maximum tolerated dose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0-07-26
[20]
간행물
http://ncseonline.or[...]
[21]
학술지
Drug Therapy in Dental Practice: General Principles Part 2—Pharmacodynamic Considerations
2007-Spring
[22]
웹사이트
医薬品インタビューフォーム(2016年2月 改訂第6版)メチルジゴキシン - ラニラピッド錠
http://www.info.pmda[...]
中外製薬株式会社
2016-02
[23]
웹사이트
医薬品インタビューフォーム(2014年2月改訂 第7版)ストレプトマイシン
https://www.info.pmd[...]
Meiji Seika ファルマ株式会社
201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