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수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곡군수 선거는 칠곡군수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다. 역대 칠곡군수로는 최재영, 배상도, 장세호, 백선기, 김재욱 등이 있으며,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장세호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보수 정당 강세 지역에서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1995년 첫 민선 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이후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및 그 후신 정당(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국민의힘) 소속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다. 최재영, 배상도, 백선기 군수가 연임에 성공했으며, 특히 백선기 군수는 3선 연임하였다. 2010년에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바 있다.
2. 역대 민선 칠곡군수
2. 1. 역대 군수 목록
선거 | 정당 | 군수 |
---|---|---|
1995년 | 무소속 | 최재영 |
1998년 | 한나라당 | |
2002년 | 한나라당 | 배상도 |
2006년 | 한나라당 | |
2010년 | 무소속 | 장세호 |
2011년 | 한나라당 | 백선기 |
2014년 | 새누리당 | |
2018년 | 자유한국당 | |
2022년 | 국민의힘 | 김재욱 |
역대 칠곡군수 선거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상세한 내용은 각 선거별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 종류 연도 당선자 소속 정당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최재영 무소속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8년 최재영 한나라당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배상도 한나라당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배상도 한나라당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장세호 무소속 2011년 재보궐선거 2011년 백선기 한나라당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백선기 새누리당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백선기 자유한국당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2년 김재욱 국민의힘
1회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이후 2회부터 4회까지는 한나라당 후보가 연달아 당선되었다. 5회 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 장세호 후보가 당선되며 잠시 변화를 맞았지만, 2011년 재보궐선거와 6회 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새누리당으로 이어진 보수 정당의 백선기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7회 지방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백선기 후보가 3선에 성공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장세호 후보가 43% 이상의 득표율로 접전을 벌이며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8회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김재욱 후보가 과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치러진 칠곡군수 선거이다. 총 7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선거 결과는 아래와 같다.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재영 | 무소속 | 11,595 | 26.33% |
이상수 | 무소속 | 10,205 | 23.17% |
이현시 | 무소속 | 6,776 | 15.39% |
이규영 | 민주당 | 5,058 | 11.48% |
김교윤 | 무소속 | 4,496 | 10.21% |
이융상 | 자유민주연합 | 3,629 | 8.24% |
류광현 | 무소속 | 2,268 | 5.15% |
합계 | 44,027 |
선거 결과, 무소속 최재영 후보가 26.3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위인 무소속 이상수 후보 역시 23.17%를 득표하며 접전을 벌였다. 이 외에도 이현시, 김교윤, 류광현 후보 등 총 5명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여 득표하였다. 민주당 소속 이규영 후보는 11.48%, 자유민주연합 소속 이융상 후보는 8.2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칠곡군수 선거는 총 유권자 65,041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소속의 최재영 후보가 단독으로 출마하였다. 최재영 후보는 총 31,983표를 얻어 득표율 100%로 당선되었다.3.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칠곡군수 선거는 총 유권자 75,068명 중 40,721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투표율 54.24%를 기록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 소속의 배상도 후보가 11,856표(득표율 29.11%)를 얻어 당선되었다. 한국미래연합의 이상수 후보가 8,564표(득표율 21.03%)를 얻어 2위를 차지했으며, 그 외 5명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여 경쟁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배상도 | 한나라당 | 11,856 | 29.11% | 당선 |
이상수 | 한국미래연합 | 8,564 | 21.03% | |
박수웅 | 무소속 | 7,076 | 17.37% | |
장세호 | 무소속 | 4,589 | 11.26% | |
장영백 | 무소속 | 4,054 | 9.95% | |
박중보 | 무소속 | 2,308 | 5.66% | |
송필각 | 무소속 | 2,274 | 5.58% | |
합계 | 40,721표 | 100.00% |
3.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일환으로 치러진 칠곡군수 선거이다. 총 유권자 수는 82,468명이었다. 이 선거에서 한나라당 소속의 현직 군수 배상도 후보가 46.8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재선에 성공하였다. 한편, 무소속으로 출마한 장세호 후보와 박창기 후보가 각각 27.81%, 25.29%를 득표하며 경쟁하였으나, 배상도 후보에는 미치지 못했다.
3. 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칠곡군수 선거에서는 총 유권자 89,957명 중 46,999명이 투표하여 투표율 52.24%를 기록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장세호 후보가 35.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역시 무소속으로 출마한 배상도 후보가 2위, 한나라당 김경포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
3. 6.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의 일환으로 치러진 칠곡군수 선거이다. 한나라당에서는 백선기 후보 1명이 출마했으며, 무소속 후보가 9명이나 출마하여 경쟁하였다.선거 결과 한나라당 백선기 후보가 34.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후보별 득표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수 (표) | 득표율 (%) |
---|---|---|---|
백선기 | 한나라당 | 11,543 | 34.47 |
조민정 | 무소속 | 7,970 | 23.80 |
배상도 | 무소속 | 7,024 | 20.98 |
박창기 | 무소속 | 2,202 | 6.57 |
김종욱 | 무소속 | 1,444 | 4.31 |
송필원 | 무소속 | 1,281 | 3.82 |
김시환 | 무소속 | 901 | 2.69 |
강대석 | 무소속 | 797 | 2.38 |
곽달영 | 무소속 | 317 | 0.94 |
계 | 33,479 | 100 |
- 총 유권자 수: 92,136명
- 총 투표자 수 (유효표 기준): 33,479명
3. 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칠곡군수 선거 결과이다. 현직 군수인 새누리당 백선기 후보가 무소속 조민정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3. 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칠곡군수 선거는 총 유권자 96,894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선거 결과, 자유한국당 소속의 백선기 후보가 25,243표를 얻어 47.2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장세호 후보는 23,244표(43.47%)를 득표하며 백선기 후보와 접전을 벌였다. 무소속 장재환 후보는 4,973표(9.30%)를 기록했다.
이번 선거는 보수 정당의 강세 지역으로 평가받던 칠곡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상당한 지지를 얻으며 선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비록 백선기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장세호 후보와의 득표율 차이는 3.74%p에 불과하여, 이전 선거들에 비해 보수 정당과 진보 정당 간의 지지율 격차가 눈에 띄게 줄어든 양상을 보였다.
3. 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치러진 칠곡군수 선거 결과이다. 국민의힘 소속의 김재욱 후보가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재도전한 장세호 후보는 24.38%를 득표하였으며, 무소속 김창규 후보는 12.62%를 득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