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칭기즈 칸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기즈 칸은 2004년 중국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로, 몽골 제국의 초대 황제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그린다. 왕원제 감독, 위즈셴과 주야오팅이 각본을 맡았으며, 바산자브가 칭기즈 칸 역을, 사렌가오와가 그의 어머니 호엘룬 역을 연기했다. 드라마는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의 부족 분열과 칭기즈 칸의 성장 과정을 시작으로, 몽골 부족 통일, 호라즘 제국 및 금나라 정벌 등 몽골 제국 확장 과정을 다룬다. 한국에서는 2005년 KBS를 통해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신조협려
    신조협려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양강의 아들 양과가 스승 소용녀와의 사랑을 지키며 성장하고 몽골 제국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 몽골 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호조 도키무네 (드라마)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시대 호조 도키무네를 주인공으로 가마쿠라 막부 내부 항쟁과 원의 일본 원정을 그린 NHK 대하드라마로, 다카하시 가쓰히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이노우에 유미코가 각본을 맡았으며, 가마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최초의 대하드라마이자 역사 왜곡 논란에도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는다.
  • 칭기즈 칸을 소재로 한 작품 - 푸른 늑대와 하얀 암사슴
    푸른 늑대와 하얀 암사슴은 코에이에서 발매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로, 칭기스칸과 몽골 제국 시대를 배경으로 오르도 시스템, 혈연 장군, 문화권, 기후, 미니스케이프 내정 시스템 등의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
  • 칭기즈 칸을 소재로 한 작품 - 사조영웅전
    《사조영웅전》은 13세기 남송 시대를 배경으로 곽정과 황용의 성장과 사랑, 민족 갈등을 그린 김용의 무협 소설이며, 역사적 배경과 허구를 결합하여 곽정, 황용, 양강 등의 이야기를 통해 민족의식과 영웅주의를 강조한다.
  • 중국중앙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경화연운
    《경화연운》은 1930년대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세 가문의 흥망성쇠와 개인의 고뇌를 그린 린위탕의 소설로, 가족, 사랑,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홍루몽》의 영향을 받아 섬세한 인물 묘사와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고, 여러 차례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중국중앙텔레비전의 텔레비전 드라마 - 마술기연
    마술기연은 마술사 김수와 그의 연인 효매를 중심으로 마법 카페에서 벌어지는 로맨스와 갈등, 정의를 다루며, 돈과 명예를 좇아 변해가는 김수와 그에 맞서는 오준안, 그리고 정의로운 영웅 오기안의 이야기를 그린 2004년 중국 영화이다.
칭기즈 칸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VD 커버 아트
DVD 커버 아트
원제
중국어 간체成吉思汗
병음Chéng Jí Sī Hán
정보
장르역사 드라마
각본위 지셴
주 야오팅
연출왕 원지에
주연바 센
사렌 가오와
쑤오 리종
자오 헝솬
주제곡 작곡가알 수 없음
오프닝 테마알 수 없음
엔딩 테마"전설" (텡거얼)
국가중국
언어중국어 표준어
몽골어 (더빙)
에피소드 수30
책임 프로듀서바테르
왕 원셩
왕 용콴
프로듀서장 궈민
지앙 쿤
두 지에
아굴라
리우 루이
주란 치치거
촬영 장소몽골
중국
방송 채널CCTV (중국)
KBS (대한민국)
방송 기간알 수 없음
관련 작품알 수 없음

2. 제작진


  • 감독: 왕원제
  • 각본: 위즈셴, 주야오팅

3. 등장인물


  • 테무진 (바산자브 분): 몽골 제국 초대 황제.
  • 자무카 (자오헝쉬안 분): 테무진의 맹우(안다).[1]
  • 호엘룬 (萨仁高娃중국어 분): 테무진의 어머니.
  • 보르테 (수오리중 분): 테무진의 정실 부인.
  • 예수이 (郑爽 (1966年生)|정솽중국어 분): 테무진의 두 번째 부인.
  • 주치 (劉奕君중국어 분): 테무진의 장남. 바투의 아버지이며, 킵차크 칸국 건국자.
  • 차가타이 (장타오 분): 테무진의 차남. 차카타이 칸국 건국.
  • 오고타이 (후허 분): 테무진의 삼남. 훗날 몽골 제국 제2대 황제.
  • 툴루이 (양준 분): 테무진의 사남. 쿠빌라이의 아버지이며, 훌레구는 일 칸국 건국.


위의 내용은 '테무진의 가족'과 '몽골 부족 인물'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최소한의 정보만 남기고 간략하게 수정했습니다.

3. 1. 테무진의 가족


  • 호엘룬: 테무진의 어머니이다.
  • 보르테: 테무진의 정실 부인이다.
  • 예수이: 테무진의 두 번째 부인이다.
  • 주치: 테무진의 장남이다. 바투의 아버지이며, 킵차크 칸국의 건국자가 된다.
  • 차가타이: 테무진의 차남으로, 차카타이 칸국을 건국했다.
  • 오고타이: 테무진의 삼남으로, 훗날 몽골 제국 제2대 황제가 된다.
  • 툴루이: 테무진의 사남이다. 쿠빌라이의 아버지이며, 훌레구는 일 칸국을 건국한다.

3. 2. 몽골 부족 인물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에 펼쳐진 대평원에는 많은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케레이트족, 메르키트족, 타타르족, 나이만족, 몽골족의 5대 울루스는 서로 종속되지 않고 독립해 있었다. 동아시아 북부의 금나라는 이들 5대 울루스를 대립시켜 정기적인 살육을 자행했다.[1] 이 때문에 대대로 이어진 원한이 초원 안팎에서 끝없는 다툼을 일으켰다.[1]

몽골 부족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테무진 (바산자브 분): 몽골 제국 초대 황제.
  • 호엘룬 (萨仁高娃중국어 분): 테무진의 어머니.
  • 자무카 (자오헝쉬안 분): 테무진의 맹우(안다).
  • 보르테 (수오리중 분): 테무진의 정실 부인.
  • 예수이 (郑爽 (1966年生)|정솽중국어 분): 테무진의 두 번째 부인.
  • 주치 (劉奕君중국어 분): 테무진의 장남. 주치의 아들 바투가 킵차크 칸국을 건국했다.
  • 차카타이 (장타오 분): 테무진의 차남. 차카타이 칸국을 건국했다.
  • 오고타이 (후허 분): 테무진의 삼남. 훗날 몽골 제국 제2대 황제.
  • 툴루이 (양준 분): 테무진의 사남. 몽골 제국 제5대 황제 쿠빌라이의 아버지. 툴루이의 삼남 훌레구는 일 칸국을 건국한다.

3. 2. 1. 보르지긴 족

보르지긴mn 부족은 몽골 제국테무친이 속한 부족으로, 드라마에서는 테무친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보르지긴 부족의 지도자가 되기까지의 이야기가 묘사된다. 테무친은 아버지 예수게이가 죽은 후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에 생존을 위해 투쟁하며 성장한다. 이후 동맹과 아버지의 옛 추종자들의 지원을 받아 보르지긴 부족의 지도자가 되고, 몽골에서 가장 강력한 군벌 중 한 명으로 부상한다.

3. 2. 2. 메르키트 족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에 펼쳐진 대평원에는 많은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세력을 떨치던 부족 중 하나가 메르키트족이었다.

메르키트족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우배역성우
바터얼퉈허이 퉈아
나순허아타이원호섭
호우타오후두
양 하이찬치리에 거얼
천시청후란차명화


3. 2. 3. 자다란 족


  • 자오헝쉬안 (자오 헝수안) : 자무카
  • 울링한 : 다이차얼 역
  • * 성우 : 문관일
  • 친촨 (친 추안) : 훠얼치 역
  • * 성우 : 이호인

3. 2. 4. 유르키 족

(빈 내용)

3. 2. 5. 타이추드 족


  • 훠차얼 : 타리후타이 (이장원 분)
  • 양광화 : 퉈둬 역
  • 치나리투 : 제베 역 (임성표 분)
  • 여얼장 : 나야아 역 (원호섭 분)
  • 장부라 : 수오얼한 시라 역
  • 정거 : 허다안의 아내 역
  • 울란바오인 : 치라운
  • * 갈라 : 치라운 아역
  • 다와줘마 : 허다안 역 (김정애 분)
  • * 무치얼 : 허다안 아역 (김정애 분)

3. 2. 6. 타르타르 족


  • 아라 텅울라 : 미에우전 샤오리투 역
  • 단바 : 다이얼 우순 역
  • 왕빈 : 여커처리엔 역
  • 리이화 : 테무진 우거, 자린 부허 역[1]
  • 정솽 : 예수이 역
  • 눠밍 여리 : 예수간 역
  • 샤오샤오화 : 시키쿠탁 역

3. 2. 7. 온기라트 족

斡恩吉剌惕중국어 족은 드라마에 직접 등장하지는 않는다. 대신,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에는 케레이트족, 메르키트족, 타타르족, 나이만족, 몽골족 등 5대 울루스가 있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인 세력이었으며, 금나라는 이들을 대립시켜 정기적인 살육을 자행했다.[1] 이로 인해 초원 안팎에서 끊임없는 다툼과 원한이 발생했다.[1]

3. 2. 8. 케레이트 족


  • 비리거투: 토그릴 완 칸 역
  • 쿠바오강: 자허간부 역
  • 마리핑: 상쿤 역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의 대평원에는 많은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세력을 떨치던 부족 중 하나가 케레이트족이었다.

3. 2. 9. 나이만 족

배역배우
쿠츨루크아라파테
타이양 칸마이마이티 시에리후
구지리누얼 쿠티비러 구얼비어수 여사
타타통가니지아티 아이커바이얼
사이보러허이다니야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의 대평원에는 많은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세력을 떨치던 부족 중 하나가 나이만족이었다.

3. 3. 기타 부족 및 주변 인물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 대평원에는 많은 부족들이 할거하고 있었다. 그중 케레이트족, 메르키트족, 타타르족, 나이만족, 몽골족의 5대 울루스는 서로 종속되지 않고 독립해 있었다.

이 때문에 대대로 이어진 원한이 초원 안팎에서 끝없는 다툼을 일으켰다.

3. 3. 1. 금나라

배우역할성우
왕원지에금 희종
리커나이금 위소왕노민
타오지신밍안
울링한후 샤후
왕용콴장 항신
류이민완옌 청휘
셔왕투상이
바터얼완옌 지우진
바이지엔카이예루 아하이
왕원성예루 부화
류쿠이궈 바오유
선관추야율초재설영범
송귀후구처기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 대평원의 여러 부족 중 동아시아 북부의 금나라는 5대 울루스를 대립시켜 정기적인 살육을 자행했다.[1]

3. 3. 2. 호라즘 샤 왕조

3. 3. 3. 기타

배역배우
워얼보이뤄후
치허 치우하이다오얼 치런친
쿠추류바오청
전하이다니야
타얼훈 여사류리나
허다 지다이왕지에빙
투호후아윤가
허이후지시친 차오커투


4. 줄거리

12세기 후반, 몽골 고원 주변의 대평원에는 케레이트, 메르키트, 타타르, 나이만, 몽골 등 여러 부족들이 할거하며 대립하고 있었다.[1] 동아시아 북부의 금나라는 이들 부족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살육을 자행했고, 이로 인해 부족 간의 원한과 다툼이 끊이지 않았다.[1]

이러한 혼란 속에서 몽골족의 예수게이는 아들 테무친(훗날의 칭기즈 칸)을 얻었으나, 타타르족에게 독살당한다.[1] 어린 테무친은 어머니 호엘룬과 함께 역경을 헤쳐나가며 성장한다.[1] 테무친은 아버지의 동맹이었던 자무카와 힘을 합쳐 세력을 키우고, 보르테를 아내로 맞이한다.[1] 그러나 메르키트족의 습격으로 보르테가 납치되는 등 시련을 겪는다.[1]

테무친은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며 몽골 부족들을 통합해 나가고, 마침내 1206년 쿠릴타이에서 칭기즈 칸으로 추대된다.[1] 칭기즈 칸은 금나라, 호라즘 제국 등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며 몽골 제국을 확장해 나간다.[1] 1227년, 칭기즈 칸은 서하 원정 중 병사하고, 그의 셋째 아들 오고타이가 뒤를 잇는다.[1]

드라마의 각 화별 제목은 다음과 같다.

화수제목
제1화테무친 탄생
제2화예수게이의 죽음
제3화호엘룬 일가의 고난
제4화테무친의 위기
제5화메르키트족의 습격
제6화보르테, 구출되다
제7화13익의 전투
제8화타타르족을 치다
제9화테무친 칸의 대두
제10화코이텐 전투
제11화카다안의 재회
제12화예수이, 예스겐을 비로 삼다
제13화나이만족과의 전투
제14화케레이트족과의 격전
제15화강화 교섭 결렬
제16화왕 칸과 타양 칸의 죽음
제17화자무카의 최후를 맞이하다
제18화칭기즈 칸 탄생
제19화드디어 금나라에 선전포고
제20화야호령의 결전
제21화야율초재와의 만남
제22화임목 중 백성의 반란
제23화오트라르의 대상 사건
제24화서정을 결의하다
제25화후계자는 오고타이
제26화오트라르, 부하라, 후잔의 함락
제27화호엘룬의 죽음
제28화무함마드 술탄의 비참한 최후
제29화파르완 전투와 텡그리의 경고
제30화
최종화
칭기즈 칸, 죽다


5. 국제 방영

지역방송사첫 방영일제목 (원제와 다를 경우)
중국CCTV2004년
몽골MNB2004년
타이완CTV2005년
대한민국KBS2005년 9월 10일 - 12월 18일칭기즈칸
태국5HD12019년 2월 4일 – 2019년 3월 26일 (매주 월요일 ~ 목요일 22:40–23:30)제엥키스칸 짝라팟사탄팬딘


6. 평가 및 영향

⟪칭기즈 칸⟫은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세계 제국인 몽골 제국의 기반을 다진 칭기즈 칸의 일대기를 비교적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드라마는 몽골 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게 재현하여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한국에서는 KBS 방영 당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몽골 역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7. 기타

KBS는 이 작품에 앞서 명성황후를 재방영할 예정이었으나[3] 시청자들의 반발과 내부적인 사정으로 편성이 취소되었고[4], <칭기즈 칸>과 경쟁한 작품 중 하나였던 MBC 신돈의 집필자 정하연 작가는 명성황후 집필자였다.[5]

참조

[1] 웹사이트 巴森:再现成吉思汗风采 https://archive.toda[...]
[2] 저널 시청률 순위 - 지상파 일일 시청률 http://www.agbnielse[...] 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코리아 2005-09
[3] 뉴스 ‘불멸의 이순신’ 후속작에 ‘징기스칸’ 방송 http://entertain.nav[...] 마이데일리 2018-06-11
[4] 뉴스 ‘불멸의 이순신’ 후속작에 ‘징기스칸’ 방송 http://entertain.nav[...] 마이데일리 2018-06-11
[5] 뉴스 “4년만의 복귀작… 남편 기성용 적극 권해”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8-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