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수아리나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수아리나과는 건조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프랑키아속 방선균과 공생하여 질소 고정을 하는 식물 과이다. 잎은 인편상이며 꽃은 단성이고, 암꽃은 구과 모양의 꽃차례를, 수꽃은 꼬리 모양의 꽃차례를 이룬다.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일본 일부 지역에도 도입되어 야생화되었다.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김노스토마속, 세우토스토마속, 알로카수아리나속, 카수아리나속을 포함하며,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참나무목에 속한다. 카수아리나과는 Allocasuarina, Casuarina, Ceuthostoma, Gymnostoma의 4개 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Casuarina만을 유일한 속으로 보는 연구도 있다.
카수아리나과는 건조에 적응하여 해안이나 건조지에 많이 분포한다. 뿌리에는 프랑키아속의 방선균이 공생하며 질소 고정을 한다. 잎은 인편상으로 돌려나며, 속새류와 비슷한 모습을 띠기도 한다. 꽃은 단성이다. 암꽃은 꽃덮이가 없이 포에 둘러싸여 있으며, 꽃차례는 구과 모양이다. 수꽃 또한 흔적적인 꽃덮이와 수술 1개만 가지고 있으며, 꽃차례는 꼬리 모양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누벨칼레도니아, 피지, 마스카렌 제도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원래 자생하지 않지만, 난세이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에 도입된 것이 야생화되었다.
2001년 스티븐슨(Stevens, P. F.) 등의 연구에 의한 참나무목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7]
2001년 스티븐슨(Stevens, P. F.) 등의 연구에 의한 참나무목 계통 분류와 현대 분자 계통학에서 제시하는 관계는 다음과 같다.[7][6]
2. 특징
3. 분포
4. 분류 체계
{| class="wikitable"
|-
! 참나무목
|-
|
{| class="wikitable"
|-
| 노토파구스과
|-
|
{| class="wikitable"
|-
| 참나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소귀나무과
|-
|가래나무과 로이프텔레아과
|}
|-
|
{| class="wikitable"
|-
| 카수아리나과
|-
|자작나무과 티코덴드론과
|}
|}
|}
|}
|}
|}
4. 1. 과거 분류 체계
현대의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참나무목에 포함된다.[7]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조매화아강에 속하는 단형 목인 모마오우목의 과이다.
단순한 꽃의 형태를 원시적인 것으로 해석하여, 피자식물의 배열 처음에 두었다.4. 2. 현대 분류 체계 (APG 분류 체계)
현대 분자 계통학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제시한다.[6]
카수아리나과는 그 특이한 형태 때문에, 한 목 한 과의 단형 목인 모쿠마오우목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의 APG 분류 체계에서는 참나무목에 포함된다. APG 분류 체계에서 카수아리나과는 참나무과, 소귀나무과 등과 함께 참나무목을 구성하는 과이다.
5. 계통 분류
카수아리나과
6. 하위 속
카수아리나과는 보통 위 4개의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인정되지만, 카수아리나속(''Casuarina'')만을 카수아리나과로 취급하는 연구도 있다.[1]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3]
논문
Casuarina glauca: a model tree for basic research in actinorhizal symbiosis
2013
[4]
서적
Rude timber buildings in Australia
Thames and Hudson
1969
[5]
서적
Origins: A Short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논문
Large-scale phylogenetic analyses reveal fagalean diversification promoted by the interplay of diaspores and environments in the Paleogene
[7]
웹사이트
Fagales
http://www.mobot.org[...]
Stevens, P. 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7, May 2006 [and more or less continuously updated si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