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탕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탕가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남부에 위치한 주로, 앙골라, 잠비아, 탄자니아와 국경을 접한다. 1,000년 이상 구리 채굴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20세기 초 벨기에령 콩고에 편입되었으며, 1960년 콩고 독립 후 분리주의 운동으로 카탕가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1997년 주 이름이 카탕가로 변경되었으며, 2015년 4개의 주로 분할되었다. 구리, 코발트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광업 중심지인 루붐바시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탕가니카주 - 탕가니카호
탕가니카호는 동아프리카 지구대 내 알버틴 지구대에 위치한 아프리카 최대의 지구대 호수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부피가 큰 호수로서, 다양한 고유종 서식지이며 주변 국가의 어업 자원 및 수운 교통로로 기능하지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카사이옥시당탈주
카사이옥시당탈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로, 1966년에 설립되어 카사이 강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카낭가 등을 주요 도시로 하고 츠릴루바어를 사용하며 기독교가 주요 종교이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동부주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이며, 수도는 키상가니이고,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2015년에 4개의 주로 분할되었으며, 과거 마르부르크 바이러스병 발병과 이투리 분쟁이 발생했던 지역이다.
카탕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카탕가 주 |
프랑스어 표기 | Province du Katanga |
위치 | 09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수도 | 루붐바시 |
면적 | 496,871 km² |
인구 (2010년 추정) | 5,608,683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주민 | 카탕가인 |
공용어 | 프랑스어 |
국가 공용어 | 스와힐리어 |
기타 사용 언어 | 영어 |
유형 | 이전 주 |
최대 도시 | 루붐바시 |
역사 | |
설립 | 1966년 |
해체 | 2015년 |
행정 | |
주지사 | 주지사 |
일본 정보 (カタンガ州) |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주 | 주 |
연도 시작 | 1997년 |
날짜 시작 | 10월 8일 |
연도 종료 | 2015년 |
날짜 종료 | 1월 9일 |
이미지 지도 | Katanga in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svg |
통계 연도 | 2010년 |
통계 면적 | 496871 |
통계 인구 | 5608683 |
2. 역사
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당시 콩고 공화국)이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후,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UMHK), 모이즈 촘베, 고데프로아 무농고는 콩고에서 카탕가 주의 분리주의를 지지했다. 이는 벨기에의 지원을 받았지만 콩고 총리 파트리스 루뭄바는 반대했다. 이로 인해 루뭄바의 암살과 카탕가 위기(콩고 위기)가 발생했다. 카탕가국은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존속하다가 다시 통합되었다.[8]
2005년 새 헌법에 따라 카탕가 주는 별도로 관리되는 주로 분할될 예정이었다.[9]
게데온 큉구 무탕가가 이끄는 마이 마이 카타 카탕가와 같은 민병대는 카탕가의 분리를 위해 싸웠으며, 이 단체는 2013년 주도인 루붐바시를 잠시 점령하기도 했다.[8]
2015년 카탕가 주는 탕가니카, 오트-로마미, 루알라바, 오트-카탕가 주로 분할되었다.[10][11]
2. 1. 고대 및 식민지 시대
카탕가에서 구리 채광은 1,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며, 이 지역의 광산은 10세기 말에 국제 운송을 위해 표준 크기의 괴를 생산했다.[4]1890년대에 카탕가는 남쪽으로는 세실 로즈의 북로데시아, 북쪽으로는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개인 소유인 벨기에령 콩고의 위협을 받았다. 므시리(카젬베가 통제하는 지역의 지역 권한을 가진 칭호)는 두 세력 모두에 맞서 저항했지만, 결국 카탕가는 벨기에령 콩고에 흡수되었다.[5]
1900년 이후 소시에테 제네랄 드 벨지크는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UMHK)을 통해 사실상 이 지역의 모든 광업을 통제했다. 여기에는 우라늄, 라듐, 구리, 코발트, 아연, 카드뮴, 게르마늄, 망간, 은, 금, 주석이 포함되었다.
1915년, 싱콜로브웨에서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전에 발견된 적이 없고, 그 이후로도 발견되지 않은 고품질의 피치블렌드와 기타 우라늄 광물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UMHK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올렌에 공장이 건설되었고, 1922년 말 피치블렌드에서 첫 번째 그램의 라듐을 생산한다고 발표하면서 비밀이 해제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광산 회사는 "벨기에령 콩고 내의 국가"를 구성했다. 자도빌(현재 리카시) 근처의 싱콜로브웨 광산은 맨해튼 계획의 중심지였다.[7]

2. 2. 싱콜로브웨 광산과 맨해튼 계획
1915년, 싱콜로브웨에서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전에 발견된 적이 없는 고품질의 피치블렌드와 기타 우라늄 광물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UMHK)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올렌에 공장이 건설되었고, 1922년 말 피치블렌드에서 첫 번째 그램의 라듐을 생산한다고 발표하면서 비밀이 해제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광산 회사는 "벨기에령 콩고 내의 국가"를 구성했다. 자도빌(현재 리카시) 근처의 싱콜로브웨 광산은 맨해튼 계획의 중심지였다.[7]2. 3. 카탕가 분리 독립 (1960-1963)
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당시 콩고 공화국)이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후, 오트 카탕가 광업 연합(UMHK)과 모이즈 촘베, 고데프로아 무농고는 콩고에서 카탕가 주의 분리주의를 지지했다.[8] 벨기에는 이를 지원했지만, 콩고 총리 파트리스 루뭄바는 반대했다. 이로 인해 루뭄바의 암살과 1960년부터 1965년까지 지속된 카탕가 위기(또는 "콩고 위기")가 발생했다. 분리된 카탕가국은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존속하다가 다시 통합되었다.[8]1960년 콩고 민주 공화국이 독립하자 곧 카탕가 주는 카탕가국으로서 분리·독립을 선언하고 "카탕가 헌법"을 제정하여 모이즈 촘베를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벨기에는 지하 자원을 노리는 속셈으로 군사적으로 지원했다. 그러나 유엔군 등의 공격으로 1963년에 독립을 포기했고, 촘베는 망명했다.
2. 4. 샤바 분쟁 (1977-1978)
1977년, Kisengi프랑스어에 본부를 둔 콩고 민족해방전선(FNLC)은 다시 샤바 주로 진군하여 (Shaba I영어) Dilolo프랑스어, 카사지, 무차차 등을 점령했다. 그러나 서방 국가의 지원을 받은 콩고 정부는 이를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23] 이듬해인 1978년, FNLC는 잠비아에서 샤바 주로 쳐들어와 (Shaba II영어) 광산 사업 관계로 많은 서방 사람들이 거주하는 콜웨지를 점령했고, 많은 인질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서방 국가들은 군사 개입을 하여 격퇴하는 데 성공했지만, 많은 백인이 사망 또는 행방불명되었다. (Battle of Kolwezi영어)2. 5. 카탕가 주로의 복귀와 분할 (1997-2015)
1997년 콩고 민주 공화국이 탄생하면서, 주의 이름이 다시 카탕가로 변경되었다.2005년 새 헌법에 따라 카탕가 주는 별도로 관리되는 주로 분할될 예정이었다.[9]
게데온 큉구 무탕가가 이끄는 마이 마이 카타 카탕가와 같은 민병대는 카탕가의 분리를 위해 싸웠으며, 그의 단체는 2013년 주도인 루붐바시를 잠시 점령하기도 했다.[8]
2015년 카탕가 주는 탕가니카, 오트-로마미, 루알라바, 오트-카탕가 주로 분할되었다.[10][11]
3. 경제
카탕가 주에서 구리 채굴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2] 코발트는 개인 계약자들에 의해 채굴되기도 한다. 이 지역의 풍부한 광물 자원이 전반적인 생활 수준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여러 이유가 제시되었다. 2011년 카탕가 주의 예산은 4.4억달러였다.[13][14]
3. 1. 주요 광산 회사
루붐바시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광업 중심지이며, 이 나라의 가장 큰 광업 회사들의 거점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세계 구리의 3% 이상과 코발트의 절반을 생산하며, 대부분이 카탕가에서 나온다."[15]주요 광산 채굴권에는 틸웨젬베와 칼루쿤디가 있다.
- 게카민(Gécamines) (구 UMHK, ''La Générale des Carrières et des Mines'')는 콩고민주공화국 국영 구리-코발트 광산 회사로, 해당 지역에서 독점적인 채굴권을 가지고 있었다.
- 카탕가 마이닝 ''TSX:KAT''는 카탕가 주에서 주요 광산 단지를 운영하며 정련된 구리와 코발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최대의 구리 생산자이자 세계 최대의 코발트 생산자가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6] 카탕가 마이닝은 스위스 원자재 거래업체 글렌코어 DCC가 과반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17] 카탕가 마이닝(75%)과 게카민(25%)의 합작 회사는 2007년 노천 구리 및 코발트 광산인 틸웨젬베의 채굴을 시작했다.[18]
4. 지리
카탕가 주는 앙골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잠비아와의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전체를 형성한다. 또한 탕가니카 호를 통해 탄자니아와도 국경을 접하고 있다. 카탕가에는 우기와 건기가 있다. 강수량은 약 1245mm이다.[19]
카탕가 주는 2015년에 당시 카탕가 구를 기반으로 5개의 후속 주로 분할되었다.
카탕가 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남단에 위치하며, 대부분 고원 지대이고 해발 1000m 정도이다. 주의 남서쪽은 앙골라, 남쪽은 잠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동쪽에는 탕가니카 호가 있으며, 탄자니아와 국경을 이룬다.
5. 주민
6. 교통
콩고 국철은 루붐바시를 중심으로 카탕가 주에 제한적인 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뢰성은 제한적이다. 루붐바시 국제공항은 루붐바시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2014년 4월에는 2014년 카탕가 열차 탈선 사고로 63명이 사망했다.[22]
7. 교육 및 의료
루붐바시 대학교는 루붐바시 시 북부에 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자 콩고민주공화국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대학교 중 하나이다.
루붐바시 영어 학교(TESOL)는 외국인 커뮤니티를 위한 중등학교이다. 1987년 프랑스 학교인 리세 프랑세 블레즈 파스칼 부지에 설립되었으며, 1991년에 운영을 중단하고 2009년에 새로운 프랑스 학교가 개교했다.[20]
카탕가 주는 세계에서 영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갓 태어난 아기 1,000명 중 184명이 다섯 살이 되기 전에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21]
참조
[1]
뉴스
Katanga {{!}} provinc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britanni[...]
2018-02-26
[2]
서적
China and Africa Love Affair
https://books.google[...]
Francis Stevens George
2020-10-18
[3]
뉴스
Biggest Citie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worldatl[...]
2018-02-26
[4]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nd Eastern Africa
https://archive.org/[...]
Rosen Education Service
2011
[5]
서적
Thinking Black: 22 Years Without a Break in the Long Grass of Central Africa
https://archive.org/[...]
George H. Doran
1912
[6]
웹사이트
Uranium's scientific history - Part 2
https://web.archive.[...]
[7]
서적
Spies in the Congo
Public Affairs
2016
[8]
뉴스
Fighting for DR Congo's cash cow to secede
https://www.bbc.com/[...]
2019-01-16
[9]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Article 2
http://fr.wikisource[...]
Wikisource
2016-05-24
[10]
웹사이트
The National Assembly adopts the laws regarding the limits of the province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www.assemblee[...]
[11]
웹사이트
Election of governors: definite results expected on 18 April
http://www.radiookap[...]
[12]
웹사이트
COPPER
http://www.congo-pag[...]
congo-pages.org
2015-10-23
[13]
뉴스
Katanga: le budget 2011 s'élève à 396 milliards de Francs congolais
http://radiookapi.ne[...]
Radio Okapi
2010-09-21
[14]
간행물
The State vs. the People: Governance, mining and the transitional regime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friendsofthec[...]
Netherlands Institute for Southern Africa
2013-03-25
[15]
뉴스
Congolese Militia Seizes UN Compound in Katanga's Lubumbashi
https://www.bloomber[...]
2013-03-23
[16]
웹사이트
History: dead link
http://www.katangami[...]
Katanga Mining
2011-11-16
[17]
간행물
Katanga Mining
http://www.glencore.[...]
2013-03-25
[18]
웹사이트
An Independent Technical Report on the Material Assets of Katanga Mining Limited...
http://www.investis.[...]
SRK Consulting
2011-11-06
[19]
웹사이트
Katanga, or Shaba (provinc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2022-06-23
[20]
웹사이트
English-speaking School of Lubumbashi (TESOL)
https://web.archive.[...]
[21]
뉴스
DR Congo eyes a greater share of its mineral riches
https://www.bbc.co.u[...]
2012-04-22
[22]
웹사이트
Scores killed in DR Congo train crash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4-04-23
[23]
뉴스
政府軍が要衝包囲 ザイール ピグミー部隊も参加
朝日新聞
1977-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