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는 콜롬비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48년에 시작되었다. 20개 팀이 참가하며,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 최다 우승 클럽이며, 다이로 모레노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리그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국제 대회에 콜롬비아 클럽의 참가를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NASCAR
NASCAR는 미국에서 시작된 스톡카 레이싱 모터스포츠 기구로, 밀주 운반 차량 개조에서 기원하여 빌 프랑스 시니어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타원형 트랙에서의 고속 주행, 독특한 규칙, 전설적인 드라이버들과 해외 자동차 제조사의 참여로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48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이집트 프리미어리그
이집트 프리미어리그는 1948년 창설된 이집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알 아흘리와 자말레크가 대표적인 클럽이며, CAF 챔피언스리그 및 CAF 컨페더레이션컵 출전권이 주어지는 아프리카 클럽 대항전에서 성공적인 리그로 평가받는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891년에 시작되어 잉글랜드 풋볼 리그 다음으로 오래된 축구 리그이며,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FA)가 주관하고, 리버 플레이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파라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06년 창설되어 1935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파라과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2개 팀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개의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 국제 대회 출전권, 강등을 놓고 경쟁하며 올림피아와 세로 포르테뇨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가 벳플레이 디마요르 |
![]() | |
대륙 | CONMEBOL |
창립 | 1948년 8월 15일 |
참가 팀 수 | 20 |
하위 리그 |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B |
국내 컵 | 코파 콜롬비아 수페르리가 콜롬비아나 |
대륙 컵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
최다 우승 팀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7회) |
최근 우승 팀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1회) |
최근 시즌 | 2024–I |
현재 시즌 | 2024 시즌 |
방송사 | Win Sports, Win+ Fútbol Win Sports+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통계 | |
최다 득점자 | Dayro Moreno (238골) |
최다 출장 | Gabriel Berdugo (733회) |
명칭 | |
로마자 표기 | Kategoˈɾi.a pɾiˈmeɾa ˈa |
2. 역사
1948년 이전에는 콜롬비아에 프로 축구 리그가 없었다. 최초의 클럽은 바랑키야와 보고타에 설립되었는데, '''바랑키야 FC''', '''폴로 클럽''', '''에스쿠엘라 밀리타르''', '''바르톨리노스'''가 그 예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기들은 인기를 얻는 데 시간이 걸렸다.[3] 1918년 캄페오나토 나시오날은 콜롬비아 클럽 간에 열린 최초의 토너먼트였으며, 그 뒤를 이어 보야카 전투 센테나리오 컵이 열렸다. 인데펜디엔테 메데인은 1913년 4월 15일에 창단되었으며, 현재 프로 클럽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클럽이다.[4]
첫 번째 토너먼트는 콜롬비아 축구 연맹과 DIMAYOR가 1948년에 조직했다. 10개 팀이 이 첫 번째 토너먼트에 등록했으며, 1,000 페소의 등록비를 지불했다. 보고타, 칼리, 마니살레스, 그리고 페레이라에서 각각 2팀, 바랑키야에서 1팀이 참가했다.[5] 그해 토너먼트에는 252명의 선수가 등록되었으며, 이 중 182명이 콜롬비아인, 13명이 아르헨티나인, 8명이 페루인, 5명이 우루과이인, 2명이 칠레인, 2명이 에콰도르인, 1명이 도미니카인, 1명이 스페인인이었다.[5]
리그 창설 직후, 콜롬비아 아마추어 축구를 관장하는 기관인 Adefútbol과 새로운 전국 리그를 조직하는 기관인 DIMAYOR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DIMAYOR는 Adefútbol에서 탈퇴하여 FIFA 규칙과 규정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FIFA는 콜롬비아 축구를 제재하여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모든 클럽의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했다. 1949년부터 1954년까지 지속된 이 기간은 엘도라도로 알려져 있다.
콜롬비아 축구의 암흑기였던 것과는 달리, 이 시기는 황금기였다. 더 이상 다른 국가의 클럽에 이적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게 된 콜롬비아 클럽들은 남미와 유럽 전역에서 스타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국제 선수 영입에 가장 적극적인 팀은 밀요나리오스 FC였으며,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 같은 스타들을 영입하여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관중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클럽 대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950년에 코파 콜롬비아가 창설되었다. 이 토너먼트는 그 후 58년 동안 산발적으로 개최되었으며, 2008년에야 연례 토너먼트가 되었다.[6] 1954년 콜롬비아가 국제 무대에 다시 합류했을 때 스타들은 각자의 국가로 돌아갔지만, 그 시대는 결코 잊혀지지 않았다.[7]
1968년, 리그는 남미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따라 1년짜리 토너먼트를 두 개의 짧은 토너먼트로 대체했다. 이때부터 콜롬비아 클럽들은 2월부터 6월까지의 ''아페르투라''와 7월부터 12월까지의 ''피날리사시온''에서 경쟁했다. 2002년에는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이 독립적인 챔피언십이 되었다. 1991년에는 2부 리그와 3부 리그를 추가했다. 3부 리그는 경제적인 이유로 2002년에 취소되었고, 2003년에는 프로 리그로의 승격이 중단되었으며, 2010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2. 1. 리그 창설 배경
1948년 이전에는 콜롬비아에 프로 축구 리그가 없었다. 최초의 클럽은 바랑키야와 보고타에 설립되었는데, '''바랑키야 FC''', '''폴로 클럽''', '''에스쿠엘라 밀리타르''', '''바르톨리노스'''가 그 예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기들은 인기를 얻는 데 시간이 걸렸다.[3] 1918년 캄페오나토 나시오날은 콜롬비아 클럽 간에 열린 최초의 토너먼트였으며, 그 뒤를 이어 보야카 전투 센테나리오 컵이 열렸다. 인데펜디엔테 메데인은 1913년 4월 15일에 창단되었으며, 현재 프로 클럽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클럽이다.[4]2. 2. 엘도라도 시대 (1949-1954)
리그 창설 직후, 콜롬비아 아마추어 축구를 관장하는 기관인 Adefútbol과 새로운 전국 리그를 조직하는 기관인 DIMAYOR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5] DIMAYOR는 Adefútbol에서 탈퇴하여 FIFA 규칙과 규정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FIFA는 콜롬비아 축구를 제재하여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모든 클럽의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했다. 1949년부터 1954년까지 지속된 이 기간은 엘도라도로 알려져 있다.[6]콜롬비아 축구의 암흑기였던 것과는 달리, 이 시기는 황금기였다. 더 이상 다른 국가의 클럽에 이적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게 된 콜롬비아 클럽들은 남미와 유럽 전역에서 스타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국제 선수 영입에 가장 적극적인 팀은 밀요나리오스 FC였으며,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와 같은 스타들을 영입하여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6] 관중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클럽 대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950년에 코파 콜롬비아가 창설되었다. 이 토너먼트는 그 후 58년 동안 산발적으로 개최되었으며, 2008년에야 연례 토너먼트가 되었다.[6] 1954년 콜롬비아가 국제 무대에 다시 합류했을 때 스타들은 각자의 국가로 돌아갔지만, 그 시대는 결코 잊혀지지 않았다.[7]
2. 3. 리그 형식의 변화
첫 번째 토너먼트는 콜롬비아 축구 연맹과 DIMAYOR가 1948년에 조직했다.[5] 1968년, 리그는 남미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따라 1년짜리 토너먼트를 두 개의 짧은 토너먼트로 대체했다. 이때부터 콜롬비아 클럽들은 2월부터 6월까지의 ''아페르투라''와 7월부터 12월까지의 ''피날리사시온''에서 경쟁했다.[7] 2002년에는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이 독립적인 챔피언십이 되었다.2. 4. 하부 리그의 도입과 변화
1968년, 리그는 1년짜리 토너먼트를 두 개의 짧은 토너먼트로 대체하면서 남미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따르기 시작했다. 이 시점부터 콜롬비아 클럽들은 연간 두 개의 토너먼트, 즉 2월부터 6월까지의 ''아페르투라''와 7월부터 12월까지의 ''피날리사시온''에서 경쟁했으며, 이는 2002년에 독립적인 챔피언십이 되었다. 1991년에는 2부 리그와 3부 리그를 추가했다. 3부 리그는 경제적인 이유로 2002년에 취소되었고, 2003년에는 프로 리그로의 승격이 중단되었으며, 2010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3. 리그 형식
콜롬비아 축구의 현재 형식은 2019 시즌에 채택되었다. 최상위 리그는 20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팀은 매년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 토너먼트를 거쳐 경기를 치른다. 두 토너먼트는 동일한 3단계 형식으로 진행되며, 2002년부터 독립적인 우승을 결정하는 토너먼트가 되었다.[8]
첫 번째 단계는 각 팀이 다른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총 19경기가 치러진다. 대부분의 시즌에는 지역 더비 경기가 추가로 포함된다. 상위 8개 팀은 4개 팀으로 구성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준결승 라운드에 진출하며, 각 팀은 해당 그룹 내의 다른 팀과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두 번씩 경기를 치른다. 각 그룹의 우승팀 두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두 경기를 치르는 결승전에 진출한다.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B로의 강등은 지난 3시즌 동안 각 팀이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된다. 매년 하위 두 팀이 강등되고, 프리메라 B의 상위 두 팀이 승격된다.[8]
3. 1. 정규 리그 (Regular Season)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의 정규 리그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팀은 총 19경기를 치른다. 대부분의 시즌에는 지역 더비 경기가 추가된다.[8]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진다.[8] 정규 리그가 종료되면 상위 8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툰다.[8]현재와 같은 리그 형식은 2019 시즌에 채택되었으며, 2002년부터 아페르투라와 피날리사시온 두 토너먼트에서 각각 독립적인 우승팀을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8]
한편,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B로의 강등은 지난 3시즌 동안 각 팀이 정규 리그에서 얻은 점수의 평균으로 결정된다.[8] 매년 하위 두 팀이 강등되고, 프리메라 B의 상위 두 팀이 승격된다.
3. 2. 플레이오프 (Playoffs)
플레이오프에서는 8개 팀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한다.[8] 참가 팀들은 각 그룹에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8] 각 그룹의 최상위를 기록한 팀이 결승전에 진출한다.[8]3. 3. 결승전 (Final)
결승전에서는 플레이오프 각 그룹에서 최상위를 기록한 두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8] 이 때 정규 리그에서 더 높은 승점을 기록한 팀이 두번째 경기에서 홈 경기를 치르는 어드벤티지를 갖는다.[8] 결승전은 무승부 시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로 돌입하며, 원정 다득점 규칙은 적용되지 않는다.[8]3. 4. 강등 (Relegation)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의 강등은 최근 3시즌 동안 각 팀이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점수를 평균하여 결정된다.[8] 매년 평균 승점이 가장 낮은 두 팀은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B로 강등되고, 프리메라 B의 상위 두 팀이 승격된다.[8]시즌 | 강등 | 승격 |
---|---|---|
1991 | 없음 | 엔비가도 FC |
1992 | 레알 카르타헤나 | 아틀레티코 우일라 |
1993 | 데포르테스 톨리마 | 코르투루아 |
1994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데포르테스 톨리마 |
1995 | 쿠쿠타 데포르티보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1995-96 | 아틀레티코 우일라 | 쿠쿠타 데포르티보 |
1996-97 | 쿠쿠타 데포르티보 | 데포르티보 우니코스타 |
1997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아틀레티코 우일라 |
1998 | 데포르티보 우니코스타 | 데포르티보 파스토 |
1999 | 우니온 마그달레나 | 레알 카르타헤나 |
2000 | 데포르테스 킨디오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2001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데포르테스 킨디오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우니온 마그달레나 |
2002 | 레알 카르타헤나 | 센타우로스 빌라비센시오 |
2003 | 센타우로스 빌라비센시오 | 보야카 치코 |
2004 | 코르투루아 | 레알 카르타헤나 |
2005 | 우니온 마그달레나 | 쿠쿠타 데포르티보 |
2006 | 엔비가도 FC | 라 에퀴다 |
2007 | 레알 카르타헤나 | 엔비가도 FC |
2008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레알 카르타헤나 |
2009 | 데포르티보 파스토 | 코르투루아 |
2010 | 코르투루아 | 아길라스 도라다스 |
2011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아메리카 데 칼리 | 데포르티보 파스토 파트리오타스 |
2012 | 레알 카르타헤나 | 아리안사 페트로레라 |
2013 | 데포르테스 킨디오 쿠쿠타 데포르티보 | 우니베르시다드 아우토노마 포르탈레자 |
2014 | 포르탈레자 | 하구아레스 데 코르도바 코르투루아 쿠쿠타 데포르티보 |
2015 | 쿠쿠타 데포르티보 우니베르시다드 아우토노마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포르탈레자 |
2016 | 포르탈레자 보야카 치코 | 티그레스 아메리카 데 칼리 |
2017 | 코르투루아 티그레스 | 보야카 치코 레오네스 |
2018 | 레오네스 보야카 치코 | 우니온 마그달레나 쿠쿠타 데포르티보 |
2019 | 우니온 마그달레나 아틀레티코 우일라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보야카 치코 |
2020 | 없음 | 없음 |
2021-I | 보야카 치코 | 아틀레티코 우일라 데포르테스 킨디오 |
2021-II | 아틀레티코 우일라 데포르테스 킨디오 | 코르투루아 우니온 마그달레나 |
2022 | 코르투루아 파트리오타스 | 보야카 치코 아틀레티코 우일라 |
3. 5. 수페르리가 콜롬비아나 (Superliga Colombiana)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전기 리그 우승팀과 후기 리그 우승팀은 수페르리가 콜롬비아나에서 경기를 치른다.[8]4. 참가 클럽
4. 1. 현재 시즌 (2024) 참가팀
2024 시즌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에는 20개 팀이 참가한다. 다음은 2024년 11월 12일 기준 참가팀 목록이다.구단명 | 연고지 | 경기장 | 수용인원 | 감독 | 참가연도 |
---|---|---|---|---|---|
알리안사 | 바예두파르 | 아르만도 마에스트레 파바헤아우 | 11,000 | 후베르트 보데르트 | 2024 |
아메리카 데 칼리 | 칼리 | 올림피코 파스쿠알 게레로 | 38,000 | 호르헤 다 실바 | 1948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부카라망가 | 아메리코 몬타니니 | 28,000 | 라파엘 두다멜 | 1949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메데인 | 아타나시오 지라르도 | 40,043 | 에프라인 후아레스 | 1948 |
보야카 치코 | 퉁하 | 라 인데펜덴시아 | 20,630 | 후안 카를로스 알바레스 | 2004 |
데포르테스 톨리마 | 이바게 | 마누엘 무리요 토로 | 28,100 | 다비드 곤살레스 | 1955 |
데포르티보 칼리 | 칼리 | 데포르티보 칼리 | 44,000 | 세르히오 에레라 | 1948 |
데포르티보 파스토 | 파스토 | 리베르타드 | 20,665 | 구스타보 플로렌틴 | 1999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페레이라 | 에르난 라미레스 비예가스 | 30,297 |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 1949 |
엔비가도 | 엔비가도 | 폴리데포르티보 수르 | 11,000 | 안드레스 오로스코 (임시) | 1992 |
포르탈레자 CEIF | 보고타 | 메트로폴리타노 데 테초 | 8,000 | 세바스티안 올리베로스 | 2014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메데인 | 아타나시오 지라르도 | 40,043 | 알레한드로 레스트레포 | 1948 |
하과레스 | 몬테리아 | 하라구아이 | 12,000 | 에드가르 카르바할 | 2015 |
후니오르 | 바랑키야 | 메트로폴리타노 로베르토 멜렌데스 | 49,692 | 세사르 파리아스 | 1948 |
라 에키다드 | 보고타 | 메트로폴리타노 데 테초 | 8,000 | 알렉시스 가르시아 | 2007 |
미요나리오스 | 보고타 | 네메시오 카마초 | 39,512 | 알베르토 가메로 | 1948 |
온세 칼다스 | 마니살레스 | 팔로그란데 | 32,000 | 에르난 다리오 에레라 | 1948 |
파트리오타스 | 퉁하 | 라 인데펜덴시아 | 20,630 | 데이론 페레스 | 2012 |
산타페 | 보고타 | 네메시오 카마초 | 39,512 | 파블로 페이라노 | 1948 |
아귈라스 도라다스 | 세인셀레호 | 아르투로 쿰플리도 시에라 | 10,000 | 후안 파블로 부흐 | 2011 |
4. 2. 클럽 별 시즌 참가 횟수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가 창설된 1948년부터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2024까지 각 클럽의 리그 참가 횟수는 다음과 같다.[9][10]- '''77''' 시즌: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미요나리오스''', '''산타페'''
- '''74''' 시즌: '''데포르티보 칼리'''
- '''73''' 시즌: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71''' 시즌: '''아메리카 데 칼리''', '''온세 칼다스'''
- '''69''' 시즌: '''데포르테스 톨리마'''
- '''65''' 시즌: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64''' 시즌: '''후니오르'''
- '''63''' 시즌: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62''' 시즌: 데포르테스 킨디오
- '''57''' 시즌: 쿠쿠타 데포르티보
- '''52''' 시즌: 우니온 막달레나
- '''32''' 시즌: '''엔비가도'''
- '''27''' 시즌: 아틀레티코 우일라
- '''24''' 시즌: '''데포르티보 파스토'''
- '''18''' 시즌: '''보야카 치코''', '''라 에키다드'''
- '''16''' 시즌: 코르툴루아
- '''14''' 시즌: '''리오네그로 아길라스'''
- '''12''' 시즌: '''파트리오타스''', 레알 카르타헤나
- '''11''' 시즌: '''알리안사 페트롤레라'''
- '''10''' 시즌: '''하과레스'''
- '''9''' 시즌: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
- '''8''' 시즌: 스포르팅 데 바라키야
- '''5''' 시즌: 우니베르시다드
- '''4''' 시즌: 온세 데포르티보
- '''3''' 시즌: '''포르탈레사 C.E.I.F.''', 우라칸
- '''2''' 시즌: 우니아우토노마, 우니코스타
- '''1''' 시즌: '''알리안자''', 바란키야, 센타우로스 비야비센시오, 레오네스, 리베르타드, 오로 네그로, '''티그레스'''
5. 선수
5. 1. 최다 출장 기록
2016년 3월 13일 기준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최다 출장 선수 기록은 다음과 같다.[13]순위 | 이름 | 참가연도 | 출장수 |
---|---|---|---|
1 | 가브리엘 베르두고/Gabriel Berdugoes | 1973-1982 | 773 |
2 | 알렉시스 가르시아/Alexis Garcíaes | 1980-1998 | 723 |
3 | 아르투로 세고비아/Arturo Segoviaes | 1963-1979 | 706 |
4 | 호르헤 베르무데스/Jorge Bermúdezes | 1989-2007 | 682 |
5 | 미사엘 플로레스/Misael Flórezes | 1962-1982 | 652 |
가브리엘 베르두고는 1968년부터 1984년까지 733경기에 출장했다.[14][15]
5. 2. 최다 득점 기록
2024년 12월 4일 기준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최다 득점 선수 순위는 다음과 같다.[16]순위 | 선수 | 연도 | 골 |
---|---|---|---|
1 | 다이로 모레노 | 2003–현재 | 238[17] |
2 | 세르히오 갈반 레이 | 1996–2011 | 224[18] |
3 | 이반 발렌시아노 | 1988–2009 | 217 |
4 | 우고 론데로 | 1969–1981 | 211 |
5 | 오스왈도 팔라베치노 | 1975–1985 | 204 |
6 | 호르헤 라미레스 가예고 | 1962–1975 | 201 |
7 | 오마르 데바니 | 1962–1975 | 200 |
8 | 빅토르 아리스티사발 | 1990–2007 | 187 |
9 | 아르놀도 이구아란 | 1977–1997 | 186 |
10 | 윌링턴 오르티스 | 1972–1988 | 184 |
6. 역대 우승팀 및 기록
6. 1. 시즌 별 우승팀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는 1948년부터 현재까지 매 시즌 우승팀을 배출해왔다. 1989년에는 심판 알바로 오르테가 암살 사건으로 인해 리그가 취소되어 우승팀이 없다.[19][20]{| class="wikitable"
! colspan=2 | 시즌 !! 우승 (횟수) !! 준우승 !! 득점왕[21] !! 소속 클럽 !! 득점
|-
| colspan=2 | 1948 || 산타페 (1) || 후니오르 || 알프레도 카스티요/Alfredo Castilloes || 미요나리오스 || 31
|-
| colspan=2 | 1949 || 미요나리오스 (1) || 데포르티보 칼리 || 페드로 카비욘/Pedro Cabillónes || 미요나리오스 || 42
|-
| colspan=2 | 1950 || 데포르티보 칼다스 (1) || 미요나리오스 || 카시미로 아발로스/Casimiro Ávaloses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27
|-
| colspan=2 | 1951 || 미요나리오스 (2) ||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미요나리오스 || 31
|-
| colspan=2 | 1952 || 미요나리오스 (3) || 보카 주니어스 데 칼리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미요나리오스 || 19
|-
| colspan=2 | 1953 || 미요나리오스 (4) || 아틀레티코 킨디오 || 마리오 가렐리/Mario Garellies || 아틀레티코 킨디오 || 20
|-
| colspan=2 | 1954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 || 아틀레티코 킨디오 || 카를로스 알베르토 감비나/Carlos Alberto Gambina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21
|-
| colspan=2 | 1955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1)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펠리페 마리노/Felipe Marino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22
|-
| colspan=2 | 1956 || 아틀레티코 킨디오 (1) || 미요나리오스 || 하이메 구티에레스/Jaime Gutiérrezes || 아틀레티코 킨디오 || 21
|-
| colspan=2 | 1957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2) || 데포르테스 톨리마 || 호세 비센테 그레코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30
|-
| colspan=2 | 1958 || 산타페 (2) || 미요나리오스 || 호세 아메리코 몬타니니/José Américo Montaninies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36
|-
| colspan=2 | 1959 || 미요나리오스 (5)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펠리페 마리노/Felipe Marinoes || 쿠쿠타 데포르티보/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35
|-
| colspan=2 | 1960 || 산타페 (3) || 아메리카 데 칼리 || 왈테르 마르콜리니/Walter Marcolinies || 데포르티보 칼리 || 30
|-
| colspan=2 | 1961 || 미요나리오스 (6)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알베르토 페라쪼/Alberto Perazzoes || 산타페 || 32
|-
| colspan=2 | 1962 || 미요나리오스 (7) || 데포르티보 칼리 || 호세 오마르 베르둔/José Omar Verdúnes || 쿠쿠타 데포르티보 || 36
|-
| colspan=2 | 1963 || 미요나리오스 (8) || 산타페 || 오마르 데바니/Omar Devannies
호세 오마르 베르둔/José Omar Verdúnes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쿠쿠타 데포르티보 || 36
|-
| colspan=2 | 1964 || 미요나리오스 (9) || 쿠쿠타 데포르티보 || 오마르 데바니/Omar Devannies || 우니온 막달레나/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28
|-
| colspan=2 | 1965 || 데포르티보 칼리 (1)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페르펙토 로드리게스/Perfecto Rodríguez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38
|-
| colspan=2 | 1966 || 산타페 (4)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오마르 데바니/Omar Devannies || 산타페 || 31
|-
| colspan=2 | 1967 || 데포르티보 칼리 (2) || 미요나리오스 || 호세 마리아 페레로/José María Ferreroes || 미요나리오스 || 38
|-
| colspan=2 | 1968 || 우니온 막달레나 (1) || 데포르티보 칼리 || 호세 마리아 페레로/José María Ferreroes || 미요나리오스 || 32
|-
| colspan=2 | 1969 || 데포르티보 칼리 (3) || 아메리카 데 칼리 || 우고 오라시오 론데로/Hugo Horacio Lónderoes || 아메리카 데 칼리 || 25
|-
| colspan=2 | 1970 || 데포르티보 칼리 (4) || 후니오르 || 호세 마리아 페레로/José María Ferreroes
왈테르 소사/Walter Sossaes || 쿠쿠타 데포르티보
산타페 || 27
|-
| colspan=2 | 1971 || 산타페 (5)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우고 오라시오 론데로/Hugo Horacio Lónderoes
아폴리나르 파니아과/Apolinar Paniaguaes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쿠쿠타 데포르티보 || 30
|-
| colspan=2 | 1972 || 미요나리오스 (10) || 데포르티보 칼리 || 우고 오라시오 론데로/Hugo Horacio Lónderoes || 쿠쿠타 데포르티보 || 27
|-
| colspan=2 | 1973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2) || 미요나리오스 || 넬손 실바 파체코/Nelson Silva Pachecoes || 쿠쿠타 데포르티보/후니오르 || 36
|-
| colspan=2 | 1974 || 데포르티보 칼리 (5)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빅토르 에파노르/Victor Ephanorpt || 후니오르 || 33
|-
| colspan=2 | 1975 || 산타페 (6) || 미요나리오스 || 호르헤 라몬 카세레스/Jorge Ramón Cácereses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35
|-
| colspan=2 | 1976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3) || 데포르티보 칼리 || 미겔 앙헬 콘베르티/Miguel Ángel Converties || 미요나리오스 || 33
|-
| colspan=2 | 1977 || 후니오르 (1) || 데포르티보 칼리 || 오스왈도 마르시알 팔라베시노/Oswaldo Marcial Palavecino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33
|-
| colspan=2 | 1978 || 미요나리오스 (11) || 데포르티보 칼리 || 오스왈도 마르시알 팔라베시노/Oswaldo Marcial Palavecino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36
|-
| colspan=2 | 1979 || 아메리카 데 칼리 (1) || 산타페 || 후안 호세 이리고옌/Juan José Irigoyenes || 미요나리오스 || 36
|-
| colspan=2 | 1980 || 후니오르 (2) || 데포르티보 칼리 || 세르히오 시에라/Sergio Sierraes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26
|-
| colspan=2 | 1981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4) || 데포르테스 톨리마 || 빅토르 우고 델 리오/Víctor Hugo del Ríoes || 데포르테스 톨리마 || 29
|-
| colspan=2 | 1982 || 아메리카 데 칼리 (2) || 데포르테스 톨리마 || 미겔 오스왈도 곤살레스/Miguel Oswaldo Gonzálezes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27
|-
| colspan=2 | 1983 || 아메리카 데 칼리 (3) || 후니오르 || 우고 고타르디/Hugo Gottardies || 산타페 || 29
|-
| colspan=2 | 1984 || 아메리카 데 칼리 (4) || 미요나리오스 || 우고 고타르디/Hugo Gottardies || 산타페 || 23
|-
| colspan=2 | 1985 || 아메리카 데 칼리 (5) || 데포르티보 칼리 || 미겔 오스왈도 곤살레스/Miguel Oswaldo Gonzálezes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34
|-
| colspan=2 | 1986 || 아메리카 데 칼리 (6) || 데포르티보 칼리 || 엑토르 라몬 소사/Héctor Ramón Sossa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23
|-
| colspan=2 | 1987 || 미요나리오스 (12) || 아메리카 데 칼리 || 호르헤 아라베나 || 데포르티보 칼리 || 23
|-
| colspan=2 | 1988 || 미요나리오스 (13)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세르히오 앙굴로/Sergio Anguloes || 산타페 || 29
|-
| colspan=2 | 1989 || colspan=5 | 경기 중단으로 우승팀을 결정할 수 없음
|-
| colspan=2 | 1990 || 아메리카 데 칼리 (7)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안토니 데 아빌라 || 아메리카 데 칼리 || 25
|-
| colspan=2 | 1991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5) || 아메리카 데 칼리 || 이반 발렌시아노 || 후니오르 || 30
|-
| colspan=2 | 1992 || 아메리카 데 칼리 (8)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존 하이로 트레예스/John Jairo Tréllez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25
|-
| colspan=2 | 1993 || 후니오르 (3)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미겔 게레로/Miguel Guerreroes || 후니오르 || 34
|-
| colspan=2 | 1994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6) || 미요나리오스 || 루벤 다리오 에르난데스/Rubén Darío Hernández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아메리카 데 칼리 || 32
|-
| colspan=2 | 1995 || 후니오르 (4) || 아메리카 데 칼리 || 이반 발렌시아노 || 후니오르 || 24
|-
| colspan=2 | 1995-96 || 데포르티보 칼리 (6) || 미요나리오스 || 이반 발렌시아노 || 후니오르 || 36
|-
| colspan=2 | 1996-97 || 아메리카 데 칼리 (9)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해밀턴 리카르/Hamilton Ricardes || 데포르티보 칼리 || 36
|-
| colspan=2 | 1998 || 데포르티보 칼리 (7) || 온세 칼다스 || 빅토르 보니야/Víctor Bonillaes || 데포르티보 칼리 || 37
|-
| colspan=2 | 1999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7) || 아메리카 데 칼리 || 세르히오 갈반 레이 || 온세 칼다스 || 26
|-
| colspan=2 | 2000 || 아메리카 데 칼리 (10) || 후니오르 || 카를로스 알베르토 카스트로/Carlos Castroes || 미요나리오스 || 24
|-
| colspan=2 | 2001 || 아메리카 데 칼리 (11)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카를로스 알베르토 카스트로/Carlos Castroes
호르헤 오라시오 세르나/Jorge Horacio Sernaes || 미요나리오스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29
|-
| rowspan=2 | 2002 || A || 아메리카 데 칼리 (12)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루이스 페르난도 술레타/Luis Fernando Zuletaes || 우니온 막달레나 || 13
|-
| F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3) || 데포르티보 파스토 || 올란도 바예스테로스/Orlando Ballesteroses
밀톤 로드리게스/Milton Rodríguezes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13
|-
| rowspan=2 | 2003 || A || 온세 칼다스 (2) || 후니오르 || 아르눌포 발렌티에라/Arnulfo Valentierraes || 온세 칼다스 || 13
|-
| F || 데포르테스 톨리마 (1) || 데포르티보 칼리 || 레이데르 프레시아도/Léider Preciadoes || 데포르티보 칼리 || 17
|-
| rowspan=2 | 2004 || A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4)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세르히오 에레라/Sergio Herreraes || 아메리카 데 칼리 || 13
|-
| F || 후니오르 (5)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레오나르도 파비오 모레노/Leonardo Fabio Morenoes
레이데르 프레시아도/Léider Preciadoes || 아메리카 데 칼리
산타페 || 15
|-
| rowspan=2 | 2005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8) || 산타페 || 빅토르 아리스티사발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6
|-
| F || 데포르티보 칼리 (8) || 레알 카르타헤나 || 하메르손 렌테리아/Jamerson Renteríaes
우고 로다예가/Hugo Rodallegaes || 레알 카르타헤나
데포르티보 칼리 || 12
|-
| rowspan=2 | 2006 || A || 데포르티보 파스토 (1) || 데포르티보 칼리 || 호르헤 오라시오 모레노/Jorge Horacio Morenoes || 쿠쿠타 데포르티보 || 15
|-
| F || 쿠쿠타 데포르티보 (1) || 데포르테스 톨리마 || 디에고 알바레스/Diego Álvarezes
존 차리아/John Charría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데포르테스 톨리마 || 11
|-
| rowspan=2 | 2007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9) || 아틀레티코 우일라 || 프레디 몬테로
세르히오 갈반 레이 || 아틀레티코 우일라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3
|-
| F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0) || 라 에키다 || 다이로 모레노 || 온세 칼다스 || 16
|-
| rowspan=2 | 2008 || A || 보야카 치코 (1) || 아메리카 데 칼리 || 미겔 카네오
이반 벨라스케스/Iván Velásquezes || 보야카 치코
데포르테스 킨디오 || 13
|-
| F || 아메리카 데 칼리 (13)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프레디 몬테로 || 데포르티보 칼리 || 16
|-
| rowspan=2 | 2009 || A || 온세 칼다스 (3) || 후니오르 || 테오필로 구티에레스 || 후니오르 || 16
|-
| F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5) || 아틀레티코 우일라 || 잭슨 마르티네스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18
|-
| rowspan=2 | 2010 || A || 후니오르 (6) || 라 에키다 || 카를로스 바카
카를로스 렌테리아/Carlos Renteríaes || 후니오르
라 에키다 || 12
|-
| F || 온세 칼다스 (4) || 데포르테스 톨리마 || 윌데르 메디나/Wilder Medinaes
다이로 모레노 || 데포르테스 톨리마
온세 칼다스 || 16
|-
| rowspan=2 | 2011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1) || 라 에키다 || 카를로스 렌테리아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2
|-
| F || 후니오르 (7) || 온세 칼다스 || 카를로스 바카 || 후니오르 || 12
|-
| rowspan=2 | 2012 || A || 산타페 (7) || 데포르티보 파스토 || 로빈 라미레스/Robin Ramírezes || 데포르테스 톨리마 || 13
|-
| F || 미요나리오스 (14)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엔리 에르난데스/Henry Hernándezes
카르멜로 발렌시아/Carmelo Valenciaes
헤르만 카노 || 쿠쿠타 데포르티보
라 에키다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9
|-
| rowspan=2 | 2013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2) || 산타페 || 윌데르 메디나/Wilder Medinaes || 산타페 || 12
|-
| F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3) || 데포르티보 칼리 || 다이로 모레노
루이스 카를로스 루이스/Luis Carlos Ruizes || 미요나리오스
후니오르 || 16
|-
| rowspan=2 | 2014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4) || 후니오르 || 다이로 모레노 || 미요나리오스 || 13
|-
| F || 산타페 (8)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헤르만 카노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16
|-
| rowspan=2 | 2015 || A || 데포르티보 칼리 (9)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페르난도 우리베/Fernando Uribees || 미요나리오스 || 15
|-
| F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5) || 후니오르 || 헤페르손 두케/Jefferson Duque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5
|-
| rowspan=2 | 2016 || A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6) || 후니오르 || 미겔 보르하/Miguel Borjaes || 코르툴루아 || 19
|-
| F || 산타페 (9) || 데포르테스 톨리마 || 아이론 델 바예/Ayron del Vallees || 미요나리오스 || 12
|-
| rowspan=2 | 2017 || A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16) || 데포르티보 칼리 || 다이로 모레노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4
|-
| F || 미요나리오스 (15) || 산타페 ||지미 차라/Yimmi Charáes
아이론 델 바예/Ayron del Vallees
다이로 모레노
카르멜로 발렌시아/Carmelo Valenciaes || 후니오르
미요나리오스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라 에키다 || 11
|-
시즌 | 우승 (횟수) | 준우승 | 득점왕[23] | 소속 클럽 | 점 | |
---|---|---|---|---|---|---|
2018 | A | 데포르테스 토리마 (2)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헤르만 카노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12 |
F | 주니어 (8) | 메데인 | 헤르만 카노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20 | |
2019 | A | 주니어 (9) | 데포르티보 파스토 | 헤르만 카노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21 |
F | 아메리카 데 칼리 (14) | 주니어 | 헤르만 카노 미첼 란헬/Michael Rangeles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아메리카 데 칼리 | 13 | |
2020 | 아메리카 데 칼리 (15) | 산타페 | 미겔 보르하/Miguel Borjaes | 아틀레티코 주니어 | 14 | |
2021 | A | 데포르테스 토리마 (3) | 밀리오나리오스 | 제퍼슨 두케/Jefferson Duquees 페르난도 우리베/Fernando Uribees 디에고 헤라조/Diego Herazo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밀리오나리오스 라 에키다 | 11 |
F | 데포르티보 칼리(10) | 데포르테스 토리마 | 제퍼슨 두케/Jefferson Duquees 페르난도 우리베/Fernando Uribees 조르드 갈세스/Harold Preciadoes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밀리오나리오스 엔비가도 FC | 11 |
2002년부터는 전기 리그(아페르투라)와 후기 리그(피날리사시온)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리그 우승팀에게 정규 시즌 우승 자격이 주어진다.
6. 2. 클럽 별 우승 횟수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은 1954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22–I 시즌까지 총 17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최다 우승 클럽이다. 밀요나리오스는 1949년 첫 우승 이후 2023–I 시즌까지 16번 우승, 아메리카 데 칼리는 1979년 첫 우승 이후 2020 시즌까지 15번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데포르티보 칼리와 주니어는 각각 10회 우승, 산타 페는 9회 우승을 기록했다.순위 | 클럽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1 | 아틀레티코 나시오날 | 17 | 1954, 1973, 1976, 1981, 1991, 1994, 1999, 2005–I, 2007–I, 2007–II, 2011–I, 2013–I, 2013–II, 2014–I, 2015–II, 2017–I, 2022–I |
2 | 밀요나리오스 | 16 | 1949, 1951, 1952, 1953, 1959, 1961, 1962, 1963, 1964, 1972, 1978, 1987, 1988, 2012–II, 2017–II, 2023–I |
3 | 아메리카 데 칼리 | 15 | 1979, 1982, 1983, 1984, 1985, 1986, 1990, 1992, 1996–97, 2000, 2001, 2002–I, 2008–II, 2019–II, 2020 |
4 | 데포르티보 칼리 | 10 | 1965, 1967, 1969, 1970, 1974, 1995–96, 1998, 2005–II, 2015–I, 2021–II |
주니어 | 10 | 1977, 1980, 1993, 1995, 2004–II, 2010–I, 2011–II, 2018–II, 2019–I, 2023–II | |
6 | 산타 페 | 9 | 1948, 1958, 1960, 1966, 1971, 1975, 2012–I, 2014–II, 2016–II |
7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6 | 1955, 1957, 2002–II, 2004–I, 2009–II, 2016–I |
8 | 온세 칼다스 | 4 | 1950, 2003–I, 2009–I, 2010–II |
9 | 데포르테스 톨리마 | 3 | 2003–II, 2018–I, 2021–I |
10 | 데포르티보 파스토 | 1 | 2006–I |
데포르테스 킨디오 | 1 | 1956 | |
쿠쿠타 데포르티보 | 1 | 2006–II | |
아틀레티코 부카라망가 | 1 | 2024–I | |
우니온 마그달레나 | 1 | 1968 | |
보야카 치코 | 1 | 2008–I | |
데포르티보 페레이라 | 1 | 2022–II |
7. 트로피
1948년부터 매년 챔피언을 기념하기 위해 동일한 트로피가 사용되었다. 독일제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약 5kg이고 높이는 약 90cm이다. 윗부분에는 역사를 통틀어 스포츠 승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사모트라케의 니케 형상이 있다.[11] 모든 챔피언 클럽의 이름이 새겨진 오리지널 트로피는 DIMAYOR 본부에 보관되어 있으며 경기 일정 추첨이나 스폰서와 함께하는 행사에서만 전시되며, 챔피언에게는 정확한 복제품이 수여된다.[11] 대회 공식 트로피와 함께, 챔피언에게는 리그 스폰서가 수여하는 추가 트로피도 수여된다.[12]
8. 국제 대회 참가
콜롬비아 축구 클럽들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해 왔다.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은 콜롬비아 클럽 중 가장 성공적인 클럽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1989년과 2016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데포르티보 칼리와 온세 칼다스도 각각 1978년, 1999년과 2004년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에 진출한 바 있다. 인디펜디엔테 산타페는 2015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9.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Dimayor presentó a Betplay como nuevo patrocinador del fútbol colombiano
https://www.elpais.c[...]
El País
2020-01-22
[2]
웹사이트
IFFHS MEN'S STRONGEST NATIONAL LEAGUE IN THE WORLD - THE TOP 100
https://iffhs.com/po[...]
IFFHS
2024-01-21
[3]
웹사이트
Colombia - Foundation Dates of Clubs
https://www.rsssf.or[...]
2023-02-02
[4]
서적
La gran historia del Fútbol Profesional Colombiano
Ediciones Dayscript
[5]
서적
La gran historia del Fútbol Profesional Colombiano
Ediciones Dayscript
[6]
웹사이트
Colombia - List of Cup Winners
https://www.rsssf.or[...]
Andrés Acosta and RSSSF
2013-01-10
[7]
웹사이트
El Tiempo - Colombia entra en la élite del fútbol mundial con 'la época de El Dorado'
http://www.eltiempo.[...]
2015-04-12
[8]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Of The Colombian Football League
https://ligadeportiv[...]
Liga Deportiva
2022-04-19
[9]
문서
http://futbol-1a.com[...]
[10]
문서
dimayor.com.co/estadisticas/
[11]
웹사이트
La historia del trofeo de la Dimayor y que se les entrega a los campeones
https://elcincocero.[...]
El Cinco Cero
2023-06-04
[12]
웹사이트
Estos son los trofeos que reciben los campeones
http://www.caracol.c[...]
2012-07-14
[13]
웹사이트
Semana.com - Imprimir
https://www.semana.c[...]
2019-02-10
[14]
웹사이트
Gabriel Berdugo: El defensa con más partidos jugados del FPC
https://dimayor.com.[...]
2024-05-15
[15]
웹사이트
Gabriel Berdugo, el que más partidos jugó en el fútbol colombiano
https://www.eltiempo[...]
2024-05-15
[16]
웹사이트
Dayro, en la punta: así quedó tabla de goleadores históricos del FPC
https://www.futbolre[...]
Futbolred
2024-03-16
[17]
웹사이트
¡Dayro Moreno hizo historia! Rompió el récord contra Medellín: máximo goleador del FPC
https://www.elespect[...]
2024-03-16
[18]
웹사이트
Hace 20 años empezó la historia de Sergio Galván Rey en el Once Caldas
http://www.lapatria.[...]
2016-03-13
[19]
서적
La gran historia del Fútbol Profesional Colombiano
Ediciones Dayscript
2008-10
[20]
웹사이트
Colombia 1989
https://www.rsssf.or[...]
2023-02-02
[21]
웹사이트
Colombian League Top Scorers
https://www.rsssf.or[...]
RSSSF
2008-03-06
[22]
웹사이트
Colombia - List of Champions and Runners-Up
https://www.rsssf.or[...]
[23]
웹사이트
Colombian League Top Scorers
http://www.rsssf.com[...]
RSSSF
2008-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